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514 불교(개원석교록 17권 6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9. 11.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76

 

지승 지음

 

이 논()은 수()나라 개황(開皇)ㆍ인수(仁壽) 연간의 중경록(衆經錄)과 당()나라 때, 내전록[內典]대주록(大周錄)등에는 모두 두 논본(論本)으로 기록되고 있다. 그리고 “15권의 섭론(攝論)과는 동본이출(同本異出)이며, 모두 진조(陳朝)의 삼장 진제(眞諦)가 번역하였다고 한 것은 잘못이다. 이제 그 문구를 첫머리부터 끝까지 대조해 보았는데, 완전히 같았다. 권수(卷數)에서는 다소 다르지만, 2()로 나눌 수 없다. 다만 15권 본만을 두고, 12권으로 된 본은 삭제한다.

 

(4) 신괄출 합입대부경(合入大部經) 52141

금광명경(金光明經) 418()이다.

북량(北涼) 시대, 삼장 담무참(曇無讖)의 번역이다.

금광명경(金光明經) 722()이다. 혹은 6권이다.

()나라 때, 삼장 진제(眞諦)의 전역(全譯)이다.4()이 합하여서 7권이 되었다.

금광명경갱광수량(金光明經更廣壽量)대변다라니경(大辯陀羅尼經)5권이 4권본(卷本)을 이었다.

주우문씨(周宇文氏) , 삼장 야사굴다(耶舍崛多)수량(壽量)대변(大辯)2()을 이어 번역하였다.

1경은 수()나라 때, 흥선사(興善寺) 사문 보귀(寶貴)가 앞의 세 경본과 사나굴다(闍那崛多)가 번역한 은주(銀主)촉루(囑累)2()을 취하여, 모두 24()을 합해 8권으로 만들었다. 앞의 세 경본은 모두 합쳐 들어갔으면서도 하나도 더하거나 덜함이 없으며, 8권으로 된 경본만 입장록[入藏]에 남겨 두고 이상 세 경본은 겹쳐졌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밀적금강역사경(密迹金剛力士經) 7권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

3()에 있다.혹은 4권 또는 5권 또는 8권이다.

보살몽경(菩薩夢經) 2권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4회에 있다.새로 이름을 고쳐서 정거천자회(淨居天子會)라고 한다.

법계체성무분별경(法界體性無分別經) 2권양()나라 때, 삼장 만다라선(曼陀羅仙)의 번역이다.

8회에 있다.

십법경(十法經) 1권원위(元魏) 시대, 삼장 불타선다(佛陀扇多)의 번역이다.

9회에 있다.이름을 덧붙이면 대승십법회(大乘十法會)라고 한다.

대보살장경(大菩薩藏經) 20권대당(大唐) 삼장 현장(玄奘)의 번역이다.

12회에 있다.

불위난타설출가입태경(佛爲難說出家入胎經) 2설일체유부율(說一切有部律)에 나온다. 대당(大唐)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

14회에 있다.이름을 고쳐서 입태장회(入胎藏會)라고 한다.

문수사리수기경(文殊師利授記經) 3권대당 삼장 실차난타(實叉難陀)의 번역이다.

15회에 있다.

보살견실삼매경(菩薩見實三昧經) 16권고제(高齊) 시대, 삼장 나련제야사(那連提耶舍)의 번역이다.

16회에 있다.혹은 14권 또는 10권이다.

보살장경(菩薩藏經) 3권일명 부루나문경(富樓那問經)이라고도 한다. 요진(姚秦) 시대,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

17회에 있다.또한 대비심경(大悲心經)이라고도 하며, 이름을 고쳐서 부루나회(富樓那會)라고 한다. 혹은 2권이다.

호국보살경(護國菩薩經) 2권수()나라 때, 삼장 사나굴다(闍那崛多)의 번역이다.

18회에 있다.

욱가장자소문경(郁伽長者所問經) 1권조위(曹魏) 시대, 삼장 강승개(康僧鎧)의 번역이다.

19회에 있다.혹은 2권이다.

가섭경(迦葉經) 2권원위(元魏) 시대, 외국 왕자(外國王子) 월바수나(月婆首那)의 번역이다.

23회에 있다.

선비보살소문경(善臂菩薩所問經) 2권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

26회에 있다.혹은 1권이다.

무외덕녀경(無畏德女經) 1권원위(元魏) 시대, 삼장 불타선다(佛陀扇多)의 번역이다.

32()에 있다.

무구시보살분별응변경(無垢施菩薩分別應辯經) 1권서진(西晋) 시대, 청신사(淸信士) 섭도진(聶道眞)의 번역이다.

33회에 있다.혹은 2권이다.

대방등선주의천자문경(大方等善住意天子問經) 4권수나라 때, 삼장 달마급다(達摩笈多)의 번역이다.

36회에 있다.

대승방편경(大乘方便經) 3권동진(東晋) 시대, 외국 거사 축난제(竺難提)의 번역이다.

38회에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