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7권
불설보우경 제7권
달마류지 한역
장용서 번역
“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공한 성품을 얻으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힘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둘째는 무서움 없는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셋째는 불공법(不共法)의 공한 성품을 알고, 넷째는 계(戒)의 쌓임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다섯째는 삼마지(三摩地)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여섯째는 반야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일곱째는 해탈의 쌓임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여덟째는 해탈지견의 쌓임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아홉째는 공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알고, 열째는 훌륭한 뜻의 공한 성품을 능히 아는 것이니라.보살이 비록 공에서 행하되 단(斷)을 하지 않으며, 다시 공에 집착하지 않으며, 또한 공한 성품을 보지 않으며, 또한 공한 성품에 의지하지 않으며, 또한 소유(所有)가 없는 성품에 들어가지 않느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공에서 행하느니라.
다시 이르니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무상행(無相行)을 얻으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첫째는 바깥 상(相)을 멀리 여의고, 둘째는 안의 상을 멀리 여의고, 셋째는 희론의 상을 멀리 여의고, 넷째는 분별하는 상을 멀리 여의고, 다섯째는 얻은 바 있는 상을 멀리 여의고, 여섯째는 짓는 바 일의 상을 머리 여의고, 일곱째는 행하는 바의 상을 멀리 여의고, 여덟째는 반연하는 바의 상을 멀리 여의고, 아홉째는 능히 아는 의식의 가히 얻을 수 없는 상을 멀리 여의고, 열째는 아는 바 사물의 가히 얻을 수 없는 상을 멀리 여의는 것이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무상행을 얻느니라.”그때에 지개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이와 같은 열 가지 법을 보살이 마땅히 배워야 하니, 어떻게 하여야 꼭 배우게 되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부처님의 행하시는 바의 곳은 생각할 수 없으니, 네가 생각하는 경계의 성품을 멀리 여읜 까닭이니라.선남자야, 만일 여러 중생들이 여래 법의 성품의 경계를 생각하면, 마음이 곧 희미하고 답답하여 끝내 법의 성품을 능히 보지 못하고 이 언덕과 저 언덕에서 다만 애써 수고로움만 내리라. 왜냐하면 여래의 경계는 생각할 수가 없이 몹시 깊어 헤아리기가 어려워서, 온갖 허망한 꾀와 헤아림으로서 가진 바의 경계를 뛰어넘었으며, 온갖 얻은 바가 있는 이의 가진 경계를 뛰어넘었느니라. 그러므로 이 뜻으로써 저 허망하게 헤아리는 이의 생각함과 헤아림은 아니니라.”지개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제가 지금 잠깐 여쭙고자 하오니 오직 원하오니 부처님께서는 불쌍히 여기시여 저의 청을 허락해주시고 저를 위하여 풀어 말씀해 주십시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일체의 모든 부처님께서 모두 의심내어 묻는 것을 허락하시리니, 그대의 하고자 하는 바를 따라 마땅히 그대를 위하여 풀어 말하리라.”지개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대저 자기 스스로가 칭찬하는 것은 바른 보살의 법이 아니옵거니, 어찌하여 여래께서는 스스로 찬탄하시기를 ‘행하는 바의 경계가 온갖 것을 뛰어넘으셨다’고 하십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잘 말하였다. 선남자야, 살펴 듣고 살펴 들어라. 꼭 그대를 위하여 설하리라.선남자야, 여래께서는 이익이나 받들어 섬겨서 시봉하거나, 소문나는 것이나 남에게 알리는 것에 탐착하여 아만하거나 거만함이 아니고, 남에게 가릴까 두려워하시어 스스로 찬탄하심이 아니니라.
선남자야, 여래께서는 거짓도 없고 속임도 없고 말씀에 아첨하지 않고 오직 온갖 중생을 이익케 하여 안락을 얻게 함이니라. 법의 성품을 증득하신 까닭에 여래의 발하신바 깨끗한 신심에서 환희하고, 기쁘고 즐거워서 법의 그릇을 마땅히 얻게 하며, 다시 능히 연설하시어 중생을 유익[饒益]케 하심이니라.”지개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온갖 중생이 가히 능히 여래의 공덕과 위신의 힘을 알지 못하므로 이제 여래께서 모름지기 스스로 칭찬하셨습니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이 국토의 중생은 믿음의 근기가 엷고 적고, 지혜의 힘이 낮고 모자라서 여래의 공덕과 위신의 힘을 능히 알지 못하니, 이런 까닭에 여래가 스스로 찬탄하여 그들로 하여금 알게 하는 것이니라.
비유해 말하자면, 마치 의사가 약방문을 잘 알아서 여러 가지 병을 능히 고치는데, 의사가 사는 곳에 병이 많건만 다시는 다른 의사로서 병을 능히 치료해 주는 사람도 없었다.이때 그 의사는 이렇게 생각을 하였다.
‘이 여러 사람들이 병으로 고통을 받건만 좋은 약이 있는 것도 능히 알지 못하고 또한 내가 그 병을 능히 없애줄 수 있는 것도 모르는구나.’
이때에 그 의사는 병 앓는 자의 앞에서 자기를 스스로 칭찬해 말하였다. ‘내가 병을 능히 알고, 또한 약도 잘 쓸 줄 안다.’
그때에 병 앓던 사람이 저 사람이 훌륭한 의사인 줄 이미 알고 나서야 공경하고 믿는 마음이 깊어져 의지하고 요양하여 가진 병고를 모두 낫게 하였느니라.
선남자야,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와 같은 의사도 또한 스스로 칭찬했다는 이름을 얻겠는가, 안 얻겠는가?”지개보살이 말하였다.
“아니옵니다. 부처님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그러하니라. 여러 부처님 여래께서는 보다 위가 없으신 분이시며 큰 의사의 왕이시다. 중생들의 번뇌의 병의 원인을 잘 아시고 법의 약도 능히 주시느니라. 그러나 여러 중생들은 여러 부처님 여래께서 그 병을 잘 없애주시는 것을 능히 알지 못하느니라.”그때에 여러 부처님께서 문득 공덕과 위력을 스스로 찬탄하시니, 중생들이 듣고 나서 공경하고 믿음을 깊이 내어 여래를 의지하여 번뇌의 병을 덜어 없앴다.
