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제덕복전경(佛說諸德福田經)
불설제덕복전경(佛說諸德福田經)
서진(西晋) 법립(法立)ㆍ법거(法炬) 공역(共譯)
김성구 번역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계실 때에 큰 비구 1,250인과 보살 1만 인과 한량없는 대중에게 둘러싸여 설법하셨다.
그때 천제석(天帝釋)과 모든 욕계(欲界)의 천자(天子) 3만 2천이 각각 거느린 헤아릴 수 없는 무리와 함께 부처님 처소에 와서 머리를 조아려 땅에 절하고 모두 한쪽에 앉았다.
그때 천제(天帝)가 대중이 다 앉은 것을 살피고, 부처님의 신령스런 뜻을 받들어 자리에서 일어나 옷깃을 여미고 장궤(長跪)하고 합장[叉手]하여 부처님께 여쭈었다.
“물을 것이 있으니, 바라건대 자세히 일러 주셔서 세간의 법칙[軌則]을 드리워 주십시오.”
부처님께서 천제에게 말씀하셨다.
“비유컨대 어두운 방에서 등불을 구하지 않으면 어찌 보이는 것이 있겠는가. 잘 물으라. 내가 너를 위하여 말하리라.”
천제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사람이 덕을 심는 것은 드러난 복을 구하고자 함이나, 어찌 좋은 밭인들 과보가 한량이 없어 터럭만한 덕의 근본[德本]을 심고 한량없는 복을 얻을 수 있겠습니까. 바라건대 천존(天尊:부처님)이시여, 은혜로운 가르침을 내려 주셔서 이 어리석고 몽매한 이들의 복의 과보[福報]가 한량없게 하여 주십시오.”
천존께서 찬탄하셨다.
“시원하구나, 천제여. 그대가 물은 법은 가장 높구나. 자세히 듣고 잘 생각하여라. 내가 갖추어 연설하여 너로 하여금 기쁘게 하리라.”
천제와 대중이 분부를 받아 잘 들었다.
부처님께서 천제에게 말씀하셨다.
“스님들에는 다섯 가지 맑은 덕이 있으니, 복전(福田)이라고 한다. 이들에게 공양하면 복을 얻고 나아가서는 부처를 이룰 수 있다. 무엇을 다섯 가지라 하는가? 첫째는 발심(發心)하여 속세를 떠나 마음에 도를 놓치지 않은 까닭이요, 둘째는 그 몸의 아름다움을 무너뜨리고 법복(法服)을 입은 까닭이요, 셋째는 친하고 사랑하는 이를 영원히 여의고도 불평이 없는 까닭이요, 넷째는
몸과 목숨을 버리면서 착한 일들을 따르기 때문이요, 다섯째는, 뜻에 대승(大乘)을 구하여 사람들을 제도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 다섯 가지 덕으로써 복전이라 하니, 어질고 아름다우며 일찍 죽지 않는다. 이들에게 공양하여 복을 얻는 일은 비유하기가 어렵다.”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겉모양 깨뜨려 뜻에 절개 지키며
애욕을 다 버려 친한 바 없어졌네.
출가하여 성현의 도[聖賢道] 널리 펴
일체 인간 제도하기 소원이라네.
다섯 가지 맑은 덕 세상일 뛰어넘어
가장 좋은 복밭이라 이른다오.
공양하면 영원한 평안 얻으니
그 복이 제일이며 존귀하다네.
부처님께서 천제에게 말씀하셨다.
“또 일곱 가지 법이 있는데, 널리 베푸는 것을 복전이라 부르니, 행자(行者)는 복을 얻어 범천에 태어날 것이다. 무엇을 일곱 가지라 하는가? 첫째는 부도[佛圖]나 승방(僧房)이나 당(堂)과 각(閣)을 짓는 일이요, 둘째는 과일 밭이나 목욕하는 연못이나 나무숲으로 시원하게 하는 일이요, 셋째는 항상 의약을 베풀어 병자들을 고쳐주는 일이요, 넷째는 튼튼한 배를 만들어 인민들을 건네는 일이요, 다섯째는 교량을 안전하게 가설하여 어린이와 약한 이가 건너게 하는 일이요, 여섯째는 길가에 우물을 파서 목마른 이가 마실 수 있게 하는 일이요, 일곱째는 뒷간을 지어 대소변 볼 곳을 보시하는 일이다. 이것이 일곱 가지 일로 범천의 복을 얻는 것이다.”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탑을 모으고 정사(精舍)를 세우며
과일 밭으로 시원함을 베풀라.
