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Kay's Log16479

적어보다 2025. 1. 31.
적어보다 2025. 1. 31.
적어보다 2025. 1. 31.
적어보다 2025. 1. 31.
[층간소음] #618 층간소음 / 2024. 10. 31.(목) 7시32분 발망치7시42분 발맡치7시51분 물건 쿵쿵, 쿵쿵, 발말치, 발밍치, 발망치, 물건 쿵, 쿵, 쿵쿵, 쿵, 쿵 8시5분까지외출21시20분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물건 쿵쿵, 쿵눙, 발망치, 물건 쿵쿵, 쿵쿵 35분까지21시51분 발망치, 발망치, 물건 끌기, 끼이익, 툴쿵, 쿵쿵쿵, 쿵, 발망치, 22시1분끼지22시15분 발말치, 물건 쿵쿵, 쿵쿵, 발말치, 발망치 33분까지 2025. 1. 31.
[적어보자] #5505 불설십이불명신주교량공덕제장멸죄경(佛說十二佛名神呪挍量功德除障滅罪經) 불설십이불명신주교량공덕제장멸죄경 (佛說十二佛名神呪校量功德除障滅罪經) 수(隋) 천축삼장 사나굴다(闍那崛多) 한역 이상하 번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바가바(婆伽婆)께서 왕사성(王舍城) 기사굴산(耆闍崛山)에 머물면서 대비구의 무리 1,250 명과 보살 대중 1만 2천 명이 함께 계셨으니 이 회상에서 아일다보살(阿逸多菩薩)이 상수(上首)였다. 이 때 세존께서 미륵보살(彌勒菩薩)에게 말씀하셨다. “미륵이여, 이 부처님 나라를 떠나 동방으로 10 개의 이루 말할 수 없는 억백천의 가는 티끌 숫자만큼 많은 부처님 나라가 있고 그 부처님 나라들을 지나면 한 부처님 나라가 있으니, 해탈주세계(解脫主世界)라 이름한다. 그 세계 안에 한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허공공덕청정미진등목단정공덕상광명화파두마유리광보체향.. 2025. 1. 31.
[건강하자] #1391 운동 / 2024. 10. 31.(목) 1. 걷기 3,325보 2025. 1. 31.
[적어보자] #5504 불설십이두타경(佛說十二頭陀經) 불설십이두타경(佛說十二頭陀經) 불설십이두타경(佛說十二頭陀經) 송(宋)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송성수 번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서 8천의 비구승 및 1만 명의 보살과 함께 계셨다. 모두들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 다니며 걸식하였고, 식사를 마치고는 아란야(阿蘭若)의 처소에 이르러 가부좌하고 앉았다.그때 세존께서 환한 얼굴로 미소를 지으니, 장로 마하가섭이 자리에서 일어나 가사를 정돈하고 꿇어앉아 합장하고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예로부터 부처님께서 연유 없이 웃으시는 것을 아직 본 일이 없습니다. 불쌍히 여겨 저희들에게 말씀해 주시기를 원합니다.”부처님께서 가섭에게 말씀하셨다. “아란야의 처소를 보시고 시방세계의 모든 부처님께서 다 찬탄하시.. 2025. 1. 31.
[적어보자] #5503 불설십력경(佛說十力經) 불설십력경(佛說十力經) 불설십력경(佛說十力經) 대당정원신역십지등경기(大唐貞元新譯十地等經記) 새로 번역한 『십지경(十地經)』과 『회향륜경(迴向輪經)』 그리고 『십력경(十力經)』은, 바로 수도[上都]에 있는 장경사(章敬寺) 사문(沙門)이자, 법명이 법계(法界)인 오공(悟空)1)이 계빈국[罽賓]에 사신으로 갔다가 중천축국(中天竺國)에서 얻은 것이다. 대사는 본래 경조(京兆) 운양인(雲陽人)으로, 고향에서는 청룡(靑龍)이라 불렸으며, 고을에서는 의로운 사람으로 이름이 높았다. 속성(俗姓)은 차씨(車氏)이고, 자(字)는 봉조(奉朝)이며, 후위(後魏) 탁발씨[拓拔]2)의 후예이다. 대사는 태어날 때부터 총명하고 영민하였으며, 마음으로 항상 오전과 삼분[典墳]3) 같은 고서를 흠모했다. 또한 집안에서는 부모에게 효도.. 2025. 1. 31.
[뭐먹었어] #1029 아침, 점심, 저녁 / 2024. 10. 31.(목) □ 아침 (집) - 시리얼, 우유□ 아점 간식 (집) - 커피□ 점심 (집) - 밥, 소고기무국, 오리훈제, 반찬□ 점저 간식 (집) - 커피□ 저녁 (집) - 밥, 시금치조개국, 갈치구이, 반찬□ 야식 (집) - 포도 2025. 1. 31.
