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Kay's Log16921

[적어보자] #5718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13권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13권 불설장아함경 제13권후진(後秦) 불타야사(佛陀耶舍)ㆍ축불념(竺佛念) 한역[제3분] ①20. 아마주경(阿摩晝經)1) 제1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 구살라국(俱薩羅國)을 유행하실 때에 큰 비구 대중 1,250명과 함께 이차능가라(伊車能伽羅)의 구살라 바라문 마을에 이르러 그곳에 있는 이차 숲에서 묵으셨다.그때 비가라사라(沸伽羅娑羅)2)라는 바라문이 욱가라(郁伽羅) 마을에 있었는데, 그 마을은 풍요롭고 살기 좋아 백성들이 많았다. 파사닉왕(波斯匿王)은 비가라사라 바라문에게 그 마을을 봉(封)해 주어 범분(梵分)으로 삼았다. 이 바라문은 7대를 내려오는 동안 부모가 바르고 진실해서[眞正] 남의 멸시나 비방을 받지 않았고, 3부(部)의 구전(舊典)3)을 읽고 외워.. 2025. 3. 15.
[뭐먹었어] #1074 아침, 점심, 저녁 / 2024. 12. 15.(일) □ 아침 (집) - 빵, 잼, 버터, 우유□ 아점 간식 (밖) - 물□ 점심 (집) - 김밥, 커피, 김치□ 점저 간식 (집) - 물□ 저녁 (집) - 떡, 과일, 커피□ 야식 (집) - 물 2025. 3. 15.
[적어보자] #5707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12권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12권 불설장아함경 제12권후진(後秦) 불타야사(佛陀耶舍)ㆍ축불념(竺佛念) 한역[제2분] ⑦17. 청정경(淸淨經) 제13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 가유라위국(迦維羅衛國:가비라국) 면기(緬祇)1)에 있는 우바새의 동산에서 큰 비구 대중 1,250명과 함께 계셨다.그때 사미(沙彌) 주나(周那)2)는 파파(波波)3)국에서 여름 안거(安居)를 마친 뒤, 가사와 발우를 가지고 가유라위국 면기에 있는 동산의 아난이 있는 곳으로 가서 머리로 그 발에 예배하고 한쪽에 서서 아난에게 말하였다.“저 파파성 안에 살던 니건자(尼乾子)가 죽은 지 얼마 되지도 않아, 그 제자들이 두 파로 갈라져 서로 다투고 있습니다. 서로 맞대고 헐뜯고 욕하면서 상하가 따로 없이 서로 상대방의 허물을.. 2025. 3. 15.
[적어보자] #5716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11권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11권  불설장아함경 제11권후진(後秦) 불타야사(佛陀耶舍)ㆍ축불념(竺佛念) 한역[제2분] ⑥15. 아누이경(阿㝹夷經) 제11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명녕국(冥寧國)1) 아누이(阿㝹夷)2) 땅에서 큰 비구 대중 1,250명과 함께 계셨다.그때 세존께서는 옷을 입고 발우를 들고 아누이성으로 들어가 밥을 구걸하시면서 가만히 혼자 생각하셨다.‘내가 지금 밥을 구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이르니, 지금 잠깐 방가바(房伽婆) 범지(梵志)의 동산으로 가자. 거기서 때를 기다렸다가 밥을 구걸해야겠다.’이런 생각을 하신 세존께서는 곧 그 동산으로 나아가셨다. 이때 그 범지가 멀리서 부처님께서 오시는 것을 보고 곧 일어나 맞이하고 서로 문안한 다음 여쭈었다.“잘 오셨습니다. 구담.. 2025. 3. 15.
[경제공부] #1172 기관 보고서로 본 유치(코로나19 등 환경 변화에 대응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지원 방안 연구) □ 제목: 코로나19 등 환경 변화에 대응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지원 방안 연구 □ 발간처: 한국연구재단 □ 발간일: 2022.02.08 □ 저자: 윤명숙 □ 내용 [ 목 차 ] Ⅰ. 연구 계획 Ⅱ. 3주기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 개편방향 Ⅲ.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관리지원 방안 Ⅳ. 외국인 유학생 진로 및 취업관련 실태조사 Ⅴ.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부록 □ 링크 https://www.alio.go.kr/occasional/outResearchDtl.do?seq=2979884&type=title&word=%EC%9C%A0%EC%B9%98&pageNo=1 ALIO :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 ALIO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alio.go.kr 2025. 3. 15.
