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부처님5579

[적어보자] #501 불교(개원석교록 16권 1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13편 지승 지음 아육왕시반아마륵과경(阿育王施半阿摩訶勒果經) 1권제25권에 나온다. 선사만족경(禪思滿足經) 1권제29권에 나온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불위바라문설사법경(佛爲婆羅門說四法經)』 이하 132경은 모두 『잡아함경(雜阿含經)』에 나온다.수(隋)나라 개황(開皇)ㆍ인수(仁壽) 연간의 두 『중경록(衆經錄)』에는 다시 8경이 있다. 이를테면 『칠처삼관경(七處三觀經)』ㆍ『만원자경(滿願子經)』ㆍ『수말소표경(水沫所漂經)』ㆍ『마유팔태경(馬有八態經)』ㆍ『상응상가경(相應相可經)』이다. 이 5경은 문구를 대조하여 보았더니, 이역(異譯)이었고 별생경(別生經)이 아니었다. 또 『수경(數經)』과 『십일상사념여래경(十一相思念如來經)』과 『신관경(身觀經)』이 있는데, 『수경(數.. 2021. 9. 9.
[적어보자] #500 불교(개원석교록 16권 1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12편 지승 지음 나한우병사왕경(羅漢遇甁沙王經) 1권『승우록』에는 『아함경』에서 초(抄)했다고 하였고, 『진록(陳錄)』에는 『잡아함경』에서 초(抄)하였다고 하였다. 제38권에 나온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불견목우자시도경(佛見牧牛者示道經) 1권제38권에 나온다. 비구욕우천자방광경(比丘浴遇天子放光經) 1권제38권에 나온다. 마작부정색욕요란경(魔作不淨色欲嬈亂經) 1권제39권에 나온다. 존자구저가독일사유경(尊者瞿低迦獨一思惟經) 1권제39권에 나온다. 인민질역수삼귀경(人民疾疫受三歸經) 1권제39권에 나온다. 선인설아수라왕귀화경(仙人說阿修羅王歸化經) 1권제39권에 나온다. 마화년소예불설게경(魔化年少詣佛說偈經) 1권제39권에 나온다. 수명착경(壽命促經) 1권제39권에 나.. 2021. 9. 8.
[적어보자] #499 불교(개원석교록 16권 1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11편 지승 지음 불위비구설대열지옥경(佛爲比丘說大熱地獄經) 1권제16권에 나온다. 사리불등비구득신작증경(舍利弗等比丘得身作證經) 1권제18권에 나온다. 석제환인예목련방광경(釋提桓因詣目連放光經) 1권제19권에 나온다. 목련견대신중생연철전신경(目連見大身衆生燃鐵纏身經) 1권제19권에 나온다. 목련견중생신모여전경(目連見衆生身毛如箭經) 1권제19권에 나온다. 견일중생거체분예도신경(見一衆生擧體糞穢塗身經) 1권또한 『중생신예경(衆生身穢經)』이라고도 한다. 제19권에 나온다. 아나율사유목련신력경(阿那律思惟目連神力經) 1권제19권에 나온다. 중생정유철마성화치연경(衆生頂有鐵磨盛火熾然經) 1권제19권에 나온다. 삼행경(三行經) 1권제21권에 나온다. 안색상계경(眼色相繫經) 1권제21권.. 2021. 9. 8.
[적어보자] #498 불교(개원석교록 16권 10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10편 지승 지음 소지경(掃地經) 1권 세간강익보시경(世間强益布施經) 1권 나열성인민청불경(羅閱城人民請佛經) 1권 범천예바라문강당경(梵天詣婆羅門講堂經) 1권 욱가거사견불문법성오경(郁伽居士見佛聞法醒悟經) 1권또한 『수가타거사불위설법득성오경(修伽居士佛爲說法得性悟經)』이라고도 한다. 수유경(水喩經) 1권 칠보경(七寶經) 1권 치조사경(鵄鳥事經) 1권 학인의란경(學人意亂經) 1권일명 『모자작승니의란경(母子作僧尼意亂經)』이라고도 한다. 또한 난의(亂意)라고 쓰기도 한다. 육쇠사경(六衰事經) 1권『승우록(僧祐錄)』의 실역(失譯) 중에 이제 그 경본을 보았는데, “『증일아함경』에 나온다”고 하였다. 4장 반[紙半]이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 1권제4.. 2021. 9. 8.
