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621 불교(결정장론 상권 12편 / 決定藏論)

by Kay/케이 2021. 10. 3.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결정장론(決定藏論) 상권 12

 

진제(眞諦) 한역

김철수 번역

 

첫째, 과거행이나 미래행이 진실하다고 여기는 집착을 제거하기 위함이 만약에 과거행이나 미래행의 모습[]이 실유(實有)하는 것이라면 과거나 미래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둘째, 무엇이 없다고 여기는 사람들[無見人]은 과거나 미래가 없다고 말하고 또한 현재도 없다고 주장하는데, 이러한 견해들을 끊기 위함이다. 부처님께서는 과거나 미래의 세계도 있고 현재의 세계도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이 뜻은 무엇을 말하고자 함인가? 종자가 상속하여 이미 과를 생한 경우에는 이 뜻을 과거라고 하며, 생기려고 하는 것의 종자가 상속하는 것을 미래라고 한다. 현재의 온갖 종자의 과()가 아직 끊어지지 않았으면 이를 현재계(現在界)라 한다.

 

따라서 이런 뜻[]을 설한 것이다. 비구가 종자의 상속이 한 가지의 경계가 아닌 한량없는 법임을 아는 것을 계()를 안다고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색() 등의 음()으로부터 태어남[]ㆍ늙음[]ㆍ머물[]ㆍ멸함[]이 비롯되나니, 다시 별도의 법이 없으며 또한 실유(實有)하는 것도 아니다. 모든 미래의 행은 실유함을 부정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 없어 진실로 있다[實有]는 뜻을 끊는다. 어떻게 그러한 사정을 알 수 있는가? 미래의 생()은 스스로 아직 생겨나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능히 다른 것을 생하겠는가? 현재의 모든 생도 능히 생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현재의 법을 낳을 수도 없다. 이 생하는 모습[生相]을 온갖 행이 이루어진다거나 온갖 행이 일어난다거나 온갖 행이 나타나 있다라고 말하지만 이는 하나의 뜻을 밝히고 있으나 다른 많은 명칭이 존재한다. 이 많은 명칭을 떠나 다시 생하는 모습이 있다고 하지만 모든 지혜 있는 사람들은 이들 명칭을 생하는 양상으로 여기지 않는다. 이 모든 법에는 각기 종자의 인()이 정해져 있는데 무엇 때문에 별도의 생함[]을 필요로 하겠는가? 이 생함이라는 것은 허약하여 이를 가명이라 한다. 어떻게 그것을 알 수 있는가? 무릇 생함이란 행이 생하는 것인가, 아니면 행을 생하는 것인가? 만약에 생함이 스스로의 행으로 행법을 능히 생할 수 있다면 생함이 있는 곳에 행법이 발생하니, 이는 이치에 맞지 않다. 만약 능히 일으키는 것이라면 이를 행이 생한다[行生]고 한다. 하나의 행 가운데에 응당 두 가지 생함이 있게 되니, 능히 생하는 것과 모든 행이 스스로를 생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또한 이치에 맞지 않는다. 생의 뜻은 나머지 세 가지도 역시 그러하다. 현재의 인으로부터 앞서 존재하지 않았던 온갖 행이 일어나는 양상을 생이라 한다. 앞에 없었던 이 행이 달라지는 모습을 노()라 한다. 일어났으되 아직 멸하지 않은 것을 주()라 하는데 이는 찰나생(刹那生)이다. 모든 행이 무너지는 모습을 멸이라 한다. 만약에 이 네 가지 법이 유위의 양상[有爲相]이라 한다면 무엇 때문에 세존께서는 세 가지 양상, 즉 생과 멸과 주이(住異)만을 설하셨는가? 일체의 행법은 삼세(三世)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미래세로부터 아직 생기지 않은 것이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미래세에 의지하여

 

발생되는 것은 유위상(有爲相)이다. 그런데 이것은 아직 생긴 것이 아니므로 취착(取著)할 처소가 없다. 이미 생겼던 것은 과거세에서 이미 다 멸하였으니 과거세에 의지하면 이를 멸이라 한다. 이는 유위상이며 또한 취착할 처소가 없다. 왜냐하면 이미 과거이기 때문이다. 현세에 나타난 것은 머무는[] 것이니, 현세에 의지하면 이는 유위상이며 취착할 처소가 존재하지만 이 머무는 것은 또한 다시 달라짐이 있으니 많은 허물이 존재한다. 이것이 생()의 모양인데 누구라서 감히 그것을 구할 수 있겠는가? 길상한 일이든 길상하지 못한 일이든 이에 따르므로 머무름과 달라짐[]을 합하여 하나의 양상[]으로 여긴다. 이러한 뜻이 있기 때문에 삼세에서 유위법의 모습[有爲法相]이 나타난다. 만약에 이 세 가지 양상이 성인들에 의해 사량(思量)된 것이라면 무엇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모든 음() 가운데서 기상(起相)과 멸상(滅相)을 관찰하시고 법을 의존하여 머무르셨을까? 또한 왜 주이상(住異相)을 관찰하지 않으셨을까? ()과 주이(住異) 이 두 가지는 기()에 의해서 나타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