[적어보자] #5502 불설십길상경(佛說十吉祥經) 불설십길상경(佛說十吉祥經) 불설십길상경(佛說十吉祥經) 실역(失譯) 이진영 번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라열기(羅閱祇) 기사굴산(耆闍崛山)에서 큰 비구들 1,250명과 보살 5천 명을 거느리고 함께 계셨는데, 그 때 부처님은 그 한량없고 셀 수 없는 백천 대중에게 앞뒤로 둘러싸여 설법하셨다. 그 때 대중 가운데 이구개(離垢蓋)라는 대사(大士)가 부처님의 위신(威神)을 이어받아 곧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쪽 무릎을 꿇고는 합장하여 부처님께 아뢰었다. “지금 현재라도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이 불도를 구하기 위하여 모든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의 명호를 듣고서 받아 지니고 읽어 외운다면, 그는 곧 위없는 정진의 도에서 물러서지 않게 될 수 있나이까?” 부처님께서 이구개 대사에게 말.. 2025. 1. 31.
[경제공부] #1129 기관 보고서로 본 에너지(서울시 마곡지구 스마트시티 에너지 통합플랫폼 구축) □ 제목: 서울시 마곡지구 스마트시티 에너지 통합플랫폼 구축 □ 발간처: 한국전력공사 □ 발간일: 2023.01.03 □ 저자: 신진호 □ 내용 ① 도시 에너지 운영 -도시 에너지 통합관리 및 모니터링(전기/열/가스/온실가스 배출량 등) -운영현황 분석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대상 도출 ② 에너지 계획 수립 -탄소배출 절감 계획 도구 제공으로 탄소중립 실현 실효성 제고 -사회경제 데이터 분석, 반영한 장기 에너지 수립 도구 제공 ③ 플랫폼 기반 응용 서비스 제공 -시민활용 서비스 제공 및 플랫폼 수집 데이터 공유 -에너지 소비 효율화 서비스 제공(건물, 주택 등) □ 링크 https://www.alio.go.kr/occasional/researchDtl.do?seq=3095803&type=title&wor.. 2025. 1. 31.
[적어보자] #5501 불설심심대회향경(佛說甚深大廻向經) 불설심심대회향경(佛說甚深大廻向經) 불설심심대회향경(佛說甚深大廻向經) 실역(失譯)1) 송성수 번역 김두재 개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서 큰 비구 대중 8천 명과 함께 계셨다. 그때에 세존께서 대중들에게 앞뒤로 둘러 싸여 그들을 위하여 법을 말씀하고 계셨다.그때 대중 가운데 어떤 보살이 있었는데, 그의 이름은 명천(明天)이었다. 그 보살은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 어깨를 벗어 메고 오른 무릎을 땅에 대고는, 공경하며 합장한 채 부처님에게 아뢰었다.“세존이시여, 여쭈어 보고 싶은 것이 있사옵니다. 바라옵건대 세존께서 분별하여 해설하여 주옵소서.”그때에 부처님께서 명천보살마하살에게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묻고 싶은 것이 있으면 어려워하지 말고 물어보.. 2025. 1. 31.
[층간소음] #617 층간소음 / 2024. 10. 30.(수) 7시24분 발맡치7시38분 발망치, 발망치 41분까지7시58분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8시5분까지외출19시10분 발망치, 발망치, 블망치 5분간20시1분 발망치, 발망치 7분까지21시56분 발망치, 발말치, 물건 쿵, 쿵쿵, 쿵 22시2분까지22시9분 발망치, 발망치, 3분간22시16분 발망치, 빌망치, 발망치 22분까지22시30분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발말치, 발말치, 물건 끼이익, 그르륵, 그르륵, 그르륵, 39분까지22시55분 발망치 2025. 1. 30.
[적어보자] #5500 불설심명경(佛說心明經) 불설심명경(佛說心明經) 불설심명경(佛說心明經) 서진(西晋) 월지국(月氏國) 축법호(竺法護) 한역 최민자 번역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왕사성(王舍城)의 영취산(靈鷲山)에서 5백 비구(比丘)와 사부대중(四部大衆)과 함께 노닐고 계셨다. 부처님께서는 이른 새벽에 가사를 입으신 후 발우를 들고 한 고을에 이르시어 걸식(乞食)을 하셨다. 모든 천인(天人)과 용신(龍神)들도 상시(上侍)를 따라 부처님을 모시며 뒤를 따랐는데 범지(梵志)의 집에 이르러 문 밖에 머물렀다. 부처님께서는 큰 광명(光明)을 내어 시방(十方)을 두루 비추셨다. 이때 범지(梵志)의 부인이 불을 피워 밥을 짓고 있다가 빛이 몸을 비추자 몸이 편안해지며 한량없이 많은 사나운 마음들이 풀어지는 것을 보고 마음속으로 생각하였다. ‘지.. 2025. 1. 30.
