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대장경 감로군다리보살공양염송성취의궤(甘露軍茶利菩薩供養念誦成就儀軌) 1편
불공(不空) 한역
이원민 번역
밀주(密主)이신 대보살
금강수께 귀명하오니
최상승(最上乘)을 말씀하셔서
속히 보리를 증득하게 하소서.
감로군다리(甘露軍茶利)보살은
모든 마장(魔障) 부술 수 있으시니
자혜(慈慧) 방편으로
매우 분노하신 형상 나투시네.
아주 위력 있는 태양을 이루어
가없는 세계 비추시니
수행자 암암리에
속히 실지(悉地)를 얻게 하시려는 까닭이네.
감로수를 부어 주시어
장식(藏識) 속을 깨끗이 씻어 주셔서
여러 종자 훈습하여
속히 복과 지혜 덩어리 모으게 하시네.
원만하고 청정한 법신 얻게 하시니
제가 지금 머리 숙여 예를 드리오며
제가 지금 밀언(密言)으로써 가르치는
미묘한 이취(理趣)에 귀의하옵니다.
감로의궤(甘露儀軌) 말씀하시니
아사리(阿闍梨)가 먼저 택하되
밀언을 닦는 제자
삼보를 청정하게 믿는 이네.
대승을 애경하고
유가(瑜伽)의 가르침을 다 우러르며
보살행을 훌륭하게 닦고
그 마음 겁약치 않는 이라네.
상응문(相應門) 구하여 배우고
신명(身命)과 재물 보시하며
싫다거나 게으르다거나 아낌이 없고
족성(族姓)과 모든 근(根)을 구족한 이라네.
다문(多聞)하여 정법 보호하고
6바라밀행 사랑하고 좋아하며
모든 중생 가엾게 여기며
언제나 대서원의 갑옷 입은 이라네.
가없는 세계를 다 제도하여
모든 중생의 부류
속히 보리과(菩提果) 증득케 하되
아사리가 보는 듯하는 이라네.
이러한 법기(法器)를 갖춘 이에게
방편으로 권유하되
먼저 반드시
미묘한 보살도(菩薩道) 연설하네.
선교(善巧)한 반야의 이치는
빠르고 빠른 보리의 길
그러나 삼귀의를 주어
보리심을 발하게 하리라.
다음에는 3세(世)에
장애 없는 세 종류의 계(戒)
보살의 율의(律儀) 주어야만
비로소 윤단(輪壇)에 이끌어 들일 수 있네.
본소존(本所尊)의
지명(持明)과 모든 관정(灌頂) 주고
만다라를 보여
알리되 삼매야에 들게 해야 하네.
지금부터 성불할 때까지
보리심 버리지 말고
아사리 공경하길
모든 부처님과 동등하게 하리라.
예컨대 집금강이
모든 동학(同學)의 처소에서
깊이 공경하고 경만(輕慢)치 않으면
스승에게 금강을 받네.
금강의 경쇠[磬]를 받은 것
실지(悉地)를 구하기 위한 까닭이니
나아가서 보리장까지
항상 지니고 버리지 말아야 하네.
관정하는 아사리 직접 대하여
본존의 가르침 자세히 받아
결코 의심나거나 잘못된 것 없고
그런 뒤에 용맹하게 나아가며 닦아야 하네.
유가(瑜伽)를 수행하는 이는 스승에게 본존의 의궤를 받고 나서, 고요한 곳이나 산림ㆍ깊은 골짜기ㆍ모든 가르침에서 말한 아주 훌륭한 곳에 고요한 방을 건립한 곳, 정사(精舍)나 탑 속에서 그 땅에 소똥[瞿摩夷]을 발라 꾸미며, 또 백단향을 만다라에 바른다. 그 모양은 혹 네모나거나 둥글게 하고, 크기는 상관이 없다. 모든 이름난 꽃을 단 위에 뿌리고, 바르는 향ㆍ태우는 향ㆍ음식ㆍ등명(燈明)ㆍ알가수[閼伽:功德水]는 힘닿는 대로 갖추어 진설하여 장엄한다.
방 안에 본존상을 안치하되 서쪽을 향하게 하고, 유가 수행자는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고 온몸을 땅에 대어 예를 드려 자기 자신을 받들어 올리면 모든 부처님ㆍ보살들께 거두어 받아서 주재하신다.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살바다타아다보아 바라 말다나야다마 남니리야 다야미살바다타
唵薩嚩怛他櫱多布惹引鉢囉二合韈多曩夜多麼二合南儞哩夜二合多夜弭薩嚩怛他
아다시자 디디 슬따 담 살바다타다아가양 남아 미사도
櫱多室者二合地底丁以反下同瑟綻二合擔引薩嚩怛他多櫱訖穰二合喃阿引尾捨覩
이 밀언을 염송하고 이와 같이 생각한다.
‘온 시방의 모든 세계 미진찰토의 모든 부처님 대해회(大海會)에 모두 스스로 계신데, 낱낱 성중(聖衆)의 앞에서 몸을 보시하여 봉사하고 밀언으로 가지함으로 인해 모든 성중이 모두 섭수해 주심을 받는다.’
또 오륜(五輪:五體)을 땅에 대고 예를 드리고, 다시 자신이 모든 여래와 보살들께 두루 예를 드린다고 생각을 한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73 불교(감로군다리보살공양염송성취의궤 3편 / 甘露軍茶利菩薩供養念誦成就儀軌) (0) | 2021.06.15 |
---|---|
[적어보자] #72 불교(감로군다리보살공양염송성취의궤 2편 / 甘露軍茶利菩薩供養念誦成就儀軌) (0) | 2021.06.15 |
[적어보자] #70 불교(갈마 44편 / 羯磨) (0) | 2021.06.14 |
[적어보자] #69 불교(갈마 43편 / 羯磨) (0) | 2021.06.14 |
[적어보자] #68 불교(갈마 42편 / 羯磨) (0) | 2021.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