[적어보자] #497 불교(개원석교록 16권 9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9편 지승 지음 불위가리광야귀설법경(佛爲呵利曠野鬼說法經) 1권『승우록』에는 “가리(訶利)라고도 한다”고 하였다. 제9권에 나온다. 마이비구경(▼(磨-石+女)夷比丘經) 1권일명 『마이경(摩夷經)』이라고도 한다. 제10권에 나온다. 악도경(惡道經) 1권일명 『악의경(惡意經)』이라고도 한다. 제49권에 나온다. 또 제15권에서도 나온다. 사의지경(四意止經) 1권일명 『사의지본행경(四意止本行經)』이라고도 한다. 제24권에 나온다. 식에경(息恚經) 1권혹은 『자에경(自恚經)』이라고도 한다. 제27권에 나온다. 빈궁경(貧窮經) 1권제29권에 나온다. 유연경(柔軟經) 1권제29권에 나온다. 우바새오법경(優婆塞五法經) 1권제30권에 나온다. 수지경(受持經) 1권제30권에 나온다.. 2021. 9. 8.
[적어보자] #496 불교(개원석교록 16권 8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8편 지승 지음 보살오법행경(菩薩五法行經) 1권『승우록』에는 초(抄)라고 하였고, 『진록(陳錄)』에는 『십주론(十住論)』에서 초하였다고 하였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초발의보살행이행법경(初發意菩薩行易行法經) 1권『승우록』에는 “『십주론』의 「이행품(易行品)」에 나온다”고 하였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십주비바사경(十住毗婆沙經) 1권『승우록』에는 “『십주론(十住論)』에서 초(抄)하였다”고 하였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이행품제불명경(易行品諸佛名經) 1권『법경록(法經錄)』에는 “『십주비바사(十住毗婆沙)』에 나온다”고 하였다. 혹은 앞의 『초발의보살이행법경易行法』과 같다고도 한다. 『법경록』에는 다시 10경이 있는데, 뭇 논의 초[衆論抄]라고만 하였고, 그 .. 2021. 9. 8.
[적어보자] #495 불교(개원석교록 16권 7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7편 지승 지음 보살가수면경(菩薩訶睡眠經) 1권『승우록』에서는 초(抄)라고 하였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보살가가과경(菩薩訶家過經) 1권『승우록』에서는 초(抄)라고 하였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아난견수광서경(阿難見水光瑞經) 1권『승우록』에서는 초(抄)라고 하였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기악장자문보살법경(棄惡長者問菩薩法經) 1권『승우록』에서는 초(抄)라고 하였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다라니게경(陀羅尼偈經) 1권『승우록』에서는 초(抄)라고 하였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육정경(六淨經) 1권『안공록(安公錄)』에는 『율경(律經)』에 나온다고 하였다. 실역(失譯)에 실었다. 8장 반[紙半]이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보살등입법엄경(菩薩等入法嚴經) .. 2021. 9. 7.
[적어보자] #494 불교(개원석교록 16권 6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6편 지승 지음 위의 『시도무극경(施度無極經)』 이하 44부 44권은 모두 『육도집경(六度集經)』에 나온다. 또 『구록(舊錄)』 가운데에 『중심정행경(中心正行經)』 1권이 있는데, 역시 『육도집경』에 나온다고 하였다. 경문 가운데서 살펴보았으나 없었으므로, 그 경은 기록하지 않는다.『화묵왕경(和默王經)』ㆍ『상왕경(象王經)』ㆍ『보살위록왕경(菩薩爲鹿王經)』ㆍ『마왕경(馬王經)』ㆍ『경면왕경(鏡面王經)』의 이 5경은 비록 여러 목록에서 이와 같은 이름의 경들을 기재한 것이 있기는 하나, 모두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능멸제죄천전다라니경(能滅諸罪千囀陀羅尼經) 1권이 경은 현장(玄奘)법사의 번역이다. 주문呪 5수(首) 중 1수가 별생(別生)과 유사하기 때문에, 이 목록에 실었.. 2021. 9. 7.
