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text3485 [적어보자] #2532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33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33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33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선현아, 너는 또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부처님의 10력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4무소외ㆍ4무애해ㆍ18불불공법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다’ 라고 하느냐?” “세존이시여, 부처님의 10력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것과 4무소외ㆍ4무애해ㆍ18불불공법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것도 끝내 얻을 수 없으니, 성품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물며 부처님의 10력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말과 4무소외ㆍ4무애해ㆍ18불불공법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말이 있겠나이까. 이 말이란 것은 이미 있는 것이 아니거늘, 어떻게 부처님의 10력이 원 있다와 원 없다.. 2023. 6. 16. [적어보자] #2531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32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32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32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선현아, 너는 또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다라니문이 번뇌 있다와 번뇌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삼마지문이 번뇌 있다와 번뇌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다’ 라고 하느냐?” “세존이시여, 다라니문이 번뇌 있다와 번뇌 없다는 것과 삼마지문이 번뇌 있다와 번뇌 없다는 것도 끝내 얻을 수 없으니, 성품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물며 다라니문이 번뇌 있다와 번뇌 없다는 말과 삼마지문이 번뇌 있다와 번뇌 없다는 말이 있겠나이까. 이 말이란 것은 이미 있는 것이 아니거늘, 어떻게 다라니문이 번뇌 있다와 번뇌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고 삼마지문이 번뇌 있다와 번뇌 없다는 말이 보살.. 2023. 6. 16. [적어보자] #2530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31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31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31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선현아, 너는 또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8해탈이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8승처ㆍ9차제정ㆍ10변처가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다’ 라고 하느냐?” “세존이시여, 8해탈이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것과 8승처ㆍ9차제정ㆍ10변처가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것도 끝내 얻을 수 없으니, 성품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물며 8해탈이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말과 8승처ㆍ9차제정ㆍ10변처가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있겠나이까. 이 말이란 것은 이미 있는 것이 아니거늘, 어떻게 8해탈이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 2023. 6. 15. [적어보자] #2529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30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30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30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⑳ “선현아, 너는 또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4념주가 물든다와 청정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4정단 내지 8성도지가 물든다와 청정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다’ 라고 하느냐?” “세존이시여, 4념주가 물든다와 청정하다는 것과 4정단 내지 8성도지가 물든다와 청정하다는 것도 끝내 얻을 수 없으니, 성품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물며 4념주가 물든다와 청정하다는 말과 4정단 내지 8성도지가 물든다와 청정하다는 말이 있겠나이까. 이 말이란 것은 이미 있는 것이 아니거늘, 어떻게 4념주가 물든다와 청정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고 4정단 내지 8성도지가 물든다와 청정하다는 말이 .. 2023. 6. 15. [적어보자] #2528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9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9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29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⑲ “선현아, 너는 또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내공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다’ 라고 하느냐?” “세존이시여, 내공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것과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것도 끝내 얻을 수 없으니, 성품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물며 내공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말과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말이 있겠나이까. 이 말이란 것은 이미 있는 것이 아니거늘, 어떻게 내공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고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원 있다와 원 없다는.. 2023. 6. 15. [적어보자] #2527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8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8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28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⑱ “또 선현아, 너는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무명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지어감ㆍ의식ㆍ이름과 물질ㆍ여섯 감관ㆍ접촉ㆍ느낌ㆍ애욕ㆍ취함ㆍ존재ㆍ태어남ㆍ늙음과 죽음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다’ 라고 하느냐?” 구수 선현이 대답하였다. “세존이시여, 무명과 지어감 내지 늙음과 죽음도 끝내 얻을 수 없으니, 성품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물며 무명이라는 말과 지어감 내지 늙음과 죽음이라는 말이 있겠나이까. 이 말이란 것은 이미 있는 것이 아니거늘, 어떻게 무명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고 지어감 내지 늙음과 죽음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라 할 수 있사오리까.” “선현아, 너는 또 어.. 2023. 6. 15. [적어보자] #2526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7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7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27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⑰ “선현아, 너는 또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지계가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가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다’ 라고 하느냐?” “세존이시여, 지계가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것과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가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것도 끝내 얻을 수 없으니, 성품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물며 지계가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말과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가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있겠나이까. 이 말이란 것은 이미 있는 것이 아니거늘, 어떻게 지계가 깨끗하다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 2023. 6. 15. [적어보자] #2525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6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6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26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⑯ “또 선현아, 너는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눈의 접촉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접촉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다’ 라고 하느냐?” 구수 선현이 대답하였다. “세존이시여, 눈의 접촉과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접촉도 끝내 얻을 수 없으니, 성품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물며 눈의 접촉이라는 말과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접촉이라는 말이 있겠나이까. 이 말이란 것은 이미 있는 것이 아니거늘, 어떻게 눈의 접촉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접촉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라 할 수 있사오리까.” “선현아, 너는 또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눈의 접촉이 .. 2023. 6. 14. [적어보자] #2524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5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5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25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⑮ “선현아, 너는 또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눈의 경계가 함이 있다와 함이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경계가 함이 있다와 함이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다’ 라고 하느냐?” “세존이시여, 눈의 경계가 함이 있다와 함이 없다는 것과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경계가 함이 있다와 함이 없다는 것도 끝내 얻을 수 없으니, 성품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물며 눈의 경계가 함이 있다와 함이 없다는 말과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경계가 함이 있다와 함이 없다는 말이 있겠나이까. 이 말이란 것은 이미 있는 것이 아니거늘, 어떻게 눈의 경계가 함이 있다와 함이 없다는 말이 .. 2023. 6. 14. [적어보자] #2523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4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4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24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⑭ “또 선현아, 너는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눈의 영역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귀ㆍ코ㆍ 혀ㆍ몸ㆍ뜻의 영역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 아니다’ 라고 하느냐?” 