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4613 보살선계경(菩薩善戒經) 1권

by Kay/케이 2024. 8. 6.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보살선계경(菩薩善戒經) 1

 

보살선계경(菩薩善戒經)보살선계경(菩薩善戒經) 제1권

구나발마(求那跋摩) 한역
최윤옥 번역

1. 보살지(菩薩地)

1) 서품(序品)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일찍이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 수달다(須達多)의 정사(精舍)인 기타림(祇陀林) 안에서 대비구승(大比丘僧) 5백 사람과 보살 1천 사람과 함께 계셨다.
이때 세존께서 한량없이 많은 여러 보살들에게 말씀하셨다.
“누가 이 뒤에 악한 세상이 올 때 능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수지(受持)하여 옹호할 수 있겠으며, 누가 능히 법을 호지(護持)하겠으며, 누가 능히 모든 중생을 교화하겠느냐?”
이때 미륵보살이 즉시 자리에서 일어나서 오른쪽 어깨를 벗고 오른 무릎을 땅에 붙이고 꿇어 앉아 합장[叉手]한 채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후세의 악한 세상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수지하여 옹호할 수 있으며, 바른 법을 보호하여 지킬 수 있으며, 중생들을 교화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사자보살(師子菩薩)이 일어나 이렇게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도 또한 여러 가지 방편을 써서 중생을 거두어 보호할 수 있습니다.”
금강(金剛)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만약 중생들이 세 가지 악한 세계에 떨어지게 된다면, 저는 능히 이를 막아 붙들어서 떨어지지 않게 하겠습니다.”문수사리(文殊師利)가 다시 이렇게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만일 중생들이 무엇이든 구하는 것이 있으면 저는 능히 그 모든 것을 구족하게 하겠습니다.”
지당(智幢)보살이 다시 이렇게 말하였다.
“저는 능히 중생에게 큰 지혜를 은혜로 베풀겠습니다.”
법당(法幢)보살은 또 이렇게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법으로써 널리 중생들에게 보시하겠습니다.”
일광(日光)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중생에게 안락(安樂)을 보시하겠습니다.”
월광(月光)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모든 중생을 교화(敎化)하여 복덕(福德)을 닦도록 하겠습니다.”선호(善護)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모든 중생을 교화하여 방일(放逸)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무진의(無盡意)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모든 중생을 교화하여 다함이 없는 세계의 의미를 빠짐없이 알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월자(月子)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모든 중생에게 최상의 안락(安樂)을 은혜로 베풀겠습니다.”
선월(善月)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모든 중생에게 안락(安樂)의 인연을 은혜로 베풀겠습니다.”
관세음(觀世音)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중생의 공포와 두려움을 구호(救護)하겠습니다.”득대세(得大勢)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 제도(濟度)받지 못한 자를 제도하겠습니다.”
중선(衆善)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 조복(調伏)하지 않은 자를 조복하겠습니다.”
선의(善意)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만일 중생이 축생(畜生)에 떨어진다면, 저는 능히 이들을 교화하여 조복하도록 하겠습니다.”
불락(不樂)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어리석은 자에게 지혜를 은혜로 베풀겠습니다.”
광취(光聚)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 근기가 하열한 중생들이 근기가 우세하도록 하겠습니다.”불체(不諦)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 미친 자들에게 올바른 도를 보여 주겠습니다.”
낙견(樂見)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무량(無量)한 중생에게 무량한 안락을 은혜로 베풀어 주겠습니다.
석당(釋幢)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들 고통 받는 중생들이 언제나 그 고통스러웠던 일을 기억하도록 하겠습니다.”
불가사의해탈(不可思議解脫)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 아귀(餓鬼)와 지옥(地獄)의 중생으로 하여금 기아(饑餓)와 고통을 멀리 여의도록 하겠습니다.”
성광(聖光)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 조복(調伏)하지 못한 자를 조복하겠습니다.”유마힐(維摩詰)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 중생의 의심을 깨뜨리겠습니다.”
광명(光明)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세 가지 악한 세계의 문을 닫고 막아버리겠습니다.”
금강공덕(金剛功德)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 견해(見解)를 달리하는 중생들이 모두 한결같은 견해를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무량행(無量行)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들 중생에게 무루(無漏)의 도(道)를 은혜로 베풀어 주겠습니다.”
무소외(無所畏)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들의 갖가지 공포(恐怖)와 두려움을 깨뜨리겠습니다.”보공덕(寶功德)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모든 중생들에게 공덕보장(功德寶藏)을 드러내어 보이겠습니다.”
선의(善意)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이들 미묘(微妙)하고 부드러운 말을 써서 중생들을 조복하겠습니다.”
정광(淨光)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사랑을 가지고 모든 중생들을 조복하겠습니다.”
보현(寶賢)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 모든 중생들이 과거의 세상을 기억하도록 하겠습니다.”
고귀덕광(高貴德光)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들로 하여금 열심히 수련하여 정진(精進)하도록 하겠습니다.”선공덕(善功德)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들 고통받아 번뇌(煩惱)하는 중생들이 빠짐없이 해탈을 얻도록 하겠습니다.”
보수(寶手)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 한량없는 중생들에게 갖가지 보배[寶貝]를 베풀어 보시하겠습니다.”
의주(意珠)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들 중생의 빈궁(貧窮)함을 깨뜨리겠습니다.”
파결(破結)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들 중생의 번뇌를 깨뜨리겠습니다.”
금광명(金光明)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들 삿되고 거짓된 중생들에게 진실(眞實)의 도(道)를 보여 주겠습니다.”공덕색(功德色)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들 여러 승(乘)의 중생들을 모두 일승(一乘)에 머물게 하겠습니다.”
법의(法意)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들로 하여금 모두 법안(法眼)을 얻도록 하겠습니다.”
금강자(金剛子)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들 중생의 악업(惡業)을 깨뜨리겠습니다.”
법증(法增)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말씀하신 법에 따라 중생들을 거두어 보호하겠습니다.”
무명(無名)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들 모든 중생이 멀리 삼독(三毒)으로부터 떠나도록 하겠습니다.”월승(月勝)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저들 중생에게 알맞은 방편(方便)을 보여 주겠습니다.”
사자의(師子意)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법(法)으로써 중생들에게 베풀어 보시하겠습니다.”
사자후(師子吼)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중생들의 의심의 그물을 깨뜨리겠습니다.”
향상왕(香象王)보살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뒷날의 악한 세상에서 중생에게 모든 것이 꿈이란 걸 보여주어 번뇌를 깨뜨리도록 하겠습니다.”이때에 사리불(舍利弗)이 이렇게 생각하였다.
‘참으로 기이하고 참으로 기특하다. 여러 보살들의 일은 불가사의(不可思議)하다.’
그리고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보살이 열심히 수련 정진(精進)해서 방편을 구족(具足)하면 능히 갖가지로 중생을 이익되게 할 수 있습니다. 세존이시여, 이러한 것이 보살마하살이니, 중생들이 어찌해야 이런 이들로부터 머리와 눈ㆍ골수ㆍ피ㆍ살 및 모든 필요로 하는 것들을 구하고 찾는 것이라 말하겠습니까? 세존이시여, 저는 지금 이와 같이 구하고 찾는 자들이 곧 보살마하살이라는 것을 잘 압니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참으로 좋은 말이로구나. 사리불이여, 참으로 말한 바와 같이 오직 모든 보살만이 보살을 아나니, 실로 성문(聲聞)과 연각(緣覺)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사리불이여, 보살마하살이 비록 다시 갖가지 부처님의 신족(神足)을 나타낸다 하더라도 결코 보살의 마음을 버리지 않는다. 사리불이여, 만일 어떤 장자가 교만한 마음을 일으키면, 보살이 그 장자의 상(像)을 지어 나타나서 그 교만함을 깨뜨릴 것이며, 만일 나라연(那羅延)이나 단정(端正)한 사람으로서 교만함이 있을 경우도 꼭 같은 몸을 나타내어 교만함을 깨뜨릴 것이다. 만일 성법(聖法)을 얻으면 대승(大乘)으로써 보여 준다. 어째서인가? 하나의 해탈(解脫)을 떠나서 다시 다른 해탈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이름을 여래(如來)라 한다.
사리불이여, 재가(在家)보살은 두 가지 보시를 수집(修集)한다. 첫째는 법시(法施)이고 둘째는 재시(財施)이다. 출가한 보살은 네 가지의 보시를 수집한다. 첫째는 필시(筆施)이고, 둘째는 묵시(墨施)이며, 셋째는 경시(經施)이고, 넷째는 설법시(說法施)이다. 출가한 보살이 이 네 가지의 보시를 구족하게 성취하면 능히 그 마음을 조복하여 교만을 깨뜨리고 인욕(忍辱)을 수집하게 된다.사리불이여, 출가한 보살이 구족하게 인욕하거나 세 가지의 혜시(惠施)에 구족하면 능히 보살의 금계(禁戒)를 수지(受持)할 수 있다. 그 첫째는 시(施)이고, 둘째는 대시(大施)이며, 셋째는 무상시(無上施)이다. 베풂에는 사천하(四天下)도 오히려 아까워하지 않는데 하물며 사소한 물건이겠는가? 이것을 시(施)라 한다. 대시란 능히 처자(妻子)까지를 버리는 것이며, 무상시(無上施)란 머리와 눈ㆍ골수와 뇌ㆍ뼈와 살ㆍ피혈(皮血)까지 버리는 것이다. 보살이 만일 이와 같은 세 가지의 시(施)를 구족하면 인욕(忍辱)을 구족하게 된다. 이 인욕을 구족하면 능히 보살의 금계(禁戒)를 수지할 수 있다.
사리불이여, 보살이 보살계(菩薩戒)를 받고자 할 때 먼저 모든 근(根)을 조복하여 유연(柔軟)하게 해서, 욕심이 생기는 곳에서 욕심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 진심(瞋心)이 생기는 곳에서 진심이 일어나지 않게 하며, 우치(愚癡)가 생기는 곳에서 치심(癡心)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 두려움이 생기는 곳에서 두려움이 일어나지 않게 해야 한다. 만일 이와 같은 네 가지를 구족하여 스스로 알게 되면, 곧 시방(十方)의 모든 부처님께 알려지고, 그도 또한 능히 시방의 부처님을 알게 된다. 사리불이여, 만일 이와 같은 네 가지를 구족하지 못한 것을 알면서 보살계를 받는다면, 이런 자는 역시 보살계를 얻지 못한 것이며, 또한 시방 현재의 모든 부처님과 여러 보살을 속이는 것이 된다.사리불이여, 보살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진인연(瞋因緣)을 따르는 것이며, 둘째는 치인연(癡因緣)을 따르는 것이다. 사리불이여, 진(瞋)은 능히 팔대지옥(八大地獄)을 지을 수 있는 인연이며 치(癡)는 능히 모든 악의 번뇌를 만드는 인연이다. 이와 같은 진과 치의 두 인연 때문에 능히 보살계를 깨뜨린다.
