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5697 불설입세아비담론(佛說立世阿毘曇論) 6권

by Kay/케이 2025. 3. 11.
728x90
반응형

 

 

불설입세아비담론(佛說立世阿毘曇論) 6

 

 

불설입세아비담론 제6권

진제 한역
조환기 번역

20. 운하품(云何品)
“어찌하여 밤이라 하고, 어찌하여 낮이라고 하는가? 해에서 기인한 까닭에 밤이고, 해에서 기인한 까닭에 낮이다. 욕계(欲界)란 본래의 성품이 암흑이다. 햇빛이 가리어진 까닭에 밤이라고 하고, 햇빛이 나타난 까닭에 낮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흑반(黑半)이라 하고, 어찌하여 백반(白半)이라고 하는가? 해로 말미암아 흑반이라 하고, 해로 말미암아 백반이라고 한다.
해는 항상 달의 움직임을 따라간다. 하루하루 서로 가까워지는 것도 4만 8천 80 유순이고, 날마다 서로 멀어지는 것도 이와 같다. 만약 서로 가까워졌을 때 하루하루 달을 덮는 것이 3과 3분의 1 유순이다. 이런 작용 때문에 15일에 달은 완전히 덮이게 된다. 이를 이름하여 흑반의 원만이라 한다. 하루하루 해가 달로부터 멀어지는 것도 역시 4만 8천 80 유순이고, 달이 하루하루 해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3과 3분의 1 유순이다. 이런 작용 때문에 15일에는 아주 자주 보름달이 된다. 세간에서는 이를 백반(白半)의 원만이라고 한다.해와 달이 만약 가장 멀리 떨어져서 운행하면 이때 달은 둥글게 되고, 세간에서는 이를 백반이 원만하다고 말한다. 해와 달이 만약 한 곳에서 만나서 운행하면 세간에서는 이를 흑반(黑半)이 원만하다고 말한다.
만약 해가 달의 뒤를 따라 운행하면 햇빛이 달빛을 비춘다. 달빛이 매끄럽지 못한 까닭에 빛에 쏘여서 그림자가 생긴다. 이 달그림자는 스스로 달을 가리는 원을 이룬다.
이런 까닭에 달의 뒷부분을 보면 둥글지 않다. 이런 작용 때문에 점점 가리어져서 15일이 되면 해는 달을 모두 다 가리게 된다. 해가 달의 뒤를 따라 운행할 때를 흑반이라고 한다.만약 해가 달 앞에서 운행하면 날마다 점점 밝아지는 것도 이와 같아서 15일이 되면 모두 원만해진다. 해가 달의 앞에서 운행할 때를 백반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겨울을 혜만다(醯曼多)1)라고 하는가? 이때는 눈이 내리고 춥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겨울을 혜만다라고 한다. 세간에서는 이런 자성을 혜만다라고 이름한다.
어찌하여 봄을 금하(禽河)2)라고 하는가? 이때는 햇빛이 비추어 따뜻한 때이고, 바로 따뜻한 때이고, 바로 목마른 때이다. 이런 까닭에 봄을 금하라고 한다. 세간에서는 이런 자성을 금하라고 이름한다.어찌하여 여름을 발사(跋娑)3)라고 하는가? 이때는 비가 내리는 때이고, 비가 오려고 하는 때이고, 이는 연초(年初)이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여름을 발사라고 한다. 세간에서는 이런 자성을 발사라고 이름한다.
어찌하여 겨울은 춥고, 어찌하여 봄은 따뜻하고 여름은 춥거나, 따뜻하다고 하는가?
이 겨울은 수계(水界)가 가장 길어서 아직 감소하여 다 없어지지 않은 때이고, 풀과 나무가 습기로 말미암아 아직 메마르지 않은 때라서 지대(地大)는 축축하고, 화대(火大)는 아래로 내려가고, 수기(水氣)가 상승한다. 어떻게 아는가 하면 깊은 물이 가장 따뜻하고, 얕은 물이 차갑기 때문이다. 추운 계절이 되면 해는 외로(外路)를 따라 움직이고, 따뜻하게 비추어주는 시간이 짧다. 따뜻한 기운이 몸 안에 있어 음식의 소화가 빠르다. 이런 작용으로 겨울에는 춥다.어찌하여 봄에는 따뜻한가?
이 금하(禽河)는 수계가 길어서 이미 감소하여 다 없어진 때이고, 이때에는 풀과 나무가 메마르고 땅은 이미 메말라서 수기가 아래로 내려가고, 화대는 상승한다. 어떻게 아는가 하면 깊은 물이 차갑고, 얕은 물이 따뜻하기 때문이다. 겨울에 해가 이미 내로(內路)를 따라 움직여서 따뜻하게 비추어주는 시간이 길다. 몸 안에 따뜻함이 가득 차는 까닭에 봄에는 따뜻하다.
어찌하여 여름은 춥거나 따뜻하다고 하는가?
이 대지는 8월의 해 가운데서4) 항상 따뜻하다. 큰 구름이 비를 내려 씻어내므로 지기(地氣)는 증발한다. 만약 바람이 불 때면 증기가 사라져서 이때는 춥다. 만약 바람이 불지 않으면 이때는 따뜻하다. 이런 까닭에 여름에는 춥거나 따뜻하다.어찌하여 지옥을 니리야(泥犂耶)5)라고 이름하는가?6) 즐거움이 없기 때문이고, 기쁨이 없기 때문이고,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고, 복덕(福德)이 없기 때문이다. 업(業)을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가운데 태어난다. 다시 설명하면 이 도(道)는 욕계 중에서 가장 아래에 두어 이름을 비도(非道)라고 한다. 이러한 사연 때문에 지옥을 니리야라고 이름한다.
어찌하여 짐승을 이름하여 디율거(底栗車)7)라고 하는가? 아첨한 업8)으로 그 가운데서 태어난다. 다시 설명하면 이 도와 중생은 많은 몸을 거쳐서 행동하기 때문에 디율거라고 이름한다.어찌하여 귀신의 도를 이름하여 섬다(閃多)9)라고 하는가? 염마라(閻摩羅)10)왕의 이름을 섬다라고 하기 때문이다. 그곳에 태어난 중생과 왕이 동류이기 때문에 섬다라고 이름한다. 다시 설명하면 이 도는 나머지 도와 왕래하여 선악이 서로 통하기 때문에 섬다라고 이름한다.
