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5696 불설입세아비담론(佛說立世阿毘曇論) 5권

by Kay/케이 2025. 3. 11.
728x90
반응형

 

 

 

불설입세아비담론(佛說立世阿毘曇論) 5

 

불설입세아비담론 제5권

진제 한역
조환기 번역

18. 천비천투전품(天非天鬪戰品)
“수미산왕 꼭대기는 평지이고, 유리로 만들어져서 지면이 평평하고 매끄럽고, 부드러워 가히 좋아할 만하고, 갖가지 보석으로 장엄하였다. 마치 북부지방의 매우 좋은 양탄자에 갖가지 장식을 새겨놓은 것과 같다. 또한 귀걸이에 갖가지 보석으로 장엄한 것과 같다. 발로 밟으면 푹 빠지고 발을 들면 다시 원래 모습으로 돌아온다. 마치 도라면이나 목면처럼 그 땅의 부드러움도 이와 같다.
금성(金城)으로 둘러싸여 있다. 성의 높이는 1유순이고, 성 위의 낮은 담은 반 유순이다. 성문의 높이는 2유순이고, 문의 누각은 1유순 반이다. 10유순마다 하나씩 문이 있어 3만 2천 개의 문이 있다. 이 모든 문은 갖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고, 마니(摩尼)의 좋은 보석으로 장엄하였다. 마치 북부지방의 매우 좋은 양탄자처럼 인비인 등과 용ㆍ짐승ㆍ초목 및 갖가지 꽃 등을 갖추지 않은 것이 없다. 또한 귀걸이에 갖가지 보석으로 장엄하여 다 갖추고 있는 것과 같이 이 모든 성문도 또한 이와 같다.이 모든 성문 근처는 코끼리ㆍ말ㆍ수레ㆍ보병이 장엄하고 있고, 모든 천자가 갑옷과 무기로 장엄하고 그 가운데 모여 있으면서 혹은 국토를 지키고, 혹은 놀고, 혹은 장엄하고 있다.
곳곳에 있는 보석의 연못은 천상의 물로 가득 차 있고, 네 가지 보석을 벽돌로 삼아 바닥과 둑을 쌓았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모든 천상의 남녀가 그 가운데 두루 머물고 있는 것도 이와 같다.수미산왕은 그 꼭대기로부터 아래로 2만 유순이 제1층이다. 그 층은 사방으로 나아가 모두 50유순이고, 둘레는 본래보다 증가해서 400유순이다. 금성으로 둘러싸여 있고, 성의 높이는 1유순이고, 성 위의 낮은 담은 1유순 반이다. 성문의 높이는 2유순이고, 문의 누각은 1유순 반이다. 10유순마다 하나씩 문이 있어 수많은 문이 있다.
이 모든 문은 갖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고, 마니의 좋은 보석으로 장엄하였다. 마치 북부지방의 매우 좋은 양탄자처럼 인비인 등과 용ㆍ짐승ㆍ초목 및 갖가지 꽃 등을 갖추지 않은 것이 없다. 또한 귀걸이에 갖가지 보석으로 장엄하여 다 갖추고 있는 것과 같이 이 모든 성문도 또한 이와 같다.이 모든 성문 근처는 코끼리와 말 등의 네 가지 군대가 지키고 있으면서 혹은 국토를 지키고, 혹은 놀고, 혹은 장엄하고 있다.
그 성 바깥에 갖가지 보석의 연못이 있고, 네 가지 보석을 벽돌로 삼아 바닥과 둑을 쌓았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모든 천자와 천녀가 그 가운데 두루 머물고 있는 것도 이와 같다.
모든 천자는 지만(持鬘)1)이라 이름하고, 이 가운데 머무른다.이 수미산의 본래 둘레의 크기는 800유순이 증가해서 합이 1천200유순이다. 봉우리로부터 아래로 6만유순이 제3층이다. 그 층은 2층보다 사방으로 50유순씩 더 넓다. 금성으로 둘러싸여 있고, 성의 높이는 1유순이고, 성 위의 낮은 담은 1유순 반이다. 성문의 높이는 2유순이고, 문의 누각은 1유순 반이다. 10유순마다 하나씩 문이 있어 수많은 문이 있다.
이 모든 문은 갖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고, 마니의 좋은 보석으로 장엄하였다. 마치 북부지방의 매우 좋은 양탄자처럼 인비인 등과 용ㆍ짐승ㆍ초목 및 갖가지 꽃 등을 갖추지 않은 것이 없다. 또한 귀걸이에 갖가지 보석으로 장엄하여 다 갖추고 있는 것과 같이 이 모든 성문도 또한 이와 같다.이 모든 성문 근처는 코끼리와 말 등의 네 가지 군대가 지키고 있으면서 또한 국토를 지키고, 혹은 놀고, 혹은 장엄하고 있다.