[층간소음] #662 층간소음 / 2024. 12. 14.(토) 외출18시11분 밯망치, 발망치, 발망치, 발말치, 발망치, 발망치 24분까지20시52분 발망치, 물건 킁, 쿵, 쿵쿵, 쿵 21시 1분까디21시43분 청소한다 바퀴소리+발말치+물건 쿵쿵, 57분까지 [층간소음] #663 층간소음 / 2024. 12. 15.(일) 9시5분 발망치외출13시14분 발망치, 발망치, 물건 쿵, 쿵, 쿵쿵, 쿵쿵, 쿵, 발망치, 발망치, 언제까지 쿵쿵하는거지, 48분까지20시14분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믈건 쿵쿵, 쿵, 발망치, 물건 쿵, 쿵, 쿵쿵, 쿵, 쿵, 쿵, 목소리 웅성웅성 웅성웅성, 웅성웅성, 발망치, 2025. 3. 14.
[적어보자] #5715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10권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10권 불설장아함경 제10권후진(後秦) 불타야사(佛陀耶舍)ㆍ축불념(竺佛念) 한역[제2분] ⑤12. 삼취경(三聚經) 제8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서 큰 비구 대중 1,250명과 함께 계셨다.그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나는 너희들과 함께 있는 자리에서 미묘한 법을 연설할 것이니, 의미가 청정하고 범행을 구족하고 있으므로 그것을 3취법(聚法)이라고 한다. 너희들은 잘 듣고 깊이 생각하여 기억하도록 하라. 이제 너희들을 위하여 설명할 것이다.”모든 비구들은 가르침을 받고 경청하였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세 가지 법취(法聚)1)의 세계란, 하나의 법은 악한 세계로 나아가는 것이며, 다른 하나의 법은 선한 세계로 나아가는 것이며, 또.. 2025. 3. 14.
[건강하자] #1435 운동 / 2024. 12. 14.(토) 1. 걷기 5,970보 2025. 3. 14.
[적어보자] #5714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9권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9권 불설장아함경 제9권후진(後秦) 불타야사(佛陀耶舍)ㆍ축불념(竺佛念) 한역[제2분] ④10. 십상경(十上經)1) 제6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앙가국(鴦伽國)을 유행하시면서 큰 비구 대중 1,250명과 함께 계셨다.첨파(瞻婆)성으로 나아가 가가(伽伽)못 가에 머무셨다.보름날 달이 가득 찼을 때, 세존께서 맨 땅에 앉으시고 대중들에게 둘러싸인 채 밤새도록 설법하셨다. 부처님께서 사리불(舍利弗)에게 말씀하셨다.“지금 사방에서 많은 비구들이 모여들어 저마다 정근하면서 잠자지 않고 설법을 듣고자 한다. 그러나 나는 등병을 앓아 조금 쉬고 싶으니, 너는 이제 모든 비구들을 위해 설법하라.”사리불은 부처님의 분부를 받들었다. 그때 세존께서는 곧 승가리(僧伽梨)를 네 겹.. 2025. 3. 14.
[적어보자] #5713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8권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8권 불설장아함경 제8권후진(後秦) 불타야사(佛陀耶舍)ㆍ축불념(竺佛念) 한역[제2분] ③8. 산타나경(散陀那經)1) 제4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 라열기성(羅閱祇城) 비하라산(毗訶羅山)의 칠엽수굴(七葉樹窟)에서 큰 비구 대중 1,250명과 함께 계셨다.그때 왕사성에 어떤 거사(居士)가 있었는데 이름을 산타나(散陀那)라고 했다. 그는 구경 다니기를 좋아해서 날마다 성을 나와 세존이 계시는 곳으로 왔다. 그때 그 거사는 해를 우러러보며 혼자 가만히 생각했다.‘지금은 가서 부처님을 뵙기에 좋은 때가 아니다. 지금 세존께서는 틀림없이 조용한 방에서 삼매에 들어 계실 것이고, 모든 비구 대중들도 또한 참선하고 있을 것이다. 나는 이제 차라리 저 오잠바리(烏暫婆利:優曇婆羅.. 2025. 3. 14.
