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487 불교(개원석교록 15권 21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9. 6.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21

 

지승 지음

 

송나라 때, 천축 삼장 구나발타라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오문선요용법경(五門禪要用法經) 1

후한(後漢) 시대, 안식(安息)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수행방편경(修行方便經) 2권또한 수행방편선경(修行方便禪經)이라고도 한다.

()나라 때, 월지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위의 이 수행방편경은 그 명목(名目)을 상고하면 달마다라선경(達摩多羅禪經)과 동본이어서, 선경도 역시 수행방편경이라고 한다. 이는 동진(東晋) 때에 각현(覺賢)이 번역하고, 불대선(佛大先)이 지었다. 불대선은 계빈(罽賓) 사람이며, 각현의 스승이다. 그리고 각현과 지겸은 140여 년이나 서로 떨어져 있다. 불대선은 그때에 아직 태어나지도 않았는데, 그와 동본으로 짝지은 것은 온당치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단역(單譯)이다.

선법요해(禪法要解) 2

북량(北涼) 시대, 안양후(安陽候) 저거경성(沮渠京聲)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사유요략경(思惟要略經) 1권혹은 다만 사유경(思惟經)이라고도 한다.

후한 시대, 안식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십이유경(十二遊經) 1

서진(西晋) 시대, 서역 사문 강량루지(彊梁婁至)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십이유경(十二遊經) 1

송나라 때, 천축 삼장 구나발타라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두 본은 궐본이다.

아육왕태자괴목인연경(阿育王太子壞目因緣經) 1권혹은 경()자가 없다.

후한(後漢) 시대, 월지 삼장 지루가참(支婁迦讖)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왕자법익괴목인연경(王子法益壞目因緣經) 1권혹은 아육왕식괴목인연경(阿育王息壞目因緣經)이라고도 한다.

요진(姚秦) 시대, 양주(涼州) 사문 축불념(竺佛念)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두 본은 궐본이다.요진(姚秦)의 건초(建初) 6년 신묘(辛卯, 391)에 축불념이 담마난제難提와 함께 괴목인연경(壞目因緣經)을 역출하였다. 두 군데에 모두 기재하면 혹시 잘못될까봐 두 사람이 함께 내면서 합하여 1경본으로 한 것이다.

법구경(法句經) 2권혹은 법구집(法句集)이라고도 한다.

()나라 때, 월지 우바새 지겸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법구경(法句經) 4

후한 시대, 안식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법구유경(法句喩經)과 동본이다.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가섭결집전경(迦葉結集傳經) 1권혹은 전()자가 없다. 또한 가섭결경(迦葉結經)이라고도 하며, 혹은 결집계경(結集戒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가섭결집계경(迦葉結集戒經) 1

동진(東晋) 시대, 사문 석숭공(釋嵩公)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두 본은 궐본이다.

바수반두전(婆藪盤豆傳) 1

후진(後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번경도(翻經圖)에 나온다. 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전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청빈두로법(請賓頭盧法) 1

후한 시대, 안식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내전록(內典錄)에 나온다. 첫 번째 번역이다.

위는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아비담구십팔결경(阿毗曇九十八結經) 1

후한 시대, 안식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단본(單本)이다.

기사굴산해(耆闍崛山解) 1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단본이다.

불유천축기(佛遊天竺記) 1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