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대장경 감로군다리보살공양염송성취의궤(甘露軍茶利菩薩供養念誦成就儀軌) 2편
불공(不空) 한역
이원민 번역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살바다타 아다바 나만나남가로미
唵薩嚩怛他引孽多播引娜滿娜南迦路弭
이 밀언으로 가지하고서 유가 수행자는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고 시방에 두루 이르러 진실하게 모든 미진 세계의 바다와 같이 모이신 모든 부처님 여래께 공경하며 예를 드린다. 다음에는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합장하여 가슴에 대고 눈을 감고 마음을 움직여 허공의 무량무변한 세계 바다와 같이 모이신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께서 모여서 유가 수행자의 처소에 내려오신다고 두루 관한다. 또 자기 자신이 낱낱의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의 앞에서 갖가지 바르는 향[塗香]ㆍ가루향[粖香]ㆍ화만(花鬘)ㆍ소향(燒香)ㆍ하늘의 미묘한 음식ㆍ등명(燈明)ㆍ보거(寶炬)를 가지고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께 받들어 올린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고 ‘온 유정계가 남김없이 6취(趣)에 떠다니면서 자기 마음의 허망한 분별로 말미암아 진리를 피하고 모든 불선(不善)을 지어 이숙(異熟)의 갖가지 고과(苦果)를 얻고 불러들이고, 인취(人趣)에서는 5욕에 탐착하여 구하여도 얻지 못하는 고(苦)를 짓고 천취(天趣)에서는 변역(變易)의 고(苦)를 짓는 것을 관찰한다. 묘각화(妙覺花)로써 보리심을 활짝 피우며, 한빙(寒氷)지옥을 관찰하고 향을 사르러 향기를 뿜어 한빙의 괴로움을 물리치며, 아귀의 세계를 관찰하고 하늘의 묘한 것으로 음식에 가지하여 저들이 충분히 포식하여 인색한 업을 멀리 여의기를 원한다. 수라취(修羅趣)ㆍ방생취(傍生趣:畜生趣)ㆍ색계ㆍ무색계에서 심기(心器)가 교만하고 거짓되어 성내는 마음으로 다시 서로 남을 해치는 것과 삼매의 맛에도 탐착하는 것을 관찰하고 내 반야등명으로써 저들의 의혹과 번뇌를 다 없애주고, 바다와 같이 모이신 부처님 앞에서 정성스럽게 3세(世)의 장(障)을 드러내어 참회하고, 모든 부처님ㆍ보살ㆍ성문ㆍ연각을 따라 기뻐하고, 3세의 복덕ㆍ지혜ㆍ자량을 따라 기뻐하며, 곧 무량무변한 세계의 잡염(雜染)세계 가운데 모든 유정이 다 무상정등보리를 증득하는 것을 본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또한 ‘자기 자신이 한분 한분의 모든 부처님과 보살 앞에서 무상법륜을 굴리시고 세간에 오래 머무시고 열반에 드시지 말기를 청한다’고 생각한다.
유가 수행자는 곧 결가부좌하거나 반가부좌하거나 마음대로 하고 앉는다. 유가를 닦는 이는 밖의 청정함에 집착하지 말고, 항상 훌륭한 이치인 자성(自性)의 청정한 법수(法水)로 몸과 마음을 씻어 이치에 맞게 상응하고, 청정한 밀언을 세 번 염송한다.
옴사바 바 바슈다 살바달마 사바 바 바슈도함
唵娑嚩二合婆引嚩秫鐸引薩嚩達莫引娑嚩二合引婆引嚩秫度憾
『금강정유가경(金剛頂瑜伽經)』 중에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신(身)ㆍ구(口)ㆍ의(意)를 금강처럼 하고
보리심을 우선으로 하여
목욕을 하듯 마음을 청정하게 하기를
수행자는 기꺼이 행하네.
바르는 향을 취하여 양손에 바르고, 합장하여 가슴에 대고 여래부삼마야계(如來部三麼耶契)를 맺되, 아직까지 피지 않은 연꽃처럼 하여 합장한다. 양손의 집게손가락[進ㆍ力]을 양손의 가운뎃손가락[忍ㆍ願] 윗마디에 붙이고, 양손의 엄지손가락[禪ㆍ智]은 각각 집게손가락의 측면에 붙인다. 인을 맺고 나서 밀언을 염송하고 유가에 들어가서 뜻을 세워 여래께서 온 허공에 가득하시다고 관하고 나에게 가지하시길 바란다. 또 인으로부터 무량한 광명을 유출하여 빛이 닿는 모든 유정이 온통 남김없이 평등한 진여를 속히 증득한다고 생각한다. 이 부처님 삼매야계[佛三昧耶契]로써 유가를 속히 증득하여 모든 유정이 구경에는 대보리를 증득하기를 바란다.
밀언은 다음과 같다.
나막삼만다 몯다남 옴다타 아투나바 바야사바 하
曩莫三曼多 沒馱南引 唵怛他引櫱妬納婆二合嚩野娑嚩二合引訶引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74 불교(감로군다리보살공양염송성취의궤 4편 / 甘露軍茶利菩薩供養念誦成就儀軌) (0) | 2021.06.15 |
---|---|
[적어보자] #73 불교(감로군다리보살공양염송성취의궤 3편 / 甘露軍茶利菩薩供養念誦成就儀軌) (0) | 2021.06.15 |
[적어보자] #71 불교(감로군다리보살공양염송성취의궤 1편 / 甘露軍茶利菩薩供養念誦成就儀軌) (0) | 2021.06.15 |
[적어보자] #70 불교(갈마 44편 / 羯磨) (0) | 2021.06.14 |
[적어보자] #69 불교(갈마 43편 / 羯磨) (0) | 2021.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