[적어보자] #493 불교(개원석교록 16권 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5편 지승 지음 위의 『일체시왕소행단바라밀경』은 여러 목록에는 모두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라고 하였으며, 「별생록(別生錄)」에서는 『살화단왕경』이라고 하였다. 후한(後漢) 때의 실역경失譯 중에 또한 이 경이 있는데, 그 경에서 이르기를 “살화단(薩和檀)이란 일체시(一切施)이다”라고 하였다. 그 경을 가져와 이 경의 문구와 맞추어 보았더니, 똑같았고 다르지 않았으므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화묵왕경(和嘿王經) 1권제3권에 나온다. 유람경(維藍經) 1권『구록(舊錄)』에서는 『수람본경(隨藍本經)』이라고 하였다. 제3권에 나온다. 계도무극경(戒度無極經) 1권제4권에 나온다. 상왕경(象王經) 1권『구록(舊錄)』에서는 “『생경(生經)』 중에 나온다”고 하였으나, 잘못이다... 2021. 9. 7.
[적어보자] #492 불교(개원석교록 16권 4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4편 지승 지음 범지향불설몽경(梵志向佛說夢經) 1권제2권에서 초(抄)하였다. 보해범지청여래경(寶海梵志請如來經) 1권제1권에서 초(抄)하였다. 적의보살문오탁경(寂意菩薩問五濁經) 1권제2권에서 초(抄)하였다. 혹은 적음(寂音)이라고도 한다. 범지권전륜왕발보리심경(梵志勸轉輪王發菩提心經) 1권제2권에서 초(抄)하였다. 전륜성왕발심구정토경(轉輪聖王發心求淨土經) 1권제2권에서 초(抄)하였다. 수제마납발보리심서원경(樹提摩納發菩提心誓願經) 1권제5권에서 초(抄)하였다. 보해범지성취대비경(寶海梵志成就大悲經) 1권제7권에서 초(抄)하였다. 불변시회신경(佛變時會身經) 1권제10권에서 초(抄)하였다. 당래선택제악세계경(當來選擇諸惡世界經) 1권제10권에서 초(抄)하였다. 일음연정법경(一.. 2021. 9. 7.
[적어보자] #491 불교(개원석교록 16권 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3편 지승 지음 과마법계경(過魔法界經) 1권제16권의 「허공장품(虛空藏品)」에서 초(抄)하였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허공장소문경(虛空藏所問經) 8권또한 『방등허공장경(方等虛空藏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5권, 또는 6권이다. 이는 『대집경』 「허공장품(虛空藏品)」의 1품(品)이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태백마왕견신경(太白魔王堅信經) 1권「보당분(寶幢分)」에서 나왔다. 제17권에서 초(抄)하였다. 불제자화마자송게경(佛弟子化魔子誦偈經) 1권제20권의 「보당분」에 나온다. 마녀문불설법득남신경(魔女聞佛說法得男身經) 1권「보당분」에 나온다. 개화마경(開化魔經) 1권「보당분(寶幢分)」에 나온다. 마왕입고택경(魔王入苦宅經) 1권「보당분」에서 나왔다. 제19권에서 초(.. 2021. 9. 7.
[적어보자] #490 불교(개원석교록 16권 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2편 지승 지음 초보적경(抄寶積經) 1권「보명보살희(普明菩薩會)」에서 나왔다. 곧 구역의 단권(單卷) 『보적경초(寶積經抄)』이다. 『밀적금강역사경』 이하 5경은 모두 『대보적경(大寶積經)』에서 나왔다. 보살봉시예탑작원경(菩薩奉施詣塔作願經) 1권혹은 『제탑초(諸塔抄)』 상권(上卷)이라 쓰기도 한다. 왕고성화불국원행법전경(往古性和佛國願行法典經) 1권혹은 생화(生和)라고 쓰기도 한다. 『승우록(僧祐錄)』에서는 “상권(上卷)에서 초(抄)하였다”고 하였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사자보뢰음보살문문수사리발심경(師子步雷音菩薩問文殊師利發心經) 1권상권에서 초(抄)하였다. 사자보뢰음보살문문수사리성불시사경(師子步雷音菩薩問文殊師利成佛時事經) 1권하권에서 초(抄)하였다. 보살삼법경(.. 2021. 9. 6.