여래께서는 이때에 큰 의사의 왕이 되시어 큰 법의 약을 베풀어주시어 번뇌의 병을 모두 덜어 없어지게 하셨다.
어떤 것들이 이름이 큰 법의 약인가? 큰 법의 약이란 부정관(不淨觀), 자비, 연기 등이니라.
선남자야, 이 인연으로 말미암아 여래께서 두루 관하시고 스스로 찬탄하시느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온갖 의지하는 원을 멀리 여의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보시에 의지하여 애달프게 구하는 것이 있지 않고, 둘째는 지계에 의지하여 애달프게 구하는 것이 있지 않고, 셋째는 인욕에 의지하여 애달프게 구하는 것이 있지 않고, 넷째는 정진에 의지하여 애달프게 구하는 것이 있지 않고, 다섯째는 정려에 의지하여 애달프게 구하는 것이 있지 않고,여섯째는 반야에 의지하여 애달프게 구하는 것이 있지 않고, 일곱째는 삼계에 의지하여 애달프게 구하는 것이 있지 않고, 여덟째는 보리에 의지하여 애달프게 구하는 것이 있지 않고, 아홉째는 정도에 의지하여 애달프게 구하는 것이 있지 않고, 열째는 열반에 의지하여 애달프게 구하는 것이 있지 않으니, 왜냐하면 여러 보살이 온갖 의지하는 상(相)을 멀리 여읜 까닭이니라.
선남자야, 보살마하살은 의지한 데가 없으므로 온갖 세간에 능히 노니느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곧 온갖 의지하는 원을 멀리 여의느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자심(慈心)을 행하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방소(方所:방위)가 없는 자심이요, 둘째는 차별이 없는 자심이요, 셋째는 모든 법을 얻는 자심이요, 넷째는 결정코 한 인연을 생각해 얻는 자심이요, 다섯째는 걸림이 없는 자심이요, 여섯째는 항상 이익되는 자심이요, 일곱째는 온갖 중생들에게 마음이 평등한 자심이요, 여덟째는 손해가 없는 자심이요, 아홉째는 온갖 것에 두루하는 자심이요, 열째는 출세간의 자심이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이 이름이 자심의 자성을 닦는 것이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비심(悲心)을 행하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모든 중생들이 돌아갈 곳이 없거나 구호하는 이가 없어 고통과 쓰라림을 받는 이들을 보고 불쌍히 여김을 곧 일으켜 보리의 마음을 발함이요, 둘째는 보리의 마음을 발하고 나서는 용맹하게 정진하여 법의 성품에 빨리 들어가고, 셋째는 법의 성품에 들어가고 나서는 중생을 유익케 하고, 넷째는 탐내거나 인색한 중생들을 위하여서는 그로 하여금 보시케 하고,다섯째는 훼금(毁禁)하는 중생들을 위하여서는 그로 하여금 계를 갖게 하고, 여섯째는 화내어 해치는 중생을 위하여서는 이로 하여 욕(辱)을 참게 하고, 일곱째는 게으른 중생을 위하여서는 그로 하여금 정진케 하고, 여덟째는 산란한 중생을 위하여서는 그로 하여금 고요히 생각하게[靜慮] 하고, 아홉째는 악한 지혜의 중생을 위하여서는 그로 하여금 지혜롭게 하고, 열째는 비록 중생을 위하여 여러 고통과 쓰라림을 받을지라도 뜻을 세워서 반드시 빼내어 건지는데 지치거나 싫어함이 없고, 큰 보리에서 끝내 물러나는 일이 없느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이 이름이 비심의 자성을 닦는 것이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기쁨을 행하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나는 모든 세계의 감옥의 맹렬한 불이 치열하게 타는 데서 벗어남을 얻었으므로 이렇게 기쁨을 내고, 둘째는 나는 오랫동안 나고 죽는 결박을 능히 끊어버리었으므로 이렇게 기쁨을 내고, 셋째는 나는 벌써 갖가지 심사(尋事)와 삿된 집착과 잡란(雜亂)과 생사(生死)의 큰 바다를 능히 건넜으므로 이렇게 기쁨을 내고, 넷째는 나는 교만의 오랜 깃발[幢]을 능히 꺾었으므로 이렇게 기쁨을 내고,다섯째는 나는 금강의 지혜로서 번뇌의 산을 능히 깨뜨려서 적은 티끌만치도 없게 하였으므로 이렇게 기쁨을 내고, 여섯째는 나는 이제 스스로 벌써 편안하고 또한 다시 능히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편안함을 얻게 하였으므로 이렇게 기쁨을 내고, 일곱째는 나는 긴 밤의 깊은 잠에서 깨어남을 얻었고, 또한 능히 긴 밤 동안 애착의 밧줄에 묶이고 어리석음의 덮개에 덮여 눈 어두운 유정들을 모두 깨어나게 하였으므로 이렇게 기쁨을 내고,여덟째는 나는 온갖 악취(惡趣)에서 벌써 벗어났고, 또한 능히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해탈을 얻게 하였으므로 이렇게 기쁨을 내고, 아홉째는 나는 긴 밤 나고 죽는 넓은 들에서 피곤하고 주리고 목마르며, 혼자 가는데 길동무도 없이 헤매기를 끝없이 하여 바른 길도 모르고 방향도 모르다가 이미 능히 길을 알게 되었고, 다시 남에게 길을 능히 보여줄 수 있으므로 이렇게 기쁨을 내고, 열째는 나는 이제 모든 지혜의 성(城)에 능히 향하고 있으므로 이렇게 기쁨을 냄이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이 이름이 기쁨을 닦는 것이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버림[捨]을 능히 행하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눈으로 보는 빛 가운데서 버리는 행을 얻고, 둘째는 귀로 듣는 소리 가운데서 버리는 행을 얻고, 셋째는 코로 맡는 냄새 가운데서 버리는 행을 얻고, 넷째는 혀로 맛보는 맛 가운데서 버리는 행을 얻고, 다섯째는 몸으로 받는 접촉 가운데서 버리는 행을 얻고, 여섯째는 뜻으로 아는 바 법 가운데서 버리는 행을 얻으니, 이 행을 지을 때에 빛 등의 경계에서 파괴되지 않으며 손해 보지 않으며 멸해 없어지지 않느니라.일곱째는 괴로운 고통 가운데서 버리는 행을 얻고, 여덟째는 헐어지는 고통 가운데서 버리는 행을 얻고, 아홉째는 행하는 고통 가운데서 버리는 행을 얻으니, 이러한 행을 지을 때에 괴로운 고통, 헐어지는 고통, 행하는 고통의 성품 가운데 파괴되지 않고 손해 보지 않고 멸하여 없어지지 않느니라. 열째는 지은 바를 이미 판단한 중생 가운데서 버리는 행을 얻었으므로 환희하고 깨끗한 믿음과 기쁘고 즐거운 마음을 내되 이런 생각을 한다.