어찌하여 아수라(阿脩羅)의 도를 이름하여 아수라라고 하는가? 선함을 능히 참지 못하고, 능히 마음을 하나로 모으고 뜻을 낮추어 좋은 말을 잘 듣지 않고, 갖가지 교화에도 그 마음이 변함이 없다. 교만하기 때문에 선한 인종도 아니고, 또 천신도 아니기 때문에 아수라라고 한다.어찌하여 천도(天道)를 이름하여 제바(提婆)11)라고 하는가? 제바란 말은 선행(善行)의 이름이다. 선행으로 인하여 이 도 가운데 태어난다. 다시 설명하면 제바란 광명을 말한다. 항상 광명이 있기 때문이다. 또 제바란 성도(聖道)라고도 한다. 또 제바는 마땅히 모든 선업을 닦고, 선업을 기른다. 이런 까닭에 제바라고 한다.
어찌하여 사람의 도[人道]를 마토사(摩菟沙)12)라고 이름하는가? 첫째는 총명하기 때문이고, 둘째는 뛰어나기 때문이고, 셋째는 뜻[意]이 미세하기 때문이고, 넷째는 바른 깨달음 때문이고, 다섯째는 지혜가 늘어나기 때문이고, 여섯째는 능히 참과 거짓을 분별하기 때문이고, 일곱째는 성도(聖道)의 바른 그릇이기 때문이고, 여덟째는 총명한 지혜의 업으로 태어난 바이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사람의 도를 마토사라고 설한다.어찌하여 이 땅의 이름을 염부제라고 하는가? 염부나무 때문에 이 이름을 얻었다.
어찌하여 서구야니라고 이름하는가? 이 땅은 염부제의 서쪽에 있기 때문이며 생산과 무역에 모두 소를 이용하는데 소는 구야니(瞿耶尼)라고 하기 때문에 이 땅의 이름을 서구야니라고 한다.
어찌하여 동비제하(東毘提訶)라고 이름하는가? 이 땅은 염부제의 동쪽에 있기 때문이며, 형상이 가히 아름답고 이익과 자라남이 수승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땅의 이름을 동비제하라고 한다.어찌하여 북울단월이라고 이름하는가? 이 땅은 염부제의 북쪽에 있기 때문이며, 심성이 곧고 선하기 때문이다. 또한 더욱 수승하기 때문이며, 모든 재화가 다른 곳보다 뛰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땅의 이름을 북울단월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1천의 이름을 대왕천(大王天), 제두타(提頭吒) 등이라고 하는가? 4대천왕이 이 가운데서 더욱 위가 되고, 으뜸이 되기 때문이다.
어찌하여 제2천의 이름을 도리천(忉利天)이라고 하는가? 33천왕이 이 가운데서 제왕의 주(主)가 된다. 왕위는 자유자재하기 때문에 도리천이라고 말한다.어찌하여 제3천의 이름을 야마(夜摩)13)라고 하는가? 밤에 분분(分分)마다 지날 때에 말하기를, ‘아하, 환락을 가히 생각할 수도 없구나’라고 말한다. 따라서 야마라고 이름한다.
어찌하여 제4천의 이름을 도솔타(兜率陁)14)라고 하는가? 환락에는 포만하고, 그 자양분에 있어서는 스스로 만족할 줄을 알지만, 8성도(聖道)에 있어서는 만족함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도솔타천이라 한다.
어찌하여 제5천의 이름을 유마라닐(維摩羅昵)15)이라고 하는가? 이 가운데서 모든 천들은 마음대로 궁전ㆍ정원ㆍ숲 등의 모든 놀이도구를 만들어내고, 그 가운데서 즐거움을 받기 때문에 유마라닐이라고 한다.어찌하여 제6천의 이름을 파라유마바사(波羅維摩婆奢)16)라고 하는가? 다른 천이 만든 궁전ㆍ정원ㆍ숲 등의 모든 놀이기구를 그 가운데서 자유자재하게 헤아려서 ‘이는 나의 것이니 여기서 즐기자’고 한다. 그러므로 파라유마바사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1범(梵)을 범선행(梵先行)17)이라고 하는가? 만약 사람이 욕계로부터 색계(色界) 이전에 들어가면 이곳에 이르기 때문에 범선행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2범을 범중(梵衆)18)이라고 하는가? 대범왕의 권속이 많기 때문에 범중이라고 한다.어찌하여 제3범을 대범(大梵)19)이라고 하는가? 가장 뛰어난 초선(初禪) 가운데서 지은 업으로 태어나기 때문이고, 자유자재하여 다른 것에 걸리지 않기 때문이며, 능히 다른 일을 관(觀)하여 분별하기 때문이며, 이미 일어난 일과 앞으로 생길 일을 짓는 주체20)가 되기 때문에 대범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2선(禪)의 처음 천을 소광(少光)21)이라고 하는가? 말할 때에 입에서 나오는 빛이 적기 때문에 소광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2천을 무량광(無量光)22)이라고 하는가? 이 모든 천 등은 말할 때에 입에서 한량없는 빛이 나오기 때문에 무량광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2선의 제3범을 변승광(遍勝光)23)이라고 하는가? 이 모든 천 등은 말할 때에 입에서 나오는 빛이 모든 곳에 두루 비치고, 원만하여 비치지 않는 곳이 없기 때문에 변승광이라고 한다.어찌하여 제3선(禪)의 처음 천을 소정(少淨)24)이라고 하는가? 이 가운데 모든 천이 받는 즐거움이 적고, 제3선과 상응하는 적정(寂靜)의 애락을 받음이 적기 때문에 소정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2천을 무량정(無量淨)25)이라고 하는가? 이 가운데 모든 천 등은 제3선과 상응하는 적정(寂靜)의 애락을 받음이 앞의 천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무량정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3천을 변정(遍淨)26)이라고 하는가? 이 가운데 즐거움을 받음이 두루 원만하여 몸과 마음이 다하여 남음이 없고, 이 제3선과 상응하는 적정(寂靜)의 애락을 모든 천이 받기 때문에 변정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4선(禪)의 처음 천을 무운(無雲)27)이라고 하는가? 괴로움과 즐거움이 이전에 다 없어졌기 때문이고, 앞에서 방편의 근심과 기쁨이 다 사라졌기 때문이고, 이 사수(捨受)28) 가운데서 지혜와 생각이 청정하였기 때문이고, 이 가운데 모든 천이 이 사수(捨受)를 받기 때문에 무운이라고 한다.어찌하여 제2천을 생복(生福)29)이라고 하는가? 복이란 지혜ㆍ생각ㆍ사수(捨受) 등과 상응하는 모든 선정으로부터 생겨난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선정에서 생겨난 것을 받아쓰는 까닭에 생복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3천을 광과(廣果)30)라고 하는가? 광이란 대용과(大容果)의 능력 및 과보로 생겨난 것이고, 이 둘은 선정과 지혜 및 이욕(離欲)에 의지하는 것에 포섭된다. 그러므로 광과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4천을 무상천(無想天)31)이라고 하는가? 이 가운데 모든 천은 상(想)이 없기 때문이다. 무엇을 상이라고 하는가? 전체와 개별의 두 상이 있어 각각 다른 과보를 낳는데 이 중에는 없기 때문이다. 오직 색음(色陰) 및 불상응행음(不相應行陰)만이 있기 때문에 무상천이라고 한다.어찌하여 나함천(那含天)32)이라고 하는가?