[적어보자] #489 불교(개원석교록 16권 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1편 지승 지음 2. 별분승장록 ⑦ 3) 지파별행경(支派別行經) 682부 812권 지파경(支派經)이라는 것은 대부(大部) 가운데 초출(抄出)한 별행경(別行經)으로, 『대반야경[大般若]』의 제2회(會)와 같은 류(類)이다. 무릇 불법의 문[法門]은 넓고도 커서, 그 진애(津涯)를 궁구하기 어렵다. 또 전적(典籍)이 아주 많아, 그 끝을 다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마땅함에 따라 교화하고 회유하며, 물(物)에 응하여 연(緣)을 베푸는 것이다. 그리하여 대부(大部) 가운데서, 그때그때 쓰일 데를 간략하게 뽑아 활용하였다. 그러나 펴서 찾아본 이는 그것이 어디에서 나왔는지 알지 못하고, 좋아하여 익힌 이는 그 뜻을 받들면서도 그 끝을 맺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제 그 많은 단.. 2021. 9. 6.
[적어보자] #487 불교(개원석교록 15권 2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21편 지승 지음 송나라 때, 천축 삼장 구나발타라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오문선요용법경(五門禪要用法經) 1권 후한(後漢) 시대, 안식(安息)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수행방편경(修行方便經) 2권또한 『수행방편선경(修行方便禪經)』이라고도 한다. 오(吳)나라 때, 월지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위의 이 『수행방편경』은 그 명목(名目)을 상고하면 『달마다라선경(達摩多羅禪經)』과 동본이어서, 그 『선경』도 역시 『수행방편경』이라고 한다. 이는 동진(東晋) 때에 각현(覺.. 2021. 9. 6.
[적어보자] #488 불교(개원석교록 15권 2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22편 지승 지음 동진(東晋) 시대, 사문 석법현(釋法顯)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승우록(僧祐錄)』에 보인다. 경률분이기(經律分異記) 1권혹은 계율(戒律)이라고도 한다. 송나라 때, 계빈 삼장 구나발마(求那跋摩)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청성승욕문(請聖僧浴文) 1권 송나라 때, 천축 삼장 승가발마(僧伽跋摩)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제일의오상략집(第一義五相略集) 1권 송나라 때, 천축 삼장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잡비유삼백오십수경(雜譬喩三百五十首經) 25권『승우록』에서는 “『비유삼백수경(譬喩三百首經)』”이라고 하였다.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단본이다. 번외국어(翻外國語) 7권일명 『구사론인연사(俱舍論因緣事)』라고 하며, 『잡사(雜.. 2021. 9. 6.
[적어보자] #486 불교(개원석교록 15권 20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20편 지승 지음 『구사론』에서 의거한 본론(本論)은 곧 앞의 『구사론게[偈]』가 바로 그것이다. 이제 다시 논본(論本) 16권을 말하는데, 그 까닭을 자세히 모르겠다. 아비담심(阿毗曇心) 16권혹은 13권이다. 부진(苻秦) 시대, 계빈 삼장 승가제바(僧伽提婆)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잡아비담심(雜阿毗曇心) 13권 동진(東晋) 시대, 사문 법현(法顯)이 각현(覺賢)과 함께 번역하였다.두 번째 번역이다. 잡아비담심(雜阿毗曇心) 13권근본(根本)이 되는 책은 10권인데, 계속 번역하여 13권으로 만들었다. 혹은 14권이다. 송(宋)나라 때, 외국(外國) 사문 이섭파라(伊葉波羅) 등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위 『장방록(長房錄)』에는 “송(宋)나라 문제(文.. 2021. 9. 6.
[적어보자] #485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9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9편 지승 지음 이상은 합계서(合戒序)에는 “진(晋)나라 태원(太元) 6년 신사(辛巳, 381) 6월 25일에 비구 축담무란이 사진서사(謝鎭西寺)에 머물면서 이 3계(戒)를 합하기 시작하여, 7월 18일에 다 마쳤다. 그러므로 여기에 기록한다”라고 하였다. 또 『장방록長房』ㆍ『내전록內典』의 두 목록과 정매(靖邁)의 『번경도經圖』에서 모두 “한(漢)나라 명제(明帝) 때의 사문 축법란(竺法蘭)이 260계의 다른 것을 합쳐, 2권을 번역하였다”고 하였는데, 이제 이 설을 살펴보면 이치상 그렇지 않다. 불법이 처음 일어났을 때 계율(戒律)이 아직 갖추어지지도 못했는데, 계율의 다른 것을 합친다는 것이 어찌 있을 수 있겠는가? 이제 나의 어리석은 소견으로 생각해보건대, .. 2021. 9. 5.