갖가지 보석의 연못이 있고, 네 가지 보석을 벽돌로 삼아 바닥과 둑을 쌓았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모든 천자 등이 이 국토에 두루 머물고 있는 것도 또한 이와 같다.
모든 천자는 상승(常勝)2)라 이름하고, 이 가운데 머무른다.이 수미산의 본래 둘레의 크기는 800유순이 다시 증가해서 합이 1천200유순이다. 봉우리로부터 아래로 6만 유순이 제3층이다. 그 층은 2층보다 사방으로 50유순씩 더 넓다. 금성으로 둘러싸여 있고, 성의 높이는 1유순이고, 성 위의 낮은 담은 1유순 반이다. 성문의 높이는 2유순이고, 문의 누각은 1유순 반이다. 10유순마다 하나씩 문이 있어 수많은 문이 있다.
이 모든 문은 갖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고, 마니의 좋은 보석으로 장엄하였다. 마치 북부지방의 매우 좋은 양탄자처럼 인비인 등과 용ㆍ짐승ㆍ초목 및 갖가지 꽃 등을 갖추지 않은 것이 없다. 또한 귀걸이에 갖가지 보석으로 장엄하여 다 갖추고 있는 것과 같이 이 모든 성문도 또한 이와 같다.이 모든 성문 근처는 코끼리와 말 등의 네 가지 군대가 지키고 있으면서 또한 국토를 지키고, 혹은 놀고, 혹은 장엄하고 있다.
갖가지 보석의 연못이 있고, 네 가지 보석을 벽돌로 삼아 바닥과 둑을 쌓았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모든 천자 등이 이 국토에 두루 머물고 있는 것도 또한 이와 같다.
수지보기(手持寶器)3)라 이름하는 모든 천자는 이 가운데 머무른다.금성으로 둘러싸여 있고, 갖가지로 장엄한 것도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모든 천자 등이 이 국토에 두루 머물고 있는 것도 또한 이와 같다.
수미산왕의 본래 둘레의 크기는 400유순이 또 증가해서 합이 1천600유순이다. 이것이 제4층이다. 위의 3층보다 넓고, 그 층은 사방으로 모두 50유순씩 더 나아간다. 해수면(海水面)으로부터 50유순 위에 있다. 이것이 수미산왕의 제4층이다. 제3층보다 50유순씩 더 넓고, 두께도 또한 이와 같다.금성으로 둘러싸여 있고, 성의 높이는 1유순이고, 성 위의 낮은 담은 1유순 반이다. 성문의 높이는 2유순이고, 문의 누각은 1유순 반이다. 10유순마다 하나씩 문이 있어 수많은 문이 있다.
이 모든 문은 갖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고, 마니(摩尼)의 좋은 보석으로 장엄하였다. 마치 북부지방의 매우 좋은 양탄자처럼 인비인 등과 용ㆍ짐승ㆍ초목 및 갖가지 꽃 등을 갖추지 않은 것이 없다. 또한 귀걸이에 갖가지 보석으로 장엄하여 다 갖추고 있는 것과 같이 이 모든 성문도 또한 이와 같다.이 모든 성문 근처는 코끼리ㆍ말 등의 네 가지 군대가 지키고 있으면서 혹은 국토를 지키고, 혹은 놀고, 혹은 장엄하고 있다.
갖가지 보석의 연못이 있고, 네 가지 보석을 벽돌로 삼아 바닥과 둑을 쌓았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모든 천자 등이 이 국토에 두루 머물고 있는 것도 또한 이와 같다.
이 제4층은 사천왕 군대가 머무는 곳이다.
이 층 바깥에 사방으로 450유순을 나아가 둘레가 1천 800유순으로 모든 용 및 금시조(金翅鳥)가 머무는 곳이 있다.
수미산왕의 상하의 모든 층은 두께가 다 50유순이다. 그 바다 가운데의 모든 층은 다 수라(修羅)4)가 사는 곳이다.이 아수라는 모든 천의 다섯 가지 인연[五事因緣]을 얻기 위해서 천에게 와서 공격한다.
어떤 것을 다섯 가지라고 하는가?
첫째는 천상의 수타미(須陁味), 둘째는 모든 천의 평지, 셋째는 모든 천5)의 정원과 숲, 넷째는 모든 천의 국토. 다섯째는 모든 천의 어린 소녀이다.
이 다섯 가지를 얻기 위하여 모든 천에게 와서 공격한다.
모든 천도 이 다섯 가지를 얻기 위하여 수라를 공격한다.어떤 것을 다섯 가지라고 하는가?
첫째는 아수라의 수타미, 둘째는 아수라의 평지, 셋째는 아수라의 정원과 숲, 넷째는 아수라의 국토, 다섯째는 아수라의 어린 소녀이다.
이 다섯 가지를 얻기 위하여 아수라에게 와서 공격한다.
