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불설다라니집경(佛說陀羅尼集經) 5권
불설다라니집경 제5권
아지구다 한역
김영덕 번역
[관세음부 중]
1) 천전관세음보살심인주(千轉觀世音菩薩心印呪)일체관음보살심인주와 같다.
집게손가락 이하의 네 손가락을 거꾸로 교차시켜 안을 향하여 서로 누른 다음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구부려 집게손가락 사이로 넣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펴서 구부리지 말고 곧장 안으로 향하게 하라. 다음에 두 손목을 합하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아로륵 사바하
唵一阿嚕力二莎 訶三1)
만일 이 인법(印法)을 행하면 모든 관세음보살을 볼 것이니, 관세음을 청하여 앉게 한 다음 결계법(結界法)을 행하고 향을 피워 공양한 다음 이 인을 결하면 관세음이 환희한다. 날마다 행하면 매우 좋고 많은 이익이 있을 것이다.
2) 천전인주(千轉印呪)
수인(手印)은 전의 일체관세음심인(一切觀世音心印)과 같고 오직 발만 다르다. 집게손가락 이하의 네 손가락을 거꾸로 교차시켜 안을 향하여 누른 다음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구부려 집게손가락 사이로 넣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펴서 구부리지 말고 곧장 안으로 향하게 하고 두 손목을 합한 다음 두 다리로 정(丁)자 형상을 만들되 오른발이 정자의 머리가 되고 왼발이 정자의 꼬리가 되게 하라. 그리고 오른발을 곧바로 세운 다음 왼쪽 무릎을 밖으로 구부려 넓적다리에 힘을 주고 몸을 왼쪽으로 구부려라. 다음에 심인(心印)을 오른쪽 젖가슴 앞에 가까이 대되 젖가슴에 닿게 하지 말고 얼굴은 웃는 모습을 하고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린다. 매월 보름에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한 방에 들어가 이 인을 결하고 뒤의 대주(大呪)를 송하면 4중과 5역의 죄가 모두 다 소멸된다. 천전다라니(千轉陀羅尼)는 다음과 같다.
나 모라 다나 다라 야야 나모아리야바로 기뎨새바 라야 모
那上音謨囉上音怛那二合跢囉二合夜耶一那謨阿𠼝耶婆盧輕呼枳帝攝筏二合囉耶二菩
디사다 야 마하사다 야 마하가로니가 야 다냐타 아 예아예 아
提薩埵去音耶三摩訶薩埵去音耶四摩訶迦嚧尼迦去音耶五跢姪他六闍上音曳闍曳七闍
야바혜 니 아 유다리 가 라가 라 마라마라 자라 자라
上音夜婆醯上音儞八闍上音楡跢唎上九迦上音羅迦上音羅十麽羅麽羅十一者羅上音者羅上
기나기나 살바갈마바라 나니몌 바가바디 사 하 사라바
十二器拏器拏十三薩婆羯磨跋囉上音拏儞迷十四薄伽婆底都儞反娑上音訶上音薩囉薄
갈디 살바몯 다바로 기뎌 자추 슈 로다라 아라
羯底十五薩婆菩上音陀婆盧輕呼枳羝十六者芻上音眼十七輸上音嚕怛囉上音耳十八揭囉上音
나 시하 바 가야 마노 비 슈다니 소라 소라
拏上音鼻十九是訶上音皤二十舌迦夜二十一身末弩二十二心毘上音輸達儞二十三素囉上音素囉
바라 소라 바라 소라 살바몯 다아 디-띠 뎌사
上音二十四鉢囉上音素囉上音鉢囉上音素囉上音二十五薩婆菩上音陀阿上音地瑟恥二合羝莎
바하 달마다 도아라 비사바하 아 바바 사 바바바 달마
訶二十六達麽陀去音覩揭囉上音鞞莎 訶二十七阿上音婆皤二十八娑上音皤婆皤二十九達摩
바 모다 니예 사바하
皤三十菩陀上音尼曳三十一莎 訶三十二2)
『천전경(千轉經)』에서 말하였다.