‘저 여러 중생들이 비록 벌써 스스로 제도했으나 내가 꼭 저로 하여금 도탈(度脫)을 얻어서 버리는 마음을 행하게 하리라.’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이 이름이 버림을 닦는 것이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신통에 유희(遊戱)하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숨어 사라짐을 나타내 보이고, 둘째는 태어났음을 나타내 보이고, 셋째는 소년이 후궁(後宮)에 유희함을 나타내 보이고, 넷째는 출가함을 나타내 보이고, 다섯째는 고행하는 것을 나타내 보이고, 여섯째는 보리도량에 가는 것을 나타내 보이고, 일곱째는 여러 마군을 항복 받음을 나타내 보이고, 여덟째는 등정각(等正覺)을 이루는 것을 나타내 보이고, 아홉째는 바른 법륜을 굴리는 것을 나타내 보이고, 열째는 대반열반(大般涅槃)을 나타내 보이는 것이니라.”그때에 지개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무슨 인연 때문에 여러 큰 보살들이 도사다천궁(覩史多天宮:도솔천궁)에 사라짐을 나타내 보이시고, 그리고 나아가 큰 열반에 드심 까지를 나타내 보이십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보살이 도사다천에서 가장 높고 가장 훌륭하여 온갖 세간의 여러 욕심의 경계에서 뛰어넘어 물들고 집착한 것이 없건만, 중생을 위하는 까닭에 몰래 사라짐[隱沒]을 보인 것이니라. 중생이 이를 보고 나서 상견(常見)을 버리고 무상견(無常見)을 일으키니, 저 무상(無常)한 것으로써 의지하는 까닭에 방일하지 않는 것이니라.선남자야, 저 여러 중생이 방일을 여의지 못하여 비록 보살에게 청정한 믿음의 마음을 냈느니라. 그러나 여러 욕심의 경계에 탐하고 즐겨함으로 말미암아 보살을 아직 능히 받들어 섬겨 공양하지 못하고, 생각하기를 ‘보살이 나와 더불어 긴 세월을 세상에 계실 터이니 이 뒤에 보살 계신 곳에 가서 받들어 모시고 공양 올려도 늦지 않다’고 하느니라. 이와 같이 중생으로 하여금 연모하는 마음을 일으켜 방일함을 버리게 하기 위하여 몰래 사라짐을 나타내 보이신 것이니라. 저 중생이 무상한 것을 보고 나서 다시는 방일하지 않으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마땅히 얻으리라.선남자야, 어떤 중생이 모태에 있으면서 마땅히 조복되고자 하는 이에게는 보살이 곧 모태 가운데 처하여 그 공덕과 위신의 희유한 일을 나타내시어 위하여 갖가지 미묘한 법을 설하니, 중생이 듣고 나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마땅히 얻느니라.
선남자야, 만일 여러 중생이 마땅히 보살이 동자 때에 후궁에서 유희함을 보고 조복되려는 이에게는 보살이 저 중생으로 하여금 성숙함을 얻게 하며, 또한 낮고 용렬한 중생으로 믿음의 뿌리가 적은 이를 수호하기 위하여 동자가 궁중에서 유희함을 나타내느니라.선남자야, 만일 여러 중생들이 보살이 출가하심을 보고 마땅히 성숙하려는 이에게는 보살은 그로 하여금 성숙함을 얻게 하고자 하는 까닭으로 출가함을 나타내 보이느니라.
선남자야, 만일 천ㆍ용ㆍ야차ㆍ건달바가 고행으로써 마땅히 조복을 얻으려는 이에게는 보살은 저들을 교화하기 위하는 까닭으로, 그리고 여러 외도를 항복받기 위하는 까닭으로 고행을 나타내 보이시느니라.선남자야, 만일 여러 중생이 긴 밤 동안 원하고 구하여 소원을 발하기를 ‘보살이 만약 보리도량에 나아가면 나는 마땅히 저기에 가서 공양을 부지런히 올리겠다’고 하면, 보살은 이와 같은 여러 중생들을 위하는 까닭에 보리도량에 나아감을 나타내 보이어 중생으로 하여금 수순하여 공양케 하여 결정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꼭 얻게 하느니라.선남자야, 만일 여러 중생이 아만이 공고하고 교만하고 사치하여 함부로 방일하는 이가 있으면, 그들을 위하여 저들로 하여금 이와 같은 번뇌의 일을 버리고 또 여러 마군을 항복받고자 하는 까닭으로 도량에 앉음을 능히 나타내 보이며, 만일 여러 중생들이 고요한 것을 즐겨하는 이가 있으면 보살은 중생으로 하여금 필경 가장 훌륭하고 가장 높은 빼어난 법을 증득하게 하는 까닭으로 도량에 앉아 등정각을 이룸을 나타내 보이느니라.이런 까닭에 보살이 정각을 이루고 나서 삼천대천세계가 모조리 다 고요하여 다시 여러 소리가 없으면, 저 여러 중생들은 이 일을 보고 나서 모두 이런 말을 하기를 ‘원컨대 나도 오는 세상에서 보리를 증득할 때에는 또한 저 보살이 도량에 앉아 등정각을 이루듯이 하리라’고 할 것이니라.
