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1987 불교(고승전 13권 22편/ 高僧傳)

by Kay/케이 2023. 2. 27.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고승전(高僧傳) 1322

 

법원은 얻는 것에 따라 복업을 닦았다. 한 번도 저축하거나 모으는 일이 없었다. 혹 사람을 고용해서 예불하거나, 혹 사람을 빌려 재를 유지하거나, 혹 쌀과 곡식이 들어오면 물고기와 새들에게 흩어 먹거나, 혹 음식을 사들여와 죄수들의 무리에 베풀어 주었다. 공을 일으키고 덕을 세운 수효는 다 기록할 수가 없다.

법원은 또한 창도를 잘하고, 경에 근거하여 설법을 잘하였다. 마음 속 폐부로부터 우러나온 솔직한 음성으로 음률을 일삼지 않았다. 말은 잘못되고 뒤섞여도, 오직 기연에 맞는 것을 잣대로 삼았다. 그러니 그 지혜에는 미칠 수 있어도[其智可及], 그 어리석음에는 미칠 수 없구나[其愚不可及]”라고 일컬을 만하다.

그 후 사흘 동안 입정(入定)하다가 문득 제자들에게 말하였다.

너희들이 밥 소쿠리를 잃는구나.”

갑자기 병으로 누웠다. 이때 절 가까이에서 화재가 났다. 절은 바람이 부는 방향에 있기 때문에, 반드시 연기와 화염이 미칠 수밖에 없었다. 제자들이 법원을 가마에 태워 절 밖으로 나가고자 하였다. 법원이 말하였다.

부처님께서 불타게 된다면, 내가 어찌 살 수 있겠느냐

곧 간절한 마음으로 귀의하였다. 이에 삼면이 모두 불탔으나, 오직 절만은 잿더미가 되지 않았다.

북제의 영원(永元) 2(500)에 나이 87세로 세상을 마쳤다.

 

10) 석법경(釋法鏡)

법경의 성은 장()씨며, 오흥(吳興)의 오정(烏程)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도를 즐겼다. 그러나 아직 도를 따르지는 못하였다.

혜익(慧益)이 몸을 불사르면서 황제에게 스무 사람에게 도첩을 내려 출가시켜달라고 아뢰는 일을 만났다. 법경이 곧 그 중 한 사람에 들어서, 법원(法願)을 스승으로 삼았다.

이미 도에 들어서자, 그가 밟는 지조는 얼음과 서릿발 같았다. 어진 마음으로 베풀 생각을 품고, 널리 중생들의 고통을 제거하는 것을 일삼았다. 이에 창도를 갈고 익히니 과거보다 뛰어남이 있었다. 북제의 경릉(竟陵) 문선왕이 후하게 예로 대접하였다.

법경은 도를 널리 펴기로 마음에 맹서하였다. 귀천을 가리지 않아, 초청하면 반드시 그곳에 갔다. 추위와 더위를 피하지 않았다. 사사로이 재물을 저축하지 않고,

 

항상 복된 일을 일으켰다. 건무(建武) 연간(494497) 초기에 신도의 보시로 제륭사(齊隆寺)를 세워, 그곳에 머물렀다.

법경은 성품이 도탑고 아름다웠다. 다른 사람을 칭찬하며 접대하는 것을 일삼았다. 이 때문에 도인과 속인들이 서로 알고, 그를 사랑하고 기뻐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비록 교리를 이해하는 공부는 얕았으나, 하지만 빼어난 깨달음이 자연스러웠다. 그를 비웃고 힐난하는 순간에도, 반드시 그에 대응하는 수작이 있었다.

그는 북제의 영원(永元) 2(500)에 세상을 마쳤다. 그때 나이는 64세이다.

 

도친(道親)ㆍ보흥(寶興)ㆍ도등(道登)

후에 와관사(瓦官寺)의 도친ㆍ팽성사(彭城寺)의 보흥ㆍ기사사(耆闍寺)의 도등이 나란히 모두 선창하는 것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고상한 운율과 화려한 말솜씨가, 이전의 예에다 덧붙여질 정도는 아니었다[非添前例]. 그러나 대중을 기울게 하고 남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데서는, 전대에 뒤진다고 따지기 좋아하는 이들이 말하였다[論者後之].

금상폐하께서는 장사(長沙)의 선무왕(宣武王)을 위해서, 법경이 머물던 절을 수리하였다. 이름을 바꾸어 선무사(宣武寺)라 하였다.

 

창도(唱導)란 대개 불법의 논리를 먼저 읽어줌으로써, 대중의 마음을 열어 이끄는 일을 말한다. 예전에 불법이 처음 전래되자, 함께 모인 사람들은 다만 부처님의 이름을 먼저 읽으면서 글에 의거하여 예를 드리다가, 밤중이 되면 극도로 피곤해져서 몽매함을 깨우쳐 이끌어 주는 도움이 필요하였다. 이에 따로 노련하고 덕이 있는 이를 초청하여 법좌에 올라가 설법을 하게 하였다. 혹 인연을 뒤섞어서 서술하기도 하고, 혹 한편으로 비유를 인용하기도 하였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