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112 불교(개원석교록 2권 4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6. 23.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24

 

지승 지음

 

용왕형제경(龍王兄弟經) 1권일명 난용왕경(難龍王經)이라고도 하고, 혹은 왕()자가 없기도 하며, 일명 항용왕경(降龍王經)이라고도 한다. 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장방록에 보인다.

장자음열경(長者音悅經) 1권일명 장자음열불란가섭경(長者音悅不蘭迦葉經)이라고도 하며, 또는 바로 음열경(音悅經)이라고도 한다. 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장방록에 보인다.

칠녀경(七女經) 1권또는 칠녀본경(七女本經)이라고도 한다. 안공(安公)아비담(阿毘曇)에서 나왔다라고 하였다. 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승우록에 보인다.

팔사경(八師經) 1권축도조의 오록(吳錄)승우록에 보인다. 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병사왕오원경(蓱沙王五願經) 1권혹은 이 병()자로 쓰기도 한다. 일명 불사가왕경(弗沙迦王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안공(安公)중아함경에서 나왔다라고 하였으나 조사하여 보았더니 그런 내용이 없었다.

의족경(義足經) 2권축도조의 오록승우보창두 목록에 보인다. 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16()으로 되어 있다.

수마제장자경(須摩提長者經) 1권일명 회제불전경(會諸佛前經), 또는 여래소설시현중생경(如來所說示現衆生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아난사사경(阿難四事經) 1승우록별록에 보인다.

미생원경(未生怨經) 1장방록에 보인다.

사원경(四願經) 1권축도조의 오록승우록에 보인다.

이씨범지경(里氏梵志經) 1권장방은 별록에서 보인다라고 하였다.

제구경(猘狗經) 1장방록에 보인다.

손다야치경(孫多耶致經) 1권혹은 범지손다야치경(梵志孫多耶致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에 보인다. 안공은 중아함경에서 나왔다라고 하였으나 조사하여 보았더니 없었다.

계소재경(戒銷災經) 1권또는 계소복재경(戒銷伏災經)이라고도 한다. 구록에 보인다.

찬집백연경(撰集百緣經) 10내전록(內典錄)에 보인다.

보살본연경(菩薩本緣經) 2권또한 보살본연집경(菩薩本緣集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2, 또는 4권으로 되어 있다. 천축 사문 승가사나(僧伽斯那)가 지었다. 장방록에 보인다.

유일잡난경(惟日雜難經) 1장방록에 보인다. 이상의 경전은 현재 남아 있고, 이 이하는 궐본이다.

마하반야바라밀주경(摩訶般若波羅蜜呪經) 1권혹은 마하(摩訶)라는 글자가 없기도 하다. 보창록(寶唱錄)에 보인다.

법경경(法鏡經) 2권혹은 1권으로 되어 있다. 두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승우는 별록에 보이며, 안록에는 없다라고 하였다. 장방록등의 목록에는 다시 욱가장자경(郁伽長者經)2권이 있는데, 역시 지겸(支謙)의 번역이다. 그러므로 이 경을 거듭 기재하는 것은 합당하지 못하다.

아사세왕녀아술달보살경(阿闍世王女阿術達菩薩經) 1권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장방록에 보인다.

아차말보살경(阿差末菩薩經) 4오록에 보인다. 세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유기난(維祇難)이 번역한 책과는 동본인데, 내용이 다르다.

소아차말경(小阿差末經) 2별록승우록에 보인다. ()라는 글자가 더 붙어 있는 것으로 보아 바로 앞의 경과는 의당 동본이 아니다.

대반니원경(大般泥洹經) 2권세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이 경은 대본(大本 : 불설대반니원경)서분(序分)애환품(哀歎品)을 요약하여 2권으로 만든 것인데, 마지막 3()가 조금 다를 뿐이다. 축도조(竺道祖)오록에 보인다. 안공은 장아함경에서 나왔다라고 하였으나, 승우는 지금의 장아함경은 이것과는 다르다라고 하였다.

불이삼거환경(佛以三車喚經) 1장방록에 보인다. 법화경(法華經)에서 나왔다고 한다면, 마땅히 제2권의 비유품(譬喩品)에서 나왔어야 한다.

부장교녀경(不莊校女經) 1권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보창록(寶唱錄)에 보인다.

수뢰경(須賴經) 1권혹은 수뢰보살경(須賴菩薩經)이라고도 한다. 세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백연(白延) 등이 번역한 경과는 동본인데, 따로 번역한 것이다. 축도조의 오록승우록에 보인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