병든 사람은 의약으로 고쳐 주고
다리 놓고 배를 띄워 인민을 건네라.
넓은 길엔 좋은 우물 파
목마른 이 목을 쉬게 하면
나는 곳마다 감로수를 먹고
병 없이 언제나 안녕하리라.
뒷간 지어 청정을 베푸니
더러움 제거되고 경열(輕悅) 얻었네.
후에는 변리(便利)의 걱정 없을 터
더러운 꼴 보려야 볼 수 없으리.
비유컨대 다섯 강물이
밤낮으로 쉬지 않나니
이 공덕도 그러하여서
마침내 범천에 오르리.
그때 그 모임에 청총(聽聰)이라 하는 한 비구가 있었는데, 법을 듣고 기뻐하여 곧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께 절하고는 장궤하고 합장하여
여쭈었다.
“부처님의 참된 말씀이 넓고 부드럽기 한량없습니다. 제가 숙명(宿命)을 생각하니, 헤아릴 수 없는 오랜 세상에 바라나국(波羅奈國)에 태어나서 장자의 아들이 되었습니다. 곧 길가에 작은 정사(精舍)를 짓고 평상과 와구(臥具)와 마실 것과 양식으로 스님들께 공급하였으며, 길을 가다 지친 이도 쉬어 갈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러한 공덕으로 말미암아 목숨을 마친 뒤에는 천상에 태어나 하늘의 제석이 되었으며, 내려와 세간에 태어나서는 전륜왕이 되었으니, 각각 서른여섯 차례를 되풀이하면서 인천(人天)을 거느렸습니다. 발밑에 털이 나서 허공을 밟고 다녔고, 91겁을 식복(食福)이 저절로 이루어졌었는데, 이제 세존께서 중생을 돌아보고 왕림하시어 저의 어리석음[愚濁] 제거하시고, 맑은 지혜로써 안정하게 하여 주심을 만나 생사의 싹이 말라 진인(眞人)이라 불리니, 복의 과보가 참됨이 그러합니다.”
청총은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생각건대 지난 세상에
공양한 것은 보잘 것 없지만
여러 겁을 지나면서 복 받았고
남은 복으로 천사(天師)되었네.
맑은 지혜로 생사 끊으니
치애(癡愛)의 정 남김 없네.
불은(佛恩)이 흘러 다함없으니
그러므로 거듭 귀의합니다.
그때 청총이 절하고 돌아와 앉으니, 파구로(波拘盧)라고 하는 또 한 비구가 자리에서 일어나 옷깃을 다듬고 절하고는 장궤하고 합장하여 세존께 여쭈었다.
“제가 숙명을 생각하니, 구이나갈국(拘夷那竭國)에 태어났을 때에 장자의 아들이었습니다. 그때 세상에는 부처님이 없으시고 스님들이 교화하셨습니다. 큰 법회에서 설법하실 때에 제가 가서 법을 들었고, 법을 듣고는 몹시 기뻐서 아리륵(阿梨勒)이라는 약과(藥果) 하나를 갖다 스님에게 바쳤더니, 이 과보로 목숨을 마친 뒤 하늘에 났으며, 내려와 세간에 날 때에는 항상 존귀하게 되었고, 단정하고 출중함이 무리에 뛰어났습니다. 91겁 동안 한 번도 병이 없었으며, 남은 복으로 부처님을 만나니, 광명으로 어리석음을 인도하시고, 저에게 법약(法藥)을 주시어 응진(應眞)을 얻게 하셨습니다.
힘은 능히 산을 옮기며, 슬기는 능히 악을 소멸하니, 거룩하여라, 복의 과보여. 참된 진리라 하겠습니다.”