사리불이여, 만일 보살계를 받아 지니고자 한다면 마땅히 먼저 욕(欲)ㆍ치(癡)ㆍ진(瞋)의 두려움으로부터 멀리 떠나야 한다. 그러자면 밤낮으로 여섯 달을 홀로 한가하고 고요한 곳에 처하여 다음과 같이 모든 죄를 참회해야 한다.
‘나는 아무 날에 부처님께 귀의하고 법에 귀의하고 승가에 귀의하며, 시방 현재의 제불(諸佛) 및 보살승(菩薩僧)에 귀의하며, 석가모니여래께 귀의합니다. 나무 불(南無佛)ㆍ나무 법(法)ㆍ나무 승(僧)ㆍ나무 시방불급보살승(十方佛及菩薩僧)ㆍ나무 석가모니불ㆍ나무 금강무괴신(金剛無壞身)ㆍ나무 보광(寶光)ㆍ나무 무량자재왕(無量自在王)ㆍ나무 무상림왕(無上林王)ㆍ나무 무상환희(無上歡喜)ㆍ나무 보화(寶火)ㆍ나무 보월광(寶月光)ㆍ나무 청정(淸淨)ㆍ나무 수근정진(手懃精進)ㆍ나무 범덕(梵德)ㆍ나무 선공덕(善功德)ㆍ나무 전단공덕(旃檀功德)ㆍ나무 광공덕(光功德)ㆍ나무 아숙가공덕(阿叔伽功德)ㆍ나무 나라연력(那羅延力)ㆍ나무 화공덕(華功德)ㆍ나무 연화(蓮華)ㆍ나무 재공덕(財功德)ㆍ나무 염공덕(念功德)ㆍ나무 선명(善名)ㆍ나무 석종왕(釋種王)ㆍ나무 무승(無勝)ㆍ나무 무변신광(無邊身光)ㆍ나무 무변신(無邊身)ㆍ나무 무동(無動)ㆍ나무 대산왕(大山王) 등 이와 같은 무량 세간의 모든 불보살은 항상 세간에 주재(住在)하며 법을 선설(宣說)하여 교화하소서.부디 불쌍히 여기고 마음을 두어 보시고 생각하시기를 바랍니다. 나의 과거 무량세와 현재세에 지은 온갖 죄악과 착하지 못한 악업으로 말한다면, 자신이 지은 것을 마치 남이 지은 것을 보듯이 기뻐하고, 불물(佛物)ㆍ법물(法物)ㆍ승물(僧物)ㆍ초제승물(招提僧物)ㆍ현재승물(現在僧物)을 취함에 있어 자신이 취하고도 마치 남이 취한 것처럼 보아 기뻐하며, 스스로 오역(五逆)의 죄를 짓고도 남이 지은 것을 보는 것처럼 기뻐하며, 스스로 열 가지 불선업(不善業)을 짓고도 마치 남이 지은 것을 보는 것처럼 기뻐하였습니다. 이러한 불선업의 인연으로 해서 마땅히 축생ㆍ아귀ㆍ지옥에 태어나야 합니다. 마치 변지인(邊地人)의 몸처럼, 장수천(長壽天)의 몸처럼 모든 근(根)이 구족하지 못하여 사견(邪見)을 친근히 해서 부처님의 세상을 만나지 못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죄악들을 지금 모두 성심으로 구애(求哀)하여 참회합니다. 지금 마치 석가모니 부처님 앞에 서 있듯이 말입니다. 여래 세존께서는 그 지견(知見)이 진실하여 지혜가 걸림이 없고 청정한 눈[淨眼]에 장애가 없어서 언제나 모든 중생의 증인(證人)이 되십니다. 그러니 부디 제가 지금 성심으로 하는 참회를 살펴 주소서. 저는 오늘부터 다시는 감히 죄를 짓지 않겠습니다.시방의 모든 부처님과 보살은 지극한 마음으로 자세히 들어주소서. 제가 과거 무량세와 현재세에 수집(修集)한 보시를 베푼 것과 나아가 축생에게 베푼 전부, 그리고 제가 계(戒)를 지킨 것, 더 나아가 일념(一念)으로 행한 이러한 공덕들을 모두 무상보리(無上菩提)에 회향(廻向)합니다. 마치 과거의 모든 부처님과 보살이 회향을 발원했던 것처럼, 마치 미래의 모든 부처님과 보살이 회향을 발원할 것처럼, 또는 마치 현재 시방의 모든 부처님과 보살 등이 회향을 발원하는 것처럼 말입니다.’사리불이여, 보살이 이와 같이 지극한 마음으로 모든 부처님을 예배하고 공경하여 여섯 달을 보내고 나면, 가거나 서거나 걷거나 앉거나 간에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삼십이상(三十二相)과 팔십종호(八十種好)를 구족한 그 모습을 나타내실 것이다. 그런데 설사 보살에게 이러한 상호(相好)를 보이더라도 법계(法界)에는 본래 아무런 변화와 움직임이 없다. 어째서인가? 여래께서 참으로 그 마음을 알기 때문이다.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는 이 사람이 충분히 보살의 금계(禁戒)를 수지(受持)하여 자비를 닦아서 능히 마중(魔衆)을 깨뜨리고 바른 법의 법륜(法輪)을 굴리며, 능히 중생을 조복하여 법계(法界)를 선설(宣說)하는 일을 맡아 하리라는 것을 잘 안다. 그렇기 때문에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는 이 보살을 위하여 그 몸을 나타내어 보이는 것이다.사리불이여, 예를 들어 사자의 포효(咆哮)를 고양이나 살쾡이가 능히 할 수 있겠는가?”“아닙니다, 세존이시여.”“만일 한량없는 세계 중에 한량없는 부처님의 처소에 대하여 모든 덕(德)의 근본을 증식(增殖)하지 않고도 능히 보살계를 받아 지닐 수 있겠는가?”“아닙니다, 세존이시여.”“사리불이여, 예를 들어 향상왕(香象王)이 짊어진 짐을 나귀가 능히 감당할 수 있겠는가?”“아닙니다, 세존이시여.”“사리불이여, 예를 들어 해나 달의 빛을 반딧불이 따를 수 있겠는가?”“아닙니다, 세존이시여.”“사리불이여, 비사문(毘沙門)이 가진 재물과 보배처럼 많은 재물을 가난뱅이가 똑같이 가질 수 있겠는가?”“아닙니다, 세존이시여.”“사리불이여, 금시조(金翅鳥)의 비상(飛翔)을 까마귀가 따라잡을 수 있겠는가?”“아닙니다, 세존이시여.”“사리불이여, 만약에 무량세 중에 한량없는 부처님의 처소에 대하여 덕(德)의 근본을 깊이 심을 수 있는 자가 있다면, 그런 자는 능히 보살계를 받아서 시방의 모든 부처님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사리불이여, 보살계를 받은 뒤에 객진번뇌(客塵煩惱)의 인연이 있어서 참법(懺法)을 범(犯)한다면 마땅히 모든 부처님을 향하여 참회해야 하며, 보살은 결코 오역(五逆)의 죄를 지어서는 안 된다. 만일에 탐착(貪箚)함이 식지 않아서 자식을 낳는 결과에까지 이르게 되면, 당연히 시방의 현재 부처님 앞에서 이 년이 꽉 차도록 밤과 낮을 계속하여 한결같이 은근하고 정중한 마음으로 구애(求哀)하면서 참회하여야 한다. 만일 탐심(貪心)으로 해서 불물(佛物)ㆍ법물(法物)ㆍ승물(僧物)을 취하였을 경우에는 본불(本佛) 앞에서 이 년 동안 참회하여야 한다.
사리불이여, 보살이 만일 진에(瞋恚)의 인연으로 해서 금계(禁戒)를 깨뜨렸다면 그런 일은 여기에는 없다. 진(瞋) 인연으로 해서 금계를 깨뜨리고 참회하는 일도 역시 여기에는 없다.”이때 우파리(優波離)가 이날 새벽 선정(禪定)에서 일어나 곧장 부처님 계신 곳으로 와서 머리를 조아려 예배를 하고 오른쪽으로 세 번 돈 다음 한 쪽으로 물러나 앉아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계(戒)나 경(經)에 말씀하신 바와 같이, 저의 제자로서 믿음이 있는 자가 수지한 계에 대하여 목숨이 다하기에 이르기까지 끝내 훼범(毁犯)하지 않고 지금 만일 열반에 든다면 제가 어떻게 그것이 성문(聲聞)의 금계(禁戒)인지 연각의 금계인지 보살의 금계인지 확실하게 구별하여 알 수 있겠습니까?
