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102 불교(개원석교록 1권 20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6. 21.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0

 

지승(智昇) 지음

 

수보살계차제십법(受菩薩戒次第十法) 1

보살참회법(菩薩懺悔法) 1

초발의보살상주야육시행오사경(初發意菩薩常晝夜六時行五事經) 1

정생왕인연경(頂生王因緣經) 1구록에서는 정생왕경(頂生王經)이다라고 하였다.

장자현수경(長者賢首經) 1

범지상녀경(梵志喪女經) 1

삭구설왕경(𤢴狗齧王經) 1구록에서는 삭구경(𤢴狗經)이다라고 하였다.

근고니리경(勤苦泥犁經) 1

지옥경(地獄經) 1

십일인연장경(十一因緣章經) 1구록에서는 십일인연경(十一因緣經)이다라고 하였다. 혹은 십이(十二)로 쓰기도 한다.

사문위십이두타경(沙門爲十二頭陁經) 1

승명수사행경(僧名數事行經) 1

비구제금률경(比丘諸禁律經) 1

마하승기률비구요집(摩訶僧祇律比丘要集) 1권일명 마하승기부비구수용요집법(摩訶僧祇部比丘隨用要集法)이라고도 한다.

사미십계경(沙彌十戒經) 1구록에서는 사미계(沙彌戒)이다라고 하였다.

비구니십계경(比丘尼十戒經) 1

현자오계경(賢者五戒經) 1

우바새위의경(優婆塞威儀經) 1

유가삼마사경(庾伽三磨斯經) 1권번역하면 줄여 수행(修行)이라고도 한다. 일명 달마다라선법(達磨多羅禪法)이라고도 한다. 혹은 달마다라 보살이 지은 선경요집(禪經要集)이라고도 한다.

범음게본(梵音偈本) 1구록에서는 호음(胡音)이다라고 하였다.

찬칠불게(讚七佛偈) 1

달화니백구(怛惒尼百句) 1

오언영송본기(五言詠頌本起) 1142()

도행품제경범음해(道行品諸經梵音解) 1구록에서는 호음(胡音)이다라고 하였다.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 1승우록에는 무릇 17 가지 비유가 있다고 한다. 혹은 유()자가 없기도 하다. 위의 59부는 다 같이 현재 경본이 있다. 승우의 실역록(失譯錄)에 있다.

이상은 5976권이다.장방록(長房錄)에 준하면 본래 합한 권수가 77권이다. 그것은 분별공덕론5권으로 기록해서이다. 지금 보면 4권으로 되어 있으므로 76권이다. 육보살명경의 그 이상 1626권은 현재 경본이 있고, 반주삼매염불장경이하의 4350권은 궐본이다.

장방록등에는 ()나라 이후에 번역한 사람의 이름을 알 수 없는 경은 총 125148권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제 그 중의 6671권은 자세히 살펴보면, 누가 번역하고 어디서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상세한 유래를 기술하여 아래와 같이 나열하였다.

불유일마니보경(佛遺日摩尼寶經)()나라 지참(支讖)의 번역이다.

보살생지경(菩薩生地經)

유일잡난경(惟日雜難經)이상의 2경은 오()나라 지겸(支謙)의 번역이다.

금강삼매본성청정불괴불멸경(金剛三昧本性淸淨不壞不滅經)혹은 금강청정경(金剛淸淨經)이라고도 한다. 장방록등에서는 () 때의 지겸(支謙)의 번역인데도, 한나라 후대의 실역록(失譯錄)에 다시 기재되어 있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제 이 경을 상고하면, 이 경은 한대(漢代)에 그 근원을 잃은 것失源도 아니며, 또 지겸이 번역해 낸 것도 아니다. 이 경은 요진(姚秦) 이후의 구마라집(鳩摩羅什) 등의 번역인 것 같다. 지금은 우선 근원을 잃은 것으로 하여, 진록(秦錄)에 편입하였다.

구잡비유경(舊雜譬喩經) 2권오나라 때의 강승회(康僧會)의 번역이다.

시방불명경(十方佛名經)

삼십이상인연경(三十二相因緣經)이상의 2경은 서진(西晋) 때의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

보살수행경(菩薩修行經)일명 장자위시소문보살수행경(長者威施所問菩薩修行經), 또는 장자수행경(長者修行經)이라고도 한다. 이미 일찍이 세 번 번역되어 하나는 현재도 존재하고, 둘은 궐본인데, 목록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가섭부불니원경(迦葉赴佛泥洹經)일명 불반니원시가섭부불경(佛般泥洹時迦葉赴佛經)이라고도 한다.

철성니리경(鐵城泥犁經)일명 중아함니리경(中阿含泥犁經)이라고도 한다.

적지과경(寂志果經)

삼십칠품경(三十七品經)여러 경에서 추려 지은 것이다. 별생록(別生錄)에 있다.

칠불소결마유술주(七佛所結麻油述呪)

환사파타신주(幻師陂陁神呪)

주우치주(呪齲齒呪)일명 주충치(呪蟲齒)라고도 하며, 또는 바로 주치(呪齒)라고도 한다.

주아통주(呪牙痛呪)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