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2043 불교(광찬경 4권 / 光讚經)

by Kay/케이 2023. 3. 10.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광찬경(光讚經) 4

 

축법호 한역

김두재 번역

 

9. 마하반야바라밀행품(摩訶般若波羅蜜行品)

 

그때 현자(賢者)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天中天)이시여가령 보살마하살이 구화구사라(漚惒拘舍羅方便善巧)도 없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만약 물질色陰을 행하는 것은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고아프고 가려운 느낌痛痒受陰ㆍ고정관념思想想陰ㆍ나고 죽는 행업生死行陰ㆍ인식작용識陰을 행하는 것은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며만약 물질적 존재가 항상한 것이라고 행하면 그것은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항상한 것이라고 행해도 그것은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며만약 물질은 덧없는 것이라고 행하면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덧없는 것이라고 행하면 그것도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됩니다.

만약 물질적 존재는 괴로운 것이라고 행하면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괴로움이라고 행하면 그것도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며만약 물질은 즐거운 것이라고 행하면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덧없는 것이라고 행하면 그것도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됩니다.

만약 물질적 존재는 괴로운 것이라고 행하면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괴로움이라고 행하면 그것도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며만약 물질은 즐거운 것이라고 행하면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즐거운 것이라고 행하면 그것도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됩니다.

만약 물질은 내 것이라고 행하면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내 것이라고 행하면 그것도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며만약 물질적 존재가 내 것이 아니라고 행하면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을 내 것이 아니라고 행하면 그것도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됩니다.

만약 물질적 존재는 허무한 것이라고 행하면 곧 생각을 행한 것이 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허무한 것이라고 행하면 그것도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됩니다.

또 천중천이시여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물질은 적막(寂寞)한 것이라고 행하는 것은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적막한 것이라고 행하면 그것도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됩니다.

가령

 

천중천이시여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구화구사라가 없이 만약 네 가지 의지(意止念住)를 행하면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고 네 가지 의단(意斷)ㆍ네 가지 신족(神足)ㆍ오근(五根)ㆍ오력(五力)ㆍ일곱 가지 각의(覺意覺支)ㆍ여덟 가지 유행(由行聖道)을 행하면 그것도 생각을 행하는 것이며만약 열 가지 요소의 힘種力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無所畏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分別辯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의 법을 행하면 곧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됩니다.

천중천이시여가령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스스로 생각하기를 나는 반야바라밀을 행한다고 하면 이것은 보살마하살이 도리어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고가령 보살마하살이 마음 속에 스스로 이렇게 행하는 것이 곧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다라고 생각하면 그것도 또한 생각을 행하는 것이 되오니 이것이 곧 보살마하살이 구화구사라 없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물었다.

보살마하살이 마땅히 어떻게 반야바라밀을 행해야만 반야바라밀을 얻을 수 있습니까

수보리가 사리불에게 말하였다.

가령 현자(賢者)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물질이라는 생각을 내며 믿어 해탈하지 못하고 만약 물질적 존재라고 집착하면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며나고 죽는다는 생각을 행하거나 만약 물질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수행하면 무명(無明)ㆍ행()ㆍ식()ㆍ육입(六入)ㆍ소갱(所更)ㆍ느낌ㆍ애욕ㆍ취함ㆍ존재ㆍ나고 늙고 병들어 죽음ㆍ근심ㆍ슬픔ㆍ괴로움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지 않고 구화구사라도 없이 눈이라는 생각에 집착하면 미독 해탈하지 못합니다.

가령 보살마하살이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이라는 생각을 내면 믿어 해탈하지 못하고가령 눈과 빛깔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眼色識ㆍ귀와 소리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耳聲識ㆍ코와 냄새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鼻香識ㆍ혀와 맛으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舌味識ㆍ몸과 미세하고 매끄러운 촉감으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身細滑識ㆍ뜻과 법으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意法識이라는 생각을 내면 믿어 해탈하지 못하며만약 눈의 습갱眼習更眼觸과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소습갱所習更에 대한 모든 생각을 내면 믿어 해탈하지 못합니다.

가령 네 가지 의지ㆍ네 가지 의단ㆍ네 가지 신족ㆍ오근ㆍ오력ㆍ일곱 가지 각의ㆍ여덟 가지 유행이라는 생각을 내게 되면 믿어 해탈하지 못하며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의 법이라는 생각을 내게 되면 믿어 해탈하지 못하며부처님 법을 생각하고 행해야 한다는 집착과 생각을 내면서 반드시 이렇게 생각하고 행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다면 열두 가지 인연으로 생겨나는 고뇌의 근심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그러한 보살마하살은 성문이나 벽지불도 되지 못할 터인데 하물며 아뇩다라삼야삼보(阿耨多羅三耶三菩) 아유삼불(阿惟三佛)의 경지에 이를 수가 있겠습니까미칠 수가 없을 것입니다.

이와 같이 사리불이여이러한 보살마하살은 구화구사라가 없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입니다.”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어떤 것이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구화구사라가 있는 것입니까

수보리가 사리불에게 말하였다.

가령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는 물질에 집착하면서 수행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에 집착하면서 행하지 않으며물질이라는 생각을 행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의 생각을 행하지 않으며물질은 항상한 것이라는 생각을 행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항상한 것이라는 생각을 행하지 않으며물질은 덧없는 것이라는 생각을 행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덧없는 것이라는 생각을 행하지 않으며 물질은 괴로움이라는 것을 행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괴로움이라는 것을 행하지 않으며물질은 즐거움이라는 생각을 행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즐거운 것이라고 행하지 않습니다.

물질은 내 것이라고 행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내 것이라고 행하지 않으며물질은

 

내 것이 아니라고 행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내 것이 아니라고 행하지 않으며물질은 허무한 것이라고 행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허무한 것이라고 행하지 않으며물질은 공한 것이라고 행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공한 것이라고 행하지 않으며물질은 무상(無想)이라는 것을 행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무상한 것이라고 행하지 않으며물질은 원할 것이 없는 것이라고 행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원할 것이 없는 것이라고 행하지 않으며물질은 적막(寂寞)한 것이라고 행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적막한 것이라고 행하지 않으며물질적 존재는 무상(無想)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무상한 것이라고 행하지 않습니다.

왜냐 하면 물질이란 공()한 것이요 물질은 공과 다르지 아니하니 물질은 곧 공이요 공이 곧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물질은 자연 공한 것이요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까지도 모두 공합니다. 이렇게 인식작용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요 공과 다름이 없으니 인식작용에 이르는 모든 것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인식작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네 가지 의지ㆍ네 가지 의단ㆍ네 가지 신족ㆍ오근ㆍ오력ㆍ일곱가지 각의ㆍ여덟 가지 유행의 행은 곧 공()이요 또한 공과 다름이 없기 때문입니다.

서른일곱 가지 조도품도 헤아려보면 곧 공이요 공과 다름이 없으니 서른일곱가지 조도품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서른일곱 가지 조도품이기 때문이며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의 법은 공한 것이요 공과 다름이 없으며부처님의 법이 곧 공이요 공과 다름이 없으니 공이 곧 법이요 법이 곧 공이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사리불이여이것이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구화구사라를 성취한 것입니다.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이와 같이 하는 이는 아뇩다라삼야삼보아유삼불을 증득하게 됩니다. 보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고 나면 받아들이는 것도 없고 행하는 것도 없습니다. 받아들이지도 않고 행하지도 않으며 행하지도 않고 받아들이지도 않으며

 

행하는 것도 있지 않고 또한 행하지 않는 것도 아니니 이런 까닭에 받아들이는 것도 없고 또한 받아들일 대상도 없습니다.”

현자(賢者)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무엇 때문에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받아들이는 것이 없습니까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왜냐 하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자연 그대로여서 얻을 것이 없다고 생각하나니 이런 까닭에 반야바라밀을 존재하는 것이 아니요 그것은 곧 자연일 뿐입니다.

