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5838 불설최상비밀나나천경(佛說最上秘密那拏天經) 중권

by Kay/케이 2025. 4. 9.
728x90
반응형

 

 

불설최상비밀나나천경(佛說最上秘密那拏天經) 중권

 



불설최상비밀나나천경 중권


서천 역경삼장 조봉대부 시광록경 명교대사 신 법현 한역
김영덕 번역


2. 성취의궤분(成就儀軌分)


그 때 나나천이 다시 대명(大明)을 송하였다.

나모 라다나 다라 야 야 나모볘샤라 바나샤 마하 라 아샤 나모
那謨囉怛那二合怛囉二合那謨吠設囉二合嚩拏寫摩賀惹寫那謨
나나고바라샤우혜야 가디바뎨 나나고바라마 바리다 예사야 마
那拏酤鉢囉寫虞呬也二合哥地鉢帝那拏酤鉢囉摩嚩㗚多二合拽沙也二合引
로반아뇩바마로반소로반 나나고바람고바라 찬나로 강나리다 강
嚕半阿耨鉢末嚕半蘇嚕半那拏酤缽囕酤缽囉贊捺嚕二合剛那㗚多二合
혜마강바라 마강 나나나나 나나고바람 바라바라고바라 마하
呬末剛勃囉二合引末剛那拏那拏十一那拏酤鉢囕十二嚩囉嚩囉酤鉢囉十三摩賀
우혜야 강 바할 바 랑바할 바 랑 보로보로 모보로모보로
虞呬也二合十四嚩曷二合朗嚩曷二合十五布盧布盧十六母布盧母布盧十七
고바라나나고바라사바 하
酤鉢囉那拏酤鉢囉娑嚩二合引引十八1)