구수 선현이 대답하였다. “세존이시여, 눈의 영역과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도 끝내 얻을 수 없으니, 성품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물며 눈의 영역이라는 말과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이라는 말이 있겠나이까. 이 말이란 것은 이미 있는 것이 아니거늘, 어떻게 눈의 영역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라 할 수 있사오리까.” “선현아, 너는 또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눈의 영역이.. 2023. 6. 14. [적어보자] #2522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3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3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23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⑬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예류과(預流果)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一來果)ㆍ불환과(不還果)ㆍ아라한과(阿羅漢果)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ㆍ불환과ㆍ아라한과가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ㆍ불환과ㆍ아라한과가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즐겁.. 2023. 6. 14. [적어보자] #2521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2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2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22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敎誡敎授品) ⑫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하는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부처님의 10력(力)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무소외(無所畏)와 4무애해(無礙解)와 18불불공법(佛不共法)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의 10력이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이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의 10력이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이 즐겁.. 2023. 6. 14. [적어보자] #2520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1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1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21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⑪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8해탈(解脫)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8승처(勝處)ㆍ9차제정(次第定)ㆍ10변처(遍處)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8해탈이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8승처ㆍ9처제정ㆍ10변처가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8해탈이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8승처ㆍ9처제정ㆍ10변처가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8해탈이 즐겁.. 2023. 6. 13. [적어보자] #2519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0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20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20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敎誡敎授品) ⑩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내공(內空)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外空)ㆍ내외공(內外空)ㆍ공공(空空)ㆍ대공(大空)ㆍ승의공(勝義空)ㆍ유위공(有爲空)ㆍ무위공(無爲空)ㆍ필경공(畢竟空)ㆍ무제공(無際空)ㆍ산공(散空)ㆍ무변이공(無變異空)ㆍ본성공(本性空)ㆍ자상공(自相空)ㆍ공상공(共相空)ㆍ일체법공(一切法空)ㆍ불가득공(不可得空)ㆍ무성공(無性空)ㆍ자성공(自性空)ㆍ무성자성공(無性自性空)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2023. 6. 13. [적어보자] #2518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9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9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9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敎誡敎授品) ⑨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지계[地界]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지계가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가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지계가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가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지계가 즐겁다는 말이 보살.. 2023. 6. 13. [적어보자] #2517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8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8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8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⑧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눈의 경계[眼界]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경계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눈의 경계가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경계가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눈의 경계가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경계가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눈의 경계가 즐겁다는 말이 .. 2023. 6. 13. [적어보자] #2516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7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7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7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⑦ “또 선현아, 너는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극희지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이구지ㆍ발광지ㆍ염헤지ㆍ극난승지ㆍ현전지ㆍ원행지ㆍ부동지ㆍ선혜지ㆍ법운지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 아니며, 극희지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이구지 내지 법운지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 아니며, 극희지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는 것이 아니고 이구지 내지 법운지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는 것이 아니며,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극희지의 진여가 있는 것이 아니고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이구지 내지 법운지의 진여가 있는 것이 아니며, 극희지의 진여를 여의고 보살마하살이 있는 것이 아니고 이.. 2023. 6. 13. [적어보자] #2515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6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6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6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⑥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부처님의 10력(力)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무소외(無所畏)와 4무애해(無礙解)와 18불불공법(佛不共法)의 진여가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의 10력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의 진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의 10력의 진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의 진여 가운데.. 2023. 6. 12. [적어보자] #2514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5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5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5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⑤ “또 선현아, 너는 어떠한 이치를 보았기에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가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가 보살마하살이 아니며,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 아니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와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 아니며,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는 것이 아니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는 것이 아니며, 보살마하살 가운데에 괴로움에 대.. 2023. 6. 12. [적어보자] #2513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4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4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4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敎誡敎授品) ④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무명(無明)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지어감ㆍ의식ㆍ이름과 물질ㆍ여섯 감관ㆍ접촉ㆍ느낌ㆍ애욕ㆍ취함ㆍ존재ㆍ태어남ㆍ늙음과 죽음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무명과는 다른 그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지어감 내지 늙음과 죽음과 다른 것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무명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지어감 내지 늙음과 죽음 가운데에 보살마하살이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 2023. 6. 12. [적어보자] #2512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3권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3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3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③ “또 선현아,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부처님의 10력(力)을 항상하다거나 덧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無所畏)와 4무애해(無礙解)와 18불불공법(佛不共法)을 항상하다거나 덧없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보지 말 것이며, 부처님의 10력을 나라거나 나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나라거나 나가 없다고 보지 말 것이니라. 부처님의 10력을 깨끗하다거나 깨끗하지 않다고 보지 말 것이요 4무소외와 4무애해와 18불불공법을 깨.. 2023. 6. 12. 이전 1 ··· 155 156 157 158 159 160 161 ··· 16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