그러므로 사리불이여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받아들이는 것도 없고 행하는 것도 없으며받아들이지도 않고 행하지도 않으며행하지도 않고 받아들이지도 않으며 행할 대상도 없고 행하지 않는 것도 아니니그런 까닭에 받아들일 것도 없으며 받아들일 대상도 없습니다.

왜냐 하면 모든 법은 존재하는 것이 아니요 그것이 곧 자연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르는 곳도 없고 범하거나 저버리는 것도 없으니이것을 일체불수삼매(一切不受三昧)의 선정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보살마하살은 넓고 넓으며아득하고 멀어서 헤아릴 수 없으니모든 성문과 벽지불로서는 미칠 수 없습니다. 보살마하살은 이러한 삼매로써 아뇩다라삼야삼보 아유삼불(阿惟三佛)을 빨리 증득합니다.”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보살마하살은 이 삼매에서만 떠나지 않고 아뇩다라삼야삼보 아유삼불의 경지를 빠르게 증득합니까또 다른 삼매가 있습니까

수보리가 사리불에게 대답하였다.

그 밖에 더 많은 삼매가 있으니 보살은 그러한 삼매로써 속히 아뇩다라삼야삼보 아유삼불을 증득합니다.”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물었다.

어떠한 다른 삼매를 행하여 보살마하살은 속히 아뇩다라삼야삼보 아유삼불을 증득합니까

수보리가 사리불에게 말하였다.

보살마하살은

 

수능엄삼매(首楞嚴三昧)를 닦아서 속히 아뇩다라삼야삼보 아유삼불을 증득합니다.”

수보리가 다시 사리불에게 말하였다.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은 보인(寶印)이요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사자오락(師子娛樂)이요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월요(月曜)라 하며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월당영(月幢英)이라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일체인(一切印)이라고 합니다.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무능견정(無能見頂)이라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요법계(了法界)라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분별당영(分別幢英)이라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유금강(喩金剛)이라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입법인(入法印)이라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입정의왕(立定意王)이라 하며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인왕(仁王)이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세력정진(勢力精進)이라고 합니다.

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초등(超等)이라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입응순분별(入應順分別)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입변어시방계(入辯於十方界)라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총지의(總持意)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도무위(度無爲)라고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등어제법해인(等御諸法海印)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보주허공(普周虛空)이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금강도량(金剛道場)이라고 합니다.

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집영당(執英幢)이라고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제영여문곤(帝英如門閫)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사자후(師子吼)라고 하며그 이름을 정진립(精進立)이라고 하고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승보(勝寶)라고 하며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조명(照明)이라고 하고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불순(不眴)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부주어하(不住於下)라고 하고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결료(決了)라고 하며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등명광보(燈明廣普)라고 하고 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무량행(無量行)이라고 하며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광조(光造)라고 하고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유소조요(有所照曜)라고 하며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장엄정(莊嚴淨)이라고 합니다.

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이구광(離垢光)이라고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유소조락(有所造樂)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전등명(電燈明)이락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진색(盡索)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위신적(威神跡)이라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이진색(離盡索)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무능승(無能勝)이라고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개통(開通)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등명(燈明)이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이등구(離燈垢)라고 합니다.

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엄정변재(嚴淨辯才)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유소광요(有所光耀)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조사(造事)라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혜영(慧英)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주유(住惟)라고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보명(普明)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선립(善立)이라고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보적(寶積)이라고 합니다.

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초제법인(超諸法印)이라고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보법(普法)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승오락(勝娛樂)이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도법정(度法頂)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유소훼괴(有所毁壞)라고 하고 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일체명구(一切明句)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등자소작(等字所作)이라고 하고 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취자(趣字)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단인연(斷因緣)이라고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무사(無事)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무장(無牆)이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결료입호(決了入號)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무비행(無卑行)이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제명(除冥)이라고 합니다.

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수행적(修行跡)이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무동(無動)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광계(廣界)라고 하고 또 다시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결일체덕(決一切德)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주무심(住無心)이라고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정어엄정(淨於嚴整)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도각의(度覺意)라고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무량등명(無量燈明)이라고 하며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등부등(等不等)이라고 하고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도일체(度一切)라고 하며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단제사(斷諸事)라고 하고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이의료제(離意了除)라고 하며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이건립(離建立)이라고 하고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일승(一勝)이라고 하며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행제사(行諸事)라고 하고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제원사(除怨事)라고 하며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멸제소유부당(滅諸所有不當)이라고 합니다.

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입수인연음(入隨因緣音)이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성적언무진도(聲跡言無盡度)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위신적(威神跡)이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광요치성(光耀熾盛)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청정수(淸淨樹)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청증이한(淸證而閑)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일체승(一切勝)이라고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불락일체제고락(不樂一切諸苦樂)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잇으니 그 이름을 무진사(無盡事)라고 하고도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총지구(總持句)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등어정사사자좌(等於正邪師子座)라고 하고도 다른 삼매가 있으니그 이름을 입향리향(入響離響)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무향득향(無響得響)이라고 하고 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이구명(離垢明)이라고 합니다.

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어적(御跡)이라고 하며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만월리구광(滿月離垢光)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전정광(電錠光)이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대엄정(大嚴淨)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보조세간(普照世間)이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보정의(普定意)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응무염리염(應無染離染)이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어공일체등어(御空一切等御)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무청불청보(無靑不靑寶)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입무본념(立無本念)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신시제일(身時第一)이라고 하고또 다른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언시제공념(言時除空念)이라고 하며또 삼매가 있으니 그 이름을 탈허공애멸호(脫虛空礙滅護)라고 합니다.

사리불이여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은 모든 삼매를 행하면 속히 아뇩다라삼야삼보 아유삼불의 경지를 증득합니다.

이 밖에도 헤아릴 수 없고 한량없는 여러 삼매문(三昧門)과 여러 총지문(總持門)이 있으니보살마하살이 이것을 닦으면 속이 아뇩다라삼야삼보 아유삼불을 증득할 수 있습니다.”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의 거룩한 뜻을 받들고자 찬탄하여 칭송하여 말하였다.

사리불이여과거 세계의 달살아갈아라하삼야삼불(怛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에서 이 삼매를 닦는 모든 보살마하살에게 이미 수기(授記)하셨고현재의 시방 세계에 계시는 현재의 달살아갈아라하삼야삼불께서도 이미 다 이 삼마지를 닦는 모든 보살마하살에게 수기를 하셨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이 삼매를 수행하는 이는 삼매를 보지 않고 또한 삼매를 생각하지 않으며삼매라고 할 것도 없고 또한 나는 꼭 삼매를 닦아야 한다. 나는 마땅히 삼매를 닦아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고 또한 나는 삼매를 공()하게 해야 한다는 생각도 하지 않나니이것이 보살마하살의 무상념(無想念)이라고 합니다.”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보살마하살은

 

이 삼매에 머물러 있으면서 과거의 삼야삼불(三耶三佛)로부터 수기를 받았습니까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아닙니다. 사리불이여왜냐 하면 사리불이여반야바라밀은 삼매와 다르지 않기 때문이요 보살마하살도 또한 다르지 아니하니보살마하살이 곧 삼매요 삼매가 곧 보살마하살이기 때문입니다.”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말했다.

어진 이께서 말씀하신 것과 같이 보살마하살과 반야바라밀과 모든 삼매는 각각 다른 것이 아니므로 보살이 곧 삼매요 삼매가 곧 보살이라면모든 법이 다 평등한데 무엇을 삼매라고 하는지 알지 못하겠습니다.”

그런 까닭에 사리불이여선남자는 이 삼매에 대하여 알려고 하지도 않고 깨달으려고 하지도 않습니다.”

사리불이 다시 물었다.

어찌하여 알려고 하지도 않고 깨달으려고 하지도 않습니까

밝힐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삼매라고 하나니그러므로 보살은 알려고 하지도 않고 깨달으려고 하지도 않습니다.”