이 때 나나천이 대다라니를 송하고 나서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의 이 대명은 최상의 큰 두려움이 없으며 모든 야차를 능히 잘 조복(調伏)하여 이루려는 것을 성취하는 법이며 결정코 일념으로 이 대명원만최상(大明圓滿最上)의 일을 모두 이룰 것이옵니다.
만약 수행하는 사람이 이 대명을 송하여 익숙해지면 그런 후에 곧 가지가지 일을 이룰 것입니다
만약 사람이 설돌로(設咄嚕:원수)를 흩어지게 하려면 마땅히 거녜라(佉禰囉)나무를 사용하되 그 길이는 8지(指) 정도로 만들어 이 대명을 한 번 가지하고 설돌로의 뇌라(挼囉)에 꽂으면 곧 속히 흩어질 것이며 만약 그것을 해제하려면 마땅히 그 막대기를 뽑으면 즉시 풀어질 것입니다.
또 만약 설돌로로 하여금 온눌마다(嗢訥摩多)가 되게 하려면 마땅히 법대로 백개자를 사용하여 대명을 송하여 한 번 가지하고 그 흘리하(屹哩訶:심장) 가운데에 던지면 그것이 곧 온눌마다를 얻게 됩니다. 만약 풀어버리고자 하면 마땅히 안실향을 써서 대명을 한 번 송하고 나서 그 흘리하 가운데 사르면 곧 풀려 없어집니다.
또 만약 다시 흩어지게 하려면 마땅히 법대로 마노사아실제(摩努沙阿悉帝)를 써서 그 길이가 8지 정도로 하여 대명을 송하여 한 번 가지하고 안실향을 살라 훈기를 쏘이고 다시 이 막대기를 그 뇌라(挼囉)에 꽂으면 3야(夜)에 그것이 즉시 흩어질 것입니다.
또 만약 설돌로를 파괴하고자 하면 마땅히 법대로 아욕말야몰날아라(阿欲末野沒捺誐囉)를 쓰고 그 이름과 같이 대명을 송하고 한 번 가지하고 나서 땅에 꽂으면 그것이 곧 파괴됩니다. 만약 풀어버리고자 하면 마땅히 몰날아라를 뽑으면 곧 풀릴 것이며, 혹은 습마사나(濕摩舍那) 가운데 꽂으면 그 설돌로가 곧 부다(部多)에 잡힐 것입니다. 만약 몰날아라를 뽑으면[出] 곧 풀어질 것이며 혹은 순니야아라(舜儞也誐囉) 가운데 꽂으면 그는 비사좌(毘舍左) 흘라하(屹囉賀)에 잡히고 뽑으면 곧 없어져 풀어집니다. 혹은 흘라마뇌라(屹囉摩挼囉) 앞에 꽂으면 그 인날리야(印捺哩野)가 곧 금(禁)하여 묶이고 뽑으면 곧 없어져 풀어집니다. 혹은 들판에 꽂으면 그는 곧 본래의 거처를 떠나 산과 들에 달려 들어가는 것이 마치 노루와 사슴 같아지며 뽑으면 곧 없어져 풀어집니다. 이와 같은 등의 법으로 대명을 송하여 한 번 가지하여 안실향을 사르면 다 속히 성취될 것입니다.
또 만약 야차ㆍ나찰을 물리치려면 마땅히 법대로 사방에 만나라를 만들고 안실향을 사르고 몰날아라를 가지고 만나라를 치면 그 야차ㆍ나찰이 모든 권속과 함께 다 멀리 떠나갑니다. 또 만약 야차ㆍ나찰을 몰아 부리려면 마땅히 법대로 그 형상을 흙이나 그림으로 만든 후에 대명을 송하고 몰날아라에 한 번 가지하여 가지고 형상을 치면 그 야차ㆍ나찰이 곧 본래의 몸을 나타내어 수행하는 사람의 뜻을 따라서 가지가지 일을 할 것입니다. 혹은 숨겨진 보물이 있으면 모두 끌어내어 보이고 나아가 재물과 곡식을 다 공급하여 주며 일체를 모시고 받들어 마치 종과 같이 할 것입니다.
또 만약 비사문(毘沙門)이 공급해 주기를 바라는 자는 마땅히 법대로 그 상을 흙이나 그림으로 만들고 안실향을 살라 훈기를 쏘이고 대명을 송하며 몰날아라를 가지고 치면 그 비사문이 곧 본래의 몸을 나타내어 마땅히 수행하는 사람의 모든 소원을 베풀어 재물과 곡식 등의 일을 다 공급하여 줄 것입니다. 또한 만약 비사문이 이루는 법을 바라는 자는 마땅히 법대로 비사문상의 형상이 있는 곳에 가서 안실향을 사르고 손으로 비사문의 발을 만지며 대명을 일곱 번 송하면 그 형상이 곧 일어나며 만약 속히 일어나지 아니하면 머리를 일곱 조각으로 깨뜨릴 것입니다. 