세존이시여, 저에게 지율(持律) 중에 가장 으뜸이 되는 것을 말씀하여 주소서. 저는 지금 비니방편(毘尼方便)을 모르니 어떻게 말해야 합니까? 지금 대비구승(大比丘僧)과 보살승들이 많이 있으니 부디 여래께서 자세히 말씀하셔서 구족하게 보여 주소서.”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참으로 좋은 말이로구나. 우파리여, 지극한 마음으로 자세히 듣고 잘 생각해 보아라. 지금 너를 위해 말하겠다. 우파리여, 성문계의 인연이 다르고 보살계의 인연이 다르며, 성문계(聲聞戒)의 마음이 다르고 보살계의 마음이 다르며, 성문계의 장엄(莊嚴)이 다르고 보살계의 장엄이 다르며, 성문계의 방편이 다르고 보살계의 방편이 다르다. 우파리여, 성문계의 정(淨)은 보살계의 정이 아니며 보살계의 정은 성문계의 정이 아니다. 성문의 중생이 일념(一念)에 이르기까지 유(有)를 구하지 않는 것을 성문계정이라 하며, 보살이 만일 유를 구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대파계(大破戒)라 하며 부정계(不淨戒)라 한다. 성문이 유를 구하면 이것을 파계(破戒)라 하며 부정계라 한다. 우파리여, 보살마하살이 무량겁(無量劫)을 통해 항상 유 가운데 처하면서도 마음에 뉘우침이 생기지 않는 것을 보살계의 정이라 하고 성문계의 정이라 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우파리여, 너는 마땅히 성문계를 급히 선설(宣說)하고 보살계는 천천히 해야 하며, 성문계는 막아야 하고 보살계는 열어야 한다. 성문계 중에서는 당연히 인연을 말해야 하지만 보살계 중에서는 말해서는 안 된다.우파리여, 보살의 사람이 중생의 마음을 따르는 것은 성문이 아니다. 그러므로 보살은 계(戒)에 대하여 다소 느긋하지만 성문은 계를 보호함이 급하다. 우파리여, 만일 보살이 새벽에 계를 범한다면 그래도 여전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염해야 할 것이나, 자신의 죄과를 알고 밤낮 삼시(三時)로 모두 마땅히 이렇게 할 일이다. 이것을 보살계라 한다. 우파리여, 보살이 설사 때때로 범한다 해도 파계(破戒)라 하지 않지만, 성문이 만일에 때때로 범한다면 파계라 하고 실계(失戒)라 하며, 사문의 도과를 얻지 못한다고 한다. 무엇 때문인가. 성문인은 번뇌를 깨뜨리고 근행 정진(懃行精進)하여 당연히 훼범(毁犯)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우파리여, 만일 보살이 항하사(恒河沙)와 같은 억 겁 동안 오욕(五欲)의 즐거움을 누리고도 보살의 금계만 잃지 않는다면 파계라 이름하지 않고 실계(失戒)라 이름하지 않으며 보리의 과를 얻지 못한다고 이름하지 않는다. 우파리여, 보살은 일세(一世) 중에 번뇌를 전부 없애지 못하면 당연히 방편으로써 차츰 없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우파리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무상대장엄력(無上大莊嚴力)을 필요로 한다. 그래야만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일세에 얻는 것이 아니다. 이렇기 때문에 여래께서는 보살이 생사 가운데에 회심(悔心)이 생긴다고 말하지 않는다. 또한 탐애(貪愛)를 영구히 끊으라고 선설(宣說)하지 않으며 희법(喜法)ㆍ심심법(甚深法)ㆍ무의법(無疑法)ㆍ공법(空法)을 말한다. 이 법을 듣고 나면 생사를 즐거워한다.”우파리가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훼범(毁犯)에는 세 가지가 있는 바, 첫째는 탐(貪)이며, 둘째는 진(瞋)이며, 셋째는 치(癡)입니다. 보살이 범하는 것으로는 어느 것이 무거우며 어느 것이 가볍습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우파리여, 보살들이 항하사와 같이 무수히 탐(貪)을 범하더라도 계를 깨뜨렸다고 하지 않지만, 만일 한 번이라도 진(瞋)의 인연을 범하여 계를 깨뜨리면 파계라고 한다. 어떤 이유 때문인가? 우파리여, 진에의 마음은 중생을 버릴 수 있으나 탐애의 마음은 중생을 옹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생을 사랑하는 것은 번뇌라고 하지 않지만 진(瞋)으로 하여 중생을 버리는 것은 무거운 번뇌라 한다. 우파리여, 이러하기 때문에 여래께서 경(經) 가운데서 말하기를, ‘탐결(貪結)의 끊기 어려움은 중하지 않지만 진에의 끊기 쉬움은 중하다’고 하는 것이다. 우파리여, 끊기 어려운 것이 중한 것이 아니라 보살에게는 언제나 끊기 쉬우면서도 중한 것이 있으므로 꿈속에서까지도 오히려 하지 않는 것이다. 우파리여, 우치(愚癡)한 보살은 방편이 없어서 탐애를 범하는 것을 두려워하지만 지혜가 있는 보살은 방편을 잘 알기 때문에 진에를 범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탐애를 범하는 것을 두려워하지는 않는다.”이때 문수사리(文殊師利)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비니(毘尼)를 조복(調伏)이라 합니다. 모든 법성(法性)은 필경 이 조복입니다. 그런데 여래께서는 무엇 때문에 이 비니를 말씀하십니까?”“문수사리여, 만일 범부(凡夫)의 사람이 능히 모든 법이 필경에는 조복이라는 것을 안다면 여래가 결코 비니를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범부인 사람들은 알지도 못하고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여래가 비니를 말하는 것이다. 문수사리여, 너는 지금 어째서 비니를 말하지 않는가? 우파리가 듣고 싶어 하지 않는가?”이때 문수사리가 우파리에게 말하였다.
“우파리여, 모든 법이 결국은 조복입니다. 모든 법은 성(性)을 오염시킬 수 없고 모든 법은 성의 전도(顚倒)가 없으며, 모든 법은 그 성이 청정합니다. 모든 법은 선설(宣說)할 수 없으며, 모든 법은 취착(取箚)이 없으며, 모든 법은 가고 오지 않으며, 모든 법은 헤아릴 수 없으며, 모든 법은 장애가 없으며, 모든 법은 본래 성품이 없으며, 모든 법은 행함이 없으며, 모든 법은 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으며, 모든 법은 삼세(三世)가 없으며, 모든 법은 의심의 그물이 없습니다. 이와 같은 법을 부처님께서는 모두 깨달아서 아십니다.”우파리가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문수사리는 분명하게 말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우파리여, 문수사리는 항상 이와 같이 선설(宣說)하여 해탈하기를 좋아한다.”우파리가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어떤 것을 교만이라 합니까?”“만일 보살이 말하기를, ‘나는 보리심을 가지고 있다’고 하고, ‘나는 보리를 위하여 육바라밀을 행한다’고 하며, ‘나는 반야를 위하여 모든 행을 단련해가며 짓는다’고 하며, ‘보리행은 깊고 성문행은 옅다’고 하며, ‘보리행은 청정하고 성문행은 부정(不淨)하다’고 하며, ‘보리행은 궁극적인 것이고 성문행은 궁극적인 것이 아니다’라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분별하여 ‘이것은 성문법(聲聞法)이고, 이것은 연각법이고, 이것은 보살법이고, 이것은 모든 불법(佛法)이다’라고 하며, ‘이것은 청정이라 하고, 이것은 부정이라 하며, 이것은 도(道)라 하고, 이것은 도가 아니[非道]라 한다’고 하면, 이것을 보살의 교만이라고 한다.”
2) 선행성품(善行性品)보살마하살이 성행(聖行)을 수집(修集)하여 선과(善果)를 행하는 보리의 도리에 열 가지 법(法)이 있으면 곧 모든 선법(善法)을 섭취할 수 있다. 어떤 것이 열 가지 법인가? 첫째는 지(支)이며, 둘째는 익(翼)이며, 셋째는 정심(淨心)이며, 넷째는 행(行)이며, 다섯째는 유(有)이며, 여섯째는 인(因)이며, 일곱째는 기(器)이며, 여덟째는 지(地)이며, 아홉째는 방편이며, 열째는 주(住)이다.
무엇을 지(支)라 하는가? 보살성(菩薩性)을 이르는 말이다. 보살성이란 초발심(初發心) 및 삼십칠품(三十七品)을 말하는 것이다. 왜냐 하면 보살마하살이 보리심을 내는 것에서부터 이것은 모든 선법(善法)의 근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支)라 한다. 이렇게 발심한 것으로 인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데 이 때문에 인(因)이라 하며, 초발심으로 인하여 결정되어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므로 이 때문에 성(性)이라 한다. 보살마하살이 초발심에 인연하기 때문에 단(檀)바라밀ㆍ시(尸)바라밀ㆍ찬제(羼提)바라밀ㆍ비리야(毘離耶)바라밀ㆍ선(禪)바라밀ㆍ반야(般若)바라밀을 닦아 행하며, 이 육바라밀을 행하기 때문에 지혜장엄과 복덕(福德)장엄을 닦아 행하여 삼십칠 조도법(助道法)을 닦는다. 이 때문에 보살이 보리심을 내는 것을 지(支)라 하며, 보살마하살이 발심(發心)을 따라 구족(具足)하게 행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데 이 때문에 지라 한다. 보살마하살이 만약에 보살성이 없는 자라면 아무리 다시 발심하여 열심히 닦아 정진하더라도 끝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발심하여 열심히 닦아 정진하는 데 따라서 보살성이 있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이러하기 때문에 보살성을 지라 한다.그러나 보살이 아무리 보살의 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발심하여 열심히 닦아 정진하지 않는다면 곧장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수가 없다. 보살성이 있고 보리심을 내어 열심히 닦아 정진해야만 곧장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하기 때문에 보살성을 지라 한다. 그리고 지(支)는 또한 인(因)이라 하며, 또한 제(梯)라 하며, 또한 증장(增長)이라 하며, 또한 장엄(莊嚴)이라 하며, 또한 의빙(依憑)이라 하며, 또한 차제(次第)라 하며, 또한 진행(進行)이라 하며, 또한 실택(室宅)이라 한다. 이러하기 때문에 성(性)을 지(支)라 하는 것이다.무엇을 성(性)이라 하는가? 