그때 파구로가 게송으로 말하였다.
자비로써 마른 초목 윤택하게 하시고
드높은 덕훈(德勳) 괴로움을 건지네.
과일 한 개 베푼 착한 근본이
복을 받고 아직도 남아 있다오.
부처님이 드리우신 참된 진리의 뜻
가르침 입어 구렁을 벗어나고
성현들의 도우심 끝이 없나니
뛰어난 복전에 머리 조아립니다.
이에 파구로가 절하고 앉으니, 수타야(須陀耶)라고 하는 또 한 비구가 자리에서 일어나 옷깃을 여미고 절하고는 장궤하고 합장하여 세존께 여쭈었다.
“제가 스스로 생각하니 지난 세상에 유야리(維耶離) 나라에 태어났을 때에 가난한 집의 아들이었습니다. 그 세상에는 부처님이 안 계시고 스님들이 교화를 하셨는데, 제가 그때 우유를 가지고 저자에 들어가 팔려고 하다가 많은 스님들이 큰 법회를 열어 법을 강의하는 것을 만났습니다. 지나는 길에 서서 들으니 법의 말씀이 미묘하였습니다. 이를 듣고 너무 기뻐 곧 병 채로 우유를 스님들께 보시하였더니 스님들이 축원하시기에 뛸 듯이 기뻤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복을 받아 수명을 마치고는 천상에 났으며, 내려와 세간에 태어나서는 재물과 부귀가 한량이 없었습니다. 91겁 동안 호사와 존귀와 영화를 누리다가 마지막 남은 허물로 세간에 태어났습니다. 어머니께서 임신하신 지 몇 달 만에 병을 얻어 목숨을 마치자, 어머니가 무덤에 묻혔는데, 달이 차자 곧 나와서 무덤 속에서 7년 동안 죽은 어머니의 젖을 마시며, 스스로 살아왔습니다. 적은 복으로 부처님께서 밝은 법을 열고 밝히심을 만나 생사를 초월하여 응진(應眞)을 얻었으니, 진실하여라, 죄와 복이여. 진실로 부처님의 말씀과 같습니다.”
그때 수타야가 게송으로 여쭈었다.
지난날 가난한 집 자식 되어
소젖을 팔면서 살아가다가
뛸 듯이 기뻐하며 아주 조금 보시하고
세 가지 괴로움을 여의게 되었네.
비록 죄 때문에 무덤 속에서 태어나
젖 먹으면서 7년 동안 살았지만
인연이 두터워서 해탈 얻으니
성스러운 복밭에 머리 조아립니다.
이때 수타야가 절하고 앉으니,
아난(阿難)이라고 하는 또 한 비구가 곧 자리에서 일어나 옷깃을 바로 하고 장궤하고 합장하여 세존께 여쭈었다.
“제가 숙명을 생각하니 나열기(羅閱祇) 나라에 태어났을 때에 서민의 아들이었습니다. 몸에 나쁜 종기가 나서 치료하여도 낫지 않더니, 어떤 친구 되는 도인(道人)이 와서 제게 말하기를 ‘마땅히 스님들을 목욕하게 하고 그 물을 갖다가 종기를 씻으면 곧 나을 것이며, 또 복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기에, 제가 기뻐서 절에 이르러 지극히 공경스러운 마음으로 새로 우물을 파고, 향유(香油)와 목욕하는 기구를 장만하여 스님들을 목욕하게 하고, 그 물로써 종기를 씻었더니 이내 나았습니다. 이 인연으로 하여 나는 곳마다 몸매가 단정하고, 금빛이 찬란하며, 티끌과 때[垢]를 받지 않았습니다. 91겁 동안 항상 맑은 복을 얻었으며, 스님들의 도움이 오래도록 넓어져서 다시 부처님을 만나 마음의 때가 없어지고, 응진을 얻었습니다.”
아난이 부처님 앞에서 다시 게송으로 여쭈었다.
성스런 무리는 좋은 의사이시니
고뇌(苦惱)와 근심 구제하셨네.
목욕하도록 청정함 베풀었더니
종기가 나아져 평안 얻었네.
