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488 불교(개원석교록 15권 22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9. 6.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22

 

지승 지음

 

동진(東晋) 시대, 사문 석법현(釋法顯)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승우록(僧祐錄)에 보인다.

경률분이기(經律分異記) 1권혹은 계율(戒律)이라고도 한다.

송나라 때, 계빈 삼장 구나발마(求那跋摩)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청성승욕문(請聖僧浴文) 1

송나라 때, 천축 삼장 승가발마(僧伽跋摩)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제일의오상략집(第一義五相略集) 1

송나라 때, 천축 삼장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잡비유삼백오십수경(雜譬喩三百五十首經) 25승우록에서는 비유삼백수경(譬喩三百首經)이라고 하였다.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단본이다.

번외국어(翻外國語) 7권일명 구사론인연사(俱舍論因緣事)라고 하며, 잡사(雜事)라고도 한다.

()나라 때, 천축 삼장 진제(眞諦)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수선정법(修禪定法) 1

()나라 때, 천축 삼장 진제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일백오십찬(一百五十讚) 1

대당(大唐)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새로 이 목록에 편입되었다. 단본이다.

유가삼마사경(庾伽三磨斯經) 1권번역하여 말하면, 수행략(修行略)이다. 일명 달마다라선법(達磨多羅禪法)이라고도 한다. 혹은 달마다라보살(達磨多羅菩薩)이 지은 선경요집(禪經要集)이라고도 한다.

후한 때의 실역이다.

범음게본(梵音偈本) 1권옛날에는 호음(胡音)’이라고 하였다.

후한 때의 실역이다.

찬칠불게(讚七佛偈) 1

후한 때의 실역이다.

달화니백구(怛惒尼百句) 1

후한 때의 실역이다.

오언영송본기(五言詠頌本記) 1142()이다.

후한 때의 실역이다.

도행품제경범음해(道行品諸經梵音解) 1구록에서는 호음(胡音)”이라고 하였다.

후한 때의 실역이다.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 1승우록(僧祐錄)에는 무릇 열일곱 가지 일이 있다고 하였다. 혹은 유()자가 없다.

후한 때의 실역이다.

잡비유경(雜譬喩經) 80

()ㆍ오() 나라 때의 실역이다.

도지경중요어장(道地經中要語章) 1권혹은 소도지경(小道地經)이라고도 한다.

승우록(僧祐錄)에는 안공록[安公]에서는 고전경(古典經)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漢錄)에 들어 있다.

수련의장(數練意章) 1구록(舊錄)에는 수련경(數練經)이라고 하였다.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漢錄)에 들어 있다.

안공록[安公]에는 이상 2경은 생경(生經)에 나온다고 하였다. 그러나 승우록(僧祐錄)을 살펴보니, 지금의 생경에는 이 장의 이름[章名]이 없다.

실담모(悉曇慕) 2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실역경(失譯經)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서진록(西晋錄)에 들어 있다.

길법험(吉法驗) 1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실역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서진록(西晋錄)에 들어 있다.

구전겁기진(口傳劫起盡) 1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실역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서진록에 들어 있다.

타건지법(打揵抵法) 1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실역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서진록에 들어 있다.

잡비유경(雜譬喩經) 6권혹은 제잡비유(諸雜譬喩)라고도 한다.

승우록중에 실역경이다.지금은 안록(安錄)에 들어 있다.

비유경(譬喩經) 1고록(古錄)에는 하나의 이출본(異出本)이 또 있다고 하였으나, 이제는 우선 한 본만을 기록하여 둔다.

승우록중에 실역경(失譯經)이다.지금은 송록(宋錄)에 들어 있다.

잡비유경(雜譬喩經) 1권모두 열한 가지의 일이 있다.

승우록중에 실역경이다.지금은 송록(宋錄)에 들어 있다.

소승(小乘)의 경()ㆍ율()ㆍ논()과 성현(聖賢)의 집()ㆍ전() 가운데 궐본(闕本)을 모두 계산하면, 모두 6981,106권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