또한 가지하여 백개자로 그 상의 얼굴에 던져 때리면 그 상이 곧 수행하는 사람에게 말하되 묻는 대로 다 말하고 나아가 보물이 숨겨진 곳으로 인도하여 보입니다. 또다시 백개자와 재[灰]를 서로 섞어 대명을 송하여 일곱 번 가지하여 비사문상의 이마에 안치하고 안실향을 사르고 다시 대명을 한 번 송하면 그 비사문천이 백 명의 권속과 함께 모든 재물과 보배를 가지고 수행하는 사람 앞에 나타나며 하고자 하는 일을 다 성취할 것입니다.
또 만약 나라연천(那羅延天)이 이루는 법을 바라거든 마땅히 법대로 나라연천의 상(像)이 있는 곳으로 나아가 수행하는 사람은 안실향을 사르고 손으로 그 상의 발을 만지고 대명을 송하고 생각하면 상(像)이 즉시 행동합니다. 다시 대명을 송하여 가지하고 백개자를 그 상에 던져 치면 그 때에 그 상은 곧 말하며 마땅히 수행하는 사람에게 베풀어 일체 소원을 다 성취하고 또 능히 모든 의궤(儀軌)를 성취할 것입니다.
또 만약 대자재천이 법을 성취하기를 바라면 마땅히 법대로 한 갈파라(葛波羅)로 법을 갖춘 것을 택하여 백개자를 사용하여 대명을 송하여 일곱 번 가지하고 나서 갈파라 안에 채우고 대자재천의 이마에 안치하면, 이 때 그 하늘이 마땅히 수행하는 사람에게 일체를 성취하여 줍니다. 다시 형상 앞에 안실향을 사르고 대명을 송하면 하늘의 상이 곧 말할 것이며, 행인에게 말하되 ‘그대가 하고자 하는 일을 내가 모두 주리라’ 하고 나아가 필요한 것 일체를 공급하여 줍니다.
또 만약 범천(梵天)이 성취하는 것을 바라거든 수행하는 사람은 범천의 형상이 있는 곳에 가서 마땅히 법대로 우유를 가지고 범천상(梵天像)의 몸을 씻고 안실향을 사르고 이 대명을 송합니다. 이 때 그 범천이 본래 모양을 나타내어 수행하는 사람 앞에 서서 수행하는 사람에게 말하기를 ‘내가 구하는 바에 따라 일체 이루려는 법의 의궤를 모두 그대에게 주리라’고 하면 수행하는 사람은 범천상을 씻은 우유를 스스로 먹습니다. 그러면 이로부터 이후에는 듣지 못하던 법을 다 듣게 될 것입니다. 또한 깊고 자세하게 많이 듣게 되리니, 비유하면 큰 바다같이 미묘한 음성을 갖춘 것이 긴나라(緊那羅) 같으며 3업이 청정하여 수명이 천 세나 늘어나고 나아가 일체 이루는 의궤를 모두 성취할 것입니다.
또 만약 수행하는 사람이 용을 항복시키고자 하면 마땅히 법대로 용의 몸을 흙으로 만들어 만나라 가운데 안치하고 향과 꽃으로 공양하고 갈라미라(葛囉尾囉) 가지를 사용하여 대명을 송하고 한 번 가지하고 그 용의 몸을 두드리고 다시 대명을 송하고 그 용을 가지하면 곧 본래 몸을 나타내어 단비를 많이 내리고 나아가 일체 일을 이어 받을 것입니다. 또 만약 우레와 우박이 멈추기를 바라는 자는 마땅히 법대로 용의 몸을 흙으로 만들고 석류나무 가지를 사용하여 대명을 송하여 한 번 가지하고 그 용의 몸체를 두드리면 우레와 우박이 곧 멈출 것입니다. 또 만약 바람을 멈추고자 하면 마땅히 법대로 빗자루를 사용하여 대명을 송하여 가지하고 나서 누각 위에 안치하면 그 바람이 곧 멈출 것입니다.
또 만약 설돌로를 깨뜨리고자 하는 자는 마땅히 갈라미라 가지를 사용하여 안실향을 살라 훈기를 쏘이고 대명을 송하여 한 번 가지하고 갈파라를 두드리면 그 설돌로가 곧 깨어집니다.
이런 법으로 모든 부다ㆍ야차ㆍ나찰 등을 깨뜨리는 것도 또한 마음대로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대명은 하려는 것을 이루는 법이니 모름지기 모두가 안실향을 사르고 가지하면 모든 것을 이룰 것입니다.”

