[적어보자] #5291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7권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7권 불설보우경 제7권 달마류지 한역 장용서 번역 “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공한 성품을 얻으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힘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둘째는 무서움 없는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셋째는 불공법(不共法)의 공한 성품을 알고, 넷째는 계(戒)의 쌓임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다섯째는 삼마지(三摩地)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여섯째는 반야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일곱째는 해탈의 쌓임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여덟째는 해탈지견의 쌓임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아홉째는 공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열째는 훌륭한 뜻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아는 것이니라.보살이 비록 공에서 행하되 단(斷)을 하지 않으며, 다시 공에 집착하지 않으..
2024. 12. 20.
[적어보자] #5290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6권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6권 불설보우경 제6권 달마류지 한역 장용서 번역 “다시 이르나니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넓고 큰 마음을 얻으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 것인가? 첫째는 나는 온갖 평등한 여러 바라밀다를 마땅히 쌓아 모아야 하니, 이것이 이름이 넓고 큰 마음을 내어 일으키는 것이요, 둘째는 나는 온갖 불법을 마땅히 원만하게 하여야 하니, 이것이 이름이 넓고 큰 마음을 내어 일으키는 것이요, 셋째는 나는 온갖 중생을 마땅히 조복 받아야 하니, 이것이 이름이 넓고 큰 마음을 내어 일으키는 것이요,넷째는 나는 보리도량에 마땅히 앉아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등각을 나타내어야 하니, 이것이 이름이 넓고 큰 마음을 내어 일으키는 것이요, 다섯째는 등각을 나타내고 나서 법륜을 굴리니, ..
2024. 12. 19.
[적어보자] #5289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5권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5권 불설보우경 제5권 달마류지 한역 장용서 번역 “선남자야, 어떤 것이 여래의 열 가지 힘인가? 첫째는 처(處))와 비처(非處)의 지혜의 힘이요, 둘째는 지난 세상, 오는 세상, 지금 세상의 이숙(異熟)의 업인 인(因)이 기간을 요하는[要期] 지혜의 힘이요, 셋째는 갖가지 훌륭한 앎[勝解]의 지혜의 힘이요, 넷째는 갖가지 경계의 지혜의 힘이요, 다섯째는 근기가 훌륭하거나 열약한 지혜의 힘이요, 여섯째는 두루 나아가 행하는 지혜의 힘이요, 일곱째는 온갖 정려, 해탈, 삼마지, 삼마발지로서 잡염(雜染)과 청정을 벗어나 여의는 지혜의 힘이요, 여덟째는 지난 세상일을 마음대로 아는 지혜의 힘이요, 아홉째는 나고 죽음을 아는 지혜[生死智]의 힘이요, 열째는 번뇌가 다한 지혜의 힘이니 이것..
2024. 12. 19.
[적어보자] #5288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4권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4권 불설보우경 제4권 달마류지 한역 장용서 번역 “다시 이르나니,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물과 같음을 얻으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인가? 첫째는 선한 법을 따라 순종함이요, 둘째는 항상 온갖 백법(白法)을 능히 생장시킴이요, 셋째는 환희하고, 깨끗이 믿고, 즐거워하고, 윤택함이요, 넷째는 온갖 번뇌로 하여금 서로 이어 썩어 없어지게 함이요, 다섯째는 자성이 맑고 깨끗하여 흐림 없이 청정함이요, 여섯째는 온갖 번뇌의 타오름을 꺼서 없애게 함이요, 일곱째는 온갖 여러 가지 욕심과 애욕의 갈증을 여의여 버림이요, 여덟째는 매우 깊어서 건너기 어려움이요, 아홉째는 같거나 같지 않은 지방(地方)에 꼭 찬 것이요, 열째는 온갖 여러 가지 번뇌의 티끌을 쉬어 없앰이니라.선남..
2024. 12. 19.
[적어보자] #5287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3권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3권 불설보우경 제3권 달마류지 한역 장용서 번역 “다시 이르니,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방편선교(方便善巧)의 원만함을 얻게 되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회향을 얻는 방편선교요, 둘째는 여러 외도로 하여금 귀의하여 와서 향하게 하는 방편선교요, 셋째는 경계를 버리는 방편선교요, 넷째는 악한 지음[惡作]을 덜어 없애는 방편선교요, 다섯째는 중생을 구호하는 방편선교요, 여섯째는 중생에게 베풀어 목숨을 살리는 방편선교요, 일곱째는 받아 취함을 얻는 방편선교요, 여덟째는 그른 곳을 버리고 옳은 곳에 머무는 방편선교요, 아홉째는 보여 나타내고, 가르쳐 인도하고, 권하고 격려하여 기쁘게 하는 방편선교요, 열째는 부처님께 공양하고 받들어 섬기는 방편선교이니라..
2024. 12. 19.
[적어보자] #5286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2권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2권 불설보우경 제2권 달마류지 한역 장용서 번역 “다시 이르니,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인욕의 원만을 얻으니, 어떤 것들을 열 가지라 하는가? 첫째는 안으로 참는[內忍] 원만이요, 둘째는 밖으로 참는[外忍] 원만이요, 셋째는 법에서 참는[法忍] 원만이요, 넷째는 부처님의 가르치심을 따라 참는[隨佛敎忍] 원만이요, 다섯째는 분한(分限)이 없이 참는[無分限忍] 원만이요, 여섯째는 분별없이 참는[無分別忍] 원만이요, 일곱째는 일을 기다리지 않고 참는[不待事忍] 원만이요, 여덟째는 성냄이 없이 참는[無恚忍] 원만이요, 아홉째는 불쌍히 여겨 참는[悲忍] 원만이요, 열째는 서원을 세워 참는[誓願忍] 원만이니라.어떻게 하는 것이 보살이 안으로 참는 원만인가? 선남자야,..
2024.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