첫째는 선현(善現)33)이라고 한다. 옛날 인지(因地)34)에 있을 때 진리와 잘못된 뜻을 볼 수 있었고, 받아들일 수 있었고, 이해할 수도 있었기 때문에 선현이라고 한다.
둘째는 선견(善見)35)이라고 한다. 옛날 인지(因地)에 있을 때 수명이 늘어나 네 곳의 땅에서 나는 재물 및 생산품과 이익이 되는 일을 잘 수호하여 그 가운데서 정견(正見)을 낳아 재물 등을 없애지도 가지지도 않는다. 앞의 선현 및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선견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3천을 불번(不煩)36)이라고 하는가? 옛날 인지(因地)에 있을 때 다른 이를 괴롭히지도 않고, 생각을 방해하지도 않고, 생각을 서로 핍박하지도 않았다. 앞의 선현 및 이 업으로 연유한 까닭에 불번이라고 한다.어찌하여 제4천을 불소(不燒)37)라고 하는가? 이 가운데 모든 천이 옛날 인지에 있을 때 자신을 태우지 않고, 몸을 괴롭히지도 않고, 다른 이를 태우지도 않고 괴롭히지도 않고, 자신과 타인이 함께 즐거운 삶에 속히 통달하기 때문이다. 앞의 선현 및 이 업으로 연유한 까닭에 불소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5천을 아가니타(阿迦尼吒)38)라고 하는가? 가니타(迦尼吒)39)란 하품(下品)을 말한다. 앞의 17지(地)40)를 이미 지나왔기 때문이다. 또한 하품으로부터 구경천(究竟天)에 이르기까지 이 가운데서 반열반을 얻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천은 아가니타라고 이름한다.어찌하여 무색계(無色界)의 제1천을 공무변입(空無邊入)41)이라고 하는가? 허공이란 만들어진 것도 아니고, 유위(有爲)도 아니고, 막아둘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장애의 모습과 갖가지 모습 있음을 넘어 한 생각에 마음이 반연(攀緣)하기 때문에 둘도 없고, 분별도 없다. 이 허공의 업으로 인하여 생겨나기 때문에 공무변입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2천을 식무변입천(識無邊入天)42)이라고 하는가? 식이란 제6의식(意識)을 말한다. 이 식은 안43)에 있으므로 밖의 허공보다 미세하다. 장애의 모습을 넘고 바깥의 모습을 넘어 한 생각에 마음이 반연(攀緣)하기 때문에 둘도 없고, 분별도 없다. 이 식의 업으로 인하여 생겨나기 때문에 식무변입이라고 한다.어찌하여 제3천을 무소유입천(無所有入天)44)이라고 하는가? 무소유란 앞의 두 가지 거친 모습[麤相]을 제거한 것이다. 이 두 가지 바깥 모습을 떠나 따로 대상이 없고, 내상(內相)과 외상(外相)을 넘어 한 생각에 마음이 반연하기 때문에 둘도 없고, 분별도 없다. 이 마음의 업으로 인하여 생겨나기 때문에 무소유입이라고 한다.
어찌하여 제4천을 비상비비상입천(非想非非想入天)45)이라고 하는가? 비상(非想)이란 미세하기 때문에 앞의 7선정46)이 아니므로 비상이라고 말한다. 비비상(非非想)이란 만약 무상정(無想定) 및 무심정(無心定)47)의 경우라면 이와 같은 두 선정은 무상정이다. 모두 마음이 없기 때문이다. 지금은 마음이 있으므로 비비상정이라고 한다. 이 선정의 업으로 인하여 태어나기 때문에 비상비비상입(非想非非想入)이라고 한다.염부제로부터 2만 유순 아래에 무간(無間)대지옥이 있다. 염부제로부터 1만유순 아래에 야마세간(夜摩世間)대지옥이 있다. 이 두 지옥 중간에 나머지 지옥이 있다.
염부제(剡浮提)로부터 4만 유순 위에 4대천왕천이 있다. 염부제로부터 8만 유순 위에 33천이 머무는 곳이 있다. 염부제로부터 16만 유순 위에 야마천(夜摩天)이 머무는 곳이 있다. 염부제로부터 3억 2만 유순 위에 도솔타천(兜率陁天)이 머무는 곳이 있다. 염부제로부터 6억 4만 유순 위에 화락천(化樂天)이 머무는 곳이 있다. 염부제로부터 12억 8만 유순 위에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이 머무는 곳이 있다.”어떤 비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염부제로부터 범처(梵處)까지 거리는 얼마나 됩니까?”