이때 아수라가 와서 모든 천을 공격한다.
먼저 물의 경계에서 용ㆍ가루라새와 함께 싸운다. 만약 여의치 않으면 원래 있던 곳으로 돌아가고, 싸워서 이길 때면 가장 아래층에 올라간다. 4왕군(王軍)ㆍ모든 용ㆍ새 등도 역시 가장 아래층에 올라가 함께 싸운다. 수라(修羅)는 여의치가 않으면 본래 있던 곳으로 돌아간다. 만약 이길 때면 아래 2층에 올라간다.4왕군(王軍) 및 지보기천(持寶器天), 모든 용, 새 등은 동시에 함께 싸운다. 만약 여의치가 않으면 본래 있던 곳으로 돌아간다. 만약 이길 때면 아래 3층에 올라간다. 상승천(常勝天) 및 지보기, 4왕군, 모든 용, 새 등은 동시에 함께 싸운다. 만약 여의치가 않으면 본래 있던 곳으로 돌아간다. 만약 이길 때면 아래 4층에 올라간다. 지만천(持鬘天) 및 아래의 모든 천, 4왕군과6) 모든 용, 새 등도 역시 이층에 올라가 함께 싸운다. 만약 여의치가 않으면 본래 있던 곳으로 돌아간다. 만약 여의치가 않으면 본래 있던 곳으로 돌아가고, 만약 이길 때면 수미산의 정상으로 올라간다.
이 지만천의 모든 천들이 제석천이 있는 곳으로 가서 이 일을 알린다.
‘선존(善尊)이시여, 아수라가 이미 도달했습니다.’이때 제석천은 1천의 말로써 그 하나의 수레를 끌게 하고, 아라한의 옷으로써 그 깃발을 삼게 하고, 코끼리와 말 등의 4군병이 서로 뒤섞이지 않게 하여 여러 군대에 둘러싸여 전투가 벌어지는 곳으로 간다.
이때 32천의 왕들도 각각 4군병에 둘러싸여 전투가 벌어지는 곳으로 온다. 제석왕의 두 태자인 전단(栴檀)과 수비(修毘)도 역시 4군병에 둘러싸여 전쟁터로 함께 온다. 사천왕도 역시 4군병에 둘러싸여 전쟁터로 함께 온다. 일월(日月)천자도 역시 4군병에 둘러싸여 전쟁터로 함께 온다.
이와 같이 모든 천과 앞의 수레에 탄 장군은 이곳에서 수라(修羅)와 큰 전투를 한다. 코끼리군대는 코끼리군대와 싸우고, 수레ㆍ말ㆍ보병의 군대도 그와 같다. 만약 전투시에 먼저 쳐들어온 자는 반드시 스스로 먼저 물러난다. 이 일은 법으로서 당연하다.”이와 같은 일은 부처님ㆍ세존께서 말씀하셨다.
“비구여, 옛날에 모든 천은 함께 수라를 공격했다. 전투가 벌어져서 양쪽 군대가 서로 칼을 겨누어서 모든 천의 군대가 승리하고, 수라는 패배했다.
비구여, 수라는 패해서 물러날 때 남쪽으로 향해 달아나서 본래 있던 곳으로 돌아갔고 모든 천은 물러나는 것을 뒤좇았다.
비구여, 이때 수라는 생각하기를, ‘모든 천이 크게 이기고, 우리는 패배했다. 모든 천의 뒤쫓음은 매우 급하다. 우리 군대는 오히려 가히 기다렸다가 다시 싸울 수가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두 번째 전투에서도 모든 천의 군대가 승리하고, 수라는 패배했다. 수라는 패해서 물러날 때 남쪽으로 향해 달아나서 본래 있던 곳으로 돌아갔다. 모든 천은 물러나는 것을 뒤쫓았다.비구여, 이때 수라는 생각하기를, ‘모든 천이 크게 이기고, 우리는 패배했다. 모든 천의 뒤쫓음은 매우 급하다. 나의 군대는 아직 다 없어지지 않았으니 가히 기다렸다가 다시 싸울 수가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렇지만, 비구여, 세 번째 전투에서도 모든 천의 군대가 또 승리하고, 수라는 또 패배했다.
수라는 패해서 본래 있던 성으로 돌아가서 문을 걸어 잠그고 머물렀다. 비구여, 이때 수라는 생각하기를, ‘나는 이미 성에 들어왔으니, 모든 천이 비록 오더라도 나를 공격하지는 못할 것이다’라고 하였다.비구여, 이때 모든 천도 생각하기를, ‘모든 아수라가 이미 그들의 성에 들어갔으니, 다시 공격할 수가 없다’고 하였다.