3. 최상성취의궤분(最上成就儀軌分)

그 때 나나천이 다시 대명을 송하였다.

나모볘샤라 바라소다야 나나고바라 야 니미야 미마 나찰리다야
那謨吠設囉二合嚩拏蘇跢野那拏酤鉢囉儞尾也二合尾摩那拶哩跢野
혜마마 라곧나라샤리라 야 약사라 사사만니다야 다망 바아밤아 바
呬末摩攞昆拏羅設利囉藥叉囉叉娑曼儞跢野怛網二合婆誐鍐阿
리다 예샤— 마 다냐 타 마니마니 골타골타 골타골타 골골골골
㗚多二合拽沙也二合怛寧也切身末尼末尼骨吒骨吒骨吒骨吒骨骨骨骨
바라바라 보라보라 고바라고바라 나나고바라 니미야 미마
鉢囉鉢囉十一布囉布囉十二酤鉢囉酤鉢囉十三那拏酤鉢囉十四儞尾也二合尾摩
나곤나리 도티도티사바 하
那昆拏梨十五咄致咄致娑嚩二合引引十六2)

이 때 나나천이 이 대명을 말하고 나서 다시 성취하는 법을 설하였다.
“만약 수행하는 사람이 모두 야차가 성취하는 것을 바란다면 마땅히 니구타(尼拘陀) 나무로 널빤지를 만들어 가장 좋은 색채를 써서 그 널빤지 위에 그 구하는 야차의 모양을 그리되, 얼굴은 녹두색으로 크고 험악한 모양을 하고 날카로운 어금니가 입에 솟아나 있으며, 온갖 보배로 엄숙하게 몸을 꾸미고 왼손은 갈파라를 잡고 있고 오른손은 시원인(施願印)의 모습을 한 형상을 그립니다. 그런 후에 수행하는 사람이 마땅히 스스로 깨끗하게 오직 흰 밥을 먹고 이 형상 앞에서 대명을 팔천 번 송하여 숫자가 차면 야차가 몸을 나타내어 수행하는 사람 앞에 설 것입니다. 수행하는 사람이 곧 흰 밥과 알가 등을 올리면 야차가 곧 말하기를, ‘바라는 바가 어떤 일입니까?’라고 하고 수행하는 사람은 대답하되, ‘나는 어떤 일을 바랍니다’라고 합니다. 야차가 곧 말하되, ‘그대 마음대로 하시오’라고 하면 또한 공중으로 자유로이 날아 뜻대로 가고 멈출 수 있으며 수명은 5백 세가 됩니다.
또 만약 수행하는 사람이 나찰이 성취하는 것을 바란다면 먼저 마땅히 법대로 습마사나(濕摩舍那)의 땅을 택한 후에 수행하는 사람은 목욕하고 깨끗하게 하여 법에 의하여 옷을 입고 선택한 땅에 출생식(出生食)과 알가(閼伽)와 발우 등을 두어 노지라(嚕地囉)로써 호마하기를 밤낮으로 12일 간 행합니다. 날이 차면 곧 그 나찰이 본래 몸을 나타내어 아주 험악한 모습으로 네 개의 팔이 있고 손에는 삼차(三叉) 큰 도끼와 작은 도끼ㆍ절구공이ㆍ요령 등을 잡고 사자(師子)를 타고 수행하는 사람 앞에 서서 수행하는 사람에게 말하기를 ‘나는 지금 먹고 싶다’고 할 것입니다. 수행하는 사람은 만약 이것을 보면 두려워 말고 곧 손에 먹을 것을 가지고 나찰에게 말하기를 ‘이 밥은 나나천의 뜻에 의한 것이니 마땅히 법과 같이 먹으시오’라고 하고 나서 곧 밥과 물을 올리면 나찰이 받고 나서 수행하는 사람에게 말하기를 ‘그대는 무엇을 구합니까?’라고 할 것입니다. 수행하는 사람은 답하기를 ‘나를 위하여 일체의 일을 해 주시오’라고 하면 나찰이 곧 말하되 ‘그러하리다. 그러하리다. 그대가 하고자 하는 일을 내가 다하리다’라고 할 것입니다.
