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90 불교(개원석교록 1권 8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6. 18.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8

 

지승(智昇) 지음

 

시가라월육향배경(尸迦羅越六向拜經) 1권혹은 시가라월육방례경(尸迦羅越六方禮經)이라고도 한다. 장아함경(長阿含經)11권에서 나온 이역(異譯)이다. 장방록에 보인다.

장아함십보법경(長阿含十報法經) 2권일명 다증도장경(多增道章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바로 십보경(十報經)이라고도 하는데, 장아함경9권에서 나온 이역이다. 구록에서도 역시 장아함경에서 나왔다라고 하였다. 승우록에 보인다.

일체유섭수인경(一切流攝守因經) 1중아함경(中阿含經)2권에서 나온 이역이다. 구록에서는 일체유섭경(一切流攝經)이다라고 하였고, 오록(吳錄)에서는 유섭수인경(流攝守因經)이다라고 하였다. 또는 수인경(受因經)이라고도 하고, 또는 바로 유섭경(流攝經)이라고도 하며, 또는 일체유섭수경一切流攝守이라고도 한다. 주사행의 한록30)승우록두 기록에 보인다.

사제경(四諦經) 1중아함경7권에서 나온 이역이다. 승우록에 보인다. 도안이 장아함경에서 나왔다고 한 것은 착오였을 것이다.

본상의치경(本相倚致經) 1중아함경10권에서 나온 이역이다. 오록(吳錄)에서는 본상의치경(本相倚致經)연본치경(緣本致經)과 동본 이다라고 하였다. 혹 이 의()자를 쓰기도 한다. 주사행의 한록승우록에 보인다.

시법비법경(是法非法經) 1중아함경21권에서 나온 이역이다. 주사행의 한록승우록두 기록에 보인다.

누분포경(漏分布經) 1중아함경27권에서 나온 이역이다. 주사행의 한록승우록에 보인다. 도안이 장아함경에서 나왔다고 한 것은 착오였을 것이다.

바라문자명종애념불리경(婆羅門子命終愛念不離經) 1중아함경60권에서 나온 이역이다. 장방록에 보인다.

십지거사팔성인경(十支居士八城人經) 1중아함경60권에서 나온 이역이다. 장방록에 보인다.

보법의경(普法義經) 1권또한 보의경(普義經), 또는 구법행경(具法行經)이라고도 한다. 보법의(普法義)를 사리(舍利)로 만들어서 구법행사리불경(具法行舍利弗經)이라고도 한다. 다른 곳에도 다 같이 중아함경에서 나왔다고 하였다. 원가(元嘉) 2(152)에 번역되어 나왔다. 광의법문경(廣義法門經)과 동본이다. 주사행의 한록승우록두 기록에 보인다.

바라문피사경(婆羅門避死經) 1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21권에서 나온 이역(異譯)이다. 장방록에 보인다.

아나빈저화칠자경(阿那邠邸化七子經) 1증일아함경49권에 나온 이역이다. 장방록에 보인다.

아난동학경(阿難同學經) 1권표제에서는 증일아함경에서 나왔다라고 하였으나, 조사해 보니 없었다. 장방록에 보인다.

칠처삼관경(七處三觀經) 1잡아함경(雜阿含經)에서 나왔다. 그 첫머리와 마지막까지 총 30경으로 되어 있지만, 그 첫머리의 경 이름初標名을 따랐기 때문이다. 2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원가 원년(151)에 나왔다. 주사행의 한록승우록에 보인다.

오음비유경(五陰譬喩經) 1권혹은 비()자가 없기도 하다. 일명 수말소표경(水沫所漂經)이라고도 한다. 잡아함경10권에서 나온 이역이다. 주사행의 한록승우록에 보인다.

전법륜경(轉法輪經) 1권혹은 법륜전경(法輪轉經)이라고도 한다. 잡아함경15권에서 나온 이역이다. 그 본경(本經)과 뒷부분은 같지만, 앞은 다르다. 승우록에 보인다.

팔정도경(八正道經) 1잡아함경28권에서 나온 이역이다. 주사행의 한록승우록, 두 기록에 보인다.

마등녀경(摩鄧女經) 1권혹은 마추녀경(摩鄒女經), 또는 아난위고도녀혹경(阿難爲蠱道女惑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마등가경(摩登伽經)과 같은 동본이다.

귀문목련경(鬼問目連經) 1권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아귀보응경(餓鬼報應經)과 같은 동본이다. 장방록에 보인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