이때 모든 천은 성을 둘러싸고, 그를 경계로 삼아 성내에서 머물게 되었다. 모든 천은 수라의 수타미(須陁味)를 먹고, 그 평지와 모든 정원과 술에 의거하고, 그 국토와 어린 소녀들을 모두 다 기록하고,7) 그 재물과 보배를 다 취하고, 남녀 거주자들을 남김없이 끌고 갔다.만약 모든 천이 생각하기를 ‘저 성에 들어가면 나와 수라가 함께 음식을 먹고, 친척이 되고, 마땅히 서로 만나고, 소식을 주고받고, 마음대로 왔다갔다 하면서 음식을 먹고 이야기를 나눌 것이다’라고 하다가 정작 성안에 들어가고 난 뒤에는 다시 나오게 된다.
만약 불상응심(不相應心)을 낸다면 이 마음 때문에 자연히 다시 나오게 된다.
어찌하여 이와 같은가? 이 성은 곧 아수라에 대한 두려움이 없는 곳이기 때문이다.모든 천이 마음대로 이 국토에 머물며 수라의 어린 소녀들을 모두 붙들어 가지고 가려 한다. 곧 천상으로 돌아가려 할 때는 모든 아수라는 수타미에 길들여져서 집집마다 가서 바꾸고, 모든 천의 설에 들어가서 곳곳마다 방문한다. 만약 자신의 족속들을 보면 모든 천들과 더불어 값을 흥정한다. 만약 바꾸게 되면 데리고 원래의 고장으로 온다.
만약 천이 패배하여 붙잡혔을 때라도 이와 같다.도리천 위의 선견대성은 석제환인이 머무는 곳이다. 아수라성은 이 아수라왕이 머무는 곳이다. 도리천의 이라반(伊羅槃)이라는 정원에 행차할 때에 타는 코끼리왕과 같이 아수라에게도 발타바가(跋陁婆呵)8)라고 이름하는 정원이나 숲으로 행차할 때에 타는 코끼리왕이 있다. 도리천의 선주(善住)9)라고 하는 전쟁할 때에 타는 코끼리왕과 같이 아수라에게도 아라바(鴉羅婆)라고 이름하는 전쟁할 때에 타는 코끼리왕이 있다. 도리천의 주(州)ㆍ군(郡)ㆍ현(縣) 등과 같이 아수라의 경계도 이와 같다. 도리천이 갖가지 의복과 음식으로 장엄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아수라도 이와 같다. 다만 선법당(善法堂)과 피선연다중각(皮禪延多重閣)만은 제외된다.”
이와 같은 뜻을 부처님ㆍ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19. 일월행품(日月行品)
“염부제의 땅으로부터 4만 유순의 높이에서 해와 달이 움직인다. 수미산의 반 높이고, 유건타산(遊乾陁山)과 같다. 이 해와 달의 궁전은 둥글어서 마치 북과 같다.
이 달의 궁전은 두께는 50유순이고, 너비도 50유순, 둘레는 150유순이다. 이 달의 궁전은 유리로 만들어졌고, 은으로 덮여 있다. 수대(水大)가 많고, 아래쪽은 다시 수분이 가장 많다. 그 아래쪽의 빛도 역시 가장 수승하다.
그 위쪽은 금성으로 둘러싸여 있다. 성의 높이는 1유순이고, 성 위의 낮은 담은 반 유순이다. 성문의 높이는 2유순이고, 문의 누각은 1유순 반이다. 10유순마다 하나씩 문이 있어 14개의 문이 있다. 아울러 하나의 작은 문이 있다. 이 모든 문은 갖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고, 갖가지 마니보석으로 장엄하였다.마치 북부지방의 극히 좋은 양탄자와 같이 인비인 등과 용ㆍ짐승ㆍ초목 및 갖가지 꽃 등을 갖추지 않은 것이 없다. 또한 귀걸이에 갖가지 보석으로 장엄하여 다 갖추고 있는 것처럼 이 성문도 이와 같다.
이 모든 성문 근처는 코끼리ㆍ수레 등의 4군(軍)이 장엄하고 있고, 모든 천자가 갑옷과 무기로 장엄하고 그 가운데 모여 있으면서 혹은 국토를 지키고, 혹은 놀고, 혹은 장엄하고 있다.
곳곳에 있는 보석의 연못은 천상의 물로 가득 차 있고, 네 가지 보석을 벽돌로 삼아 바닥과 둑을 쌓았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모든 천상의 남녀가 그 가운데 두루 머물고 있는 것도 이와 같다.이 궁전은 이름이 전단(栴檀)이고, 이 달의 천자는 여기에 머무는데 역시 이름이 전단이다. 궁전의 천자는 모두 다 이름이 전단이다.
이와 같은 궁전은 이미 40여 겁(劫)10)을 머물렀다. 중생의 업의 증상연(增上緣)11) 때문에 항상 움직이면서 빛을 비춘다. 천자가 있을 때 궁전은 항상 움직이고, 혹시 천자가 없더라도 궁전은 역시 움직인다. 천자가 돌아왔을 때는 궁전이 있는 곳에 따라서 아래로 내려가 그곳에 머무른다.