부처님께서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염부제로부터 범처까지의 진리는 아주 멀며, 서로 다르고 서로 떨어져 있다. 비구여, 가령 9월 15일 달이 보름일 때 만약 어떤 사람이 저 범처에서 사방이 100장(丈)인 돌을 하계로 떨어뜨리면 중간에 걸리지 않고 다음해 9월 보름에 염부제에 도달한다. 범처에서 염부제까지의 거리는 이와 같다.범처(梵處)에서 소광천(少光天)까지는 앞의 두 배이고, 소광천에서 무량광천(無量光天)까지는 다시 두 배이고, 변승광천(遍勝光天)에서 소정천(少淨天)까지는 다시 두 배이고, 소정천에서 무량광천까지는 다시 두 배이고, 무량광천에서 변정천까지는 다시 두 배이고, 변정천에서 무운천(無雲天)까지는 다시 두 배이고, 무운천에서 생복천(生福天)까지는 다시 두 배이고, 생복천에서 광과천(廣果天)까지는 다시 두 배이고, 광과천에서 무상천(無想天)까지는 다시 두 배이고, 무상천에서 선현천(善現天)까지는 다시 두 배이고, 선현천에서 선견천(善見天)까지는 다시 두 배이고, 선견천에서 불번천(不煩天)까지는 다시 두 배이고, 불번천에서 불소천(不燒天)까지는 다시 두 배이고, 불소천에서 아가니타천(阿迦尼咤天)까지는 다시 두 배이다.”
게송으로 다시 말씀하셨다.
아가니타에서
염부제까지
커다란 돌을 떨어뜨리면
중간에 걸림이 없더라도
6만 5천이 지나고
535년이 더 지나야
비로소 염부제에 도달하네.
“염부제(剡浮提)의 사람이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산과 벽과 울타리 속을 걸림없이 출입하기가 불가능해진다. 염부제의 사람이 만약 돌아다닌다면 다만 대ㆍ소흑산까지만 도달할 수 있다.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功力)들을 잃어버리면 능히 이것을 넘어설 수 없다.
서구야니(西瞿耶尼)의 사람이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산과 벽과 울타리 속을 걸림없이 출입하기가 불가능해진다. 만약 돌아다닌다면 다만 그 밖의 땅 끝 해안가까지만 도달할 수 있다.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능히 이것을 넘어설 수 없다.동불바제(東弗婆提)의 사람이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산과 벽과 울타리 속을 걸림없이 출입하기가 불가능해진다. 만약 돌아다닌다면 다만 그 밖의 땅 끝 해안가까지만 도달할 수 있다.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능히 이것을 넘어설 수 없다.
북울단월(北鬱單越)의 사람이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산과 벽과 울타리 속을 걸림없이 출입하기가 불가능해진다. 만약 돌아다닌다면 다만 그 밖의 산 안쪽까지만 도달할 수 있다.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능히 이것을 넘어설 수 없다.사천왕(四天王)이 자신의 궁전에서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산과 벽과 울타리 속을 걸림없이 출입하기가 불가능해진다. 만약 돌아다닌다면 다만 철위산(鐵圍山) 안쪽까지만 도달할 수 있다.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능히 이것을 넘어설 수 없다.
도리천(忉利天)의 모든 천들이 자신의 궁전에서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산과 벽과 울타리 속을 걸림없이 출입하기가 불가능해진다. 만약 돌아다닌다면 다만 철위산 변까지만 도달할 수 있다.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능히 이것을 넘어설 수 없다.야마ㆍ도솔타천ㆍ화락천ㆍ타화자재천 및 범중천의 모든 천이 자신의 궁전에서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산ㆍ벽ㆍ울타리 속을 걸림없이 출입하기가 불가능해진다. 만약 돌아다닌다면 다만 그 한 세계까지만 도달할 수 있다.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능히 이것을 넘어설 수 없다.
대범왕천(大梵王天)이 자신의 궁전에서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산과 벽과 울타리 속을 걸림없이 출입하기가 불가능해진다. 만약 돌아다닌다면 다만 그 1천 세계 안에만 있을 수 있다.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능히 이것을 넘어설 수 없다.제2선에서 아가니타천(阿迦尼咤天)까지는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만약 돌아다닌다면 다만 그 1천 세계 안에만 있을 수 있다.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능히 이것을 넘어설 수 없다.
대지옥 가운데는 대옥졸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염라처(閻羅處) 지옥에서는 염라왕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모든 짐승 및 물의 나찰(羅刹)48)에서는 바루나(婆婁那)49)왕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모든 뱀과 용 등은 바수길(婆修吉)용왕50)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모든 큰 용들은 마나사(摩那思)51)용왕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모든 코끼리와 용 등은 누사기리(婁闍耆利) 코끼리왕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모든 하늘을 나는 새 등은 가루라(迦婁羅)를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모든 네 발 달린 짐승들은 사자를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모든 귀신도는 귀존왕(鬼尊王)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모든 아수라 등은 4아수라왕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첫째는 나후(羅睺)52)이고, 둘째는 바라타(波羅陁)이고, 셋째는 비마질다(毘摩質多)53)이고, 넷째는 파리비로자(婆利毘盧遮)54)이다.
염부제 가운데서는 전륜왕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어떤 곳에서도 왕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나라에서는 존경받는 노인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어떤 때는 마치 겁의 처음에 세워진 것처럼 왕이 없다.
서구야니에서도 전륜왕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나라에서는 존경받는 노인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어떤 때는 마치 겁의 처음에 세워진 것처럼 왕이 없다.
동불바제 가운데서도 전륜왕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나라에서는 존경받는 노인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어떤 때는 마치 겁의 처음에 세워진 것처럼 왕이 없다
북울단월에서도 전륜왕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나라에서는 존경 받는 노인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어떤 때는 왕이 없다.
4천왕처에서는 4대천왕으로 왕을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도리천(忉利天)에서는 33천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야마천(夜摩天)에서는 수야마왕(脩夜摩王)55)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도솔타천(兜率陁天)에서는 선족의왕(善足意王)56)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화락천(化樂天)에서는 선화왕(善化王)57)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에서는 영자재왕(令自在王)58)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모든 욕계(欲界)에서는 악마왕(惡魔王)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1천 세계에서는 대범왕(大梵王)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
세간 및 모든 천ㆍ마왕이 있는 곳ㆍ대범처ㆍ사문ㆍ바라문 및 인간ㆍ천상에서는 여래(如來) 아라가(阿羅訶) 삼먁삼불타(三藐三佛陁)59)의 법을 왕으로 삼아 부귀가 자유자재하다.만약 염부제의 아이가 태어난 지 4개월이 되면 서구야니의 갓 태어난 아이의 크기와 같다. 동불바제의 갓 태어난 아이는 염부제의 5개월 된 아기의 크기와 같다.