선남자야, 만일 여러 중생이 저 삿된 스승으로써 온갖 지혜를 삼아 삿된 법을 받으면 이 세상과 저 세상에서 능히 벗어나서 등정각을 이루지 못하리니, 보살은 저들을 항복받고자 하는 까닭에, 선근(善根)을 성숙시키기 위하는 까닭에, 다시 중생들이 법의 그릇이 됨을 감당할 수 있어 도를 보여주는 까닭으로 보살이 곧 나타나서 정등각을 이루어 저 파라날성(波羅捺城:베나레스)에 나아가서 12행의 법바퀴를 세 번 굴림을 나타내 보이느니라.선남자야, 만일 여러 중생들이 열반함을 마땅히 듣고서야 조복될 이에게는 보살은 곧 대반열반을 나타내어 조복 받느니라.
선남자야, 이 인연으로써 보살이 도사다천 가장 훌륭한 궁중에서 숨어 사라짐을 나타내 보이고 나아가 대반열반까지 나타내 보이는 것이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신통에 유희함을 얻느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여덟 가지 한가할 틈이 없음[無暇]를 능히 여의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좋지 못한 법을 여의어 버림이요, 둘째는 여래의 설하신 바 학처(學處:배워야 할 것)에서 끝내 어기어 넘지 않는 것이요, 셋째는 아끼고 탐냄을 멀리 여읨이요, 넷째는 이미 일찍이 여러 부처님께 공양하였음이요, 다섯째는 복업을 부지런히 닦음이요, 여섯째는 지혜가 원만함이요, 일곱째는 방편선교를 얻음이요, 여덟째는 본래의 원을 갖춤이요, 아홉째는 세상의 법을 싫어하여 여읨이요, 열째는 부지런히 행하여 정진함이니라.선남자야, 보살은 여러 가지 악한 업을 여의었으므로 지옥에 떨어지지 않느니라. 여러 중생들이 지옥에 태어난 이는 한량없는 고통에 핍박되어 화나는 마음이 나지만, 보살은 그렇지 아니하여 열 가지 착한 업의 도[善業道]의 성품을 성취한 까닭으로 마침내 지옥 가운데 나지 않는 것이니라.선남자야, 보살은 여래의 학처에서 어기어 넘지 않는 까닭으로 축생 종류 가운데 떨어지지 않거니와 그 가운데 태어나는 이는 한량없이 치열한 고통을 극도로 받느니라.
선남자야, 보살은 아끼고 탐내지 않는 까닭으로 주린 귀신 가운데 태어나지 않거니와, 그 가운데 나는 이는 치열한 주림의 고통을 극도로 받느니라.선남자야, 보살은 이미 일찍이 여러 부처님을 받들어 섬기고 공양하였으므로 삿된 소견을 가진 집에 태어나지 않거니와, 만일 그 가운데 태어나면 여러 가지 인연이 갖추어지지 않아 선지식과 더불어 화합할 수 없느니라. 이 까닭에 보살은 그 가운데 태어나지 않고 선지식을 만나 착한 법을 닦아 행하여 이로 말미암아 바른 소견을 가진 집에 태어나서 여러 가지 인연이 갖추어져서 길고 넓고 크게 대단히 뛰어난 선근을 기르느니라.선남자야, 보살은 여러 가지 근이 끝내 결함이 없으니, 만일 결함이 있는 이는 불법 가운데의 법기(法器)가 아니니라. 그러나 보살은 복의 업을 쌓은 까닭으로, 부처님ㆍ법문ㆍ승가와 제다(制多:불당)에서 받들어 섬기고 공양한 까닭으로, 여러 근을 갖추어서 법기가 됨에 감당함을 얻었느니라.
선남자야, 보살은 변방에 태어나지 않으니, 왜냐하면 변두리 지방의 사람들은 완고하고 모질고 어리석고 천치 같아 마치 벙어리 염소와 같으니라. 이러한 종족은 좋고 나쁜 말과 뜻을 능히 깨달아 알지 못하며, 부모에게 효도하지 아니하고, 사문이나 바라문에게 공경하지 아니하느니라. 이런 까닭에 보살은 나라 한 가운데 늘 태어나서 예리한 근기와 지혜로 총명하고 밝게 통달하여 불법 가운데서 법의 그릇[法器]이 되는 것을 감당할 수 있느니라.선남자야, 보살은 장수천(長壽天)에 태어나지 않으니, 만일 그 가운데에 나면 한량없는 여러 부처님께서 세상에 출현하심을 만날 수가 없고, 도과(道果)를 얻지 못하여 능히 이익됨이 없느니라. 이러 까닭으로 보살은 욕계(欲界)에 태어나 부처님이 출현하심을 만나서 받들어 섬기고 공양하여 중생을 성숙시키니, 왜냐하면 저 선교방편을 능히 얻었기 때문이니라.
선남자야, 보살은 부처님 없는 세계에 나지 않느니라. 그 가운데는 부처님ㆍ법문ㆍ승가에 마땅히 공양하는 이가 없으므로, 삼보가 갖추어 있는 불국토 가운데 늘 태어나느니라. 왜냐하면 모든 보살은 본래의 원[本願]을 갖추었기 때문이니라.선남자야, 보살은 이 한가할 틈이 없는 곳의 얘기를 듣고는 싫어하여 여의는 마음을 깊이 내며, 이러한 무리를 따라 싫어하여 어의는 마음을 얻고 나서 부지런히 닦아 정진하여 여러 가지 좋은 법을 얻어 온갖 여러 가지 좋지 못한 법을 영영 끊느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여덟 가지 한가할 틈이 없음을 멀리 여의느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보리의 마음에서 물러나 지 않음을 얻으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허망하고 속이고 아첨하고 왜곡함을 멀리 여읨이요, 둘째는 순진하고 청정하여 여러 가지 의심스럽고 현혹됨을 여읨이요, 셋째는 스승으로 섬김 받음을 멀리 여읨이요, 넷째는 법의 간탐을 멀리 여읨이요, 다섯째는 법을 멸하게 하는 인연을 짓지 않고,여섯째는 말씀한 대로 행하여 끝내 속이지 않고, 일곱째는 대승을 거두어 취하고, 여덟째는 대승을 믿는 사람을 늘 존중하고 그 법과 같이 하는 생각을 갖고, 아홉째는 대승에 나아가 수순해서 깨달아 들어감을 얻고, 열째는 법을 설하는 스승을 선지식으로 생각하는 것이니라.