이 해의 궁전은 두께는 51유순이고, 너비도 51유순, 둘레는 153유순이다. 이 해의 궁전은 파리로 만들어졌고, 붉은 금으로 덮여 있다. 화대(火大)가 많고, 아래쪽은 다시 불의 성분이 가장 많다. 그 아래쪽의 빛도 역시 가장 수승하다.그 위쪽은 금성으로 둘러싸여 있다. 성의 높이는 1유순이고, 성 위의 낮은 담은 반 유순이다. 성문의 높이는 2유순이고, 문의 누각은 1유순 반이다. 10유순마다 하나씩 문이 있어 14개의 문이 있다. 아울러 하나의 작은 문이 있다. 이 모든 문은 갖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고, 갖가지 마니보석으로 장엄하였다. 마치 북부지방의 극히 좋은 양탄자와 같이 인비인 등과 용ㆍ짐승ㆍ초목 및 갖가지 꽃 등을 갖추지 않은 것이 없다. 또한 귀걸이에 갖가지 보석으로 장엄하여 다 갖추고 있는 것처럼 이 성문도 이와 같다
이 모든 성문 근처는 코끼리ㆍ수레 등의 4군(軍)이 지키고 있고, 혹은 국토를 지키고, 혹은 놀고, 혹은 장엄하고 있다.곳곳에 있는 보석의 연못은 천상의 물로 가득 차 있고, 네 가지 보석을 벽돌로 삼아 바닥과 둑을 쌓았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모든 천상의 남녀가 그 가운데 두루 머물고 있는 것도 이와 같다.
이 궁전은 이름이 수야(修野)12)이고, 이 해의 천자는 여기에 머무는데 역시 이름이 수야이다. 궁전의 천자는 모두 다 수야라 이름한다.
이와 같은 궁전은 이미 40여 겁을 머물렀다. 중생의 업의 증상연(增上緣) 때문에 항상 움직이면서 빛을 비춘다. 천자가 있을 때 궁전은 항상 움직이고, 혹시 천자가 없더라도 궁전은 역시 움직인다. 천자가 돌아왔을 때는 궁전이 있는 곳에 따라서 내려가 그곳에 머무른다.그 별의 궁전 중 가장 작은 것은 지름이 반 구로사(俱盧舍)13)이고, 둘레의 길이는 1 구로사 반이다. 그 별의 큰 것은 지름이 16유순이고, 둘레는 40유순이다.
해와 달의 앞에 행락천자(行樂天子)가 있다. 이 천자는 만약 떠돌 때면 유희와 즐거움을 받는다. 중생의 업의 증상연 때문이다. 따라서 풍륜(風輪)이 있어 항상 불어 회전한다. 바람이 불기 때문에 해와 달 등의 궁전은 항상 돌면서 멈추지 않는다.
해의 궁전은 180로(路)를 가고, 달의 궁전은 15로를 간다. 해의 12로가 달의 1로이다. 가령 해가 나타나 12일 동안 간 길이 달이 나타나 하루 만에 간 길이 된다.남로(南路)의 끝으로부터 북로(北路)의 끝까지는 290유순이고, 이 속에서 해와 달은 움직이며 줄어들거나 늘어남이 없다.
해에는 다시 두 길이 있다. 첫째는 외로(外路)이고, 둘째는 내로(內路)이다. 내로는 염부제의 길 안에서부터 북울단월의 내로까지로 거리는 4억 8만 800유순이고, 둘레는 14억 4만 2천400유순이다. 외로는 거리가 4억 8만 1천380유순이고, 둘레는 14억 4만 4천140유순이다.
이 달의 움직임은 곁에서 움직일 때는 빠르고, 돌 때는 느리다. 이 해의 움직임은 돌 때는 빠르고, 곁에서 움직일 때는 느리다.해는 달과 같이 움직이고, 어떤 때는 합쳐지고, 어떤 때는 분리된다. 하루하루의 해 가운데 해는 4만 8천 80유순을 움직이고, 합쳐지고 분리되는 것도 모두 그와 같다. 만약 점점 합쳐질 때라면 하루하루 달을 3과 3분의 1유순씩 덮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15일째는 모두 덮어서 달빛이 나타나지 않는다. 만약 점점 분리될 때라면 하루하루의 때 가운데 해는 4만 8천 80유순을 움직인다. 해는 달을 3과 3분의 1유순씩 벗어난다. 이러한 방법으로 15일째는 모두 벗어나서 달이 가장 둥글고 밝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수량으로 해는 달의 둘레 4만 8천 80유순을 빠르게 움직이면서 돈다.”
이때 부처님께서 이 뜻을 거듭 밝히기 위하여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4만 8천 80의
모든 유순을
해는 달을 따라서 움직이네.
달을 벗어나는 양(量)도 마찬가지이네.