만약 염부제의 아이가 태어난 지 6개월이 되면 북울단월의 갓 태어난 아이의 크기와 같다. 염부제의 아이가 태어난 지 여섯 살이 되면 4천왕처의 갓 태어난 아이의 크기와 같다. 낳은 지 7일이 되면 부모와 같은 크기가 된다.
만약 염부제의 아이가 태어난 지 일곱 살이 되면 도리천의 갓 태어난 아이의 크기와 같다. 낳은 지 7일이 되면 부모와 같은 크기가 된다.
만약 염부제의 아이가 태어난 지 여덟 살이 되면 야마천의 갓 태어난 아이의 크기와 같다. 낳은 지 7일이 되면 성인과 같은 크기가 된다.만약 염부제의 아이가 태어난 지 아홉 살이 되면 도솔타천의 갓 태어난 아이의 크기와 같다. 낳은 지 7일이 되면 성인과 같은 크기가 된다.
화락천에서 아가니타천까지는 그 모습이 생기자마자 갖추어진다고 말해진다.
염부제의 1심(尋)60) 반은 서구야니의 1심이고, 서구야니의 1심 반은 동불바제의 1심이고, 동불바제의 1심 반은 북울단월의 1심이다.
4천왕천의 1가부지(伽浮地)는 이 1유순의 4분의 1이다. 사천왕의 몸의 길이는 2가부지, 도리천의 모든 천의 길이는 반 유순, 제석의 몸의 길이는 3가부지, 야마천의 모든 천의 길이는 1 유순, 도솔타천의 길이는 2유순, 화락천의 모든 천의 길이는 4 유순, 타화자재천의 길이는 8유순, 모든 색계는 아가니타천에 이르기까지 모두 12유순이다.염부제로부터 아가니타천까지 몸길이는 4주(肘)까지 늘어난다.
염부제 중생의 몸 색깔은 갖가지로 같지 않다. 백색의 사람은 야바나(夜婆那)61)ㆍ파리가지나(婆利柯止那) 등의 나라와 같고, 검은 색의 사람은 발바라(跋婆羅)ㆍ검포사(劍蒱闍)62) 등의 나라와 같고, 파란 색의 사람은 다미라(陁眉羅)63)ㆍ신하라(辛訶羅)64) 등의 나라와 같고, 적백색의 사람은 수타아비라(首陁阿毘羅) 등의 나라와 같고, 노란 색의 사람은 기라다(基羅多) 및 계빈(罽賓)65) 등의 나라와 같다.
동불바제와 서구야니는 검은 색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염부제와 같고, 북울단월의 모든 인민은 다 희고 깨끗하다.4천왕천은 네 종류의 색이 있다. 즉 감청색ㆍ적색ㆍ황색ㆍ백색이다. 욕계의 모든 천의 색깔도 이와 같다.
어찌하여 모든 천의 색깔에 네 종류가 있는가?
처음 태어날 때 만약 감청색 꽃의 몸을 보면 감색을 얻는다. 나머지 색도 이와 같다.
염부제 사람들의 옷은 가파파의(迦波婆衣)66)ㆍ추마의(芻摩衣)67)ㆍ교사야의(憍奢耶衣)68)ㆍ털옷ㆍ모시옷ㆍ삼베옷ㆍ풀옷ㆍ나무껍질옷ㆍ짐승껍질옷ㆍ나무판자옷ㆍ겁파(劫波)나무 열매옷69)이 있다. 서구야니 사람들의 옷은 가파파의ㆍ추마의ㆍ교사야의ㆍ털옷ㆍ모시옷ㆍ삼베옷ㆍ풀옷ㆍ나무껍질옷ㆍ짐승껍질옷ㆍ나무판자옷ㆍ겁파나무 열매옷이 있다.동불바제 사람들의 옷은 가파파의ㆍ추마의ㆍ교사야의ㆍ털옷ㆍ모시옷ㆍ삼베옷이 있다. 울단월 사람들의 옷은 겁파나무 열매옷이 있다. 길이는 20주(肘)이고, 너비는 10주이고, 무게는 1파라(波羅)70)이다.
사천왕도 역시 겁파옷을 입는다. 길이는 40주이고, 너비는 20주이고, 무게는 반 파라이다. 도리천의 모든 천도 역시 겁파옷을 입는다. 길이는 80주이고, 너비는 40주이고, 무게는 1파라의 4분의 1이다.
야마천도 역시 겁파옷을 입는다. 길이는 160주이고, 너비는 80주이고, 무게는 1파라의 8분의 1이다.
도솔타천도 역시 겁파옷을 입는다. 길이는 320주이고, 너비는 160주이고, 무게는 1파라의 16분의 1이다.화락천부터 타화자재천까지 입는 옷은 마음대로 커지고 작아진다. 가볍고 무거움도 이와 같다.
염부제의 사람이 입는 옷과 장엄은 갖가지이며 같지 않다. 어떤 때는 긴 머리를 둘로 나누어 묶고, 어떤 때는 머리와 수염을 모두 깎고, 어떤 때는 머리꼭대기에 한 묶음의 상투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모두 깎는다. 이를 주라계(周羅髻)71)라고 한다.
혹은 머리카락과 수염을 모두 뽑고, 혹은 머리도 자르고, 수염도 자른다. 혹은 머리카락을 묶기도 하고, 혹은 머리카락을 덮어씌운다. 혹은 앞머리카락은 자르고 뒷부분은 둥근 모자로 덮어씌운다. 혹은 벌거벗고 다니는 모습도 있고, 혹은 옷을 입는데 위는 덮고 아래는 노출하기도 하고, 위를 노출하고 아래를 덮기도 한다. 혹은 위아래를 모두 덮기도 하고, 혹은 앞뒤만을 가리기도 한다.서구야니의 사람들이 장엄한 것은 머리털을 덮고, 위아래에 옷을 입어 마치 수타아비라국(首陁阿毘羅國) 사람들과 같다.