그때 세존께서 현자 수보리를 칭찬하여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정말 훌륭하구나. 수보리야내가 너를 칭찬하여 공()을 행함에 있어서 제일이라고 찬탄한 것과 같이 너는 정말로 가장 존귀하구나.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울 때에 마땅히 이와 같이 단바라밀ㆍ시바라밀ㆍ찬바라밀ㆍ유체바라밀ㆍ선바라밀ㆍ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며네 가지 의지ㆍ네 가지 의단ㆍ네 가지 신족ㆍ오근ㆍ오력ㆍ일곱 가지 각의ㆍ여덟 가지 유행을 이와 같이 배워야 하며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만이 지닌 법에 대해서도 이와 같이 배워야만 하느니라.”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배우는 것을 반야바라밀을 배운다고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느니라.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배우는 것을 반야바라밀을 배운다고 하느니라. 그의 배움에는 얻는 것이 없으니

 

단바라밀ㆍ시바라밀ㆍ찬바라밀ㆍ유체바라밀ㆍ선바라밀ㆍ반야바라밀도 또한 이와 같으며네 가지 의지ㆍ네 가지 의단ㆍ네 가지 신족ㆍ오근ㆍ오력ㆍ일곱 가지 각의ㆍ여덟 가지 유행ㆍ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의 법을 저절로 갖추어 만족하게 되나니비록 얻은 것이 있으나 그 또한 얻는 것이 없는 것이니라.”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배우고 이와 같이 행하며 또한 반야바라밀을 배우면 반야바라밀을 얻게 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와 같이 배워야 하지만 반야바라밀을 배워도 얻는 것은 하나도 없느니라.”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어찌하여 얻는 것이 하나도 없습니까

세존께서 대답하였다.

나라는 것을 얻지 않고 남이니 수명(壽命)이니 하는 것도 얻지 않으며보는 것도 얻지 않고 오음(五陰色陰受陰想陰行陰識陰)이 최후에는 그 본말(本末)까지 모두 다 깨끗하여 얻음을 볼 수 없느니라. 쌓임ㆍ요소와 모든 경계諸入의 본말도 마침내는 이와 같이 다 깨끗하게 되므로 얻지 않고무명(無明)의 근원과 그 본말까지도 마침내는 다 청정해지고 행()ㆍ의식ㆍ육입(六入)ㆍ명색(名色)ㆍ소갱(所更)ㆍ느낌ㆍ애욕ㆍ취함ㆍ존재ㆍ태어남ㆍ늙음ㆍ병들고 죽음의 본말까지도 마침내는 다 청정해지며괴로움과 얻는 것이 없음까지도 그 본말이 마침내 다 깨끗해지기 때문이니라. 닦아서 모두 끊는 길도 얻을 수 없으니 본말이 마침내 다 청정해지기 때문이요욕계(欲界)도 얻을 수 없느니 본말이 마침내 다 청정해지기 때문이며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도 얻을 수 없으니 그 본말이 마침내 다 청정해지기 때문이니라.

네 가지 의지ㆍ네 가지 의단ㆍ네 가지 신족ㆍ오근ㆍ오력ㆍ일곱 가지 각의ㆍ여덟 가지 유행ㆍ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의 법도 얻을 수 없으니

 

그 본말이 마침내 청정해지기 때문이며여섯 가지 바라밀도 또한 얻을 수 없으니 그 본말이 마침내 다 깨끗해지기 때문이니라.

수다원ㆍ사다함ㆍ아나함ㆍ아라한ㆍ벽지불도 또한 얻을 수 없는 것이니 그 본말이 마침내 다 청정해지기 때문이며보살도 얻을 수 없는 것이니 그 본말도 마침내 깨끗해지기 때문이요부처도 얻을 수 없는 것이니 그 본말도 마침내 깨끗해지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어떤 것을 청정하다고 합니까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일어나는 것도 없고 생겨나는 것도 없으며얻을 것도 없고 행할 것도 없으면 그것을 청정하다고 하느니라.”

사리불이 말하였다.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배우는 것은 어떤 법을 배우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이 배우는 이와 같은 것은 배울 법이 없는 것을 배우는 것이니라. 왜냐 하면 사리불아이 모든 법은 그것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집착하면서 어리석은 범부들이 의지하는 법이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누가 이 법을 성취하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얻을 것이 없느니라. 그런 까닭에 이와 같은 경지에 이른 이를 무소체(無所逮)라고 하느니라.”

다시 여쭈었다.

세존이시여어떤 것을 얻을 것이 없는데 얻는 것이 있다고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물질은 얻을 것이 없나니그 까닭은 안六根도 공()한 것이요 밖六境도 공한 것이며안과 바깥이 모두 공한 것이니 이른바 자연 그대로 일 뿐 존재하는 것이 없어서 그 모두가 다 공하기 때문이니라. 물질ㆍ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안식작용까지도 또한 안도 없고 바깥도 없으며안과 바깥이 모두 없어서 모든 존재하는 물질은 자연 그대로 아무것도 없이 다 공하기 때문이며네 가지 의지意止ㆍ네 가지 의단意斷ㆍ네 가지 신족神足ㆍ오근(五根)ㆍ오력(五力)ㆍ일곱 가지 각의覺意覺支ㆍ여덟 가지 유행由行正道ㆍ열 가지 요소의 힘十種力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만이 지닌 법도 안이 없고 밖이 없으며 안과 밖이 없이 자연 그대로일 뿐존재함이 없이

 

모두가 공하기 때문이니라. 저 어리석은 범부는 무명의 가르침을 따르고 물질을 의지하여 애착하고 생각을 내느니라. 그들은 무명을 의지함으로써 두 눈이 모두 어두워져서 알지도 못하고 보는 것도 없으니이미 알지도 못하고 보지도 못하면 그들은 생각을 일으켜 물질을 얻지 못하고또한 불법에 집착하여 이미 의지하는 것이 있게 되면 그들은 모든 물질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법을 깨달아 알고자 하나 알지 못하고 보지도 못하느니라.”

어떤 것을 알지도 못하고 보지도 못하는 것이라고 말합니까

물질ㆍ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을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며열두 가지 처소ㆍ열여덟 가지 요소ㆍ서른 일곱가지 조도품ㆍ열두 가지 인연(因緣)ㆍ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의 법도 또한 알지 못하고 보지도 못하나니이런 까닭에 어리석다고 하느니라. 저들은 또한 버리지도 못하느니라.”

어떤 것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라고 합니까

탐욕의 세계欲界를 버리지 못하고 물질의 세계色界를 버리지 못하며 물질이 없는 세계즉 정신의 세계無色界를 버리지 못하고 성문과 벽지불의 경지를 버리지 못하며 또한 독실하게 믿지도 않느니라.”

어떤 것을 믿지 않는다고 합니까

모든 물질적 존재는 공()한 것임을 믿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痛痒受陰ㆍ고정관념思想想陰ㆍ나고 죽는 행업生死行陰ㆍ인식작용識陰이 공한 것임을 믿지 않으며열두 가지 처소ㆍ열여덟 가지 요소ㆍ열두 가지 인연ㆍ서른일곱 가지 도조품ㆍ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만이 지닌 법도 공하다는 것을 믿지 않으니이 사람은 성취하지 못하느니라.

단바라밀ㆍ시바라밀ㆍ찬바라밀ㆍ유체바라밀ㆍ선바라밀ㆍ반야바라밀을 건립하지 못하여 아유월치(阿惟越致不退轉)의 경지에 머물지 못하느니라.

또 모든 부처님의 법을 건립하지 못하나니이러한 까닭에 어리석다고 하느니라.