성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본성(本性)이며 둘은 객성(客性)이다. 본성이란 음계(陰界)의 육입(六入)이 차례로 상속(相續)되면서 처음도 끝도 없이 법성(法性)이 저절로 그러한 것인데, 이를 본성이라 한다. 객성이란 이른바 모든 선법(善法)을 수행하여 보리성을 얻는 것이니, 이를 객성이라 한다. 그래서 이 경(經)에서는 이 두 가지를 성이라 한다. 이 두 가지 성을 지(支)라 하는데 또 성을 다시 자(子)라고도 하며, 다시 계(界)라고도 한다. 또한 성이라고 하는 데는 다시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세(細)이며, 둘째는 추(麤)이다. 세란 인(因)이 없이 얻는 것인데 인이 없이 과를 얻기 때문에 세라고 하는 것이다. 추란 인이 있어서 얻는 것인데 인을 따라서 과를 얻기 때문에 추라고 하는 것이다.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은 두 가지 성을 구족하면 모든 성문과 연각을 이길 것인데 하물며 그 밖에 다른 외도(外道)이겠는가? 이러하기 때문에 보살마하살이 승(勝)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 것이다.어째서 이름을 승이라 하는가? 청정하기 때문이다. 청정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정지장(淨智障)이며 둘째는 정결장(淨結障)이다. 성문과 연각은 정결장이기 때문에 정(淨)이라 하나 정지장은 아니다. 그러나 보살마하살은 두 가지 정을 충족하게 갖추었다. 이 때문에 보살성이 승(勝)이란 이름을 얻은 것이다. 보살마하살은 또한 네 가지 사(事)가 있어 성문이나 벽지불 등을 이긴다. 그 첫째는 근승(根勝)이며, 둘째는 행승(行勝)이며, 셋째는 방편승(方便勝)이며 넷째는 득과승(得果勝)이다. 근승이란 보살마하살은 본성이 매우 예리한데 연각성은 중간[中]이고 성문성은 둔하므로 이를 근승이라 하는 것이다. 행승이란, 성문이나 연각은 자신의 제도를 위하기 때문에 선법(善法)을 수행하지만 보살 수행을 하는 자는 스스로 자신을 위하는 것이 아니고 다만 중생을 위하여 선법을 수집해서 중생에게 안락을 베풀며 크게 애처로워하고 안타까워하므로, 이를 행승이라 한다. 방편승이란, 성문이나 연각은 단지 음계(陰界)의 온갖 입(入)만을 잘 알 뿐 십이인연과 처(處) 및 비처(非處)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는 것에 반해 보살의 방편은 모든 법을 잘 알 수 있으므로 이를 방편승이라 한다. 과승이란, 성문은 스스로 성문보리를 얻고 연각은 스스로 연각보리를 얻고 보살은 스스로 보살보리를 얻으므로 이를 과승이라 한다.보살성에는 여섯 가지 인(印)이 있는데 이 인 때문에 모든 중생이 식지(識知)를 얻는 이것이 보리이다. 그 여섯 가지가 무엇인가 하면, 이른바 단(檀)바라밀에서 반야(般若)바라밀까지이다. 어째서 단바라밀을 보살성인(菩薩性印)이라 하는가? 보살마하살은 본성이 능히 이처럼 마음을 버릴 수 있으니, 모든 재물에 있어 그것이 많든 적든 마음에 탐착(貪箚)하지 않으며 보시를 하고자 할 때나 보시를 마친 뒤에 모두 기쁜 마음을 가진다. 때마다 재물을 보시하되 많든 적든 마음에 의혹이나 후회가 없으며, 소량을 보시할 때도 부끄러움이 없고 재물이 없을 때에는 늘 보시를 찬탄한다. 욕심 많고 인색한 자를 보면 능히 그 아끼는 마음을 깨뜨리고, 보시를 하는 자를 보면 마음으로 기뻐하여 경하하되 마치 부모를 만난 것처럼 기뻐하며 펄쩍펄쩍 뛴다. 찾아와 무엇을 구하는 자를 보면 매우 다행으로 여겨, 만일 재물이 없으면 신업(身業)으로써 장로(長老)와 부모와 스승들께 바치고 희어(喜語)ㆍ연어(軟語)ㆍ법어(法語)ㆍ실어(實語)ㆍ정어(正語)로써 중생들의 망어(妄語)ㆍ양설(兩舌)ㆍ악구(惡口) 및 무의어(無義語)를 깨뜨려 없앤다. 혹시 누가 묻더라도 남의 장단점이나 과실을 말하지 않는 법인데 하물며 묻지 않는데 스스로 말할 수 있겠는가?만일 중생이 왕이나 적으로부터, 또한 물과 불의 재난을 걱정하면 이를 구제하여 풀어주고, 은혜를 알고 은혜를 생각하여 받은 은혜를 보답하며, 남의 기부를 받더라도 남들이 의심하지 않게 한다. 아무리 귀중한 보배라도 마음속에 탐내지 않고 자신의 재물이라 하여 아까워하지 않으며, 먹을 만한 음식과 입을 만한 옷으로 남에게 베푼다. 욕심과 탐면(耽)하는 마음, 조롱하고 장난치는 마음, 기악(伎樂)을 탐하는 마음을 조복하여 참괴함을 수집(修集)하고, 아무리 큰 보배를 얻더라도 탐내거나 기뻐하지 않는다. 이런 것을 단바라밀 보살성인이라 한다.시(尸)바라밀 보살성인이란 무엇인가? 보살마하살의 신(身)ㆍ구(口)ㆍ의(意) 업은 그 성품이 본래 깨끗하고 부드러워 중생 속에서 악심(惡心)이나 에해(恚害)의 마음을 일으키지 않는다. 만일 객진(客塵)의 갖가지 번뇌 등으로 인하여 중생의 죄를 지으면 짓는 즉시 마음으로 뉘우쳐서 깊이 부끄러워하여 참회하고, 중생들에 대해서는 어여삐 여기는 마음으로 하나밖에 없는 자식을 생각하듯 결코 어디에든 손이나 돌이나 몽둥이로 위해를 가하지 않는다. 마음은 언제나 참된 선지식을 구하며, 뜻은 기꺼이 부모와 사장(師長)과 장로[耆舊]와 숙덕(宿德)을 공양한다. 교만한 마음을 버리고 먼저 생각해서 물어보며 은혜를 알고 은혜를 생각한다. 걸구(乞求)하는 자가 있으면 부드러운 말로 위로하여 달래고, 환술(幻術)을 써서 중생을 속이거나 미혹시키지 않는다. 결코 법(法)이 아닌 방법으로 살아가는 것을 기꺼워하지 않으며, 언제나 일체의 공덕을 수집(修集)하는 것을 기뻐한다. 중생들을 가르쳐서 널리 복업(福業)을 닦고, 중생들이 온갖 고통을 받는 것을 보면 그 명근(命根)을 끊어서 기갈과 춥고 더움을 묶어서 막아버린다. 보살은 이와 같이 저들이 고통 받은 것을 보면 자신이 받는 것과 조금도 다름없이 생각한다. 부처님 계율을 지녀 수호함에 있어 비록 경미한 것이라도 이를 깨뜨릴 수 없는데 하물며 중대한 것이겠는가?십선(十善)으로 일체를 교화하되 악한 중생들의 욕하고 싸우는 것을 듣고 보기를 좋아하지 아니하며, 삼업(三業)을 가지고 항상 중생을 위할 뿐 끝내 스스로를 위하지 않는다. 만일 중생이 구족계를 지켜 인욕하고 지혜로우면 기꺼이 함께 동행하여 유연한 마음을 얻는다. 해코지하는 마음이 없으며 무엇에든 인내한다. 마음은 언제나 가지고 있는 모든 계(戒)를 공경하고 소중히 여겨 중생을 속이지 않으며 이간하는 말을 하거나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하지 않는다. 물어보는 사람이 없어도 오히려 남의 착한 것을 칭찬하는 법인데 하물며 물어보는 데도 말하지 않겠는가? 올바르고 진실한 말을 존중하고 높이며 공경한다. 이런 것을 시바라밀 보살성인이라 한다.어떤 것을 찬제바라밀 보살성인이라 하는가? 보살마하살은 중생들을 볼 때에 이렇게 마음을 낸다.
‘혹시 내 몸을 때리는 자가 있더라도 나는 당연히 이를 악으로 갚지 않는다. 어째서인가? 내 몸은 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른바 몸이란 진실이라 하는데 진실한 몸은 때릴 수가 없다. 나의 이 몸은 화합으로 이루어진 몸인 바, 화합으로 이루어진 몸은 소위 부정(不淨)이라는 것이다. 화합으로 이루어진 몸이라 조금 맞았다 하더라도 별로 손상될 것이 없다. 별로 손상될 것도 없는데 무엇 때문에 기뻐하지 않겠는가? 조금 성을 낼지라도 많이 성내지는 않는다. 많이 성을 내지 않는데 어떻게 성낸다고 이름하겠는가? 만일 화합한 것이 때리고 화합한 것이 맞는다면 누가 때리고 누가 맞은 것인가? 비유하자면 두 물건이 서로 마주쳐서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것인데 내가 성내는 것은 당연히 스스로 성내는 것이다. 어째서인가? 업연(業緣)으로 해서 이 몸이 얻어졌는데 이 몸 때문에 이 같은 초독(楚毒)을 받으니, 비유하자면 과녁이 있기 때문에 화살이 와서 박히는 것과 같다. 내가 만일 이 성내는 마음을 증장(增長)시킨다면 선악 등의 법을 볼 수 없으며 선악 등의 법을 볼 수 없으면 기필코 삼악도(三惡道) 속에 떨어지게 된다. 이러하기 때문에 얻어맞거나 욕을 먹더라도 상대방에게 성내고 미워하는 마음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이와 같이 자신을 보기 때문에 이를 찬제바라밀 보살성인이라 한다. 다시 때리거나 욕하는 이를 보면 그에 대하여 하나밖에 없는 자식이라는 생각을 일으켜 원망하는 마음이 없다. 이것을 찬제바라밀 보살성인이라 하는 것이다.어떤 것을 비리야(毘梨耶)바라밀 보살성인이라 하는가? 보살마하살이 열심히 닦아 정진하되 새벽에 일어나고 밤늦게 잠자리에 들며, 누워 잠자기를 좋아하지 아니하고, 끝내 추위ㆍ더위ㆍ기갈ㆍ공포ㆍ환희를 보지 아니한다. 세간사이든 출세간사이든 무릇 모든 짓는 일이면 끝까지 마치어 결코 중간에 그만두지 않으며, 일이 설사 결과를 얻지 못하게 되더라도 결코 중간에 후회하지 않는다. 비록 타인으로부터 공경이나 공양을 받더라도 자신이 닦는 일을 쉬지 않으며 자신의 몸에 대하여 가벼이 하는 마음을 일으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없다고 말하지 않는다. 비록 세간의 행하기 어려운 일을 만나더라도 결코 후퇴하거나 위축되지 않는다. 이런 것을 비리야바라밀 보살성인이라 한다.어떤 것을 선바라밀 보살성인이라 하는가? 보살마하살이 지극한 마음으로 모든 법의 진실한 뜻을 기꺼이 관(觀)하며, 적정(寂靜)하고 사람이 없는 곳에 기꺼이 머물며, 즐겨 중생으로부터 악을 제거하고 선법(善法)을 증장하며, 적정을 즐기는 자를 보면 기뻐하여 공경한다. 비록 번뇌가 있더라도 그 본성은 경미하므로 가진 선심(善心)은 결코 모든 악한 각관(覺觀)에 의하여 파괴되지 않는다. 자비심을 수집(修集)하여 원수를 자식처럼 대하여, 중생들이 큰 고뇌를 당하는 것을 보면 비심(悲心)을 일으켜 자신의 능력에 따라 이를 끊어 없애준다. 모든 중생이 다 안온하기를 바라며, 설사 몸이 고통을 받더라도 근심하거나 고뇌하지 않고, 신명(身命)이나 재물을 잃어버리거나 묶이고 얽매이고 얻어맞고 떠밀린다 하더라도 스스로 깨달아서 정념(正念)을 잃고 걱정과 고뇌[憂苦]를 일으켜서는 안 된다. 전심하여 법을 듣고 글씨로 쓰고 수지ㆍ독송ㆍ해설하며, 만일 남들이 이를 잊어버리면 가르쳐서 보여준다. 이와 같은 지극한 마음의 인연으로 해서 뒷세상에 법계(法界)를 잊지 않게 되는 바, 이를 선(禪)바라밀 보살성인이라 한다.어떤 것을 반야바라밀 보살성인이라 하는가? 보살마하살이 모든 세간의 일을 환히 알고, 온갖 방술(方術)과 중생들이 가진 언설(言說)을 안다. 그러나 비록 이런 것들을 알더라도 그 마음은 오류가 있거나 미혹되지 않고 방일(放逸)하지도 않으며, 외도(外道)에게 속거나 홀림을 당하지 않고 삿된 견해로 말하는 의리(義理)를 따르지 않는다. 이런 것을 반야바라밀 보살성인이라 한다.