해는 항상 1유순 반과 9분의 1유순을 움직인다. 그 하루하루의 날마다 나올 때도 이와 같고, 들어갈 때도 이와 같다. 6개월 동안 해는 내로(內路)로부터 출발하여 외로(外路)에 이른다. 6개월 동안은 외로로부터 출발하여 내로에 이른다.
달은 항상 19와 3분의 1유순을 움직인다. 그 하루하루의 날마다 나올 때도 이와 같고, 들어갈 때도 이와 같다. 15일 동안 달은 내로로부터 출발하여 외로에 이른다. 15일 동안은 외로로부터 출발하여 내로에 이른다.
해가 만일 동불바제(東弗婆提)의 내로(內路)로 움직이면 동불바제 땅의 남쪽을 택하고, 거리는 683과 3분의 1유순으로 이 가운데서 해는 내로로 움직인다.해가 만일 남염부제(南剡浮提)의 내로로 움직이면 염부제 땅의 남쪽을 택하고, 거리는 350유순으로 이 가운데서 때는 내로로 움직인다.
해가 만일 서구야니(西瞿耶尼)의 내로로 움직이면 서구야니 땅의 남쪽을 택하고, 거리는 683과 3분의 1유순으로 이 가운데서 해는 내로로 움직인다.
해가 만일 북울단월(北鬱單越)의 내로로 움직이면 북울단월 땅의 남쪽을 택하고, 거리는 350유순으로 이 가운데서 해는 내로로 움직인다.
해가 만일 동불바제의 외로(外路)로 움직이면 땅의 남쪽으로부터 해의 외로에 이르기까지 393과 3분의 1유순으로 이 가운데서 해는 움직인다.해가 만일 염부제의 외로로 움직이면 땅의 남쪽으로부터 해의 외로에 이르기까지 60유순으로 이 가운데서 해는 움직인다.
해가 만일 서구야니의 외로로 움직이면 땅의 남쪽으로부터 해의 외로에 이르기까지 393과 3분의 1유순으로 이 가운데서 때는 움직인다.
해가 만일 북울단월의 외로로 움직이면 땅의 남쪽으로부터 60유순으로 이 가운데서 해는 움직인다.
해가 만일 동불바제의 내로로 움직이면, 즉 서구야니의 내로로 움직이고, 즉 남염부제와 북울단월의 중로(中路)로 움직이면 이때 동불바제의 낮은 가장 길어 18모휴다(牟休多)14)이고, 이때 밤은 가장 짧아 12모휴다이다.서구야니의 밤은 가장 길어 18모휴다이고, 이때 낮은 가장 짧아 12모휴다이다. 남염부제와 북울단월은 밤과 낮이 같은 15모휴다이다. 그 6모휴다는 항상 움직이고, 24모휴다는 움직이지 않는다.
해가 만일 동불바제의 외로로 움직이면, 즉 서구야니의 내로로 움직이고, 남염부제와 북울단월의 중로로 움직이면 이때 동불바제의 밤은 가장 길어 18모휴다이고, 낮은 가장 짧아 12모휴다이다. 서구야니의 낮은 가장 길어 18모휴다이고, 밤은 가장 짧아 12모휴다이다. 남염부제와 북울단월은 밤과 낮이 같은 15모휴다이다.해가 만일 염부제의 내로로 움직이면, 즉 북울단월의 외로로 움직이고, 동불바제와 서구야니의 중로로 움직이면, 이때 염부제의 낮은 가장 길어 18모휴다이고, 이때 밤은 가장 짧아 12모휴다이다. 북울단월의 밤은 가장 길어 18모휴다이고, 낮은 가장 짧아 12모휴다이다. 동불바제와 서구야니는 밤과 낮이 같은 15모휴다이다.
해가 만일 남염부제의 외로로 움직이면, 즉 북울단월의 내로로 움직이고, 동불바제 서구야니의 중로로 움직이면, 이때 염부세의 낮은 가장 길어 18모휴다이고, 밤은 가장 짧아 12모휴다이다. 북울단월의 밤은 가장 길어 18모휴다이고, 낮은 가장 짧아 12모휴다이다. 동불바제와 서구야니는 밤과 낮이 같은 15모휴다이다.
서구야니와 북울단월도 또한 이와 같다.세간에서 30모휴다를 결정하여 항상 하루의 밤낮으로 삼는다. 이 1모휴다는 30분(分)이 있고, 그 하나하나의 분은 라바(羅婆)15)라고 한다. 낮이 길어질 때는 1라바씩이고, 낮이 짧아질 때도 1라바씩이다. 밤도 역시 같다. 만약 낮이 짧아질 때는 밤이 1라바씩 길어진다. 만약 밤이 짧아질 때는 낮이 1라바씩 길어진다.