또 만약 수행하는 사람이 좋은 약[聖藥]을 구하기를 바란다면 마땅히 법대로 웅황(雄黃)을 써서 노제라(嚕提囉)를 가지고 서로 섞어 법에 의하여 갈바라에 채워서 대명을 8백 번을 송하여 가지하고 대명에 따라 송할 때 갈라미라의 가지를 가지고 약을 섞되 만약 갈파라가 맹렬하게 뜨거워지면 좋은 성약이 곧 이루어집니다. 수행하는 사람이 만약 이 약을 사용하여 이마에 점을 찍으면 지명천(持明天)이 되어 공중을 자유롭게 날며 심장에 점을 찍으면 곧 몸이 숨겨져서 뜻대로 다니고 멈춤에 걸림이 없을 것입니다. 만약 눈에 점을 찍으면 일체 숨겨진 보배가 다 보이며 또한 아수라굴에 들어가거나 용궁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만약 이 약을 먹으면 수명이 백천 겁으로 이어지며 그 몸의 모습이 변하여 전륜왕과 같으며 미묘한 음성을 갖추어 긴나라와 같고 범음(梵音)과 같아집니다. 만약 몸에 바르면 몸이 곧 견고하여 마치 금강과 같아집니다.
또 수행하는 사람이 좋은 약을 만들고자 하면 마땅히 법대로 검은 암양[羖羊]의 소(酥)와 누런 소[黃牛]의 소를 서로 섞어 법대로 등불을 켜고, 그 그을음을 취하여 소미라(搔尾囉)약과 서로 섞어 대명을 송하여 스물한 번 가지하면 곧 좋은 약이 이루어집니다. 만약 이 약을 사용하여 눈에 한 방울 떨어뜨리면 이 사람은 큰 위력을 얻어 보는 자가 사랑하고 존중히 여길 것입니다. 또 만약 좋은 약을 성취하기 바란다면 마땅히 법대로 우황(牛黃)을 써서 이 대명을 송하여 스물한 번 가지하면 그 약이 곧 이루어집니다. 만약 사람이 이 좋은 약으로 이마에다 점을 찍으면 이 사람은 큰 위력을 얻어 보는 자가 사랑하고 존중할 것입니다. 만약 이 약을 먹으면 이 사람은 모든 논의(論議)에서 승리하고 나아가 모든 일들을 성취할 것입니다.
또 수행하는 사람이 만약 설돌로를 조복하고자 하면 먼저 마땅히 법대로 습마사나(濕摩舍那)의 땅을 택하여 흑월(黑月:16일로부터 그믐까지) 14일에 그 땅에 앉아 구소법(句召法)을 행하여 야차ㆍ나찰ㆍ부다ㆍ비사좌 등을 부르고 안실향을 사르고 대명을 스물한 번 송하여 그 숫자가 차면 그들이 몸을 나타내어 수행하는 사람 앞에 섭니다. 수행하는 사람이 다시 대명을 송하면 그 야차들이 수행하는 사람에게 말하기를 ‘그대가 나를 불러 무슨 일을 하려 하오?’라고 할 것이니 수행하는 사람이 대답하되 ‘너희들이 아무개 설돌로를 잡으라’고 하면 그 야차들은 곧 속히 그에게 가서 설돌로를 잡을 것입니다. 이렇게 잡힌 자는 능히 풀어주지 못하며 만약 수행하는 사람이 풀어주면 또한 스스로 병을 얻을 것입니다.
또 만약 수행하는 사람이 설돌로를 없애고자 하면 마땅히 법대로 습마사나를 태운 재로 나나천의 발에 훈기를 쏘이고 이 재로 그 설돌로의 형상을 만들고 나라아싣뎨(那囉阿悉帝) 막대기로 설돌로의 흘리나야(紇哩捺野:심장)에 꽂고 다시 왼발로 그 형상을 밟으며 분노하는 마음을 지어 이 대명을 송하면 설돌로가 엿보고 그 마음대로 하려는 것을 속히 물리쳐 없앨 것입니다.
또 만약 수행하는 사람이 우레와 우박을 내리고자 하면 마땅히 법대로 붉은색의 갈라미라 나무를 사용하여 법에 맞게 막대기를 만들어 대명을 송하고 가지하고 나서 나무 아래 꽂으면 그곳에 마땅히 우레와 우박이 내릴 것입니다. 만약 멈추게 하고자 하면 그 막대기를 뽑으면 곧 멈출 것입니다.
이와 같이 모든 법은 다 안실향을 사용하여 가지하고 사르면 곧 일체법이 다 이루어집니다.”