내가 지금 대략 조잡한 인[麁印]의 상(相)에 대하여 말하였거니와 그 다음의 세밀한 인[細印]의 상에 대해서는 모든 부처님께서 아시는 바이다.보살성은 헤아리기가 불가능하다. 모든 공덕의 일을 성취하여 충족하게 갖추었으며 청정하고 진실하여 구족한 정법(淨法)이다. 이러하기 때문에 상(上)이라 하고 또한 부동(不動)이라 하며, 또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인이라 한다. 보살마하살이 만일 악법의 과환(過患)을 보지 못하면 모든 선법을 닦을 수 없다. 보살마하살이 상선(上善)을 닦을 때에 비록 객진번뇌 인연으로 하여 삼악도에 떨어진다 하더라도 악도(惡道)의 중생보다는 낫다. 어째서인가? 보살성 때문이다. 만일 객진번뇌 인연으로 하여 악도에 떨어진 자가 속히 이를 깨뜨리고 빨리 벗어나오기만 한다면 악도를 벗어나오지 못하여 무거운 고통을 받는 것과는 같지 않다. 고통을 받을 때에도 모든 중생들에 대하여 아직도 대비심(大悲心)을 일으키는 바, 성(性)의 인연 때문에 비심을 얻는 것이다. 이러하기 때문에 보살이 모든 삼악도의 중생보다 나은 것이다.보살마하살은 네 가지 번뇌인연 때문에 정법(淨法)을 깨뜨린다. 어떤 것을 네 가지라 하는가? 첫째는 이중상항(利重常恒)이며, 둘째는 이 둘을 가지고 맺어서 나쁜 벗을 친근히 하는 것이며, 셋째는 스승의 처소에서 왕주(王主)가 원망하고 도적으로 여겨 두려운 마음이 생겨나 선심(善心)을 잃고 번뇌를 일으키는 것이며, 넷째는 신명(身命)을 위하기 때문에 온갖 악법을 짓는 것이다.
이 네 가지 법이 비록 보살마하살의 성품을 가지고 있다 해도 결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없게 한다. 또한 네 가지 사(事)가 있어 비록 보살마하살의 성품이 있어도 역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없게 한다. 어떤 것들을 네 가지라 하는가? 첫째는 선우ㆍ부처님ㆍ보살로서 이치를 잘못 설하지 않는 자를 만나지 못하는 것이며, 둘째는 비록 선우ㆍ부처님ㆍ보살을 만났더라도 내용을 잘못 풀이하여 보살이 가진 금계(禁戒)를 배우지 않는 것이며, 셋째는 비록 선우ㆍ부처님ㆍ보살을 만나 순리대로 뜻을 풀이한다 하더라도 보살의 금계를 배워서 지니지 못하는 것이며, 넷째는 비록 선우ㆍ부처님ㆍ보살을 만나 순리대로 뜻을 풀이하고 보살의 금계를 배운다 하더라도 선근(善根)이 미숙하여 구족한 장엄 보리를 얻지 못하는 것이다. 이렇기 때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지 못한다.보살이 비록 보살의 성품을 갖고 있더라도 만일 이와 같은 네 가지 일을 충족하게 갖추지 못하면 결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없으며, 비록 이 같은 네 가지 일을 충족하게 갖춘다 하더라도 보살의 성품이 없으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수 있는 자는 여기에는 없다.
3) 발보리심품(發菩提心品)보살마하살이 처음으로 발심할 때에 크고 바른 원을 세워서 이와 같이 말한다.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때에는 모든 중생을 크게 이익되도록 하며, 모든 중생을 열반 중에 안전하게 있게 하여, 또한 모든 중생을 교화하여 모두 반야의 큰 지혜를 충족하게 갖추도록 하겠습니다.”
이것을 자신을 이익되게 하고 남도 이익되게 한다[自利利他]는 것이다. 그래서 처음으로 보리심을 내는 자가 이름을 얻어 보리인연이라 하며, 중생인연이라 하며, 정의(正義)인연이라 하며, 삼십칠 조도인연(助道因緣)이라 하여 모든 선법(善法)의 근본을 섭취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보살을 선대선(善大善)이라 하며, 실진실(實眞實)이라 하며, 또한 일체중생선근(一切衆生善根)이라 하는 바, 능히 모든 신ㆍ구ㆍ의 등 삼업(三業)의 모든 악을 깨뜨릴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세간에 있는 서원(誓願) 및 출세간의 서원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길 수 있는 것이 없다. 이처럼 서원이 더 이상 뛰어남이 없고 위가 없다.보살마하살이 처음으로 삼보리심(三菩提心)을 냄에는 다섯 가지 사(事)가 있다. 다섯 가지란 무엇인가? 첫째는 성(性)이요, 둘째는 행(行)이요, 셋째는 경계(境界)요, 넷째는 공덕이요, 다섯째는 증장(增長)이다. 이것을 다섯 가지라 한다. 보살이 보리심을 낼 수 있으면 보살마하살이라 하는 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결정적으로 얻어서 대승행(大乘行)을 닦는 것이다. 이 때문에 처음에 보리의 마음을 내면 모든 선법을 능히 섭취할 수 있다. 보살마하살이 보리심을 내어 따라 행하면 차차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지만, 만일 마음을 내지 않으면 끝내 얻을 수 없다. 이렇기 때문에 마음을 내는 것이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근본이다. 보살마하살이 고통받는 중생을 보면 마음에 연민이 생긴다. 이렇기 때문에 보살은 자비심을 인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며, 보리심을 인하여 삼십칠품(三十七品)을 닦으며, 삼십칠품을 인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 그래서 발심(發心)을 지(支)라 한다. 보리심을 내기 때문에 보살계를 행한다. 그러한 발심을 보살계지(菩薩戒支)라 하며, 그러한 발심을 근(根)이라 하고, 인(因)이라 하고, 섭(攝)이라 하고, 과(果)라 하며 또한 자(子)라 한다.보살의 발심에는 다시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필경(畢竟)이며, 둘째는 불필경(不畢竟)이다. 필경이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때까지 끝내 퇴실(退失)이 없는 것이며, 불필경은 퇴실이 있는 것이다. 퇴(退)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필경퇴(畢竟退)이며, 둘째는 불필경퇴이다. 필경퇴란 끝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지 못하여 그 법을 추구하여 수집(修集)하지 못하는 것이며, 불필경퇴는 보리심을 추구하여 그 법을 수집하는 것이다.이 보리심에는 네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을 네 가지라 하는가? 첫째는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이 모든 불보살의 불가사의함을 보거나 듣거나 하면 그 때에 곧 믿고 존경하는 마음이 생겨서 이렇게 생각하고 말하는 것이다.
“불보살의 일은 불가사의하다. 만일에 불보살의 불가사의한 일이 진정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나 또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하겠다.”
이렇기 때문에 지극한 마음으로 보리를 염하며 보리심을 낸다.둘째는 모든 불보살의 불가사의한 일을 보지 않고 불보살의 비장(秘藏)을 듣기만 해도 듣는 즉시 믿고 존경하는 마음이 생기는 것이다. 믿는 마음으로 믿었기 때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인 것이며 큰 지혜에 미치기 때문에 보리심을 낸다.셋째는 모든 불보살의 불가사의한 일을 보지 않고 또한 법견(法見)이나 법멸(法滅)을 듣지 못할 때에도 이렇게 생각한다.
‘위없는 불법은 중생의 무량한 고뇌를 멸하고 큰 이익을 지을 수 있는데, 오직 보살들만이 불법을 멸하지 않고 영구히 머물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 나도 지금 보리심을 내어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번뇌와 모든 크게 고통스러운 일들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하여 불법을 수호하여 지키고 영구히 세간에 머물게 해야겠다.’
세상에 머물게 하기 위한 까닭에 보리심을 낸다.넷째는 다시 불법의 멸함을 보지 못할 때에는 오직 악세(惡世)의 모든 중생들이 가진 무거운 번뇌와 탐(貪)ㆍ에(恚)ㆍ치(癡) 등, 그리고 부끄러움을 모르고 인색하며 질투함과 근심 걱정ㆍ고뇌ㆍ불신ㆍ게으름만 보게 되는데, 이런 것들을 보게 되면 곧장 이렇게 생각한다.
‘세상이 크게 악한 때에는 중생들이 크게 악하여 선을 닦지 못한다. 이렇게 악한 때에는 이승(二乘)의 마음도 오히려 낼 수 없는데 하물며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이겠는가? 나는 지금 보리의 마음을 내야겠으며, 이 마음을 내게 되면 모든 중생들을 교화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도록 해야겠다.’
이 때문에 보살이 이 같은 악세의 악한 중생들 속에서 보리심을 내는 것이다.또한 네 가지 인(因)이 있어서 보리심을 낸다. 어떤 것이 이 네 가지인가? 첫째는 성구족(性具足)이며, 둘째는 선우구족(善友具足)이며, 셋째는 자심구족(慈心具足)이며, 넷째는 생사의 고통을 보고 성행(聖行)을 구족하는 것이다. 보리를 경외하지 않으면 고행(苦行)을 행하기 어렵다. 성구족이란 보살성이 스스로 구족한 것이다.선우구족에 네 가지 사(事)가 있으니 어떤 것이 이 네 가지인가? 첫째는 좋은 벗이 모든 근(根)이 완전하고 대지혜(大智慧)를 갖추어서 능히 선악을 보여주어 삿된 도[邪道]를 행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을 선우구족이라 한다. 둘째는 마음이 방일(放逸)하지 아니하여 능히 방일한 마음을 깨뜨리고 악도(惡道)를 막아버리는 것이다. 셋째는 스스로 능히 보살의 금계(禁戒)를 구족하여 이를 활용하여 남을 가르치는 것이다. 넷째는 하도(下道)로써 상도(上道)에 돌리지 않으며, 소승으로써 대승에 돌리지 않으며, 복을 닦음으로써 정혜(定慧)에 돌리지 않는 것이다.구족혜심(具足慧心)에 다시 네 가지 사(事)가 있다. 어떤 것이 이 네 가지인가? 첫째는 더러는 세계에 고뇌처(苦惱處)가 있기도 하며 더러는 세계에 고뇌나 고뇌처가 있지 않기도 한데, 보살이 발원하여 거기에 왕생해서 고통 받는 것을 보면 마치 자신이 받는 것과 같이 생각하여 자심(慈心)을 일으켜서 그 고통을 깨뜨려 주는 것이다. 둘째는 지옥에 태어나서 고통 받는 것을 보면 마치 자신이 받는 것과 같이 생각하여 역시 자심을 일으켜서 그 고통을 깨뜨려 주는 것이다. 셋째는 아귀에 태어나서 더러 고통 받는 것을 보면 마치 자신이 받는 것과 같이 생각하여 역시 자심을 일으켜서 그 고통을 깨뜨려 주는 것이다. 넷째는 축생에 태어나서 더러 고통 받는 것을 보면 마치 자신이 받는 것과 같이 생각하여 역시 자심을 일으켜 그 고통을 끊어주는 것이다.자심을 구족하는 데 다시 세 가지가 있으니, 곧 상ㆍ중ㆍ하이다. 상(上)에 다시 네 가지 사(事)가 있으니, 첫째는 생사의 고통을 보는 것이며, 둘째는 시작과 끝이 없이 자비심을 닦는 것이며, 셋째는 성용건심(性勇健心)이며, 넷째는 득지혜심(得智慧心)이다.다시 네 가지가 있으니 어떤 것이 그 네 가지인가? 첫째는 불방일(不放逸)이며, 둘째는 구족계(具足戒)이며, 셋째는 능인욕(能忍辱)이며, 넷째는 지극한 마음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전념하는 것이다.