눈ㆍ귀ㆍ코ㆍ혀ㆍ몸ㆍ뜻에 의지하여 집착하고 여러 가지 요소와 모든 음()ㆍ입()에 의지하여 집착하며음욕ㆍ성냄ㆍ어리석음에 집착하여 구하고 모든 의심과 삿된 소견을 의지하여 집착하고 흠모하며부처님의 도를 의지하여

 

집착하고 흠모하느니라.”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보살마하살이 이렇게 배우면 반야바라밀을 배우는 것이 아닙니까또한 살운야(薩芸若一切智)도 생겨나지 않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이 이렇게 하면 설령 반야바라밀을 배워도 살운야는 얻을 수 없느니라.”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수행하면 살운야를 증득하지 못할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이 보살마하살은 이와 같이 하면서 반야바라밀을 배우는 것을 구화구사라(漚惒拘舍羅方便善巧)가 없기 때문이니 그러므로 생각하고 상상하면서 단(布施)바라밀ㆍ시(持戒)바라밀ㆍ찬(忍辱)바라밀ㆍ유체(惟逮精進)바라밀ㆍ선(禪定)바라밀ㆍ반야(般若智慧)바라밀에 의지하여 도리어 집착하고 구하며여섯 가지 바라밀ㆍ서른일곱 가지 조도품ㆍ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만이 지닌법에 의지하고 집착하면서 도리어 살운야의 지혜를 생각하고 구하나니이미 생각하고 집착하면서 살운야를 구하지만 이는 의지하고 집착하는 것이므로 사리불아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배우지 않으면 살운야의 지혜는 증득하지 못하느니라.”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하면서 반야바라밀을 배우며 이것은 반야바라밀을 배우는 것이 아니며 살운야의 지혜를 행하는 것이 아닙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느니라. 사리불아이와 같이 하면서 반야바라밀을 배우면 살운야는 증득하지 못하느니라.”

사리불이 여쭈었다.

그렇겠습니다. 천중천(天中天)이시여그러면 보살마하살이 마땅히 어떻게 반야바라밀을 배우고 수순(隨順)해야만 살운야의 지혜를 증득할 수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가령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배울 때에는 반야바라밀을 보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이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고 반야바라밀을 배우면 살운야를 얻을 수 있으니얻으려 해도 얻을 것이 없는 것까지도 얻을 것이 없기 때문이요또한 단바라밀ㆍ시바라밀ㆍ찬바라밀ㆍ유체바라밀ㆍ선바라밀ㆍ반야바라밀도 얻을 수 없으며수다원ㆍ사다함ㆍ아나함ㆍ아라한ㆍ벽지불ㆍ보살ㆍ부처님도 얻을 수 없고 또한 살운야도 얻을 수 없느니라.

이와 같이 사리불아보살마하살은 이러한 행()을 하면서 반야바라밀을 행해야 하고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살운야를 얻고 얻을 것이 없는 것까지도 얻을 수 있느니라.”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어떤 것을 얻을 것이 없는 것이라고 하나이까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六根도 공하고 바깥六境도 공하며또한 안과 밖이 모두 공하고 일체의 법도 공한 것이니라.”

 

10. 마하반야바라밀환품(摩訶般若波羅蜜幻品)

 

그때 현자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가령 어떤 사람이 묻기를 어떤 요술쟁이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살운야를 얻으려고 한다면 가능하겠습니까이와 같이 묻는 이가 있으면 어떻게 대답해야 하겠습니까또 어떤 요술사가 단바라밀ㆍ시바라밀ㆍ찬바라밀ㆍ유체바라밀ㆍ선바라밀을 배워 살운야의 지혜를 체득(逮得)하려하거나 네 가지 의지ㆍ네 가지 의단ㆍ네 가지 신족ㆍ오근ㆍ오력ㆍ일곱 가지 각의ㆍ여덟 가지 유행을 배워서 살운야의 지혜를 체득하려 하거나 또는 살운야의 지혜를 배워서 살운야의 지혜를 체득하려고 하면 가능하겠습니까가령 어떤 사람이 이와 같은 이치로써 질문해 온다면 어떻게 대답해 주어야만 합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도리어 네게 묻겠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대답해 주어야만 합니까

내가 도리어 네게 묻겠다.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네가 아는 대로 나에게 대답해다오.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물질은 환상과 다른 것인가환상은 물질과 다른 것인가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환상과 다른 것인가환상이 이것들과 다른 것인가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아닙니다. 천중천이시여.”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환상은 눈과 다른 것인가눈이 환상과 다른 것인가귀ㆍ코ㆍ혀ㆍ몸ㆍ뜻은 환상과 다른가환상이 이것들과 다른 것인가눈과 빛깔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ㆍ귀와 소리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ㆍ코와 냄새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ㆍ혀와 맛으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ㆍ몸과 섬세하고 매끄러운 감촉으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ㆍ뜻과 법으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은 환상과 다른 것인가환상이 이것들과 다른 것인가익숙하게 익힌 인연인 아프고 가렵거나 즐거운 느낌은 환상과 다른 것인가환상이 이것과 다른 것인가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천중천이시여.”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네 가지 의지(意止)는 환상과 다른가환상이 이것과 다른가네 가지 의단(意斷)ㆍ네 가지 신족ㆍ오근ㆍ오력ㆍ일곱가지 각의ㆍ여덟 가지 유행은 환상과 다른가환상이 이것과 다른 것인가()ㆍ무상(無想)ㆍ무원(無願)은 환상과 다른가환상이 이것과 다른가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다르지 않습니다. 천중천이시여.”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환상과 다른 것이 있느냐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만이 지닌 법은 환상과 다른가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다르지 않습니다. 천중천이시여.”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환상과 도()가 다르다고 생각되느냐도와 현상이 다르다고 생각되느냐

다르지 않습니다. 천중천이시여.”

환상도 물질과 다르지 않으며 물질도 환상과 다르지 않다면 물질이 곧 환상이요 환상이 곧 물질이겠구나.”

. 그렇습니다천중천이시여.”

환상이 물질과 다르지 않다면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도 환상과 다름이 없으리니인식작용이 곧 환상이요 환상이 곧 인식작용이겠구나.”

. 그렇습니다천중천이시여.”

환상이 물질과 다르지 않다면 눈ㆍ귀ㆍ코ㆍ혀ㆍ몸ㆍ생각도 환상과 다르지 않으리니환상이 곧 눈이요 눈이 곧 환상일 것이며눈과 빛깔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귀와 소리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코와 냄새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혀와 맛으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몸과 섬세하고 매끄러운 촉감으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뜻과

 

법으로 인하여 생기는 인식작용도 마찬가지여서 인식작용이 곧 환상이요 환상이 곧 인식작용일 것이며익힌 인연 때문에 생기는 아프고 가렵거나 즐거운 느낌도 다르지 않으리니아프고 즐거운 느낌이 곧 환상이요 환상이 곧 아프고 즐거운 느낌이겠구나.”

. 그렇습니다천중천이시여.”

환상이 물질과 다르지 않다면 네 가지 의지도 또한 다르지 않아서 네 가지 의지가 곧 환상이요환상이 곧 네 가지 의지일 것이며의단(意斷)ㆍ신족(神足)ㆍ근()ㆍ힘ㆍ각의(覺意)ㆍ유행(由行)이 곧 환상이요 환상이 곧 유행이겠구나.”

. 그렇습니다천중천이시여.”

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만이 지닌 법도 이와 마찬가지여서 법이 곧 환상이요 환상이 곧 법이 되겠구나.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이른바 환상이라는 것에 번뇌塵垢와 성냄과 한스러움이 있느냐

그렇지 않습니다천중천이시여.”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이른바 환상이라고 말하는 것은 생겨나기도 하고 소멸되기도 한다고 생각하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아닙니다천중천이시여.”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그것이 생겨나지도 않고 소멸되지도 않는데 그것으로 반야바라밀을 배워 마치면 살운야(薩芸若)의 지혜를 얻을 수도 있고 일체의 대애(大哀)를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아닙니다천중천이시여.”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아는 것으로써 생각하고 상상하여 일어난 것과 습속(習俗)을 따라서 생겨난 가르침과 다섯 가지 성대한 쌓임으로 인한 것들을 보살이라고 하겠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러하옵니다천중천이시여.”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아는 것으로써 생각하고 상상하는 것과 그 습속을 따라서 일어난 언교(言敎)와 다섯 가지 성대한 쌓임은 생겨나기도 하고 소멸되기도 하는데 그대로 번뇌塵勞와 성냄과 한스러움을 얻을 수 있겠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천중천이시여.”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고정관념이 없고 습속이 없으며언교(言敎)도 없고 일어나거나 성립됨도 없으며이름도 없고 몸도 없으며몸으로 짓는 일도 없고 말도 없고 말로 짓는 일도 없으며마음도 없고 마음으로 짓는 일도 없으며생겨나지도 않고 소멸되는 것도 아니며

 

번뇌도 없고 성냄이나 한스러워하는 것도 없느니라. 그렇다면 또 이 일로써 반야바라밀을 배우면 살운야薩芸若를 성취할 수 있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천중천이시여.”

