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어보자] #586 불교(견정론 상권 7편 / 甄正論)
통합대장경 견정론(甄正論) 상권 7편 현의(玄嶷) 지음 이한정 번역 “마침 그대에게 말하려고 했는데, 그대가 먼저 물었구나. 지금 그대에게 그 허망함을 모두 드러내주겠다. 『영보』의 위경에 따르면 32천이 있는데, 그 천상은 밑에서 위로 중첩되어 놓여 있다고 한다. 밑에서 첫 번째가 태황황증천(太黃皇曾天)이고, 두 번째가 태명옥모천(太明玉貌天)이고, 세 번째가 청명하동천(淸明何童天)이고, 네 번째가 현태평육천(玄胎平育天)이고, 다섯 번째가 원명문거천(元明文擧天), 여섯 번째가 상명칠요천(上明七曜天)이고, 일곱 번째가 허무월형천(虛無越衡天)이고, 여덟 번째가 태극몽예천(太極濛翳天)이고, 아홉 번째가 적명화양천(赤明和陽天)이고, 열 번째가 상진현명천(上眞玄明天)이고, 열한 번째가 휘명종표천(暉明宗飄天)이고,..
2021. 9. 26.
[적어보자] #574 불교(개원석교록 20권 1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20권 15편 지승 지음 이상 10경 10권은 같은 질이다. 여의륜염송의(如意輪念誦儀) 1권, 8장이다. 금강정유가호마의(金剛頂瑜伽護摩儀) 1권, 8장이다. 금강정경유가오자염송의(金剛頂經瑜伽五字念誦儀) 1권, 12장이다. 불정존승염송의(佛頂尊勝念誦儀) 1권, 8장이다. 금강정경다라보살염송의(金剛頂經多羅菩薩念誦儀) 1권, 10장이다. 금강정승초유가약출염송의(金剛頂勝初瑜伽略出念誦儀) 1권, 10장이다. 관자재진언관행의(觀自在眞言觀行儀) 1권, 5장이다. 저리삼매야부동사자염송의(底哩三昧耶不動使者念誦儀) 1권, 14장이다. 유가연화부염송의(瑜伽蓮華部念誦儀) 1권, 7장이다. 약술금강정유가수증법문의(略述金剛頂瑜伽修證法門儀) 1권, 13장이다. 금강정항삼세대의(金剛頂降三世大儀) 1..
2021.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