[뭐먹었어] #1073 아침, 점심, 저녁 / 2024. 12. 14.(토) □ 아침 (집) - 김밥□ 아점 간식 (집) - 커피□ 점심 (집) - 라면, 김밥□ 점저 간식 (집) - 탄산□ 저녁 (집) - 간장계란밥□ 야식 (집) - 물 2025. 3. 14.
[적어보자] #5712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7권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7권 불설장아함경 제7권후진(後秦) 불타야사(佛陀耶舍)ㆍ축불념(竺佛念) 한역[제2분] ②7. 폐숙경(弊宿經)1) 제3그때 동녀(童女) 가섭(迦葉)은 500비구와 함께 구살라국(拘薩羅國)을 유행(遊行)하다가 점차로 사파혜(斯波醯) 바라문촌에 이르렀다. 그리고 사파혜촌의 북쪽에 있는 시사바숲[尸舍婆林]에 머물렀다. 그때 폐숙(弊宿)이라는 바라문이 사파혜촌에 머물고 있었는데, 이 마을은 풍요롭고 살기 좋아 백성들이 많이 살았으며 수목도 무성했다. 바사닉왕(波斯匿王)은 따로 이 마을을 떼어 바라문 폐숙에게 주어 범분(梵分)2)으로 만들었다. 폐숙 바라문은 항상 이견(異見)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말했다.“다른 세상이란 없는 것이며, 또 다시 태어난다는 것[生]도 없는 것이며 선악의 과보도.. 2025. 3. 14.
[경제공부] #1171 기관 보고서로 본 유치(환경산업연구단지 투자유치 역량강화 컨설팅) □ 제목: 환경산업연구단지 투자유치 역량강화 컨설팅 □ 발간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발간일: 2021.12.16 □ 저자: 박재현 □ 내용 환경산업연구단지 입주기업 투자유치 역량평가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문의사항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입주기업지원실 최대철 전임연구원(032-540-2225) □ 링크 https://www.alio.go.kr/occasional/outResearchDtl.do?seq=2962712&type=title&word=%EC%9C%A0%EC%B9%98&pageNo=1 ALIO :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 ALIO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alio.go.kr https://www.keiti.re.kr:8445/site/keiti/ex/board/View.do?cb.. 2025. 3. 14.
[적어보자] #5711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6권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6권 불설장아함경 제6권후진(後秦) 불타야사(佛陀耶舍)ㆍ축불념(竺佛念) 한역[제2분] ①5. 소연경(小緣經)1) 제1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 청신원림(淸信園林) 녹모강당(鹿母講堂)에서 큰 비구 대중 1,250명과 함께 계셨다.그때 견고한 신심을 가지고 부처님께 나아가 출가하여 도를 닦은 두 바라문이 있었으니, 한 사람은 바실타(婆悉吒)이고, 또 다른 한 사람은 바라타(婆羅堕)였다. 그때 세존께서는 고요한 방에서 나와 강당 안을 거닐며 경행(經行)하고 계셨다. 바실타가 부처님께서 경행하시는 것을 보고 재빨리 바라타에게 가서 말했다.“그대는 아는가? 여래께서 지금 조용한 방에서 나와 강당 안을 경행하고 계신다. 우리들이 함께 세존의 처소를 찾아가면.. 2025. 3. 14.
[층간소음] #661 층간소음 / 2024. 12. 13.(금) 7시 1분 발망치7시9분 발망치, 발망치 2분간7시14분 발망치7시19분 발망치7시27분 발맡치외출18시57분 집에 들어오자마자 물건 끌기, 끌기, 끼이익, 끼익, 쿵, 쿵, 쿵, 쿵, 쿵, 발망치, 발망치, 발망치, 믈건 쿵, 쿵, 쿨쿵 19시18분까지22시19분 물건 쾅쾅, 쾅, 쿵쿵쿹, 쿹쿹쿵쿹, 두두두두, 쿹쿹 34분까지 2025. 3. 13.
