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446 불교(개원석교록 14권 2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8. 29.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2

 

지승 지음

 

반야바라밀다나경(般若波羅蜜多那經) 1

대당(大唐) 천후(天后) , 천축 삼장 보리류지(菩提流志)의 번역이다.새로 이 목록에 편입되었다. 세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대명주경(大明呪經)과 동본이다. 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본은 경장에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도행경(道行經) 1안공록(安公錄)에는 이 경은 반야의 초()이다. 외국의 법령이 높고 밝은이가 지었다고 하였다. 안공이 거기에 서문을 지었다.

후한 시대, 천축 사문 축불삭(竺佛朔)의 번역이다.

위의 1경은 비록 도행경이라고도 이름을 붙였으나, 권부(卷部)가 너무 적어서, 앞의 신도행경[道行]등과는 동본이라고 할 수조차 없다. 하지만, 우선 따로 기록은 해둔다.

마하반야바라밀주경(摩訶般若波羅蜜呪經) 1권혹은 마하(摩訶)라는 글자가 없다.

()나라 때, 월지(月支)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

마하반야수심경(摩訶般若隨心經) 1

대당 천후(天后) , 우전(于闐) 삼장 실차난타(實叉難陀)의 번역이다.새로 이 목록에 편입시킨다.

오품경(吳品經)부터 이하, 1027권은 반야부(般若部) 가운데 궐본이다.

 

보적부(寶積部) 궐본

무량수경(無量壽經) 2

후한(後漢) 시대, 안식(安息)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무량청정평등각경(無量淸淨平等覺經) 2

조위(曹魏) 시대, 서역 삼장 백연(帛延)의 번역이다.다섯 번째 번역이다.

장방록(長房錄)등에서, 백연의 번역 가운데 다시 평등각경(平等覺經)1권이 있는데, 바로 이 경이, 앞의 무량청정평등각경이다. 따라서 번거롭게 거듭하여 기재하지 않는다.

무량수경(無量壽經) 2권또한 무량청정평등각경(無量淸淨平等覺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여섯 번째 번역이다.

무량수지진등정각경(無量壽至眞等正覺經) 1권일명 낙불토락경(樂佛土樂經)이라고도 하며, 일명 극락불토경(極樂佛土經)이라고도 한다.

동진(東晋) 시대, 외국 사문 축법력(竺法力)의 번역이다.일곱 번째 번역이다.

신무량수경(新無量壽經) 2

동진 시대, 천축 삼장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의 번역이다.또한 송()나라 영초(永初) 2(421), 번역되어 나왔다고 하였다. 여덟 번째 번역이다.

신무량수경(新無量壽經) 2

()나라 때, 양주(涼州) 사문 석보운(釋寶雲)의 번역이다.아홉 번째 번역이다.

신무량수경(新無量壽經) 2

송나라 때, 계빈(罽賓) 삼장 담마밀다(曇摩蜜多)의 번역이다.진적사록(眞寂寺錄)에 나온다. 열 번째 번역이다.

위의 7경은 대보적경(大寶積經)5 무량수회(無量壽會)와 동본이다. 이 경은 전후 열한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네 본은 경장[]에 있고, 일곱 본은 궐본이다.

아촉불찰제보살학성품경(阿閦佛刹諸菩薩學成品經) 3

동진(東晋) 시대, 사문 지도근(支道根)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제6 부동여래회(不動如來會)와 동본이다. 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법계체성무분별경(法界體性無分別經) 2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법상록(法上錄)에 나온다. 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제8 법계체성회(法界體性會)와 동본이다.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보문품경(普門品經) 1

동진 시대, 서역 삼장 기다밀(祇多蜜)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제10 문수보문회(文殊普門會)와 동본이다. 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엄정불토경(嚴淨佛土經) 2권또한 정토경(淨土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시대, 하내(河內) 사문 백법조(白法祖)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제15 문수수기회(文殊授記會)와 동본이다. 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보살장경(菩薩藏經) 3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제17 부루나회(富樓那會)와 동본이다.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