이와 같이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이 이런 행위를 하면서 반야바라밀을 배운다면 살운야를 성취하는 일은 없을 것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이와 같이 하면서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고 또한 아뇩다라삼야삼보(阿耨多羅三耶三菩)를 배워야만 합니다. 만약 이것을 배우고자 하는 이는 마땅히 요술을 배우는 것임을 알아야만1) 하니왜냐 하면 천중천이시여마땅히 오음(五陰五蘊)도 요술쟁이와 같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이 오음이 반야바라밀을 배우면 살운야의 지혜를 성취하리라고 생각하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천중천이시여. 왜냐 하면 오음은 자연 그대로일 뿐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니그것은 자연 그대로일 뿐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 물었다.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자연은 오음과 같고 꿈과도 같은데 이것으로 반야바라밀을 배우면 살운야를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천중천이시여왜냐 하면 꿈이라는 것을 헤아려보면 자연일 뿐 존재하는 것이 없으니존재하는 것이 없으면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소리를 질러서 생긴 메아리는 오음에 비유되고 또한 그림자와 아지랑이또는 변화로 생긴 것에 비유되나니오음에 비유되는 것으로써 반야바라밀을 배우면 살운야를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천중천이시여. 왜냐 하면 소리를 질러서 생긴 메아리나 그림자ㆍ아지랑이ㆍ변화로 된 것은 자연일 뿐 존재하는 것이 없으니자연은 존재하는 것이 아니어서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왜냐 하면 천중천이시여물질적 존재를 분별하여 깨달아 보면 요술과 같기 때문이며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ㆍ열여덟 가지 요소ㆍ여섯 가지 감관ㆍ오음(五陰)ㆍ오성음(五盛陰)은 자연이요 꿈과 같기 때문입니다. 천중천이시여물질적 존재ㆍ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ㆍ열여덟 가지 요소ㆍ여섯 가지 감각기관ㆍ오성음은 꿈과 같아서 안이 공()하므로 얻을 수 없고 존재하는 것이 없이 자연 그대로 공하므로 얻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지금 말씀하신 이 반야바라밀은 처음으로 대승(大乘)을 배우는 보살마하살이 설법을 들으면 두려워하고 겁내고 의심하고 성급한 마음을 품지 않겠습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설령 처음으로 대승을 배우는 보살마하살이라면 반야바라밀에 대하여 구화구사라(漚惒拘舍羅)를 알지 못하고 훌륭한 스승과 친근하지 못하여 혹은 두려워하기도 하고 혹은 무서워하기도 하며 혹은 겁내거나 성급한 마음을 가지기도 하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천중천이시여어떤 것이 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기에 반야바라밀을 행함에 있어서 구화구사라가 있게 하여 보살마하살이 놀라지도 않고 두려워하지도 않으며 성급한 마음을 가지게 하지도 않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뜻을 오로지 치밀하게 가져 살운야 지혜에만 두고 물질은 덧없는 것無常이라고 관찰하지 않기 때문에 물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에 대해서도 덧없는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인식 작용에 이르는 모든 것을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으며살운야만 관찰하는데 마음을 집중하므로 덧없는 것을 관찰하지도 않고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도 않느니라. 이러한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구화구사라가 있다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은 살운야의 지혜에만 뜻을 집중하기 때문에 물질은 괴로운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또한 물질은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괴로운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또한 인식작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것도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며물질은 곧 내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이 또한 내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

 

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곧 내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내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으며물질은 내 것이 아니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또한 내 것이 아닌 것도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도 않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내 것이 아니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또한 내 것이 아닌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도 않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은 살운야에만 뜻을 두어 배우기 때문에 물질은 공한 것이라고 관찰하므로 공을 얻을 수 없는 것이라 여기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공한 것이라고 관찰하므로 공한 것은 얻을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며물질은 항상한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항상한 것을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항상한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항상한 것을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며물질은 항상하지 않는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항상하지 않은 것은 얻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항상하지 않은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항상하지 않은 것을 얻지 못한다고 생각하며물질은 적막(寂寞)한 것이라고 관찰하므로 적막한 물질은 얻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적막한 것이라고 관찰하므로 이렇게 적막한 인식작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것을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며물질은 허무한 것이라고 관찰하므로 허무한 물질은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허무한 것이라고 관찰하므로 이렇게 허무한 인식작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것을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나니이것이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구화구사라가 있다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은 덧없는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또한 얻을 수 없고괴롭고 공()한 것이요 나도 없고 내 몸도 아니므로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며덧없는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 공하고 무상(無想)하고 무원(無願)한 것이며 적막하고 허무한 것이므로 이 또한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며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덧없는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눈ㆍ귀ㆍ코ㆍ혀ㆍ몸ㆍ뜻빛깔ㆍ소리ㆍ냄새ㆍ맛ㆍ섬세하고 매끄러운 감촉ㆍ법은 덧없는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으므로 또한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며항상하지 않은 것과 괴로움과 공()ㆍ나 아닌 것無我ㆍ내 몸이 아닌 것非身ㆍ공()ㆍ무상무원 등 이러한 일들에 대하여 관찰해서 얻을 것이 없음을 깨닫고그는 나는 중생의

 

무리를 위하여 항상함이 없는 법을 설해서 뒤바뀐 생각을 가진 이들을 위하여 그들로 하여금 미혹(迷惑)에 빠지지 않게 하리라는 생각으로 중생들을 위하여 설하고또 분별법(分別法)인 괴로움ㆍ나 아닌 것ㆍ공ㆍ무상ㆍ무원ㆍ적막함ㆍ허무함으로 뒤바뀐 생각을 가진 이들에게 설법해 주어서 그들로 하여금 미혹에 빠지지 않게 한다. 이것이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함에 구화구사라가 있다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우고 살운야의 지혜를 행할 때에 그 이치에 대하여 물질은 무상(無常)한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기 때문에 뒤바뀐 생각에 떨어지지 않고 또한 얻는 것도 없다고 생각한다.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무상한 것이라고 관찰하지 않기 때문에 뒤바뀐 생각에 떨어지지 않고 또한 얻는 것도 없다고 생각한다. 괴로움 없는 모양ㆍ나 아닌 것ㆍ무상ㆍ무원ㆍ적막함ㆍ허무함을 설하여 중생들을 뒤바뀐 생각에 떨어지지 않게 하고 또한 얻는 것도 없게 하며물질적 존재ㆍ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ㆍ네 가지 덧없는 것을 여읨ㆍ공()ㆍ무상ㆍ무원ㆍ적막함ㆍ허무함 등 이러한 모든 일을 관찰하게 하여 뒤바뀐 생각을 내지 않고 얻을 것이 없게 한다.