선남자여,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보리심에서 물러나지 않음을 즉시 얻느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숙세의 일을 생각을 따라 아는 지혜를 얻으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모든 부처님을 받들어 섬기고, 둘째는 바른 법을 거두어 지니고, 셋째는 계를 지녀 청정하고, 넷째는 악을 짓지 않고, 다섯째는 걸림 없음을 얻고, 여섯째는 환희함이 한량없고, 일곱째는 많이 닦아 행함을 얻고, 여덟째는 삼마타를 얻고, 아홉째는 화하여 태어남[化生]을 얻고, 열째는 알아서 어리석음 없음을 얻음이니라.선남자야, 보살은 한량없는 모든 부처님을 받들어 섬기므로 바른 법을 소중히 여김을 얻으며, 여러 바른 법을 받아 지녀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하여 널리 설하며, 몸과 목숨을 돌보지 않고 바른 법을 부지런히 닦으므로 시라(尸羅:戒)를 얻어서 이른바 몸ㆍ입ㆍ뜻의 계에 모두 청정함을 얻으며, 계의 청정함으로 말미암아 악한 짓이 없으며, 악한 짓이 없음으로 말미암아 걸림이 없고,걸림 없음으로 말미암아 환희가 한량없으며, 환희가 한량없는 까닭에 만이 닦아 행함을 얻으며, 많이 닦아 행하기 때문에 삼마지를 얻고, 삼마지 얻으므로 청정한 곳에 능히 나아가며, 청정한 곳으로 나아가는 까닭에 화해 태어남을 늘 얻고, 화해 태어나므로 알아서 어리석음이 없고, 알아서 어리석음이 없기 때문에 많은 생을 생각하는 지혜를 얻느니라.
이로 말미암아 능히 따라 많은 생, 1생(生),2생 내지 한량없는 백천 생을 생각하느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숙세의 일을 생각을 따라 아는 지혜를 얻느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선지식을 여의지 않으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부처님을 보고 부처님을 듣고 부처님을 생각하는 것이요, 둘째는 바른 법을 듣는 것이요, 셋째는 여러 승가를 받들어 섬기는 것이요, 넷째는 여러 부처님과 보살에게서 떠나지 않고 기거(起居)를 문안하는 것이요, 다섯째는 아는 것이 많은 법을 설하는 스승을 늘 가까이함이요,여섯째는 여러 가지 바라밀을 늘 듣고, 일곱째는 보리분법(菩提分法)을 늘 듣고, 여덟째는 세 가지 해탈문을 항상 듣고, 아홉째는 네 가지 범행(梵行)을 늘 듣고, 열째는 온갖 지혜의 성품을 늘 듣는 것이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선지식과 친근하게 되느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악지식(惡知識)을 멀리 여의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훼금(毁禁)하는 보특가라(補特伽羅)를 멀리 여의고, 둘째는 파괴하는 소견을 가진 보특가라를 멀리 여의고, 셋째는 위의를 파괴하는 보특가라를 멀리 여의고, 넷째는 삿된 목숨의 보특가라를 멀리 여의고, 다섯째는 심란하고 시끄러움을 익히는 보특가라를 멀리 여의고,여섯째는 게으른 보특가라를 멀리 여의고, 일곱째는 나고 죽는 때 탐착하는 보특가라를 멀리 여의고, 여덟째는 바른 깨달음을 어기고 배반하는 보특가라를 멀리 여의고, 아홉째는 집안 일에 애착하는 보특가라를 멀리 여의고, 열째는 온갖 번뇌를 멀리 여의는 것이니라.
선남자야, 보살은 비록 이와 같은 여러 악지식을 멀리 여의지만, 그러나 저 곳에서 손해를 주거나 가볍게 여기거나 천하게 여기는 마음을 먹지 않느니라.보살이 응당 이와 같은 마음을 발함은 부처님의 말씀으로 말미암음이니, 만일 잡히고 어지러운 중생과 더불어 서로 물들고 익혀지면 문득 곧 저에게 파괴하는 바가 되느니라.
이런 까닭에 나는 이와 같은 여러 잡되고 어지러운 곳을 꼭 멀리 여의느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악지식을 멀리 여의느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법성의 몸[法性身]을 얻으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평등한 몸을 얻고, 둘째는 청정한 몸을 얻고, 셋째는 다함이 없는 몸을 얻고, 넷째는 쌓아 모은 몸을 얻고, 다섯째는 법신을 얻고, 여섯째는 몹시 깊어서 측량하기 어렵고 계산하여 헤아릴 수 없는 몸을 얻고, 일곱째는 생각할 수 없는 몸을 얻고, 여덟째는 흔들리지 않는 고요한 몸을 얻고, 아홉째는 허공과 같은 몸을 얻고, 열째는 지혜의 몸을 얻음이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여래의 법의 성품의 몸을 얻느니라.”지개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여러 보살들이 어떤 지위 가운데서 여래의 법의 성품의 몸을 증득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초지(初地)의 보살은 평등한 몸을 얻는다. 왜냐하면 온갖 평등치 못한 것을 영영 여의었기 때문에 온갖 보살의 평등한 법의 성품을 깨달아 들어간 까닭이니라. 2지의 보살은 청정한 몸을 얻으니, 계율이 청정한 까닭이니라. 3지의 보살은 다함이 없는 몸을 얻으니, 온갖 화내고 해하는 것을 영영 여읜 까닭이니라.4지의 보살은 잘 쌓아 모은 몸을 얻으니, 부처님 법을 쌓아 모은 까닭이니라. 5지의 보살은 법신을 증득하니, 온갖 법을 능히 통달한 까닭이니라. 6지의 보살은 계산하여 헤아릴 수 없고, 몹시 깊어 측량하기 어려운 몸을 얻으니, 계산하여 셀 수 없고 몹시 깊어 측량하기 어려운 법을 쌓아 모은 까닭이니라. 7지의 보살은 생각할 수 없는 몸을 얻으니, 생각할 수 없는 불법을 쌓아 모았고 그리고 방편선교를 능히 쌓아 모은 까닭이니라. 8지의 보살은 흔들리지 않고 고요한 몸을 얻으니, 온갖 희론과 번뇌를 멀리 여읜 까닭이니라. 9지의 보살은 허공과 같은 몸을 얻으니, 가없는[無邊] 몸이 가득 찬 까닭이니라. 10지의 보살은 지혜의 몸을 증득하니, 온갖 지혜를 쌓아 모은 까닭이니라.”지개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부처님의 법신과 보살의 법신이 어떤 차별이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두 법신이 성품에는 차별이 없으나 공덕과 위력에 차별이 있느니라.”