4. 최상만나라의궤성취법분(最上曼拏羅儀軌成就法分)

그 때 나나천이 다시 최상의 대만나라법을 설하였다.
“이 만나라법은 능히 일체 천(天)을 이루며 나아가 범왕(梵王)ㆍ나라연천(那羅延天)ㆍ대자재천(大自在天)이 항상 와서 귀의하고 나아가 모든 신선도 항상 칭찬하고 모든 불ㆍ보살께서 다 섭수(攝受)하여 주시고 야차ㆍ나찰들이 다 삼매를 얻으며 명언(明言:진언)과 일체 의궤(儀軌)를 모두 성취합니다.
만약 수행하는 사람이 이 만나라를 건립하고자 한다면 먼저 마땅히 법에 의하여 길상(吉祥)이 성취될 땅을 선택한 후에 백월(白月)의 좋은 날을 택하여 시작해야 할 것입니다. 수행하는 사람은 먼저 스스로 목욕하여 깨끗이 하고 흰 새 옷을 입고 흰 음식을 먹은 후에 땅에 떨어지지 아니한 구마이(瞿摩夷)를 사용하여 만나라를 만듭니다. 밖의 첫 번째 겹[一重]은 가로 세로가 32주(肘:2尺) 크기로 사방에 네 개의 문을 만들되 비율이 맞게 하고 그 만나라가 두루 원만하며, 안의 두 번째 겹에는 백단향을 가지고 가로 세로 8주로 하고, 안의 세 번째 겹에는 용뇌(龍腦)와 공구마향(恭俱摩香)을 사용하여 가로 세로 4주(肘) 크기로 만듭니다.
이 안의 세 겹 만나라 가운데에는 석가모니부처님과 집금강저(執金剛杵)와 윤(輪) 등을 그리고 부처님 앞에는 나나천을 그리되, 열여섯 개의 팔이 있는 단정하고 엄숙한 모습을 갖추고 여러 기장(器杖)과 온갖 보물로 장엄하고 있는 모습을 그립니다. 안의 두 번째 겹에는 법에 의하여 모든 대천(大天)ㆍ대범왕ㆍ나라연천ㆍ대자재천 등을 그리고 네 모서리에는 대천왕을 그리며, 밖의 첫 번째 겹에는 대야차주(大夜叉主)를 그리고 네 문에는 만현천(滿賢天)ㆍ보현천(寶賢天)ㆍ역천(力天)ㆍ난니계설라천(難儞計說囉天) 등과 같은 형상을 그립니다.
그런 후에 먼저 부처님 앞에 네 개의 금발우를 밖의 만나라 남쪽에 안치하고 법에 의하여 스물다섯 개의 알가병(閼伽甁)과 스물다섯 개의 향로와 여덟 개의 은(銀) 발우를 안치하고 나아가 서북ㆍ동남쪽에도 또한 다시 이와 같이 합니다. 다음에 가지가지 꽃ㆍ과일ㆍ출생음식(出生飮食)3) 등 꽃ㆍ과일을 각각 8백 가지씩 늘어놓고 8백의 잔에 연등(燃燈)을 켜고 출생음식을 8백 가지로 나누고 별도로 출생음식을 서른두 가지로 나누며, 다시 예순네 가지 맛있는 음식을 여덟 가지로 나누어 올립니다. 또 가지가지 표치(幖幟)를 세우고 또 표치 사이에는 8백 개의 발우를 두고 다음에 칼 서른두 개[口]와 번기(幡旗) 일백여덟 개[首]를 안치합니다. 다음에는 여덟 개의 몰날아라(沒捺誐囉)와 여덟 개의 삼차(三叉:三月古叉)와 네 개의 윤(輪)과 네 개의 고동[螺]과 네 개의 설흘저(設屹底)와 서른두 개의 금강저와 네 개의 찧는 절구공이[擣杵]와 네 개의 요령과 네 개의 도마라(覩摩囉)와 가지가지 향과 꽃 등을 안치합니다. 그런 후에 네 문과 네 모서리에는 각각 한 사람씩 몸에 갑옷과 투구를 쓰고 손에 병기를 잡고 있는 이를 세우며 밖의 네 면에 다섯 가지 채색을 사용하여 가지가지로 꾸며서 장엄하고 또 가지가지 음악이 이어지고 매양 음식을 올릴 때는 음악을 울려 공양합니다.
이와 같은 의식은 법에 의하여 안포(安布)하고 난 뒤에 수행하는 사람은 법에 의하여 하루 세 때에 중생을 위하여 먹기 전에 음식을 조금 나누어 주어 헌식(獻食)하며 그 음식과 함께 오로지 일곱 번 가지하여 비로소 현성(賢聖)에게 올립니다. 수행하는 사람이 그런 뒤에 안실향ㆍ백개자ㆍ향유(香油)를 사용하여 서로 섞어 만나라 앞에서 법에 의하여 호마를 지으면 그 나나천은 곧 본래의 몸을 나타내어 앞의 만나라의 모양과 같이 세존께 예배하고 나서 수행하는 사람에게 말하되 ‘나는 이제 잘 온[善來] 그대에게 그대가 원하고 바라는 것을 지금 마땅히 주리라’ 하면 즉시 수행인은 알가(閼伽:청정수)를 받들어 올리고 곧 원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 나나천은 말하기를 ‘수행하는 사람의 뜻에 따라 그대가 하고자 하는 바와 같이 지명천(持明天)이나 혹은 하늘의 제석 혹은 호세(護世:사천왕)전륜왕의 자리나 내지 범왕(梵王)ㆍ대자재천ㆍ나라연천(那拏延天) 등에 이르기까지 될 것이며, 수행인이 나아가 나나천과 같이 되고자 하여도 또한 뜻대로 얻을 것인데 어찌 하물며 세간에서 장수한다거나 많이 안다거나 진기한 보배나 재물ㆍ곡식 등을 얻는 것이 일체 중생이 숭상하고 존중하는 일이 되겠는가?’라고 합니다. 혹은 삿된 법을 제압하여 복종시키고 축생[傍生]의 소리를 말하여 혹은 숨은 보물을 찾거나 하여도 뜻대로 얻으며, 나아가 용을 항복시키기 위하여 용궁에 들어가고 아수라궁[宮]에 들어가며 혹은 약을 구하고 혹은 몸을 숨기는 법(隱身法)이나 더 나아가 천안(天眼)과 숙명(宿命)의 지혜와 야차ㆍ나찰 등을 구하는 것과 같은 가지가지의 성취하는 법을 다 뜻대로 할 것입니다. 혹은 만나라를 만들지 못한 자는 수행하는 사람이 다만 최상[上品]의 용맹하고 견고한 마음을 일으켜 대명을 가지고 천 번을 송하면 하고자 하는 것을 다 이룰 것이며, 이와 같이 수행인은 소원을 만족히 얻고 나서 곧 삼가 지극한 수고로움[至勞]으로 일체 성현에게 감사하고 나서 대명을 송하여 발송(發送)하면 나나천이 본처로 돌아갑니다.
대명으로 송합니다.