만약 낮이 가장 길 때는 18모휴다이고, 이때는 밤이 가장 짧아 12모휴다이다. 만약 밤이 가장 길 때는 18모휴다이고, 이때는 낮이 가장 짧아 12모휴다이다. 만일 낮과 밤이 같을 때라면 낮은 15모휴다이고, 밤도 15모휴다이다.만약 5월 15일 대보름이면 서국(西國)16)에서는 결하(結夏)17)가 시작되는 때이고, 중국(中國)18)에서는 이미 안거(安居)19)에 들어간 지 꼭 한 달이 된다. 이때 낮은 가장 길어 18모휴다이고, 밤은 가장 짧아 12모휴다이다. 16일로부터 1라바씩 감소하여 한 달 동안 1모휴다가 줄어든다. 두 번째 달에도 1모휴다가 줄어들고, 세 번째 달에도 역시 1모휴다가 줄어든다.8월 15일이 되면 인도에서는 자자(自恣)20) 때이고, 중국에서는 가치나의(迦絺那衣)21)를 받을 때인데, 낮과 밤이 같아 각각 15모휴다이다. 또 16일로부터 한 달 동안 1모휴다가 줄어든다. 두 번째 달에도 1모휴다가 줄어들고, 세 번째 달에도 역시 1모휴다가 줄어든다.
11월 15일이 되면 그 밤이 가장 긴 18모휴다이고, 낮은 가장 짧은 12모휴다이다. 이 밤은 이때부터 1라바씩 감소하여 한 달 동안 1모휴다가 줄어든다. 두 번째 달에도 1모휴다가 줄어들고, 세 번째 달에도 역시 1모휴다가 줄어든다.2월 15일이 되면 밤낮이 같아 각각 15모휴다이다. 또 16일로부터 한 달 동안 1모휴다가 줄어든다. 두 번째 날에도 1모휴다가 줄어들고, 세 번째 달에도 역시 1모휴다가 줄어든다.
5월 15일이 되면 낮이 가장 긴 18모휴다가 되고, 밤은 가장 짧은 12모휴다이다.
다시 다른 시간법이 있다. 만약 인도의 하절기의 첫째 달22) 가운데의 두 번째 반의 9일째라면 이는 6월 9일이다. 이때 낮은 가장 길어 l8모휴다이고, 밤은 가장 짧아 12모휴다이다.
9월 9일이 되면 밤낮이 같아 각각 15모휴다이다. 11월 9일이 되면 밤이 가장 긴 18모휴다가 되고, 낮은 가장 짧은 12모휴다이다. 3월 9일이 되면 밤낮이 같아 각각 15모휴다이다.이와 같이 회전해서 5년이 되면 1유가(遊伽)이다. 곧 윤달이 둘이 있다. 그 하나는 달로부터이고, 둘째는 해로부터이다. 5년 중간에 12일이 있고, 또 9일, 또 6일. 또 3일, 또 15일이 있다. 이 가운데 밤과 낮의 길고 짧음이 있다.
달은 세 가지 쓰임으로 분별된다. 첫째는 달23)을 분별하고, 둘째는 15일24)을 분별하고, 셋째는 원만(圓滿)25)을 분별한다. 해는 밤낮을 분별하고, 여름ㆍ겨울ㆍ가을의 절기를 분별하고, 때를 분별한다. 이 세 가지 쓰임은 해로부터 얻어진다.윤달에 둘이 있다고 함은, 하나는 해로부터이고, 두 번째는 달로부터이다. 이 윤달이란 달로부터 만들어진다. 네 달 동안에 두 개의 작은 달이 생긴다. 한 작은 달은 세 번째의 반 가운데이고, 두 번째 작은 달은 일곱 번째의 반 가운데이다. 1년 중에 응당 여섯 개의 작은 달이 있다. 5년 동안에 적어도 30일이 된다. 이 30일을 5년 가운데 보충해주어야 한다. 만약 작은 달을 만들지 않으면 달이 원만하게 되지 않는다.또 하나의 이 작은 달은 해로부터 만들어진다. 세간의 설명에 의하면 30모휴다로써 하루의 밤낮을 결정한다. 30모휴다를 나누어서 60분(分)으로 한다. 해의 움직임이 빠르기 때문에 59분이면 다 돌고, 1분이 남는다. 이런 일 때문에 두 달 사이에 하루가 길게 된다. 또 두 달이 되면 하루가 길게 된다. 그리고 1년이면 6일이 된다. 이와 같이 5년이 되면 한 달이 길게 된다. 이 한 달을 사용하여 5년의 중간을 보충해 주어야 한다. 이를 해가 이룬 윤달이라고 한다. 만약 윤달을 만들지 않으면 시절과 연간(年間)이 맞지 않는다.
또한 5년마다 윤달이 둘이 있다. 첫째는 3년째에 있고, 둘째는 5년째에 있다.만약 달이 염부제 가운데 있어 3개월이 지나면 서구야니에 이른다. 만약 북을 단월이라면 6개월째이고, 동불바제는 9개월째이고, 1년이 지나면 염부제로 돌아온다.