지개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어떤 것이 성품에는 차별이 없고 차별이 있다고 하십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부처님과 보살의 법의 성품은 차별이 없느니라. 왜냐하면 이 두 가지 몸은 똑같은 성품이기 때문이다. 다만 공덕과 위력이 차별이 없을 뿐이니라.”
지개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부처님과 보살의 공덕과 위력이 마땅히 어떻게 그 차별이 있음을 알겠습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내가 이제 그대를 위하여 비유로 널리 설하여 이 뜻을 밝히리라.
선남자야, 마치 마니구슬[摩尼珠]이 잘 다듬은 것과 아직 다듬지 않은 것이 있다고 하자. 비록 똑같은 보배이지만 벌써 다듬은 것은 광명이 구족하여 사람들이 사랑하고 좋아하지만, 아직 다듬지 않은 것은 가진 광명이 오히려 구족하지 못한 것과 같으니라.선남자야, 여래의 보배구슬과 보살의 보배구슬도 체성은 비록 같으나 그러나 또한 다른 데가 있느니라. 왜냐하면 여래의 보배 구슬은 이미 청정한 때문에 온갖 때를 여의었느니라.
보살의 몸 가운데 있는 법성의 보배구슬은 능히 널리 온갖 세계를 비추지 못한다. 왜냐하면 여분이 더 있기 때문에 오히려 아직 때가 있느니라. 마치 마니구슬로서 아직 다듬지 못한 것과 같으니라. 이런 까닭에 여래의 법신과 보살의 법신은 이렇게 차별이 있느니라.선남자야, 마치 흰 부분[白分]의 달이 초하룻날로부터 보름날에 이르기까지 광명이 차차 비춰 밝아지고 점점 둥글어지니, 비록 같은 달이지만 광명은 같지 않느니라. 보살의 법신과 여래의 법신도 비록 똑같은 성상(性相)이지만 그러나 공덕과 위력은 이와 같이 차별이 있느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금강과 같은 굳건한 몸을 얻으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탐심, 진심, 치심 등에 능히 파괴되지 않고, 둘째는 분함과 화와 시기와 아만, 공고(貢高)와 뒤바뀐 소견으로 능히 파괴되지 않고, 셋째는 세간의 여덟 가지 법에 능히 파괴되지 않고, 넷째는 나쁜 갈래의 고통에 능히 파괴되지 않고,다섯째는 온갖 여러 가지 고통에 능히 파괴되지 않고, 여섯째는 나고 늙고 병듦과 죽음에 능히 파괴되지 않고, 일곱째는 외도의 여러 논(論)으로 해서 능히 파괴되지 않고, 여덟째는 마군과 마군의 무리에게 능히 파괴되지 않고, 아홉째는 성문ㆍ벽지불에 능히 파괴되지 않고, 열째는 여러 욕심의 경계에 능히 파괴되지 않느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금강의 굳건한 몸을 얻느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큰 상주(商主)가 되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평등한 즐거움을 얻고, 둘째는 공양을 응하여 받고, 셋째는 능히 여의고, 넷째는 능히 의지가 되고, 다섯째는 능히 유익한 일을 하고, 여섯째는 노자에 쓸 양식을 능히 잘 모아두고, 일곱째는 좋은 재물보배를 얻고, 여덟째는 마음에 만족함이 없고, 아홉째는 늘 이끄는 스승이 되고, 열째는 선교로 수순하여 모든 지혜의 성에 가느니라.선남자야, 어떻게 하는 것이 보살이 평등한 즐거움을 얻으며, 나아가 어떻게 하는 것이 선교로 수순하여 모든 지혜의 큰 성에 가는 것인가?
선남자야, 비유해 말하자면 상주가 여러 나라 임금과 그 나라 왕자들에게 사랑을 받듯이, 보살도 또한 그와 같이 법의 상주가 되어 모든 부처님과 성문들에게 사랑받는 바가 되느니라.선남자야, 비유해 말하자면 상주가 시골의 바라문과 찰제리들에게 공양을 받듯이, 보살도 또한 그와 같이 법의 상주가 되어 유학(有學)과 무학(無學) 및 나머지 천(天)ㆍ용(龍) 들에게 공양을 받느니라.
선남자야, 비유해 말하자면 마치 상주가 기근이 든 고장의 넓은 들을 지날 때에 여러 상인을 인도하여 그들로 하여금 편안함을 얻게 하고 피곤하고 싫증이 없게 하듯이, 보살도 또한 그렇게 법의 상주가 되어 나고 죽는 넓은 들 가운데를 지나는 데 능히 중생으로 하여금 핍박함을 면하여 여의게 하고 모두 안락함을 얻게 하느니라.선남자야, 비유해 말하자면 마치 상주가 온갖 가난한 고통 속에 있는 중생에게 큰 의지가 되어 그들로 하여금 넓은 들의 기근에서 벗어나게 하듯이, 보살도 또한 그렇게 법의 상주가 되어 능히 외도ㆍ차락가(遮落迦)ㆍ파리바라사가(波離婆羅社迦) 등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데서 벗어나서 그 몸과 목숨을 온전케 하느니라.선남자야, 비유해 말하자면 마치 상주가 왕과 신하와 여러 백성들에게 능히 유익함을 얻게 하듯이, 보살도 또한 그렇게 법의 상주가 되어 나고 죽는데 애착하는 여러 중생들에게 능히 유익되게 하느니라.