가령 살운야의 지혜를 가지고 있으면서 이것을 생각하고 버리지 않으면이것을 곧 보살마하살의 유체(惟逮精進)바라밀이라고 하느니라.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마음 속으로 성문이나 벽지불의 일을 생각하지 않고 또한 듣지도 생각하지도 않으며 권유하거나 따르거나 행동하지도 않나니이것을 보살마하살이 선()바라밀을 행한다고 말하느니라. 그들은 이렇게 바리밀을 행하므로 두려워하지도 않고 무서워하지도 않으며 겁내지도 않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마땅히 이러한 관법으로 행하여야 한다. 물질을 공()하게 하기 때문에 공한 것이 아니요 물질이 곧 공이요 공이 곧 물질이며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을 오로지 공하게 만든 것이 아니요 물질이 곧 공이요 인식작용은 자연 인식작용일 뿐이므로 공이 곧 인식작용이다. 눈을 오로지 공하게 만든 것이 아니요 눈이 자연 공한 것이므로 눈이 곧 공이요 공이 곧 눈이니 이것을

 

공하게 만든 것이 아니며귀와 소리로 인하여 생겨난 인식작용ㆍ코와 냄새로 인하여 생긴 인식작용ㆍ혀와 맛으로 인하여 생긴 인식작용ㆍ몸과 섬세하고 매끄러운 감촉으로 인하여 생긴 인식작용ㆍ뜻과 법으로 인하여 생긴 인식작용은 그것을 오로지 공하게 한 것이 아니요 의식 그 자체가 자연 공일 뿐이니의식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의식이다.

익힌 바 인연과 아프고 가려운 느낌이 곧 공인 것이다. 익힌 바 인연과 아프고 가려운 느낌은 자연 그대로 공이니익힌 바 인연과 아프고 가려운 느낌에 대하여 관찰해 보면 그것이 곧 공한 것이요그 마음이 저절로 공하니 익힌 바 인연과 아프고 가려운 느낌 또한 공한 것이다. 네 가지 의지를 오로지 공하게 한 것이 아니요 네 가지 의지는 저절로 공한 것이니 이로 말미암아 공한 것이며 네 가지 의지는 자연 그대로의 공일 뿐이다. 네 가지 의단(意斷)ㆍ네 가지 신족(神足)ㆍ오근(五根)ㆍ오력(五力)ㆍ일곱 가지 각의(覺意覺支)ㆍ여덟 가지 유행(由行)도 오로지 공하게 한 것이 아니며서른일곱 가지 조도품도 곧 자연 그대로이니 공이 곧 서른일곱 가지 조도품이요 서른일곱 가지 조도품이 곧 공이다. 열 가지 요소의 힘種力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만이 지닌 법도 오로지 공하게 한 것이 아니요 곧 자연 그대로의 공이요 공이 곧 부처며 법()이 곧 공이요 공이 곧 법이니이는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여 두려워하지 않고 무서워하지 않으며 또한 겁내지도 않는 것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무슨 까닭에 보살마하살은 훌륭한 스승이 반야바라밀을 설법할 때 옹호(擁護)하게 되어 그 설법을 듣고도 놀라지 않고 두려워하지도 않으며 성급하게 굴지도 않고 무서워하지도 않습니까

이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은 그를 위하여 설법하되 물질은 항상한 것이 아니라고 논하지 않아서 물질은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요 또한 집착할 것도 아니니이것으로써 덕의 근본을 삼아 권유하고 도와서 보살로 하여금 성문이나 벽지불의 경지를 고집하지 않게 하고 오직 살운야의 지혜만을 배우게 하나니 이것을 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물질ㆍ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덧없는 것이라고 설하지 않고 또한 얻을 수도 없으며

 

집착할 것도 없으니이것으로 덕의 근본을 삼아 권유하고 도와서 보살로 하여금 성문이나 벽지불의 경지를 고집하지 않고 항상 살운야의 지혜를 건립하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란 경법(經法)을 설하여 물질은 괴로움이라고 논하지 않고 물질은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또한 집착할 것도 없는 것이라고 설법하며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도 얻을 수 없고 또한 집착할 것도 없다고 설하고물질은 내 것이라 하거나 내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과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을 내 것이라거나 내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도 얻을 수 없고 또한 집착할 것도 없다고 설해주며또 보살을 위하여 물질은 공()한 것이요 상()도 없으며원할 것도 없고 얻을 수도 없으며 집착할 것도 없다고 설하고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공하고 상이 없으며 원할 것도 없어서 얻을 수도 없고 또한 집착할 것도 없다고 설한다. 또 눈ㆍ귀ㆍ코ㆍ혀ㆍ몸ㆍ뜻도 얻을 수 없고 집착할 것도 없다고 설하고빛깔ㆍ소리ㆍ냄새ㆍ맛ㆍ섬세하고 매끄러운 감촉ㆍ법()과 열여덟 가지 요소十八種十八界를 내 것이라거나 내 것이 아니라거나 하는 것도 얻을 수 없는 것이요 또한 집착할 것도 없다고 설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란 그를 위하여 설법하고 논하되물질은 적막(寂寞)한 것이라고 허무한 것이어서 얻을 수도 없고 또한 집착할 것도 없다고 말하고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적막한 것이고 공하여 없는 것이므로 얻을 수도 없고 또한 집착할 것도 없으니이것으로써 덕의 근본을 삼아 권유하고 도와서 성문과 벽지불의 경지에 향하지 않고 항상 살운야의 지혜만을 권유하고 돕나니수보리야 이것을 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또 다시 보살을 위하여 강설하되은 적막하고 허무한 것이어서 얻을 수도 없고 또한 집착한 것도 없다고 설하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도 적막하고 허무한 것이어서 얻을 수도 없고 집착할 것도 없다고 설하며빛깔ㆍ소리ㆍ냄새ㆍ맛ㆍ섬세하고 매끄러운 감촉ㆍ법도 적막하고 허무한 것이어서 얻을 수도 없고 집착할 것도 없다고 설한다. 눈이 익힌 인연과 아프고 가려운 느낌은 덧없는 것이라고 설법하고 눈과 빛깔로 인하여 생긴 인식작용ㆍ귀와 소리로 인하여 생긴 인식작용ㆍ코와 냄새로 인하여 생긴 인식작용ㆍ

 

혀와 맛으로 생긴 인식작용ㆍ몸과 섬세하고 매끄러운 감촉으로 인하여 생긴 인식작용ㆍ뜻과 법으로 인하여 생긴 인식작용과 익힌 바 인연과 아프고 가려운 느낌은 덧없는 법이라고 설하고이것은 또 적막하고 허무한 것이어서 얻을 수 없고 집착할 것도 없다고 설하며이러한 것으로써 덕의 근본을 삼아 권유하고 도와서 성문과 벽지불의 경지에 집착하지 않고 항상 살운야의 지혜만을 건립하게 하나니이것을 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란 사람들을 위하여 설법하되덧없음을 논하지 않고 네 가지 의지ㆍ네 가지 의단ㆍ네 가지 신족ㆍ오근ㆍ오력ㆍ일곱 가지 각의ㆍ여덟 가지 유행을 행하는 것은 괴로움도 없고 나도 없는 공()한 것이요 공ㆍ상이 없음ㆍ원할 것이 없음도 적막하고 허무한 것이어서 비록 이런 법을 설하지만 얻을 수 없고 또한 집착할 것도 없으니 이러한 것으로써 덕의 근본을 삼아 권장하고 도와서 성문이나 벽지불의 경지에 향하지 않고 항상 살운야의 지혜를 건립하게 하나니 이것을 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란 사람들을 위하여 설법하되열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못하는 모든 부처님만이 지닌 법에 대하여 덧없는 것이므로 괴로움이니공한 것이니몸이 아니니 하는 것을 논()하지 않고 공()ㆍ무상(無想)ㆍ무원(無願)은 적막하고 허무한 것이어서 얻을 수도 없고 집착할 것도 없다고 설하나니 이것을 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이러한 것으로써 덕의 근본을 삼아서 권장하고 도와서 성문과 벽지불의 경지에 향하지 않고 항상 살운야(薩芸若一切智)의 지혜만을 건립하게 하나니 이것을 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란 사람을 위하여 법을 강설하되눈앞에 전개된 물질은 덧없고 괴롭고 공()한 것이므로 몸이 아니며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덧 없는 것이요 괴롭고 공한 것이므로 몸이 아니라고 설하고눈ㆍ귀ㆍ코ㆍ혀ㆍ몸ㆍ뜻은 덧없는 것이요 괴로운 것이며 공한 것이어서 몸이 아니며빛깔ㆍ소리ㆍ맛ㆍ부드럽고 매끄러운 감촉ㆍ