다시 네 가지가 있으니 어떤 것이 그 네 가지인가? 첫째는 중생들을 자식처럼 평등하게 보는 것이며, 둘째는 원망스럽거나 친근한 것에 구별을 두지 않는 것이며, 셋째는 신심(信心)을 굳건히 하는 것이며, 넷째는 성행(聖行)을 닦아 행하는 것이다. 이것이 그 네 가지이다.자심을 수집(修集)하는 데에는 네 가지의 힘이 있다. 어떤 것이 그 네 가지인가? 첫째는 내력(內力)이며, 둘째는 외력(外力)이며, 셋째는 인력(因力)이며, 넷째는 장엄력(莊嚴力)이다. 보살마하살이 지극한 마음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전념하는 것을 내력(內力)이라 하고 모든 중생을 교화하여 제도하기 위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는 것을 외력이라 하며, 무량한 아승기겁 동안 능히 선행(善行)을 수집하여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을 스승으로 섬기는 것을 인력이라 하고 보살마하살이 선우(善友)를 즐겨 가까이 하여 정법(正法)을 듣고 받아들이며 그 뜻을 생각하여 말한 대로 수행하는 것을 장엄력이라 한다.만일 보살마하살이 이 두 가지 힘으로써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면 이를 정심(正心)ㆍ부동심(不動心)ㆍ불퇴심(不退心)ㆍ부전심(不轉心)이라 하며, 이른바 내력과 인력이 만일 외력과 장엄력으로 해서 보리심을 내면 이를 부정심(不正心)ㆍ동심(動心)ㆍ퇴심(退心)ㆍ전심(轉心)이라 한다.보살의 전심에 네 가지 인연이 있다. 어떤 것이 이 네 가지인가? 첫째는 성품이 구족하지 못한 것이며, 둘째는 악우(惡友)가 구족한 것이며, 셋째는 모든 중생에 대하여 비심(悲心)을 구족하지 않는 것이며, 넷째는 생사의 과환(過患)을 관찰하지 못하는 것이다. 보살마하살이 처음 보리심을 내는 데 두 가지 불가사의한 일이 있다. 어떤 것이 그 두 가지인가? 첫째는 모든 중생에 대하여 같은 권속이라는 생각을 가지는 것이며, 둘째는 중생이라는 생각이 없는 것이다. 보살은 이 중생이 누구며 중생이 누구에게 속하는가 하는 것을 언제나 지혜로써 관찰하는데, 이를 두 가지 인(因)이라 한다. 이 두 마음이 능히 보살로 하여금 퇴전(退轉)함이 없게 하는 것이다.처음 보리심을 내는 데에는 두 가지 마음이 있다. 어떤 것이 이 두 가지인가? 첫째는 중생을 위하여 이들에게 안온을 베푸는 것이며, 둘째는 중생을 위하여 이들에게 쾌락을 베푸는 것이다. 모든 선법으로써 모든 중생을 교화하여 악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것을 안온이라 하며, 능히 재물의 명세를 중생에게 주어 가난에서 벗어나게 하는 의식(衣食)ㆍ방사(房舍)ㆍ와구(臥具)와 질병에 대한 의약을 쾌락이라 한다.퇴전(退轉)하지 않는 보살에게는 두 가지 마음이 있다. 어떤 것이 이 두 가지인가? 첫째는 성장엄(性莊嚴)이며, 둘째는 전심수지장엄(專心受持莊嚴)이다. 항상 중생을 안락하게 할 것을 생각하는 것을 성장엄이라 하며, 끝내 보리의 마음을 퇴전하지 않고 이 지극한 마음으로 인하여 능히 모든 중생에게 안락을 베푸는 것을 수지장엄이라 한다.퇴전하지 않는 보살이 복덕을 내는 데에는 두 가지 처소[處]가 있다. 어떤 것이 이 두 가지인가? 첫째는 보리의 마음이며, 둘째는 중생의 고통 받음이다. 이 같은 두 가지 일을 대선법취(大善法聚)라 한다. 처음 견심(堅心)을 냄에 있어 보살에게는 또 두 가지 일이 있어 모든 성문과 연각을 이긴다. 어떤 것이 이 두 가지인가? 첫째는 인승(因勝)이며, 둘째는 과승(果勝)이다. 보살마하살이 보리심을 발하여 닦은 선법을 인(因)이라 하며, 선법을 행함으로 인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것을 과(果)라 한다. 이와 같은 인과 과가 모든 성문과 연각을 이긴다.퇴전하지 않는 보살에게 두 가지 큰 일이 있다. 어떤 것이 이 두 가지인가? 첫째는 이 마음을 내면 즉시 모든 무량한 중생을 위하여 복전(福田)을 지으며, 부모ㆍ사장(師長)ㆍ화상(和上)을 위하여 지어서 크게 연민심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 연민심 때문에 행동을 하거나 머물러 있거나 앉아 있거나 누워 있거나 잠을 자거나 깨어 있거나 간에 언제나 여러 하늘의 보살핌을 받는데, 마치 전륜왕(轉輪王)이 항상 오백의 청의(靑衣) 귀신으로부터 수호를 받는 것과 같다. 불퇴보살도 역시 이와 같다. 연민하기 때문에 다시 몸을 받더라도 병고(病苦)가 없다. 둘째는 발심한 보살이 항상 중생으로부터 마치 부모인 것처럼 기꺼운 주목을 받는 것이다. 모든 중생은 보살이 있는 곳에 대하여 신ㆍ구ㆍ의업이 유연하여 악함이 없는 바, 이것을 그 두 가지라 한다.보살마하살이 보리심을 내어 정념(正念)을 잃지 않으면 모든 중생에 대하여 해하려는 마음을 일으키지 않으며, 고기를 먹지 않고 속이지 않는다. 언제나 선법으로 중생을 교화하고 중생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더라도 폐지하거나 근심하지 않는다. 자신을 조복하고 남들도 조복하며, 그 교화에 따르는 중생이 처한 곳은 모두 복전이 늘어나도록 한다. 만일 객진번뇌의 인연으로 해서 삼악도에 떨어지더라도 빨리 벗어나오며, 같이 고통을 받더라도 초독(楚毒)이 생기지 않고, 고통 받는 자를 보면 불쌍하고 가엾게 여기는 마음이 생긴다. 보살로서 처음 보리심을 발한 자는 이와 같이 무량한 공덕을 성취하는 것이다.
4) 이익내외품(利益內外品)보살마하살이 보리심을 내면 어떤 것을 보리행이라 하는가? 보살이 이곳이나 저곳에서 배우든 가르치든 간에 모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위하는 것을 일러 계문사유(戒聞思惟)라 하는데 이를 보살행이라 한다.
보살마하살은 어떤 곳에서 배우는가? 배움에 일곱 가지 처소가 있다. 어떤 것이 이 일곱 가지인가? 첫째는 내의(內義)이며, 둘째는 외의(外義)이며, 셋째는 진실의(眞實義)이며, 넷째는 불가사의의(不可思議義)이며, 다섯째는 조중생의(調衆生義)이며, 여섯째는 자숙불법의(自熟佛法義)이며, 일곱째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것이다. 이것을 일곱 가지 처소라 한다.어떤 것을 내의라 하는가? 내의에 열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이 이 열 가지인가? 첫째는 진실의(眞實義)이며, 둘째는 위타의(爲他義)이며, 셋째는 조복의(調伏義)이며, 넷째는 안온의(安隱義)이며, 다섯째는 쾌락의(快樂義)이며, 여섯째는 인의(因義)이며, 일곱째는 과의(果義)이며, 여덟째는 현재의(現在義)이며, 아홉째는 타세의(他世義)이며, 열째는 필경의(畢竟義)이다. 보살마하살이 남의 일을 위하기 때문에 내의라 한다.진실의란 것은, 번뇌의 성품과 대치문(對治門)을 알아서 자신이 즐겨 구족한 것으로써 중생에게 베푸는 것이다. 뜻은 언제나 무상정도(無上正道)를 수집(修集)하며, 무릇 구하고 찾는 것은 중생을 편안히 하는 것이다. 재물을 얻었다고 하여 아끼고 탐내는 마음이 없으며, 불ㆍ법ㆍ승과 부모ㆍ사장(師長)에게 공양한다. 천 리ㆍ만 리의 길이라도 찾아가서 부처님의 경전과 보살장을 구하며, 법을 얻으면 널리 유포하되 감추거나 아까워하지 않는다. 비록 깊은 뜻을 이해하였더라도 자기가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고, 천상에 태어나게 하기 위하여 지계(持戒)의 이익을 말하며, 전륜왕을 위하여 보시의 덕을 말하며, 이승도(二乘道)를 위하여 삼매를 닦을 것을 말하며, 세간의 대과보(大果報)를 얻게 하기 위해 불ㆍ법ㆍ승보에 공양하여 널리 복업을 닦도록 가르치며, 탐심(貪心)을 가진 자를 위해 탐하는 일에 대해 말하며, 속이는 짓을 하는 자를 위해 속이는 일에 대해 말하며, 비법인(非法人)을 위해 동복(童僕)의 일을 한다. 보살마하살이 이런 일을 하기 때문에 이를 진실의라 한다. 보살마하살이 가진 자리(自利)는 모두 중생을 위한 것이다. 그래서 타의(他義)라 한다.보살마하살이 하는 모든 연설(演說)은 온갖 삿된 이견을 깨뜨리기 위한 것이다. 인과가 없다 하여 파계한 자가 허물을 보지 못하므로 이들을 위하여 금하는 계율을 범하고 훼손한 것에 대한 갖가지 잘못을 말하며, 삼악(三惡)을 깨뜨리기 위해 법을 풀어 말한다. 만일 퇴전(退轉)하는 선(禪) 및 선법자(善法者)가 있으면 퇴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법을 말하며, 모든 선법을 증장(增長)하고자 하여 법을 말하며, 중생에게 자재(自在)함을 얻게 하기 위해 법을 말하며, 시방 세계의 중생으로 하여금 선신족(善神足)을 얻게 하고자 하여 법을 말한다. 이것을 조복의(調伏義)라 한다.내의(內義)는 외의(外義)라고 외의는 또 내의라고 이름한다. 내외의는 조복의라고 이름하며 조복의는 또한 내외의라고 이름한다.
여래의 십력(十力)ㆍ사무소외(四無所畏)ㆍ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ㆍ대비(大悲)ㆍ삼념처(三念處)ㆍ오지(五智)ㆍ삼매(三昧)를 진실의라 한다. 진실의는 내외의라 한다. 내외의에는 두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이 이 두 가지인가? 첫째는 자신에 대한 조복(調伏)이며, 둘째는 남을 조복하는 것이다. 보살마하살이 방편을 잘 아는 것을 조복의라 하며, 보살이 행한 모든 선행(善行)을 조복의라 한다.어떤 것을 다시 내외의라 하는가? 내외의에 다섯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이 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남의 몸을 청정하게 하는 것이며, 둘째는 남의 선법을 길러주는 것이며, 셋째는 현재의 이익이며, 넷째는 타세(他世)의 이익이며, 다섯째는 남의 번뇌를 깨뜨리는 것이다. 만일 보살마하살이 닦은 선(善)의 다소에 따라 중생에게 자신이 얻은 것과 같아지도록 교화한다면 이를 조복의라 한다.