[적어보자] #484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8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8편 지승 지음 송(宋)나라 때, 계빈(罽賓) 삼장 불타집(佛陀什) 등의 번역이다.단본(單本)이다. 미사색률초(彌沙塞律抄) 1권 사자국(師子國) 사문 승가발미(僧伽跋彌)의 번역이다. 연대(年代)는 알 수 없으며, 『보창록(寶唱錄)』에 나온다. 단본이다. 『송록(宋錄)』에 들어 있다. 가섭금계경(迦葉禁戒經) 1권일명 『마하비구경(摩訶比丘經)』이라고도 하며, 일명 『진위사문경(眞僞沙門經)』이라고도 한다. 동진(東晋) 시대, 사문 석퇴공(釋退公)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우바새오계경(優婆塞五戒經) 1권일명 『오상경(五相經)』이라고도 한다. 송(宋)나라 거사 저거경성(沮渠京聲)의 번역이.. 2021. 9. 5.
[적어보자] #483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7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7편 지승 지음 칠류경(七流經) 1권 칠사경(七使經) 1권 칠배인횡사경(七輩人橫死經) 1권 칠세작선경(七歲作善經) 1권 팔방만물무상경(八方萬物無常經) 1권 팔쌍경(八雙經) 1권 구결경(九結經) 1권 구뇌경(九惱經) 1권 구도관신경(九道觀身經) 1권 십부승경(十部僧經) 1권 십이의경(十二意經) 1권 십이아련야고행경(十二阿練若高行經) 1권 십이부경명(十二部經名) 1권 삼십이승나경(三十二僧那經) 1권 삼십사의경(三十四意經) 1권 오십덕상경(五十德相經) 1권 육십품경(六十品經) 1권 육십이의경(六十二疑經) 1권 칠십이관경(七十二觀經) 1권 백법경(百法經) 1권 유일삼매경(惟日三昧經) 1권 월전삼매경(月電三昧經) 1권 무언삼매경(無言三昧經) 1권 아화삼매경(阿和三昧經) .. 2021. 9. 5.
[적어보자] #482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6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6편 지승 지음 명성범지경(明星梵志經) 1권 도솔범지경(兜率梵志經) 1권 범지발타경(梵志拔陀經) 1권 범지계화정경(梵志計火淨經) 1권 범지문의경(梵志問疑經) 1권 범지의경(梵志意經) 1권 범지호모경(梵志好母經) 1권 범지음녀경(梵志婬女經) 1권 범지육사경(梵志六師經) 1권 천후현녀경(天后賢女經) 1권 덕녀문경(德女問經) 1권 빈녀소시획홍보경(貧女少施獲弘報經) 1권 미가녀경(彌家女經) 1권 이인작사문제단형설경(二人作沙門弟斷兄舌經) 1권 기허살전타라경(氣噓殺旃陀羅經) 1권 안능시살인경(眼能視殺人經) 1권 고독삼형제경(孤獨三兄弟經) 1권 아검타경(阿劍他經) 1권 불란가경(不蘭伽經) 1권 소신일경(小申日經) 1권 바라내휘사성경(波羅奈媈四姓經) 1권혹은 부(婦)자로 쓰기.. 2021. 9. 5.
[적어보자] #481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5편 지승 지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양토이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양록』에 들어 있다. 삼실개경(三失蓋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양토이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양록』에 들어 있다. 불보삼매경(佛寶三昧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양토이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양록』에 들어 있다. 법지녀경(法志女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양토이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양록』에 들어 있다. 출요경(出要經) 20권 행도경(行道經) 7권 장아함경(長阿含經) 3권『승우록(僧祐錄)』에는 “이 경은 『잔결장아함경(殘缺長阿含經)』인 듯하다”라고 하였다. 홍도경(弘道經) 2권 사천왕경(四天王經).. 2021. 9.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