나는 곳마다 단정한 몸매
수승한 순금 빛 얼굴
덕의 혜택이 가없으니
선량한 복전에 머리 조아립니다.
아난이 절하고 도로 앉으니, 내녀(奈女)라고 하는 또 한 비구니가 곧 자리에서 일어나 옷을 바로하고 장궤하고 합장하여 세존께 여쭈었다.
“제가 생각하니, 지난 세상에 바라나국(波羅奈國)에 태어났을 때에 가난한 여인이었는데, 그 세상에는 가섭이라는 부처님이 계셨습니다. 그때 대중에게 둘러싸여 설법을 하셨는데, 제가 그때 자리에 있으면서 경을 듣고 기뻐서 보시하고자 하였으나, 돌아보니 가진 것이 없어서 스스로의 가난과 천함을 생각하고 마음이 슬펐습니다. 그래서 다른 이의 밭에 가서 과일 열매를 구걸하여 부처님께 공양드리고자 하였습니다. 그때 능금 하나를 얻었는데 크고 향기로웠습니다. 한 그릇의 물과 한 개의 능금을 받들고 가섭불과 스님들께 올렸는데, 부처님께서 지극한 뜻을 아시고
축원하며 받으시고는 물과 능금을 나누어 베푸시니, 일체에 두루 하였습니다.
이러한 복을 연(緣)하여 목숨이 다하고 천상에 나서 천후(天后)가 되었고, 내려와 세간에 태어날 때에는 태[胎] 속을 통하지 않았습니다. 91겁 동안 능금 꽃 속에 태어나서 단정하고 곱고 맑았으며, 항상 숙명(宿命)을 알았는데, 이제는 부처님을 만나 도의 눈을 열었습니다.”
그때 내녀가 게송으로 여쭈었다.
삼존(三尊)의 자비 윤택함 두루 하고
지혜로 제도함에 남녀가 없네.
물과 과일 보시하고 얻은 큰 과보로
뭇 괴로움을 여의었네.
세상에 있을 적엔 꽃 속에 나고
올라가선 천상의 부인이 되었기에
스스로 성현들께 귀의하니
그 복전 가장 깊고 두텁도다.
비구니 내녀가 절하고 앉으니, 다시 천제(天帝)가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께 절하고 여쭈었다.
“제가 지난 세상에 구류(拘留)라는 큰 나라에 태어나서 장자의 아들이 되었습니다. 푸른 옷을 입고 포행(抱行)하여 성에 들어가 구경하고 놀다가 스님들이 거리에 탁발[分衛]하는 것을 만났습니다. 이때 인민들이 보시하는 이가 매우 많은 것을 보고 스스로 생각하되 ‘재물과 보배를 얻어 스님들께 보시하면 그 아니 상쾌하겠는가’ 하고는, 곧 구슬과 영락을 풀어 스님들께 보시하고 한마음으로 축원하고 기뻐하며 돌아갔습니다. 이 인연으로 하여 목숨을 마치고 곧 도리천에 태어나서 천제가 되었고, 91겁 동안에 영원히 8난(難)을 떠났습니다.”
이때 천제가 게송으로 여쭈었다.
덕이 높아서 넘어설 이 없으며
복을 열어서 재화의 근원을 막으니
성현들의 부사의한 선정의 힘은
어린이들도 기쁨을 내게 하네.
무리를 본받아 기쁜 뜻 베푸니
목숨을 마치고는[遷神] 둘째 하늘 맡았네.
스스로 세상에서 가장 후덕한 이에 귀의하니
세세생생 높은 이 받들기 소원이라오.
부처님께서 천제와 모든 대중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말하는 숙명이 행한 것을 들으라. 지난날 나의 전세에 바라내국에서 큰 길가에 뒷간을 두어 보시하였더니, 나라 안의 인민으로서 경안(輕安)1)을 얻은 이는
의로움[義]을 느끼지 않은 이가 없었다. 이 공덕을 연하여 나는 곳마다 정결하였고, 여러 겁에 도를 수행하여도 더러운 것이 물들지 않았으며, 공과 복을 크게 갖추어 스스로 성불하는 데 이르렀다. 금빛 몸은 빛나고 티끌과 물이 붙지 않았으며, 밥은 스스로 소화되어 대소변의 근심이 없었다.”