보살마하살은 자신이 안온(安隱)하면 다시 자신의 안온을 중생에게 베푸는데, 이른바 출세간이든 세간이든, 욕계든 선정이든 그렇게 한다. 이를 안온의라 한다. 안온의는 또한 내외의라 하며, 또한 조복의라 하며, 또한 진실의라 한다. 보살마하살의 내외의는 현재의 즐거움이 있고 타세(他世)의 즐거움이 있지 않으며, 타세의 즐거움이 있고 현재의 즐거움이 있지 않으며, 현재의 즐거움이 있고 타세의 즐거움이 있으며, 현재의 즐거움이 있지 않고 타세의 즐거움이 있지 않다.내외의에는 다시 네 가지가 있다. 중생이 법을 받되 현세에는 즐거움을 받고 타세에는 괴로움을 받으며, 중생이 법을 받되 현세에는 괴로움을 받고 타세에는 즐거움을 받으며, 중생이 법을 받되 현세에도 즐거움을 받고 타세에도 즐거움을 받으며, 중생이 법을 받되 현세에도 괴로움을 받고 타세에도 괴로움을 받는 것이다. 보살마하살이 만일 열반과 대열반과 팔성도분(八聖道分)과 삼십칠도품(三十七道品)을 말하며, 세간도(世間道)와 출세간도를 말하면 이를 안온의라 한다.
안온의는 내외의라 하며, 내외의는 정의(正義)라 하며, 정의는 무상의(無上義)라 하며 무승의(無勝義)라 하며 안온의라 하며 상락의(常樂義)라 한다. 보살마하살이 상락의를 받으면 내외의를 지을 수 있으며, 정의를 지을 수 있으며, 조복의를 지을 수 있으며, 안온의를 지을 수 있다.어떤 것을 쾌락의(快樂義)라 하는가? 쾌락의에는 다섯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이 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인락(因樂)이며, 둘째는 수락(受樂)이며, 셋째는 단수락(斷受樂)이며, 넷째는 원리락(遠離樂)이며, 다섯째는 보리락(菩提樂)이다.
인락이란 무엇인가? 내외촉(內外觸)을 인하며 촉인연(觸因緣)을 인하기 때문에 수락이 있으니 이 이름이 인락이며, 선법을 행함으로 인하여 타세의 낙을 얻으므로 이 이름이 인락이다.
수락이란 무엇인가? 인인연(因因緣)을 따라 몸이 증장(增長)하고 마음이 안온하여지니 이 이름이 수락이다. 수락에 두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이 이 두 가지인가? 첫째는 유루(有漏)이며 둘째는 무루(無漏)이다. 무루에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학지(學地)이고 둘째는 무학(無學)이며, 유루에 세 가지가 있으니 욕계ㆍ색계ㆍ무색계이다. 삼유(三有)에 내외입(內外入)이 있으므로 육촉(六觸)이 있다. 육촉에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신락(身樂)이고 둘째는 심락(心樂)이다. 오식(五識)이 공행(共行)하는 것을 신락이라 하며 의식이 공행하는 것을 심락이라 한다.
성도(聖道)를 수집(修集)하여 온갖 수(受)를 끊어버리기 때문에 도덕이 증장(增長)하여 온갖 수가 없어지는 것을 단수락이라 하며, 번뇌를 영구히 떠나서 심신에 걱정이 없는 것을 원리락이라 하며, 상락(常樂)을 받기 때문에 보리락이라 한다. 혹은 말하기를 무상정(無想定)을 단락(斷樂)이라고 하는데, 그렇지 않다. 어째서인가? 단수(斷受)하지 않기 때문이다.원리락에는 네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출가락(出家樂)이며, 둘째는 적정락(寂靜樂)이며, 셋째는 단락(斷樂)이며, 넷째는 보리락이다. 세간의 사람들은 근심 걱정이 많은데 이 괴로움을 영원히 끊어버리는 것을 출가락이라 하며, 욕계의 탐착(貪箚)을 끊어버리는 것을 적정락이라 하며, 번뇌를 영원히 끊어버리는 것을 단락이라 하며, 항상 즐거움을 받는 것을 보리락이라 한다. 보살이 항상 중생에게 즐거움을 베풀 수 있으므로 보리락이라 하며, 보살마하살이 스스로 상락(常樂)을 받아서 이를 중생에게 베풀므로 보리락이라 한다.어째서 인락이라 하는가? 이것이 즐거움의 원인이기 때문에 인락이라 하며 수락(受樂)이라 하지 않는다. 수락은 인락이라 하지 않고 성락(性樂)이라 하며, 단락(斷樂)은 인락이라 하지 않고 수락이라 하지 않는다. 모든 낙을 끊어버리기 때문에 이름이 단락이다. 원리락은 인락이라 하지 않으며 수락이라 하지 않으며 단락이라 하지 않는다. 나고 죽는 중생의 과환(過患)을 보기 때문에 지혜락(智慧樂)이라 한다. 보리락은 인락이라 하지 않으며 수락이라 하지 않으며 단락이라 하지 않으며 이락(離樂)이라 하지 않는다. 끝없는 상(常)이기 때문에 보리락이라 하며 무승락(無勝樂)이라 하며 무변락(無邊樂)이라 하며 무상락(無上樂)이라 하고, 또 상락(常樂)이라 하며 적정락(寂靜樂)이라 한다.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은 다섯 가지 낙으로써 중생에게 베푸는 이것을 인의(因義)라 한다. 보살마하살은 항상 중생들의 모든 악업을 깨뜨려서 정업(正業)을 보여주는데, 정업인 까닭에 무상도(無上道)를 얻으니 그 이름이 인의이다. 보살마하살이 중생을 위하기 때문에 큰 고뇌를 받으며 고뇌를 받기 때문에 능히 중생을 조복하는 바 이름이 인의이다. 보살마하살이 선악을 관찰하여 중생에게 선악의 일들을 보여서 개시(開示)할 수 있으므로 큰 지혜를 얻으며 지혜를 얻기 때문에 큰 악을 깨뜨릴 수 있는 이것이 인의이다.보살마하살이 지혜를 인하기 때문에 육바라밀을 행하며 아뇩다라삼먁삼보리까지 얻을 수 있는 이것이 과의(果義)이다. 보살마하살은 탐심을 깨뜨리는데, 탐심을 깨뜨리기 때문에 중생에게 다섯 가지 낙을 베풀 수 있으며 중생들은 이 낙을 얻기 때문에 과의라 한다.
보살마하살은 중생을 연민하여 모든 것으로 하여금 자신과 같이 낙을 받게 하고 싶어 하므로 이것을 내외의(內外義)라 한다. 내외의에 세 가지가 있는데 인(因)도 세 가지이고 과(果)도 세 가지인데, 보인(報因)과 보과(報果), 복인(福因)과 복과, 지인(智因)과 지과이다. 무엇을 보라 하는가? 보에는 여덟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이 이 여덟 가지인가? 첫째는 장수(長壽)며, 둘째는 몸을 완전 구족하게 받는 것이며, 셋째는 상종성(上種姓)을 얻는 것이며, 넷째는 자재(自在)함을 얻는 것이며, 다섯째는 언어가 미묘한 것이며, 여섯째는 남자의 몸을 얻는 것이며, 일곱째는 대력(大力)을 얻는 것이며, 여덟째는 이기는 자가 없는 것이다. 이것을 여덟 가지라 한다.
보살마하살이 자심(慈心)을 수집하기 때문에 장수(長壽)를 얻는데 이것이 인보(因報)이다. 보살마하살은 기꺼이 의식(衣食)ㆍ방사(房舍)ㆍ와구(臥具)와 질병의 의약을 중생에게 베풀므로 구족한 몸을 얻는다. 보살마하살은 교만심을 깨뜨리고, 부모ㆍ사장(師長)과 덕 있는 이에게 공양하게 하고 공경하므로 상족(上族)의 종성(種姓)을 얻는다. 보살마하살은 법을 따라 행하고 비법(非法)을 깨뜨리므로 자재무애(自在無碍)함을 얻는다. 보살은 진실하여 중생을 속이지 않으므로 언어의 미묘함을 얻는다. 보살마하살은 언제나 오욕(五欲)을 가책(呵責)하므로 남자의 몸을 얻는다. 보살마하살은 언제나 기꺼이 불보ㆍ법보ㆍ승보에 공양 올리므로 그 몸이 대력(大力)을 얻는다. 보살마하살은 언제나 능히 모든 중생을 교화하여 삼보(三寶)에게 공양하므로 능히 무능승(無能勝)의 능력을 얻는다. 이런 것을 과보라 한다.중생을 해치지 않고 목숨을 증장(增長)시키는 것을 보인(報因)이라 한다. 기꺼이 의식ㆍ방사ㆍ와구와 질병의 의약을 중생에게 베풀므로 보살이 구족신(具足身)을 얻으며, 능히 중생들이 가진 교만심을 깨뜨리기 때문에 상성(上姓)을 얻으며, 능히 중생의 빈궁과 곤고(困苦)를 제거하기 때문에 자재(自在)함을 얻으며, 능히 중생의 거짓말ㆍ이간질하는 말ㆍ나쁜 말과 무의어(無義語)를 깨뜨리기 때문에 묘어(妙語)를 얻는다. 남자의 몸은 찬탄하고 여자의 몸은 가책하는 이 두 가지 인(因)으로 해서 남자의 몸으로 태어난다. 또 멀리 비법욕(非法欲)을 떠나기 때문에 남자의 몸을 얻는다. 보살마하살은 청정한 음식으로 중생에게 베풀고 위태로운 이를 보면 그를 위해 구제하여 풀어준다. 그러므로 그 몸이 대력(大力)을 얻는다. 정법(正法)을 수지하여 독송하고 해설하므로 능히 무능승의 능력을 얻는다. 이것이 보(報)가 가진 여덟 가지이다.
이와 같은 여덟 가지는 세 가지 사(事)로 인하여 증장한다. 그러면 그 세 가지란 무엇인가? 첫째는 심정(心淨)이며, 둘째는 장엄(莊嚴)이며, 셋째는 복전정(福田淨)이다. 보살마하살이 지극한 마음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마음을 다해 구하는 이것이 심정이며, 동학(同學)ㆍ동법(同法)ㆍ동사(同師)에게 공양하게 하는 바 이것이 심정이며, 동학과 동법을 보거나 들으면 마음에 기뻐하는 이것이 심정이다.
