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91 불교(개원석교록 1권 9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6. 19.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9

 

지승(智昇) 지음

 

아난문사불길흉경(阿難問事佛吉凶經) 1권혹은 아난문사경(阿難問事經), 또는 사불길흉경(事佛吉凶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아난분별경(阿難分別經)과 같은 동본이다.

내녀기역인연경(奈女祇域因緣經) 1권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혹은 인연(因緣)이란 글자가 없기도 하며, 또한 바로 내녀경(奈女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죄업응보교화지옥경(罪業應報敎化地獄經)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혹은 지옥보응경(地獄報應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견의경(堅意經) 1권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일명 견심정의경(堅心正意經), 또는 견심경(堅心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대안반수의경(大安般守意經) 2권혹 1권으로 되어 있다. 혹은 수의(守意)라는 글자가 없기도 하며, 혹은 바로 안반경(安般經)이라고도 한다. 도안(道安)소안반(小安般)이다라고 하였으며, 겸하여 주해를 달았다. 승우록에는 따로 대안반경1권을 실었고, 장방록에서는 다시 안반경1권을 실었는데, 다 중첩된 것이다. 주사행의 한록승우록이곽록(李廓錄)세 기록에 보인다.

음지입경(陰持入經) 2권혹은 1권으로 되어 있다. 승우록에는 제지입경除持入이라 한 것은 착오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음지입경陰持入이다라고 하였다. 도안이 주해를 달았다. 장방록에서는 음지입경陰持入외에 따로 제지입경除持入이 있는데 착오이다. 주사행의 한록승우록두 기록에 보인다.

처처경(處處經) 1장방록에 보인다.

매의경(罵意經) 1장방록에 보인다.

분별선악소기경(分別善惡所起經) 1장방록에 보인다.

출가연경(出家緣經) 1권일명 출가인연경(出家因緣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아함정행경(阿鋡正行經) 1권일명 정의경(正意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십팔니리경(十八尼犁經) 1권혹은 십팔지옥경(十八地獄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법수진경(法受塵經) 1승우록에 보인다.

선행법상경(禪行法想經) 1승우록보창록(寶唱錄)두 기록에 보인다.

장자자오뇌삼처경(長者子懊惱三處經) 1권일명 장자요뇌삼처경(長者夭惱三處經)이라고도 하며, 또한 바로 삼처뇌경(三處惱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건타국왕경(揵陀國王經) 1권혹은 국()자가 없기도 하다. 장방록에 보인다.

부모은난보경(父母恩難報經) 1권또한 근난보경(勤難報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장방록에는 중아함경(中阿含經)에서 나왔다라고 하였으나, 조사하여 보아도 없다.

구횡경(九橫經)31) 1장방록잡아함경(雜阿含經)에서 나왔다라고 하였으나, 조사하여 보아도 없다. 장방록에 보인다.

선행삼십칠경(禪行三十七經) 1권혹은 품()자를 덧붙이기도 한다. 보창록(寶唱錄)에 보인다.

범계보응경중경(犯戒報應輕重經) 1목련문비니경(目連問毘尼經)에서 나왔다. 또한 범계죄보경중경(犯戒罪報輕重經), 또는 목련문경(目連問經)이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대비구삼천위의경(大比丘三千威儀經) 2권혹은 4권으로 되어 있다. 또한 대승위의경(大僧威儀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는 별록(別錄)에 보인다라고 하였다. 승우의 실역록(失譯錄)중에는 2()로 나누어져 있는데, 그 부에는 각각 2권씩으로 되어 있다. 별록의 것을 합하여 지금은 2권만이 있을 뿐이며, 나머지의 2권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지경(道地經) 1권처음 번역하여 나왔다. 혹은 대()자를 덧붙이기도 한다. 이 경이 바로 수행경(修行經)이다. 원래 외국(外國)의 약본(略本)에서 초록(抄錄)한 것으로 도안이 주해를 달았다. 승우록에 보인다. 여러 목록에서는 모두 2권이라 하였다. 도안은 서문(序文)에서 무릇 7()이 있는데, 1권이 역시 온전히 있다라고 하였다.

가섭결경(迦葉結經) 1권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장방록에 보인다.

아비담오법행경(阿毘曇五法行經) 1권혹은 행()자가 없기도 하며, 또한 아비담고혜경(阿毘曇苦慧經)이라고도 한다. 승우록에 보인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