동불바제 사림들의 머리 장엄은 앞은 깎고 뒤는 덮고, 위아래로 나뉜 옷에서 하의만 입고 상의는 몸을 감싼다. 마치 앙가(央伽)72)ㆍ마가다(摩伽陁)73)국의 장엄과 같다.
북울단월 사람들의 머리 장엄은 머리카락과 수염 끝을 검게 해서 항상 체라(剃羅)와 같다. 5일이 지나면 머리카락은 자연히 자라서 옆으로 일곱 손가락 마디만큼이며 늘어나거나 줄지 않는다.4천왕천의 머리 장엄은 갖가지이며 같지 않다. 어떤 때는 긴 머리를 둘로 나누어 묶고, 어떤 때는 머리와 수염을 모두 깎고, 어떤 때는 머리꼭대기에 한 묶음의 상투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모두 깎는다. 이를 주라계라고 한다.
혹은 머리카락과 수염을 모두 뽑고, 혹은 머리도 자르고, 수염도 자른다. 혹은 머리카락을 묶기도 하고, 혹은 머리카락을 덮어씌운다. 혹은 앞머리카락은 자르고 뒷부분은 둥근 모자로 덮어씌운다. 혹은 벌거벗고 다니는 모습도 있고, 혹은 옷을 입는데 위는 덮고 아래는 노출하기도 하고, 위를 노출하고 아래를 덮기도 한다. 혹은 위아래를 모두 덮기도 하고, 혹은 앞뒤만을 가리기도 한다.욕계 모든 천의 장엄도 이와 같다. 색계의 모든 천은 옷을 입지 않아도 입은 것과 다름이 없다. 머리는 비록 상투가 없더라도 마치 천자의 왕관과 같고, 남녀의 모습을 떠나서 형태는 오직 한 가지뿐이다.
염부제의 사람들은 멥쌀밥ㆍ보리밥ㆍ보릿가루ㆍ고기ㆍ물고기를 먹는다. 미세한 거다니(佉陁尼)ㆍ뿌리 거다니ㆍ과자 거다니를 먹는다.
서구야니의 사람들은 멥쌀밥ㆍ보리밥ㆍ보리가루ㆍ고기ㆍ물고기를 먹는다. 미세한 거다니ㆍ뿌리 거나니ㆍ과자 거다니를 먹는다. 우유와 진한 우유가 이 중에 가장 많다.동불바제의 사람들은 멥쌀밥과 보리밥 및 보릿가루ㆍ고기ㆍ물고기를 먹는다. 미세한 거다니ㆍ뿌리 거다니ㆍ과자 거다니를 먹는다. 사리(奢利)74) 멥쌀밥이 가장 풍요롭다.
북울단월의 사람들은 오직 사리 멥쌀밥만을 먹는다. 스스로 종자를 만들지도 않고, 쭉정이도 없고, 잘게 부서진 것도 없다. 또한 당분도 없고, 저절로 청정한 쌀로 색깔과 항기ㆍ맛ㆍ촉감이 아주 좋다. 마치 최상의 꿀처럼 그 맛이 달고 감미롭다.
그 가운데 나무가 있어 이름을 돈치지라(敦治枳羅)라고 한다. 그 나무의 열매는 생김새가 마치 가마솥 같고, 홉사 국자 같다. 만약 사람들이 먹고자 하여 그 열매를 잡으면 물이 가득 찬다.또한 다시 수제(樹提)라는 이름의 다른 돌이 있다. 이 열매를 가지고 돌 위에 놓으면 돌에서 저절로 불이 피어오른다. 이 사람이 사리쌀을 가지고 그릇 가운데 옮겨 놓으면 애써서 양을 재지 않아도 저절로 그릇이 측량한다. 밥이 익으면 돌이 저절로 차가워진다. 거듭 앞의 국자를 사용하여 순서대로 저장한다. 만약 다른 사람들이 와서 먹고자 한다면 마음대로 음식을 먹어도 된다. ‘저 사람이 나에게 보시를 행하여 이 음식을 주었다’고 생각하지도 않고, ‘나는 이제 저 사람에게 보시를 행하였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만약 식사를 마쳤을 때는 그것을 던져버리고, 나머지 그릇과 남은 음식 등은 땅이 갈라져서 받아들이고 다 받으면 다시 합쳐진다.4천왕천도 역시 수타미를 먹는다. 아침에는 1촬(撮)75)을 먹고, 저녁에도 1촬을 먹는다. 먹은 것이 몸에 들어가면 몸의 부분으로 바뀐다. 이 수타미는 정원ㆍ숲ㆍ연못에서 자연히 자란다. 이 수다미도 역시 화작(化作)한다.
거다니(佉陁尼) 등의 여덟 가지 음식은 욕계의 모든 천들도 이와 같이 먹는다. 색계의 모든 천은 초선(初禪)에서부터 변정천에 이르기까지는 기쁨으로써 음식을 삼는다. 더 위의 모든 천은 의업(意業)으로써 음식을 삼는다.
염부제의 사람들은 재물이 되는 것을 널리 교환하고, 혹은 생산된 금ㆍ은ㆍ쌀ㆍ곡식ㆍ갖가지 물건ㆍ진주ㆍ마니ㆍ갖가지 보석과 혹은 중생을 잡아서 무역한다.서구야니의 사람들은 재화의 교환에 오직 소[牛]만 사용한다.
동불바제의 사람들은 무역할 때 쌀과 곡식만을 바꾼다.
북울단월 사람들은 무역을 하지 않는다.
4천왕천은 재물이 되는 것을 널리 교환하고, 혹은 생산된 금ㆍ은ㆍ쌀ㆍ곡식ㆍ갖가지 물건ㆍ진주ㆍ마니ㆍ갖가지 보석과 혹은 중생을 잡아서 무역한다. 모든 욕계의 모든 천들도 이와 같다. 색계는 무역하지 않는 것이 북울단월과 같다.
