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결정장론(決定藏論) 하권 18편
진제 한역
김철수 번역
다시 모든 성인(聖人)들의 성스러운 혜안(慧眼)은 모든 종류의 색에 대해 환히 깨달아 안다.
예컨대 초지(初地)에서는 여섯 가지 경계를 설하는데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첫 번째 경계란 모든 색이 다 중생의 세간이나 기세간(器世間)에 들어갈 수 있다. 두 번째 경계는 세 가지 종성을 의지하니 모두 다 분별함이 있다. 첫째는 상분별(相分別)이요, 둘째는 사분별(事分別)이며, 셋째는 주분별(住分別)이다. 이와 같이 청색ㆍ적색ㆍ백색 등을 분별하고 나아가 자세하게 설하는 것을 상분별이라 하며, 사분별이란 작색(作色)ㆍ무작색(無作色)ㆍ계색(戒色)ㆍ비계색(非戒色)ㆍ비계비비계색(非戒非非戒色)을 말한다. 주분별이란 여의색(如意色)이나 불여의색이며 평등한 처소[捨處]가 있는 것을 색분별(色分別)이라 한다. 성분별(聲分別)이란 중생수인(衆生數因)ㆍ비중생수인(非衆生數因)ㆍ중생비중생수인(衆生非衆生數因)이다. 사분별(事分別)이란 입으로 짓는 것이며
주분별(住分別)이란 앞에서 말한 바와 같다.
향분별(香分別)이란 뿌리ㆍ줄기ㆍ껍질ㆍ복심ㆍ잎사귀ㆍ꽃ㆍ열매 등의 냄새를 말하니, 이것이 향분별이다. 향ㆍ미ㆍ촉 가운데는 사분별이 없다. 주분별은 앞의 색에서 설한 바와 같다. 맛[味]의 상분별은 달거나 쓴 것 등을 말한다. 주분별은 앞에서와 같다. 촉에도 많은 종류의 분별이 있으니 앞에서와 같다.
세 번째 경계는 시방(十方) 가운데서 알 수 있다. 네 번째 경계에는 과거ㆍ미래ㆍ현재라는 삼세의 분별이 있으며, 다섯 번째 경계는 실(實)과 부실(不實)을 취하여 분별함으로써 알 수가 있다. 여섯 번째 경계는 하나의 변처(邊處)에서 취하여 갖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분(自分)의 모든 유색(有色)의 진(塵)을 훤히 알아 분별할 수 있다.
사유란 무엇인가? 능히 식(識)을 생하는 것이니 모든 것과 모든 근(根)에 대해 파괴하지 않으며 진(塵)을 훤히 아는 것과 함께 발심(發心)하도록 돕는다. 이와 같이 사유는 모든 의식 작용[識]을 낳을 수 있다.
이상을 색음의 경계분(境界分)에 대한 사유라 한다.
잡사유는 욕계의 음입(陰入)이 이 처소에 머물며 색계의 색은 이 몸에서 생긴다.
어떻게 상계(上界)의 여러 색과 하계(下界)의 여러 색이 함께할 수 있으며 별도의 처소에 있는 것들이 어떻게 별도의 처소가 아닌 처소에 머물 수 있다는 것인가?
【답】별도의 처소가 아닌 처소에 머무는 것은 마치 모래가 섞인 물과 같다. 이를 색음의 잡분(雜分)에 대한 사유라 하니, 이는 색음을 분별하여 사유한 것은 아니다.
이상으로 『결정장론』 하권을 마친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656 불교(경률이상 1권 2편 / 經律異相) (0) | 2021.10.10 |
---|---|
[적어보자] #655 불교(경률이상 1권 1편 / 經律異相) (0) | 2021.10.09 |
[적어보자] #653 불교(결정장론 하권 17편 / 決定藏論) (0) | 2021.10.09 |
[적어보자] #652 불교(결정장론 하권 16편 / 決定藏論) (0) | 2021.10.09 |
[적어보자] #651 불교(결정장론 하권 15편 / 決定藏論) (0) | 2021.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