이때 세존께서 게송으로써 말씀하셨다.
더러움을 참고 복되는 일 닦으니
나[我]와 남[人]이 더럽히지 못하고
뒷간 지어 편리함을 베푸니
번거롭다가 경안 얻었네.
이 공덕은 잘난 체함[貢高] 제거하고
이로 인해 생사의 연(緣)을 알게 하네.
나아가서는 성불하는 길에 오르니
비고 맑아서 높고 높은[巍巍] 분이라.
부처님께서 천제에게 말씀하셨다.
“96종의 도(道)에서 불도(佛道)가 가장 높고, 96종의 법에서 불법이 가장 참되며, 96종의 승(僧)에서 불승(佛僧)이 가장 바르니, 무슨 까닭인가? 여래는 아승기겁(阿僧祇劫)으로 부터 참된 말로 발원하시고, 목숨을 마치도록 덕을 쌓아서 중생을 위하려 맹세하시고, 나라ㆍ재물ㆍ처자ㆍ머리ㆍ눈ㆍ피ㆍ살점으로써 보시하여도 아끼거나 사랑하는 마음이 없었다.
마음이 허공과 같아 덮지 않는 곳이 없으며, 6도(度)와 4등(等)과 여러 가지의 선(善)을 널리 갖추어 덕과 지혜가 원만해져서 부처를 이루었다. 몸은 자금(紫金) 빛이요, 상호는 견줄 이 없으며, 과거ㆍ미래ㆍ현재에 비추어 닿지 않음이 없고, 3계(界)의 존귀한 하늘로서도 미칠 수 있는 이가 없어 말은 미덥고 덕은 무거워 천지를 진동한다. 어떤 중생이 한 번 공경하는 마음을 내어 여래께 향하는 이는 대천세계(大千世界)의 진보를 얻은 것보다 수승하리라.
37품(品)과 12부경(部經)을 말씀하셔서 죄와 복을 분별하시니, 말씀은 모두 지극히 정성스럽다. 3승(乘)의 교법을 열어 각각 받들어 행하게 하시니, 듣는 이는 기뻐하여 사문이 되기를 즐겨하고, 부처를 믿고 법을 행하여 뜻은 맑고 고결한 것을 숭상한다. 스님들 가운데에는 사쌍팔배(四雙八輩)와 12현자(賢者)가 있어 세간의 탐심과 다툼을 버리고 세상을 인도하여 복을 여니, 하늘과 인간의 통로이며 스님들이 이를 말미암는다. 이것이 가장 존중하여
위없는 도이니, 모든 부처님ㆍ보살(菩薩)ㆍ연각(緣覺)ㆍ응진(應眞)이 모두 이 가운데에서 나와서 일체를 교화하고 군생(群生:중생)을 제도한다.”
부처님께서 이것을 말씀하실 때에 천제석들이 모두 위없고 바르고 참된 도의 뜻을 내었으며, 헤아릴 수 없는 사람들이 법의 눈이 맑아짐을 얻었다. 이때 아난이 장궤하고 합장하여 부처님께 여쭈었다.
“이는 무슨 경이라 하며, 어떻게 받들어 지녀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이 경은 『제덕복전(諸德福田)』이라 하니, 항상 받들어 지니고 경의 도를 밝게 선전하여 이지러지거나 줄지 않게 하라.”
부처님께서 경을 말씀하시자, 천제석 등 일체의 모인 이들이 모두 환희하여 절하고 물러갔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5780 불설제법본무경(佛說諸法本無經) 상권 (0) | 2025.03.28 |
---|---|
[적어보자] #5779 불설제법본경(佛說諸法本經) (0) | 2025.03.28 |
[적어보자] #5777 불설제구경(佛說猘狗經) (0) | 2025.03.28 |
[적어보자] #5776 불설제공재환경(佛說除恐災患經) (0) | 2025.03.28 |
[적어보자] #5775 불설제개장보살소문경(佛說除蓋障菩薩所問經) 20권 (0) | 2025.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