[적어보자] #5710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5권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5권 불설장아함경 제5권후진(後秦) 불타야사(佛陀耶舍)ㆍ축불념(竺佛念) 한역[제1분] ⑤3. 전존경(典尊經)1) 제3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라열기(羅閱祇:왕사성) 기사굴산에서 큰 비구 대중 1,250명과 함께 계셨다.그때 풍악을 담당한 천신[執樂天] 반차익자(般遮翼子)2)가 사람들이 없는 고요한 밤에 큰 광명을 놓아 기사굴산을 비추면서 부처님께 와서 머리 조아려 부처님 발에 예배하고 한쪽에 서 있었다. 반차익이 세존께 여쭈었다.“어제 범천왕이 도리천에 와서 제석(帝釋)과 함께 이야기했습니다. 제가 그들에게서 직접 들은 것을 이제 여기에서 세존께 말씀드려도 되겠습니까?”그러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네가 말하고 싶으면 어서 말하라.”반차익이 말했다.“한때 도.. 2025. 3. 13.
[건강하자] #1434 운동 / 2024. 12. 13.(금) 1. 걷기 9,401보 2025. 3. 13.
[적어보자] #5709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4권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4권 불설장아함경 제4권후진(後秦) 불타야사(佛陀耶舍)ㆍ축불념(竺佛念) 한역[제1분] ④2. 유행경 제3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그때 선견왕은 생각하였다.‘나는 원래 어떤 공덕을 쌓고 어떤 착한 근본[善本]을 닦았기에, 지금 이렇게 높고 큰 과보(果報)를 얻게 되었을까?’또 스스로 생각했다.‘세 가지 인연이 이러한 복의 과보를 가지고 왔다. 어떤 것이 세 가지인가? 첫 번째는 보시(布施)이며, 두 번째는 지계(持戒)이며, 세 번째는 선사(禪思)이다. 이런 인연으로 지금 이렇게 큰 과보를 얻었다.’왕은 또 스스로 생각했다.‘나는 이제 이미 인간 세계의 복된 과보를 받았으니, 더 나아가 하늘의 복을 받을 업(業)을 닦아야 하겠다. 스스로 자기를 억누르고, 시끄럽고 번잡한 것.. 2025. 3. 13.
[적어보자] #5708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3권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3권 불설장아함경 제3권후진(後秦) 불타야사(佛陀耶舍)ㆍ축불념(竺佛念) 한역[제1분] ③2. 유행경 제2 중(中)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세상에는 여덟 가지 무리[衆]가 있다. 무엇을 여덟 가지라고 하는가? 첫째는 찰리중(刹利衆), 둘째는 바라문중(婆羅門衆), 셋째는 거사중(居士衆), 넷째는 사문중(沙門衆), 다섯째는 사천왕중(四天王衆), 여섯째는 도리천중(忉利天衆), 일곱 번째는 악마중[魔衆], 여덟째는 범천중(梵天衆)이다. 나는 기억하고 있다. 옛날에 내가 찰리중과 왕래하며 함께 앉아 있기도 하고 일어나기도 하며 이야기를 나눈 일들은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다. 나는 정진한 선정[定]의 힘으로 모든 것을 마음대로 잘 나타내었다. 그리하여 그들에게 좋은 빛깔이 있으면 .. 2025. 3. 13.
[뭐먹었어] #1072 아침, 점심, 저녁 / 2024. 12. 13.(금) □ 아침 (집) - 누룽지□ 아점 간식 (집) - 커피□ 점심 (밖) - 붕어빵□ 점저 간식 (밖) - 탄산□ 저녁 (집) - 토마토파스타□ 야식 (집) - 탄산 2025. 3. 13.
[적어보자] #5707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2권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 2권 불설장아함경 제2권후진(後秦) 불타야사(佛陀耶舍)ㆍ축불념(竺佛念) 한역[제1분] ②2. 유행경(遊行經)1) 제2초(初)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 나열성(羅悅城:王舍城) 기사굴산(耆闍崛山:靈鷲山)에서 큰 비구 대중 1,250명과 함께 계셨다.그때 마갈국(摩竭國)의 왕 아사세(阿闍世)가 발지국(跋祇國)을 치려고 했다. 왕은 혼자 마음속으로 ‘비록 저 나라 사람이 용맹스럽고 씩씩하며 사람이 많고 강하다 하더라도 내가 저 나라를 취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때 아사세왕은 바라문 대신인 우사(禹舍)2)에게 명령했다.“너는 기사굴산에 계시는 세존께 나아가 내 이름으로 세존의 발에 예배한 뒤 ‘기거(起居)는 가볍고 편안하시며 다니시기에도 힘이 넘치십니.. 2025. 3.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