[건강하자] #1390 운동 / 2024. 10. 30.(수) 1. 걷기 7,517보 2025. 1. 30.
[적어보자] #5499 불설신해지력경(佛說信解知力經) 불설신해지력경(佛說信解知力經) 불설신해지력경(佛說信解智力經) 서천(西天) 법현(法賢) 한역 송성수 번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의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서 큰 비구[苾芻] 대중과 함께 계셨다. 그때 부처님께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아, 너희들은 모든 신해지력(信解智力)의 법을 알아야 한다. 이 법은 진실의 이치를 증득할 수 있으니, 곧 이것은 여래의 두려워할 것이 없는 법이며, 오직 부처님만 알 수 있는 것이다. 비구들아, 혹은 어떤 성문은 이렇게 말한다. ‘나는 이 신해지력의 법을 사실대로 분명히 알며 정진이 헛되지 않아서 모든 번뇌를 떠났다.’ 또 이렇게 말한다. ‘나는 잘 말할 수 있고, 나는 잘 조복하였다. 나는 설법해야 하니, 지금이야말로 .. 2025. 1. 30.
[적어보자] #5498 불설신일경(佛說申日經) 불설신일경(佛說申日經) 불설신일경(佛說申日經) 서진(西晉) 월지(月氏) 축법호(竺法護) 한역 권영대 번역 이와 같이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왕사성의 영조정산(靈鳥頂山)에서 큰 비구 무리 1,250인과 함께 계셨다. 그때 왕사성에 전라일(旃羅日)이라는 큰 부자 장자가 있었다. 그는 재물이 한량없었고 불법을 공경히 믿었으며, 뭇 스님들에게 공양하였고 정진은 남들이 미치기 어려웠다. 그 장자에게 신일(申日)이라는 아우가 있었다. 그는 불법을 믿지 않고 모든 사술(邪術)을 신봉하여 형이 바른 법을 받드는 것을 보고 늘 화를 내고 미워하였다. 그가 모시는 스승은 불란가섭(不蘭迦葉)이었다.불란가섭 등 5백 인이 신일에게 말하였다. “지금 너의 형만이 우리를 모시지 아니하며 참 도를 알지 못하고 도리어 부처님을.. 2025. 1. 30.
[뭐먹었어] #1028 아침, 점심, 저녁 / 2024. 10. 30.(수) □ 아침 (집) - 시리얼, 우유□ 아점 간식 (밖) - 물□ 점심 (밖) - 김밥, 라뽁이□ 점저 간식 (밖) - 피지오□ 저녁 (집) - 밥, 어묵탕, 대하구이, 반찬□ 야식 (집) - 물 2025. 1. 30.
[적어보자] #5497 불설신불공덕경(佛說信佛功德經) 불설신불공덕경(佛說信佛功德經) 불설신불공덕경(佛說信佛功德經) 서천 역경(譯經)삼장 조봉대부(朝奉大夫) 시광록경(試光祿卿) 명교대사(明敎大師) 신 법현(法賢) 지음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한때에 부처님께서 대중들과 함께 아나가성(阿拏迦城) 암라(菴羅) 동산에 계시었다. 그때 존자 사리불(舍利弗)이 밥 먹을 때가 되어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 아나가성에 들어가서 차례로 밥을 얻어 가지고 자기 처소에 돌아와서 옷을 벗고 발을 씻고 자리를 펴서 밥을 먹은 뒤에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조아려 부처님 발에 절을 하고는 한쪽에 물러서서 합장하고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제가 지금 부처님께 깊이 믿는 마음을 냅니다. 왜냐 하면 부처님의 신통이 매우 훌륭하여 비할 데 없기 때문입니다. 과거ㆍ현재 ㆍ미래의 사문이나 바라문.. 2025. 1. 30.
[경제공부] #1128 기관 보고서로 본 에너지(수소 에너지 분야 교육과정 적합직종 개발 연구) □ 제목: 수소 에너지 분야 교육과정 적합직종 개발 연구 □ 발간처: 학교법인한국폴리텍 □ 발간일: 2022.12.30 □ 저자: 허태욱,송보희 □ 내용 I. 수소 에너지 분야 산업 및 정부 정책 동향 II. 수소 에너지 기술 동향 및 핵심기술 생태계 분석 Ⅲ. 수소 에너지 분야 교육훈련 및 직종 사례 Ⅳ. 직종별 교육훈련 개요 제시 □ 링크 https://www.alio.go.kr/occasional/researchDtl.do?seq=3095046&type=title&word=%EC%97%90%EB%84%88%EC%A7%80&pageNo=4 ALIO :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 ALIO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alio.go.kr 2025. 1.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