하나의 천하에는 여름ㆍ겨울ㆍ봄의 세 계절이 있다. 여름은 봄을 따라오고, 겨울은 여름을 따라오고, 봄은 겨울을 따라 온다.
동불바제의 8월 15일 자자(自恣) 때에 염부제는 5월 15일 결하(結夏)의 때이고, 서구야니는 2월 15일, 북울단월은 11월 15일이 된다.동불바제의 여름 3개월이 이미 지나가더라도 동불바제와 남염부제의 두 섬 사이에 있고, 서구야니의 봄 3개월이 아직 지나가지 않은 때는 염부제외 구야니의 두 섬 사이에 있고, 구야니의 봄 1개월이 이미 지나갔더라도 울단월의 겨울 2개월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고, 이 3개월은 구야니와 울단월의 두 섬 사이에 있고, 울단월의 겨울 2개월이 이미 지나갔더라도 불바제의 여름 1개월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고, 이 3개월은 울단월과 불바제의 두 섬 사이에 있다.
수미산왕은 4천하의 중간에 있다. 어찌하여 수미산은 4천하의 북쪽에 있다고 하는가?이는 해의 움직임에 따라 분간한 것을 말한다. 동불바제 동쪽은 염부제의 북쪽이고, 동불바제 서쪽은 남염부제의 남쪽이고, 동불바제 북쪽은 염부제의 서쪽이고, 동불바제 남쪽은 염부제의 동쪽이고, 북울단월과 서구야니도 이와 같다. 남염부제는 북울단월과 정반대이고, 동불바제는 서구야니와 정반대이다.
이 최초에 해와 달이 세속계에 내려왔을 때는 서로의 거리가 멀리 떨어졌다. 해는 동불바제의 중앙에 내려왔고, 달은 서구야니의 중앙에 내려왔다. 이때 광명이 두루 비추어져서 4천하에 가득 찼다. 해는 1천하와 반을 비추었고, 달도 천하와 반을 비추었다.만약 해가 이미 동불바제의 중앙을 지나가면 북울단월에는 이미 해가 졌고, 남염부제에는 해가 이미 나왔다. 만약 달이 이미 서구야니의 중앙을 지나가면 염부제에서는 이미 달이 졌고, 울단월에서는 이미 나왔다. 만약 보름달이 이미 북울단월의 한가운데 이르렀으면 남염부제에는 해가 이미 한가운데로 나왔다. 해가 남염부제의 중앙을 지나가면 동불바제에는 이미 해가 졌고, 서구야니에는 해가 이미 나왔다.만약 달이 이미 북울단월의 중앙을 지나가면 동불바제에는 이미 달이 나왔고, 서구야니에서는 이미 졌다. 동불바제에 만약 보름달밤이 한가운데 이르렀으면 서구야니에는 해가 한가운데이고, 해가 서구야니의 중앙을 지나가면 염부제에는 이미 해가 졌고, 울단월에는 이미 나왔다. 만약 달이 동불바제의 중앙을 지나가면 울단월에서는 이미 졌고, 염부제에서는 이미 나왔고, 염부제의 보름밤에 달이 한가운데 있을 때라면 북울단월에는 해가 한가운데이다.어찌하여 해와 달이 한 곳에서 합쳐진다고 하는가?
말하자면 해는 항상 달의 움직임을 따라간다. 하루하루 해에 서로 가까워지는 것은 4만 8천 80유순이고, 하루하루 서로 멀어지는 것도 이와 같다. 만약 서로 가까워졌을 때 하루하루 달을 덮는 것이 3과 3분의 1유순이다. 이런 작용 때문에 15일에 달은 완전히 덮이게 된다.
이를 이름하여 흑반(黑半)26) 원만이라 한다. 하루하루 달로부터 멀어지는 것도 역시 4만 8천 80유순이고, 달이 하루하루 해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3과 3분의 1유순이다. 이런 작용 때문에 15일에 달은 아주 밝은 보름이 된다. 세간에서는 이를 백반(白半)의 원만이라고 한다. 해와 달이 만약 가장 멀리 떨어져서 운행하면 이때 달은 둥글게 되고, 세간에서는 이를 백반(白半)이 원만하다고 말한다. 해와 달이 만약 한 곳에서 만나서 운행하면 세간에서는 이를 흑반(黑半)이 원만하다고 말한다.해의 지름은 7억 2만 1천 200유순이고, 둘레는 21억 6만 3천600유순이다. 염부제에 해가 떴을 때, 즉 울단월에 해가 졌을 때 동불바제는 한가운데이고, 서구야니는 한밤이다. 이 1천하의 네 때27)는 해로 말미암아 얻어진다.”
이와 같은 뜻을 부처님ㆍ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