염부제의 사람들은 혹은 스스로 살생을 하고, 혹은 타인으로 하여금 살생하게 하여 고기를 먹는다. 서구야니도 역시 이와 같다. 동불바제의 사람들은 스스로 살생하지도 않고, 다른 사람을 시켜서 죽이지도 않는다. 만약 죽은 것이 있으면 그 고기를 먹는다. 북울단월은 자신이 죽이지도 않고, 남을 시켜 죽이게 하지도 않고, 고기도 먹지 않는다.4천왕천은 스스로 살생을 하거나, 혹은 타인으로 하여금 살생하게 하지 않으며 고기도 먹지 않는다. 도리천의 모든 천도 스스로 살생하지도 않고, 다른 사람을 시켜서 죽이지도 않고, 고기도 먹지 않는다. 야마천부터 아가니타천까지는 자신이 죽이지도 않고, 남을 시켜 죽이게 하지도 않고, 고기도 먹지 않는다.
염부제의 사람들은 권속(眷屬)들이 죽으면 시신을 산 속으로 가져가 태워서 버리기도 하고, 혹은 물속에 버리기도 하고, 혹은 땅 속에 묻기도 하고, 혹은 공중에 걸어 놓기도 한다. 서구야니와 동불바제도 역시 이와 같다. 북울단월의 사람들은 권속이 죽으면 상여로 보내지도 않고, 태우지도 않고, 버리지도 않는다. 새가 시신을 산 밖으로 가져가서 시신을 쪼아 먹게 한다.4천왕천은 그 권속이 죽으면 상여로 보내지도 않고, 태우지도 않고, 버리지도 않는다. 빛이 사라지듯이 시신과 뼈가 남지 않는다. 그 이상의 모든 천들도 이와 같다.
염부제 가운데 다섯 종류의 나무가 있다. 금나무ㆍ은나무ㆍ파리가나무ㆍ유리 나무ㆍ가리다(呵利多)76)나무이다. 서구야니와 동불바제도 이와 같다. 북울단월에는 오직 가리다나무만 있고, 나머지 네 나무는 없다
4천왕천에도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다섯 종류의 보석 나무가 있다. 모든 욕계의 천에도 마찬가지로 다섯 종류의 나무가 있다. 색계천 가운데에는 모든 나무가 없다.염부제 가운데 다섯 종류의 꽃이 있다. 금ㆍ은ㆍ파리가ㆍ유리ㆍ가리다이다. 서구야니와 동불바제도 이와 같다. 북울단월에는 산다나(散多那)77)란 나무가 있다. 그 꽃은 모두 가리다보석이다.
4천왕천에도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다섯 종류의 꽃이 있다. 모든 욕계의 천에도 마찬가지이고, 색계천 가운데에는 모두 없다.
염부제 가운데 전당(殿堂)이 있다. 금ㆍ은ㆍ파리가ㆍ유리ㆍ가리다로 이루어졌다. 나무로 된 전당도 있고, 혹 돌집과 흙집도 있다. 서구야니도 이와 같다. 동불바제에는 금전당만 있고, 나머지의 집들은 없다. 북울단월에는 만수사(曼殊沙)78)란 이름의 나무가 있다. 마치 높고 커다란 궁전처럼 잎들이 서로 가리고 있어 바람과 이슬이 들어오지 않는다. 모든 사람들이 사는 집으로 삼는다.4천왕천에 다섯 종류의 전당이 있다. 금ㆍ은ㆍ유리ㆍ파리가ㆍ가리다로 만들어진 궁전이다. 모든 욕계의 천에도 마찬가지이다. 색계천 가운데에는 모든 전당이 모두 흰색 보석으로 만들어졌다. 이 가운데 모든 천이 옛날 인지(因地)에 있을 때 도량이 좁고, 인색한 마음으로 보시를 행하면서 과보를 바랐다. 지금 과지(果地)79)에서 얻은 궁전은 빛과 색깔이 어두워서 맑고 깨끗하지 못하다. 만약 이 모든 천이 옛날 인지에 있을 때 도량이 좁지 않고, 인색하지 않은 마음으로 보시를 행하면서 미래에 과보를 바라지 않고, ‘나는 있고, 그대는 없고, 나는 주인이고, 그대는 아니다. 이 바른 도리는 이 법과 상응한다. 만약 능히 주인이라면 주인이 아닌 이에게 보시를 행한다. 만약 보시를 행하면 마음이 청정하고 편안하고, 마음을 장엄하게 되고 마음을 다스려 청정하게 한다’고 보시를 행하면 이 마음으로 과지에서 얻은 궁전은 미묘한 빛으로 어둡고 탁함이 없다.염부제의 사람이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산ㆍ벽ㆍ울타리ㆍ성ㆍ장벽 밖의 색을 능히 꿰뚫어 볼 수가 없다.
서구야니ㆍ동불바제ㆍ북울단월의 사람들이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산ㆍ벽ㆍ울타리ㆍ성ㆍ장벽 밖의 색을 능히 꿰뚫어 볼 수가 없다.
4천왕천이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능히 자신의 처소에서 산ㆍ벽ㆍ울타리ㆍ성ㆍ장벽 밖의 색을 능히 꿰뚫어 볼 수가 없다. 만약 멀리 볼 때는 다만 철위산 안쪽의 색까지만 볼 수 있다.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능히 철위산 밖의 색을 볼 수 없다.도리의 모든 천이 자신의 궁전에서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산ㆍ벽ㆍ울타리ㆍ성ㆍ장벽 밖의 객을 능히 꿰뚫어 볼 수가 없다. 만약 멀리 볼 때는 다만 철위산 안쪽의 색까지만 볼 수 있다. 야마천에서부터 범중천까지도 모두 이와 같다.
대범천왕이 자신의 궁전에서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들을 잃어버리면 능히 산ㆍ벽ㆍ울타리ㆍ성ㆍ장벽 밖의 색을 능히 꿰뚫어 볼 수가 없다. 만약 멀리 볼 때는 다만 1천 세계 안쪽까지만 볼 수 있다. 만약 신통력 및 다른 공력을 잃어버리면 능히 꿰뚫어 볼 수가 없다.염부제의 사람들이 다른 여자를 선택할 때는 여자의 집에서 허락을 받고 나서야 맞아들인다. 혹은 첩(妾)을 사기도 하고, 혹은 재물을 주고 첩을 맞아들이기도 한다. 서구야니와 동불바제의 사람들도 역시 이와 같다.