 

법은 덧없는 것이요 괴로운 것이며 공한 것이어서 몸이 아니며눈과 빛깔로 인하여 생겨나는 인식작용ㆍ귀와 소리로 인하여 생겨나는 인식작용ㆍ코와 냄새로 인하여 생겨나는 인식작용ㆍ혀와 맛으로 인하여 생겨나는 인식작용ㆍ몸과 부드럽고 매끄러운 감촉으로 인하여 생겨나는 인식작용ㆍ뜻과 법으로 인하여 생겨나는 인식작용은 덧없는 것이요 괴로운 것이며 공한 것이어서 몸이 아니며무명(無明)은 덧없는 것이요 괴로운 것이며 공한 것이어서 몸이 아니며()ㆍ식()ㆍ명색(名色)ㆍ육입(六入)ㆍ소갱(所更)ㆍ느낌ㆍ애욕ㆍ존재ㆍ나고 늙고 병들고 죽음은 덧없는 것이요 괴로움이며 공한 것이어서 몸이 아니라고 설하며물질에 대하여 내 것이니 내 것이 아니니 하는 것은 적막하고 허무한 것이며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내 것이니내 것이 아니니 하는 것이라든가 공()ㆍ무상(無想)ㆍ무원(無願) 등은 적막하고 허무한 것이니 비록 이러한 법을 설하여 사람들을 열어 교화한다 해도 얻을 것이 없고 집착할 것도 없다고 설하면서 이것으로써 덕의 근본을 삼아서 권장하고 도와서 성문이나 벽지불의 경지에 향하지 않고 항상 살운야의 지혜를 건립(建立)하게 하나니이것을 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란 사람들을 위하여 경법을 설하되네 가지 의지ㆍ네 가지 의단ㆍ네 가지 신족ㆍ오근ㆍ오력ㆍ일곱 가지 각의ㆍ여덟 가지 유행은 덧없는 것이요 괴로운 것이며 공한 것이어서 몸이 아니라고 설하고()ㆍ무상(無想)ㆍ무원(無願)을 내 것이니내 것이 아니니 하는 것은 적막하고 허무한 것이라고 설하며이것으로써 덕의 근본을 삼아서 권장하고 도와 성문과 벽지불의 경지에 향하지 않게 하고 항상 살운야의 지혜만을 건립하게 하나니이것을 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은 사람들을 위하여 법을 설하되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만이 지닌 법에 대하여 논하고 물질은 덧없는 것이요 괴로운 것이며 공한 것이어서 몸이 아니며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덧없는 것이요 괴로운 것이며 공한 것이어서 몸이 아니며내 것이다내 것이 아니다 하는 것이라든가 공ㆍ무상ㆍ무원도 적막하고 허무한 것이라고 설하면서 이것으로써 덕의 근본을 삼아서 권장하고 도와 성문이나 벽지불의 경지에 향하지 않게 하고 항상

 

살운야의 지혜만을 건립하게 하나니이것을 보살마하살의 훌륭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어떤 것을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구화구사라(漚惒拘舍羅方便善巧)도 없고 악한 스승을 친근히 해서 반야바라밀을 설하는 소리를 듣고 혹은 놀라고 혹은 두려워하며 마음 속으로 겁을 낸다고 합니까

세존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이 보살마하살은 살운야의 행()을 여의고 반야바라밀을 친근히 하지 않나니가령 이 반야바라밀을 만나면 마음으로 선바라밀ㆍ유체바라밀ㆍ찬바라밀ㆍ시바라밀을 집착하고 생각하며 단바라밀로서 보시하는 것을 증득하는데 이르러 단바라밀을 생각하고 집착하나니이것을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이 살운야를 여의고 생각하지 않으며안의 물질만을 생각하고 집착하면서 공하다고 생각하고 물질은 존재하는 것이 없이 자연 그대로라고 말하면서 공만을 생각하고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에 대하여 안이 공하다고 생각하고 집착하여 이러한 인식작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것은 존재하는 것이 없는 자연 그대로라고 말하면서도 공만을 생각하고 기억하느니라. 또 안의 물질을 얻고는 존재하는 것이 아닌 자연이라고 하면서 공에 집착하고 생각을 한다. 이미 공이라고 생각하고 집착하면서 얻는 것이 있다고 말하며눈이 안의 공이라고 생각하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자연 그대로의 공한 것이라고 하며또 공한 것을 얻는 걸 보고는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하나니이것을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의 살운야(薩芸若)를 여의고 또한 모든 신통 지혜에 대하여 즐겨하지 않으면서 도리어 안에 대하여 물질은 공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물질은 존재하는 것이 없다고 생각하며 물질은 자연 그대로의 공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집착하느니라. 또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안의 공內空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의식과 생각에 뜻을 두고 존재하는 것이 없으므로 자연 그대로의 공이라고 하며안의 공에서 안과 밖의 공을 얻는 다고 하며얻을 것이 없으므로 자연 그대로의 공이라고 하고 획득함이 있으며 얻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눈은 안의 공이라고 생각하며

 

존재함이 없다는 데에 이르면 자연 공하게 된다고 생각하고 생각은 공에 미쳤으면서도 얻을 것이 있다고 상상하며귀ㆍ코ㆍ혀ㆍ몸ㆍ뜻도 또한 이와 같아서 안의 공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이것을 집착하고 생각해야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저절로 공함을 얻는다고 하나니이것을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네 가지 의지(意止)를 생각해서 네 가지 의지를 얻어야 한다. 그러러면 곧 생각하고 집착해야 이것을 얻게 된다고 말하며네 가지 의단(意斷)ㆍ네 가지 신족(神足)ㆍ오근(五根)ㆍ오력(五力)ㆍ일곱 가지 각의(覺意)ㆍ여덟 가지 유행(由行)ㆍ서른일곱 가지 조도품(助道品)을 얻어야 한다. 그러러면 스스로 이것을 생각하고 집착해야 얻을 수 있다고 말하나니이것을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이 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만이 지닌 법을 행하여 모든 부처님의 법을 증득했다고 하고 스스로 증득하게 되었다고 말하면서 이미 바라고 생각함이 있으면서도 살운야를 여의고 마음 속에 마땅히 살운야를 생각해야 한다고 말하나니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구화구사라가 없기 때문에 반야바라밀을 설하는 소리를 듣고 혹은 놀라고 혹은 두려워하면서 마음 속에 무서운 생각을 하느니라.”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어떤 것을 보살마하살이 악한 스승에게 포섭되어 악한 스승의 가르침을 따르는 까닭에 반야바라밀을 듣고 혹은 놀라고 혹은 두려워해서 마음속에 무서운 생각을 가진다고 합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란 수행하는 이를 제지하여 그들로 하여금 반야바라밀ㆍ선바라밀ㆍ유체바라밀ㆍ찬바라밀ㆍ시바라밀ㆍ단바라밀을 배워 증득하지 못하게 하고 도리어

 