선남자야, 비유해 말하자면 마치 상주가 많은 장사하는 사람들을 데리고 여러 지방으로 가는데, 넓은 들과 굶주림의 곳을 지날 적에 많은 양식을 잘 쌓아두었으므로 험난한 고비를 넘어 큰 성에 이르러서는 안락함을 얻게 하듯이, 보살도 또한 이렇게 법의 상주가 되어 복과 지혜의 양식을 잘 쌓아 모아 가지고 중생을 인도하여 나고 죽는 넓은 들 가운데를 벗어나서 여러 부처님의 온갖 지혜의 성에 득달하게 하느니라.선남자야, 비유해 말하자면 마치 상주가 뭇 장사하는 사람을 양육하여 다른 지방에 가서 진귀한 보배, 이른바 금ㆍ은ㆍ마니ㆍ진주ㆍ폐유리(吠琉璃)ㆍ나패(螺貝)ㆍ벽옥(壁玉)ㆍ산호(珊瑚) 등의 보배를 쌓아 모으고자 하듯이, 보살도 또한 그렇게 법의 상주가 되어 중생을 양육하여 온갖 지혜의 큰 성에 가서 불법의 진귀한 보배를 능히 쌓아 모으고자 하느니라.선남자야, 비유해 말하자면 마치 상주가 온갖 재물을 바라여 구하되, 마침내 싫거나 만족함이 없듯이 보살도 또한 그렇게 법의 상주가 되어서 온갖 바른 법의 재물과 보배를 바라여여 구하되 싫거나 만족함이 없느니라.
선남자야, 비유해 말하자면 상주가 모든 상주 가운데서 우두머리가 되어 재물을 쌓아 모아 능히 주인노릇을 하고, 가장 높고 훌륭하기 때문에 능히 여러 상인들로 하여금 말을 믿게 하듯이, 보살도 또한 그와 같이 법의 상주가 되어 온갖 중생 가운데서 가장 높고 훌륭하기 때문에 능히 주인노릇을 하면서 공덕을 쌓아 모아 말이 허망하지 않느니라.선남자야, 비유해 말하자면 마치 상주가 선교방편으로 험한 길을 벗어나 저 큰 성(大成)에 이르게 한 것처럼, 보살도 또한 그와 같이 여러 중생들을 거느리고 나고 죽는 데를 벗어나서 지혜의 성에 이르느니라.
선남자야, 이 이름이 보살이 평등한 즐거움을 얻고 나아가 선교로써 갖가지 지혜의 큰 성에 이르는 것이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능히 길에서 선교하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평등한 길을 능히 알고, 둘째는 평등치 않은 길을 능히 알고, 셋째는 안온한 길을 알고, 넷째는 선교의 길을 능히 알고, 다섯째는 물과 풀이 있는 길을 능히 알고, 여섯째는 여러 방향의 길을 능히 알고, 일곱째는 길의 형상을 능히 알고, 여덟째는 바른 길을 능히 알고, 아홉째는 삿된 길을 능히 알고, 열째는 벗어나갈 길을 능히 아느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곧 능히 길에서 선교하느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뒤바뀌지 않는 도를 얻으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만일 모든 중생들 가운데 마땅히 대승으로써 조복할 수 있는 이들은 그들을 위하여 보살의 도를 설하여 조복하되 성문의 도는 설하지 아니하며, 둘째는 만일 모든 중생들 가운데 마땅히 성문승으로써 조복할 수 있는 이들은 그들을 위하여 성문의 도를 설하여 조복 받고 보살의 도는 설하지 아니하며,셋째는 만일 모든 중생들 가운데 마땅히 온갖 지혜로써 조복할 수 있는 이들에게는 그들을 위하여 온갖 지혜의 도를 설하여 조복 받고 연각의 도는 설하지 않으며, 넷째는 만일 모든 중생들 가운데 마땅히 연각승으로써 조복할 수 있는 이들은 그들을 위하여 연각의 도를 설하고 온갖 지혜의 도를 설하지 않으며, 다섯째는 만일 모든 중생들 가운데 아(我)와 법(法)에 집착한 이들이 있으면 아가 없음과 공한 법으로써 그들을 위해 설하고 나와 중생과 목숨과 양육과 보특가라를 위하여 설하지 않으며,여섯째는 만일 모든 중생들 가운데 이 두 변(邊)에 집착한 이들이 있으면 두 변을 여인 도를 설하고 두 변에 의지하는 도는 설하지 않으며, 일곱째는 만일 모든 중생들 가운데 마음이 산란한 사람이 있으면 그들을 위하여 사마타(奢摩他)와 비발사나(毘鉢舍那)를 설하고 산란한 도는 설하지 않으며, 여덟째는 만일 모든 중생들 이 희론(戱論)에 집착한 사람이 있으면 그들을 위하여 진여를 설하고 어리석은 사람이 희론에 탐착함을 설하지 않으며,아홉째는 만일 모든 중생들 가운데 나고 죽는 데에 탐착한 이들이 있으면 그들을 위하여 열반을 설하고 나고 죽음은 설하지 않으며, 열째는 만일 모든 중생들 가운데 삿된 도에 집착한 사람이 있으면 그들을 위하여 맺힘이 없고 가시가 없는 도를 설하고 번뇌의 가시가 널리 두루한 도는 설하지 않느니라.
선남자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면 곧 능히 뒤바뀌지 않는 도를 성취하느니라.다시 선남자야, 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능히 삼마사다(三摩闍多)의 마음을 잘 행하니, 어떤 것들이 열 가지가 되는가?
첫째는 몸이 생각하는 곳에 잘 행함이요, 둘째는 받음을 생각하는 곳에 잘 행함이요, 셋째는 마음을 생각하는 곳에 잘 행함이요, 넷째는 법을 생각하는 곳에 잘 행함이요, 다섯째는 경계를 생각하는 곳에 잘 행함이요,여섯째는 아란야(阿蘭若:수행처)를 생각하는 곳에서 잘 행함이요, 일곱째는 촌ㆍ읍ㆍ국토와 수도와 마을을 생각하는 곳에서 잘 행함이요, 여덟째는 이익과 존중과 명문(名聞)을 생각하는 곳에서 잘 행함이요, 아홉째는 여래께서 베푸신 학처(學處)를 생각하는 곳에서 잘 행함이요, 열째는 번뇌와 번뇌를 따르는 난잡하고 물드는 것을 생각하는 곳에서 잘 행함이니라.어떻게 하는 것이 보살이 몸의 생각하는 곳을 행함인가?