북울단월의 사람들은 다른 여자를 선택하지도 않고, 맞아들이지도 않고, 사지고 않고, 재물을 주지도 않는다. 만약 남자가 여자를 맞아들이고 싶다면 그녀를 자세히 들여다본다. 만약 여자가 잘생긴 남자를 원할 때에도 역시 마찬가지로 자세히 들여다본다. 만약 여자가 남자의 시선을 보지 못하면 다른 여자들이 ‘이 사람이 그대를 보았으니 바로 부부이다’라고 일러준다. 만약 남자가 여자의 시선을 보지 못하면 다른 남자들이 ‘이 사람이 그대를 보았으니 바로 부부이다’라고 일러준다. 만약 자연히 서로 보면 곧바로 서로 따라가서 함께 다른 곳으로 간다.4천왕천이 만약 다른 여자를 선택한 때는 여자의 집에서 허락을 받고 나서야 맞아들인다. 혹은 사기도 하고, 혹은 재물을 주고 맞아들이기도 한다. 모든 욕계의 천들도 이와 같다.
염부제 가운데에는 남자와 여자의 성기(性器)가 서로 화합한다. 동불바제ㆍ서구야니ㆍ북울단월도 모두 이와 같다. 4천왕천 및 도리천도 남녀가 화합하는 것이 이와 같다. 야마천은 서로 포옹하면 성욕이 이루어진다. 도솔타천은 손을 잡으면 성욕이 이루어진다. 화락의 모든 천은 서로 웃으면 성욕이 이루어진다. 타화자재천은 서로 보면 성욕이 이루어진다. 서구야니가 욕망과 쾌락을 받는 것은 염부제보다 두 배나 뛰어나고, 그러한 방식으로 나머지도 그렇고, 타화자재천의 모든 천들의 욕망도 화락천보다 뛰어난 것이 모두 2배이다.염부제의 여인 가운데 나쁜 음식을 먹는 사람이 있고, 태아가 자라는 사람이 있고, 처음으로 아이를 낳는 사람이 있고, 젖먹이는 사람이 있다. 서구야니와 동불바제도 이와 같다.
북울단월의 여인 가운데 나쁜 음식을 먹는 사람이 있고, 태아가 자라는 사람이 있고, 아이를 낳는 사람이 있지만 다만 젖먹이는 사람이 없다. 만약 남자아이나 여자아이를 낳으면 네거리에 내놓고 어머니는 손가락을 아이의 입 안에 넣는다. 만약 이 길을 따라 지나가는 행인이 있으면 역시 손가락을 아이의 입 안에 넣어준다. 이 손가락의 접촉으로 인하여 몸이 자란다.울단월의 남녀는 따로 떨어져 살고, 서로 몸을 섞지 않는다. 만약 남자가 태어났을 때는 7일이면 성인이 되어 남자의 무리에 들어가고, 만약 여자가 태어났을 때는 7일이면 성인이 되어 여자의 무리에 들어간다. 만약 남녀가 욕망을 가졌을 때는 서로 잡아끌고 나무 아래로 가는데 이 만수사(曼殊沙)나무가 은폐해주면 성교가 이루어지고 만약 은폐해주지 않으면 각각 떠나간다. 이로 말미암아 삿된 음행이 감히 벌어지지 못함을 안다.4천왕천의 모든 여천(女天) 등은 나쁜 음식을 먹지도 않고, 태아가 자라지도 않고 아이를 낳지도 않고, 젖을 먹이지도 않는다. 남녀의 천은 혹은 무릎 위에서 혹은 잠자리에서 모두 아기의 탄생을 받는다. 만약 어머니의 무릎 및 어머니의 잠자리에서 아기가 태어나면 천녀는 생각하기를, ‘이 아이는 나의 아기이다’라고 하고 남천(男天)도 생각하기를, ‘이 아이는 나의 아기이다’라고 한다. 따라서 한 어머니와 한 아버지를 가진다. 만약 아버지의 무릎 및 잠자리에서 아이가 태어나면 아버지는 한 명이지만 모든 처첩(妻妾)이 다 어머니가 된다.염부제의 사람은 일생 동안 성욕이 셀 수가 없고, 한도 없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청정행을 닦으면 죽을 때까지 성욕이 없다. 서구야니의 사람은 일생 동안 성욕이 열두 번 있다. 그 중품의 사람은 열 번도 있다. 또한 모든 사람이 청정행을 닦으면 죽을 때까지 성욕이 없다. 동불바제의 사람은 일생 동안 성욕이 일곱 번 있다. 그 중품의 사람은 대여섯 번 있다. 또한 모든 사람이 청정행을 닦으면 죽을 때까지 성욕이 없다. 울단월의 사람은 일생 동안 성욕이 다섯 번 있다. 그 중품의 사람은 서너 번도 있다. 또한 모든 사람이 청정행을 닦으면 죽을 때까지 성욕이 없다.4천왕천은 일생 동안 성욕이 셀 수도 없고, 한도 없다. 모든 천들이 청정행을 닦으면 죽을 때까지 성욕이 없다. 모든 욕계의 천들도 역시 이와 같다.
무릇 모든 여인은 접촉함으로써 쾌락으로 삼고, 모든 남자는 사정(射精)하는 것으로 쾌락을 삼는다. 만약 모든 남자라면 사정하는 것으로써 쾌락을 삼고, 만약 모든 천이라면 기(氣)를 배설하는 것으로 쾌락을 삼는다.
염부제의 사람은 세 가지 인연이 있어 울단월 및 도리천보다 뛰어나다. 무엇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용맹함이고, 둘째는 기억을 지님이고, 셋째는 이 가운 데 범행(梵行)에 머묾이 있음이다.울단월의 사람은 세 가지 인연이 있어 염부제 및 도리천보다 뛰어나다. 무엇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나의 것이 없어 저장하거나 저축하지 않는 것이고, 둘째는 목숨이 1천 년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이고, 셋째는 뒤에는 반드시 도리천으로 올라가는 것이다.
모든 천은 세 가지 인연이 있어 염부제 및 울단월보다 뛰어나다. 무엇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목숨이 긴 것이고, 둘째는 생김새가 뛰어난 것이고, 셋째는 쾌락이 가장 많은 것이다.”
이 뜻을 부처님ㆍ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