이 여섯 가지 바라밀을 가르치는 것은 온당하지 못하다고 가르치면서 이는 달살아갈아라하삼야삼불의 말씀이 아닐 뿐만 아니라 이를 따르는 사람들을 재앙을 받게 된다고 하니이러한 말은 마땅히 듣지 않아야 하고 마땅히 이것을 받아 지니거나 읊고 외워서도 안 되며다른 사람을 위하여 이러한 것을 설법하려는 생각을 해서도 안 된다고 가르치나니이것을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라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란 깨달음의 진리에 대해 밝게 말해 주기를 달갑게 여기지 않고 그들로 하여금 마군의 더러운 점을 관찰하거나 보지 못하게 하면그때 마왕 파순(波旬)은 부처님의 형상을 하고 보살마하살이 계신 곳으로 나아가서 그들을 억제하여 그들로 하여금 여섯 가지 바라밀을 닦고 배우지 못하게 하면서 말하기를 선남자야이 반야바라밀을 배우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으며이 선바라밀ㆍ유체바라밀ㆍ찬바라밀ㆍ시바라밀ㆍ단바라밀을 닦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무엇 때문에 그러한 것들을 받들어 행하느냐라고 하니니이것은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라는 것을 마땅히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그때에 마군이 부처님의 모습으로 변화해서 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성문과 벽지불의 경전을 설하고 그에 관련된 논서(論書)를 강설하여 마땅히 그들에게 베풀어 주면서 그 뜻을 분별해 주고 이해시키되갖가지 아름다운 말로 부연해서 그들로 하여금 보살마하살의 대승법(大乘法)을 여의고 성문ㆍ벽지불의 경지에 떨어지게 하나니이것이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라는 것을 마땅히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그때 폐마(幣魔波旬)가 부처님의 모습으로 화현해서 보살마하살이 있는 곳에 나아가서 말하기를 선남자야지금 그대가 배우는 것은 도의 마음과 상관없는 것이요 아유월치(阿惟越致不退轉)와도 상관없는 것이니그대가 배우는 것으로는 마침내 아뇩다라삼야삼보 아유살불의 경지에 이를 수 없다고 한다. 이와 같은 형상色像은 마군의 죄가 되는 인연이 된다는 것을 관찰하지 못하게 하고

 

깨달아 분명히 알지 못하게 하나니이것이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 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이 정진행(精進行)을 할 때에 폐마가 부처님의 모습으로 변화하고 보살마하살이 있는 곳에 나아가서 말하기를 선남자야깨닫고 보면 눈이란 공한 것이어서 문득 이것이 곧 나요 또한 내 몸이며귀ㆍ코ㆍ혀ㆍ몸ㆍ뜻도 공한 것이니 이것이 곧 나요 또한 내 몸이다. 경전에서도 말하기를물질은 곧 공이라 하였으니 물질은 곧 나요 또한 내 몸이며아프고 가려운 느낌ㆍ고정관념ㆍ나고 죽는 행업ㆍ인식작용은 곧 나요 또한 내 몸이며빛깔ㆍ소리ㆍ냄새ㆍ맛ㆍ섬세하고 매끄러운 감촉ㆍ법도 곧 나요 또한 내 몸이며눈으로 익힌 인연과 아프고 가려운 느낌도 헤아려보면 공()한 것이니 이것이 곧 나요 내 몸이며귀ㆍ코ㆍ혀ㆍ몸ㆍ뜻으로 익혀진 인연과 아프고 가려운 느낌ㆍ열여덟 가지 요소도 헤아려보면 공한 것이니 이것이 곧 나요 내 몸이며단바라밀ㆍ시바라밀ㆍ찬바라밀ㆍ유체바라밀ㆍ선바라밀ㆍ반야바라밀도 헤아려보면 공한 것이니 이것이 곧 나요 내 몸이며네 가지 의지ㆍ네 가지 의단ㆍ네 가지 신족ㆍ오근ㆍ오력ㆍ일곱 가지 각의ㆍ여덟 가지 유행도 헤아려보면 모두가 공한 것이니 이것은 곧 나요 내 몸이며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만이 지닌 법도 헤아려보면 공한 것이니 이것이 곧 나요 내 몸이다. 그러니 이것으로써 아뇩다라삼야삼보 아유삼불의 경지를 얻을 수 있겠느냐고 하면서 그들이 이와 같은 형상이 마군이 변화해서 생긴 것임을 분별하지 못하게 하고 또한 이와 같이 하는 말도 마군이 하는 말인 줄 깨달아 알지 못하게 하나니이와 같은 것이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 되느니라.

 

수보리야폐마가 또 변화하여 부처님의 모습이 되어 보살마하살이 있는 곳으로 가서 말하기를 선남자야동방(東方)의 모든 부처님과 세존그리고 모든 보살ㆍ성문ㆍ벽지불도 또한 공()한 것이어서 모든 부처님ㆍ성문ㆍ벽지불과 시방세계는 없는 것이다라고 말하되이와 같은 무리들이 마군으로부터 생겨난 것임을 분별하지 못하게 하고 또한 알지도 못하게 하며 깨달아 밝히지도 못하게 하나니이것이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 된다는 것을 마땅히 알아야만 하느니라.

폐마 파순이 다시 변화해서 성문의 모습이 되어 보살마하살이 있는 곳으로 가서 말하기를 이 대중들은 예전에 모두 살운야의 지혜薩芸若慧一切智慧를 배우고 정진하였으며 공에 대한 일을 생각하고또한 성문과 벽지불의 일을 닦고 배웠으며 생각하고 분별하여 가르침을 얻었다고 하면서 이와 같은 일이 마군이 하는 것인 줄 분별하지 못하게 하나니이것이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 된다는 것을 마땅히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폐마 파순이 화상(和上)의 몸으로 변신하고 화상의 의복을 입고 나타나서 보살마하살이 있는 곳으로 가서는 보살에게 공적(空寂)을 수행할 것을 가르치고 살운야의 지혜에 뜻을 두고 정진하되 언제나 공한 것이요 적막(寂寞)한 것이라는 생각을 해야 하고 물질色陰ㆍ아프고 가려운 느낌痛痒受陰ㆍ고정관념思想想陰ㆍ나고 죽는 행업生死行陰ㆍ인식작용識陰은 공한 것이요 적막한 것이며눈ㆍ귀ㆍ코ㆍ혀ㆍ몸ㆍ생각도 공한 것이요 적막한 것이며열여덟 가지 요소ㆍ열두 가지 인연법ㆍ네 가지 의지ㆍ네 가지 의단ㆍ네 가지 신족ㆍ오근ㆍ오력ㆍ일곱 가지 각의ㆍ여덟 가지 유행도 또한 적막한 것이며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만이 지닌 법도 적막한 것이며()ㆍ무상(無想)ㆍ무원(無願)도 공적한 것이라고 가르쳐 주면서 말하기를 선남자야여기에서 스스로 멸도(滅度)를 구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 아뇩다라삼야삼보나 아유삼불의 경지가 무슨 소용이 있느냐라고 하나니이것이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라는 것을 마땅히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란 폐마 파순이 부모님의 모습으로 변신하고 보살마하살이 있는 곳으로 가서 말하기를 이 선남자는 이미 수다원과(須陀洹果)를 증득하였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와 아유삼불(阿惟三佛)의 경지를 정진 수행하였으며지난 과거세에서 헤아릴 수 없이 많고 많은 무앙수겁(無央數劫) 동안 생사(生死)의 길에 돌고 돌면서 손과 발을 보시하며 이렇게 닦고 정진하였다고 말하되이 말이 마군의 말인 줄도이 모습이 마군의 변화된 모습으로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도 분별하지 못하게 하나니이것이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라는 것을 마땅히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보살마하살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나타나서 그 악한 스승을 관찰함에 이미 보았거나 지금 보게 된 이들은 멀리 떠나게 하고 분별하여 설법하되 괴로움은 공한 것이고 덧없는 것이요 내 몸도 아니며무상(無想)ㆍ무원(無願)도 적막한 것이라고 설법하고뒤바뀐 일에 대해서는 생각해야 한다고 분별하여 설명하며네 가지 의지ㆍ네 가지 의단ㆍ신족ㆍ근ㆍ힘ㆍ각의ㆍ유행도 얻을 수 없는 것이요열 가지 요소의 힘ㆍ네 가지 두려움 없는 자신감ㆍ네 가지 분별 있는 말솜씨ㆍ열여덟 가지 함께 하지 않는 모든 부처님의 법에 대해서는 해설해 주지 않으면서 이와 같은 법이 마군으로부터 일어난 것임을 분별하지 못하게 하나니이것이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임을 마땅히 알아야만 하느니라.

이것이 보살마하살의 악한 스승이 되는 이유이니열두 가지 인연법도 항상 마땅히 버려야만 하거늘 더구나 그 밖의 일이겠느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