선남자야, 보살은 바른 반야로써 여러 법이 몸과 함께하는 것을 가려내어 악한 법은 버린다. 그리고 이 몸은 머리로부터 발끝에 이르기까지 나와 나의 것[我我所]이 없고, 그 본성품은 오래 머무르지 아니하여 마침내 마땅히 헐어져 없어지는 것이고, 힘줄과 혈맥이 서로 얽히어서 냄새나고 더러워 깨끗하지 못함을 관찰하느니라. 보살이 관찰할 때에는 이 가운데서 즐겨 욕심내거나 탐착하지 않느니라. 이 뜻으로써 몸 가운데에 있는 여러 가지 악한 법을 오직 보살만이 자재로이 능히 버리고 여러 중생은 못하니, 이것이 몸을 생각하는 곳에서 잘 행함이라 하느니라.어떻게 하는 것이 보살이 받음을 생각하는 곳에서 행하는 것인가?
선남자야, 보살은 이렇게 마음을 먹는다.
‘있는 여러 가지 받음은 모두 다 이 고통 때문이다. 어리석은 사람은 뒤바뀐 소견을 즐거운 것으로 삼지만 모든 지혜 있는 사람이라면 즐거움이 곧 고통인줄 아는구나.’
이런 까닭에 용맹하게 수행하여 고통을 끊고 다른 중생으로 하여금 또한 이렇게 배우게 하느니라.
보살마하살이 받음을 관찰할 때에 마침내 물들어 집착하지도 않고 또한 화내지도 않으니, 이것이 보살이 받음을 생각하는 곳에서 잘 행한다는 것이니라.어떻게 하는 것이 마음을 생각하는 곳에서 행하는 것인가?
선남자야, 보살은 이런 생각을 한다.
‘마음은 실로 무상하건만 집착하여 늘 있는 것으로 알고, 실은 이것이 고통이건만 집착하여 즐거움을 삼는다. 본래 나라는 것이 없건만 집착하여 나를 삼고, 본래부터 깨끗하지 못하건만 집착하여 깨끗한 것을 삼는다. 그 마음이 가볍게 움직여 잠시도 멈춤이 없고, 멈추지 않음으로써 여러 가지 잡스러운 것에 물드는데 이를 근본으로 삼는다.선한 길을 헐어 없애고 나쁜 갈래의 문을 열어 놓아 3독을 기른다. 번뇌를 따르는 것 등과 더불어 그 인연을 지어 주인이 되고 앞잡이가 된다. 또 깨끗하고 깨끗하지 못한 업을 쌓아 모아 빠르게 헤매기를 마치 불을 돌리는 바퀴와 같고, 또 달아나는 말과 같으며, 불이 타는 것 같고, 물이 느는 것 같다. 여러 가지 경계를 마치 세상의 채색 그림과 같이 두루 안다.’보살이 이와 같이 마음을 관찰할 때 곧바로 자재로움을 얻고, 자재를 얻고 나서 여러 가지 법 가운데 또한 걸림이 없으니, 이것이 보살이 마음을 생각하는 곳에서 잘 행한다는 것이니라.
어떻게 하는 것이 보살이 법을 생각하는 곳에서 행하는 것인가?
선남자야, 보살은 여실히 여러 가지 좋지 않은 법과 탐ㆍ진ㆍ치 등과 이것을 의지하여 일어나는 나머지 법을 깨달아 알고, 번뇌를 대치(對治)할 것을 능히 닦아 익혀 여러 가지 악한 법을 모조리 다 영영 끊느니라. 이미 능히 온갖 좋은 법을 깨달아 알고 나서 그 가운데 편안히 머물며 기어코 서원을 발하여 다시 온갖 중생을 능히 편히 머무르게 하며, 이와 같이 배우게 하니 이것이 보살이 법을 생각하는 곳에서 잘 행한다 하는 것이니라.어떻게 하는 것이 보살이 경계를 생각하는 곳에서 잘 행하는 것인가?
선남자야, 보살은 가의(可意)거나 불가의(不可意)거나 빛ㆍ소리ㆍ향기ㆍ맛ㆍ닿음ㆍ법 가운데에 물듦도 없고 집착함도 없으며 또한 화나는 마음도 발하여 일으키지 않느니라.보살은 이렇게 생각한다.
‘나는 마땅히 법 가운데 탐내어 물들지 않으리라. 내가 만일 물든 마음을 내면 이는 곧 어리석은 사람이요, 우치한 성품이다. 성품을 깨닫지 못한 것이요, 좋지 못한 성품이 된다. 부처님의 말씀과 같이 만일 탐애에 물든 바가 되면 바로 완고하고 둔한 것이며, 좋고 좋지 못한 법을 능히 깨닫지 못한 사람이니, 이 인연으로 말미암아 나쁜 갈래에 떨어진다.’보살은 또 이렇게 마음을 먹는다.
‘나는 마땅히 공한 법 가운데서 화를 내지 않으리라. 내가 만일 화를 일으키면 곧 이 화의 얽매임을 능히 참지 못할 것이고, 여러 성인에게 꾸지람을 받을 것이며, 범행(梵行)하는 이들이 싫어하고 그들에게 꾸짖음을 당하리라.’
보살이 경계를 관찰할 때엔 경계에 얽매임이 되지 않고 또한 집착함도 없으며 다시 사람을 교화하여 이와 같이 배우게 하니, 이것이 보살이 경계를 생각하는 곳에서 행하는 것이니라.”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5293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9권 (0) | 2024.12.20 |
---|---|
[적어보자] #5292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8권 (0) | 2024.12.20 |
[적어보자] #5290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6권 (3) | 2024.12.19 |
[적어보자] #5289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5권 (3) | 2024.12.19 |
[적어보자] #5288 불설보우경(佛說寶雨經) 4권 (1) | 2024.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