나모 볘샤라 바나소다 야 나나고바라 야 옴사라사라 미사라미사라
那謨吠設囉二合嚩拏蘇多那拏酤鉢囉唵娑囉娑囉尾娑囉尾娑囉
나타 나타 아사아사사바바나 나나고바라야타 소가사다망 약칭
那吒那吒引五㜸蹉㜸蹉莎婆嚩曩那拏酤鉢囉野他蘇珂薩怛網三合七藥偁
나라 사바하
捺囉二合莎 賀引八4)

수행인이 꽃을 사용하여 이 대명을 송하여 한 번 가지하고 안실향을 살라 훈기를 쏘이고 꽃을 올리면 나나천이 곧 몸을 숨기고 나타나지 아니합니다.”

5. 최상성취화상의궤분(最上成就畫像儀軌分)

그 때 나나천이 다시 형상 그리는 법을 설하였다.
“만약 수행하는 사람이 나나천의 형상을 그리고자 하면 마땅히 새롭고 좋은 흰 비단을 최상품으로 갖추어 길이[量方]가 4주(肘)가 되게 준비하고 다시 법에 의하여 특별히 좋은 장소를 선택하여 마땅히 그림 그리는 사람으로 하여금 청정하게 재계(齊戒)하고 머리부터 그리기 시작합니다. 마땅히 깨끗한 새 용기 안에 채색을 섞어서 그리며 한가운데에는 나나천을 그리되 단엄한 모습에 팔을 열여섯 개로 각각 병기[器仗]을 잡은 모습을 그립니다.
좌우에는 대범천ㆍ나라연천ㆍ대자재천ㆍ비사문천(毘沙門天)ㆍ보현천(寶賢天)ㆍ만현천(滿賢天)ㆍ역천(力天)ㆍ대력천(大力天)ㆍ길상천(吉祥天)ㆍ대변천(大辯天) 등을 그리고 그 다음 아래는 모든 천자(天子)와 모든 하늘의 신선[天仙]을 그리고 다음 밖으로는 야차주(夜叉主)를 그립니다.
이와 같은 것 등을 법에 의하여 그린 후에는 법에 의하여 가지가지로 공양합니다. 수행하는 사람이 모든 성취하는 법을 이루고자 할 때 이 형상 앞에 대명을 천 번 송하면 하는 일[所作]이 모두 성취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