보리와 조도(助道)의 일을 수집(修集)하고, 언제나 기꺼이 보리 법장(法藏)을 받아 지녀 베껴 쓰고 독송하며, 또한 이 법으로 중생을 변화시키되 만일 받아들이지 않더라도 근심하거나 후회하지 않으며 중지하지도 않는다. 이것이 장엄정이다. 이 두 정(淨)을 복전정이라 한다.무엇을 보살 보과(報果)라 하는가? 보살의 장수(長壽)를 보과라 한다. 보살은 무엇 때문에 장수를 구하는가? 보살이 이를 얻으면 수명이 길어지기 때문에 무량세(無量世)를 거치면서 선법을 수집(修集)하여 자리(自利)와 이타(利他)를 한다. 이 때문에 보살이 장수를 구하는 이를 보과라 한다.
보살은 무엇 때문에 몸의 구족함을 구하는가? 보살이 몸의 구족함을 얻어야만 중생들이 보고 기꺼이 사랑하고 기뻐하며, 기뻐해야 쉽게 받아들여 교화된다. 이 때문에 보살이 구족한 몸을 구하는 이것을 보과라 한다.보살은 어째서 상족(上族)의 종성(種姓)을 구하는가? 상족의 종성이라야 언제나 중생의 공경을 받으며, 공경하기 때문에 그 말을 믿고 받아들인다. 더러는 성(姓) 때문에, 더러는 이익 때문에, 더러는 두려움 때문에 역시 그 말을 받아들인다. 이 때문에 보살이 상족의 종성을 구하는 이것을 보과라 한다.
보살은 어째서 자재함을 구하는가? 자재해야 무량한 중생을 능히 교화하여 단(檀)바라밀을 구족하게 이룰 수 있다. 그래서 보살이 자재함을 구하는 이것을 보과라 한다.보살은 무엇 때문에 미묘한 말을 구하는가? 미묘한 말이란 보살이 하는 말로서 중생이 즐겨 듣는 것인데 동법(同法)ㆍ동의(同義)ㆍ동행(同行)ㆍ동사(同師)를 항상 능히 교화하여 조복시키므로 이것을 보과라 한다.
보살은 무엇 때문에 남자의 몸을 구하는가? 남자의 몸은 모든 선법의 그릇으로서 모든 고통을 견뎌내어 법계를 조관(照觀)하며, 사중(四衆) 가운데 어렵고 두려운 것이 없고, 시기나 의리를 빨리 알아차리며, 어디를 가든 걸림이 없다. 이 때문에 보살이 남자의 몸을 구하는 이것을 보과라 한다.보살은 무엇 때문에 대력(大力)을 구하는가? 보살로서 이 대력을 성취한 이는 능히 모든 선법을 수행하며, 열심히 정진하여 중생을 온갖 번뇌와 고통으로부터 구제하여 건져낸다. 이 때문에 보살이 대력을 구하는 이것을 보과라 한다.
보살은 무엇 때문에 무승(無勝)을 구하는가? 보살이 만일 이 무승을 얻으면 능히 모든 중생에게 필요한 재물을 혜시(惠施)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인연에 따라 능히 중생들로 하여금 기꺼이 법을 보고 듣고, 그 말을 믿고 받아들이게 한다. 이 때문에 보살이 무승을 구하는 이것을 보과라 한다.이 여덟 가지 보과를 갖춘 보살은 능히 무상의 불법을 장양(長養)하여 중생을 이익되게 하며, 불도를 보기를 마치 손바닥 안에 있는 암마륵과(菴摩勒果)를 보는 것과 같이 한다. 보살이 비록 이러한 팔과(八果)를 성취하여 구족한다 하더라도, 만일 무량한 중생을 교화하여 조복시키지 못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없으며, 비록 교화하여 조복시킨다 하더라도 만약에 이와 같은 팔과를 구족하지 못한다면 역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없다. 보살마하살은 이러한 팔과를 성취하여 구족해서 삼승법(三乘法)으로써 중생을 교화하고 스스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 보살마하살이 이처럼 팔과를 구족하는 이유는 중생을 교화하여 조복하고자 해서인 바, 내외의라 한다. 팔과를 구족한 이를 과의(果義)라 하며, 보인(報因)ㆍ보과(報果)를 또한 과의라 한다.무엇이 복(福)이며 무엇이 지(智)인가? 세 가지 바라밀인 단나(檀那)ㆍ시라(尸羅)ㆍ찬제(提)를 복덕이라 하고 반야바라밀을 지혜라 하며, 나머지 두 바라밀도 역시 복인(福因)이라 하며 역시 지인(智因)이라 한다.
만일 열심히 정진하여 선정(禪定)을 수집(修集)하면 자비와 희사(喜捨)를 성취하여 구족하는 이 네 가지 등의 인연의 힘으로 해서 자재함을 얻으니 이것이 복의 인(因)이다.만일 열심히 정진하여 삼매를 수집하면 오음(五陰)의 모든 입(入)과 계(界)를 깊이 보고, 고(苦)를 보되 실고(實苦)를 보며, 집(集)을 보되 실집(實集)을 보며, 멸(滅)을 보되 실멸(實滅)을 보며, 도(道)를 보되 실도(實道)를 본다. 실(實)과 비실(非實)을 보며, 선(善)과 비선(非善)을 보며, 법과 비법을 보며, 위와 아래를 보며, 백과 흑을 보며, 십이연(十二緣)을 보는 이것이 지인(智因)이다.만일 열심히 정진하여 한마음으로 수집하면, 기꺼이 혜시(惠施)하고, 기꺼이 금계(禁戒)를 지니고, 기꺼이 인욕(忍辱)을 닦는 이것이 복인(福因)이다.
만일 열심히 정진하여 한마음으로 수집하면 보살의 비장 경전(秘藏經典)을 즐거이 듣고 받아 지녀, 베껴 쓰고 독송하며 해설한다. 이러한 다문(多聞)의 인연력 때문에 대지혜를 얻어서 법계를 분별하는데, 법계를 분별하는 것을 지과(智果)라 한다.보살의 복인은 또한 인이고 또한 과이며, 보살의 지인(智因)은 또한 인이고 또한 과이다. 보살의 복인은 또한 복이고 또한 지이며, 보살의 지인은 또한 지이고 또한 복이다. 이 때문에 보살의 복인에 여섯 가지가 있으며, 지인에도 여섯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이 이 여섯 가지인가? 육바라밀을 말한다. 어떤 것을 복인ㆍ지인이라 하는가? 복인ㆍ지인에는 세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이 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신심(信心)이며, 둘째는 발심(發心)이며, 셋째는 선우(善友)를 친근히 하는 것인데, 이것이 세 가지 복인이며 지인이다. 다시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선(善)이며, 둘째는 불선이다. 만일 악우(惡友)를 가까이 하여 사도(邪道)를 수집해서 정혜(定慧)를 행시(行施)하면 이를 불선복(不善福)이라 하며, 이와 같이 착하지 못한 복혜(福慧)를 깨뜨리면 선복이라 한다.만일 신심이 없어서 발심을 하고도 선우를 친근히 하지 않으면 끝내 복덕과 지혜를 얻을 수 없다. 이런 세 가지로부터 멀리 떠났다고 말하면서도 복덕과 지혜를 얻은 자는 여기에는 없다. 이것을 복덕인이라 하며 지혜인이라 한다.
어떤 것을 복과(福果)와 지과(智果)라 하는가?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구족한 복덕을 성취하여 생사에 더럽혀지거나 물들지 않으면 이를 과(果)라 한다. 보살이 구족한 지혜를 성취하여 악도로부터 멀리 떠나 선도를 수집하면 이를 과라 한다. 보살마하살이 이러한 두 가지를 성취 구족하여 중생을 교화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면 이를 과라 한다. 사무량심(四無量心)도 역시 보살의 복과이며 지과이다. 보살마하살이 보인이나 보과를 복덕이라 하여 복덕인ㆍ복덕과라 하며, 또한 지혜라 하여 지혜인ㆍ지혜과라 한다.
만일 이 두 가지 법 중 한 가지 법만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고 한다면 그런 이는 여기에는 없다. 이것을 과의(果義)라 한다. 과의를 내외의(內外義)라 한다.현재의(現在義)란 무엇인가? 보살마하살이 만일 모든 세간의 일들을 두루 배웠다면, 두루 알기 때문에 크게 자재함을 얻으며, 자재함을 얻었기 때문에 능히 중생을 교화한다. 중생이 이를 받아들여 선법을 수집하는데, 이것이 현재의이다. 설사 보살마하살이 선법에서 퇴실(退失)했더라도 삼매를 수집하여 선정을 닦기 때문에 다시 선법을 얻게 되는데, 이것이 현재의이다. 만일 보살마하살이 객진번뇌로 해서 갖가지 죄를 지으면, 짓고 나서 당연히 얻어야 할 과보를 깊이 살펴보고, 즉시 뉘우치고 부끄러워하여 현괴(現壞)의 악업을 짓지 않는데, 이것이 현재의이다. 만일에 악업의 인연력으로 해서 남에게 욕도 먹고 분풀이를 당하고 얻어맞아 몸이 초독(楚毒)을 입는다면 이것이 현재의이다. 만일 보살마하살이 선정을 수집하면 이것을 인연으로 해서 몸이 안락을 얻게 되는데, 이것이 현재의이다. 만일 보살마하살이 자재한 몸을 얻는다면 상(常)ㆍ낙(樂)ㆍ아(我)ㆍ정(淨)하니 이것이 현재의이다. 만일 보살마하살이 팔성도(八聖道)를 닦는다면 이것을 인연으로 해서 열반을 얻을 것이니 이것이 현재의이다. 보살 중생의 경우에도 역시 그러하다.타세의(他世義)란 무엇인가? 현재의 인연으로 해서 타세의 몸을 얻는 것이 타세의이다. 현재의와 타세의를 내외의라 한다.필경의(畢竟義)란 무엇인가? 욕계의 복덕은 필경의가 아니며, 색계와 무색계 세간의 복덕은 아무리 자재해도 필경의가 아니다. 모든 보살들이 팔성도를 닦아 열반을 얻을 경우, 그 몸이 걸림이 없고 끝이 없으며, 선법이 무량한 것을 필경의라 한다.
필경의에는 세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이 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성필경(性畢竟)이며, 둘째는 퇴(退)필경이며, 셋째는 보진(報盡)필경이다. 불(不)필경도 역시 마찬가지다. 성필경은 열반(涅槃)이라 하며, 성불필경은 유위법(有爲法)이라 한다. 퇴필경은 성문ㆍ연각이 닦는 팔도(八道)라 하며, 불퇴필경은 아비발치(阿毘跋致)라 한다. 보진필경은 세간에 있는 복덕과보이며, 보부진필경은 무상도과(無上道果)를 말하는 바, 십의(十義)라 한다. 보살마하살이 항상 수집(修集)하여 중생을 교화해야 하는 바, 가령 과거세의 모든 보살들의 학(學)을 말하며, 현재나 미래에 대해서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만일 보살마하살이 이 십법(十法)의 학을 닦을 수 없으면 보살금계를 얻을 수 없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