“이 진언을 송하면 악업이 소멸되고 일곱 번을 송하면 5역죄(逆罪)가 소멸된다. 그리고 천 번을 송하면 소멸되지 않는 죄가 없고 십만 번을 송하면 온갖 장엄을 한 관세음보살을 눈앞에서 보게 될 것이니, 그러려면 7일 동안 작법하되, 처음 작법할 때에는 오직 우유죽과 소(酥)와 낙(酪)과 흰 떡과 멥쌀밥만을 먹어야 하고 소금이나 간장에 절인 채소는 먹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 하루 동안은 아무 것도 먹지 말고 보름밤에 공복(空腹)으로 부처님 앞에서 수를 한정하지 말고 계속 이 진언을 송하여야 한다. 그러면 형상이 동요하며 상에서 소리를 내어 크게 말하기를, ‘착하다, 착하다’ 하면서 밝은 광명을 낸다. 또 진주보물을 주사의 정수리 위에 놓으면, 곧 효험이 이루어진 줄 알 수 있으니 눈앞에서 관음(觀音)을 볼 것이며, 그런 다음 모든 좋은 원(願)을 만족하게 될 것이다. 또 자면서 꿈 속에서 온갖 장엄을 한 관음을 보면 모든 좋은 일들이 성취되고 모든 악업이 소멸되고, 그냥 계속 송하기만 하여도 역시 죄가 소멸된다. 동서쪽으로 가고자 할 때에 먼저 손에 진언을 일곱 번 송하여 얼굴을 문지른 다음 떠나면 이르는 곳마다 모든 재횡(災橫)이 없게 된다. 만일 능히 청정하고 여법(如法)하게 항상 쉼 없이 송하면 제일지(第一地)를 얻을 것이며, 만일 어떤 여인이 능히 송하여 지니면 후에 남자가 되고 다시는 여자 몸을 받지 않게 될 것이다. 단을 만들 수 없더라도 공양할 것을 준비하여 안치하고 나서 비로소 진언을 송하여야 한다. 그 단의 네 면은 각기 16주(肘)로 하고 4중(重)으로 하는 것을 규범으로 삼으며 원(院)의 모습은 모두 밖은 흰색으로 하고 안은 네 가지 색으로 한다. 그리고 각각 1중(重)을 벽(壁)과 같은 형세로 만든다. 이것이 곧 8중(重)이다. 오방색(五方色)과 합치되게 하라. 동서남북의 네 면에 문을 열고 정중앙의 1중(重)에는 문을 열지 말아야 한다. 큰 와관(瓦罐) 여덟 개와 항아리 네 개에 각각 물을 가득 채우고 측백나무와 버드나무 가지를 와관과 항아리 가운데 꽂아 놓고, 흰 떡ㆍ멥쌀밥ㆍ우유ㆍ낙(酪)ㆍ소(酥)ㆍ꿀ㆍ향ㆍ과자(果子) 등을 공양하라. 그리고 열여섯 개의 등을 밝히고 네 문(門) 밖에 아직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화살 열여섯 개를 꽂고 다섯 가지 색의 비단실을 화살 위에 걸쳐 놓아라. 다음에 카다라목(佉陀囉木)자강목(紫薑木)이 이것이다. 네 개를 취하되 두 개는 길이가 5지(指) 되게 하고 두 개는 길이가 6지 되게 하여 단(壇)의 네 모서리에 박는다. 그리고 온갖 제철 꽃과 제철 아닌 꽃을 단 위에 뿌린다. 또 파가목(頗伽木)작은 구기자(枸杞子)가 이것이다. 천팔백 개를 각각 길이가 한 자 되는 것으로 마련하고, 옹기발우[瓦鉢]나 동발우[銅鉢]에 소와 우유를 담아 서로 섞어, 이 나뭇가지에 바른 다음 한 가지에 진언을 한 번 송할 때마다 한 번씩 불 속에 던져라. 카다라목이 없을 때에는붉은 대추나무로 대신해도 된다. 반드시 하나의 백색 관음성자상(觀音聖者像)을 그리되, 크기는 힘 자라는 대로 하여 그려라. 또 먼저 번법(翻法)하여 말하라.
‘천 겁 동안 쌓인 업장 일시에 송념(誦念)하면 다 소멸되고 천 부처님께서 쌓으신 선근(善根) 얻고 천 겁 동안 생로병사(生老病死)의 변제(邊際)를 유전하는 일 등지며, 이 몸을 버린 뒤에 곧 천 전륜성왕(轉輪聖王) 보고 항상 10선(十善) 지니리라.’
만일 모든 부처님의 정토(淨土)에 태어나고자 하면, 밤낮 각각 세 때[三時]로 스물한 번씩 송하기를 21일 동안 하면 그 하고자 하는 대로 될 것이니, 곧 꿈 속에서 금색 형상을 하신 부처님을 보거나 보살 형상을 볼 것이다. 이것이 바로 예시하는 모습[先相]이니, 정토(淨土)에 태어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 받아 지니는 법이 있다. 돌파향(突婆香)당나라에서는 모향(茅香)이라고 한다.과 묘(苗) 다섯 근과 길이가 한 자 되는 천 개의 닥나무[楮木]와 소(酥)에 모두 진언을 일천 번씩 송한 다음 태우려 할 때에 나무줄기와 향 위에 소를 바르고 각각 진언을 한 번씩 송하여 태워라. 그리고 미리 오월과 유월에 쇠똥을 가져다 그늘에서 말리고 돌파향수(突婆香水)와 섞어 진흙을 만들고 그 진흙으로 길이가 2주 되는 둥근 모양의 장(場)을 만든 다음 장 위에 온갖 꽃과 향을 안치하되, 겨울에 꽃이 없을 때는 꽃을 조각하여 안치하고 훈륙향을 피운다. 그리고 주사가 동쪽을 향하여 앉아 진언을 일천 번 송하면 법이 이루어진다. 진언을 송하기 전에 이 진언을 물에 스물한 번이나 일곱 번 송하여서 마시고, 진언을 송한 물[呪水]은 더러움을 씻어 내어 방이나 도량이나 불당(佛堂)을 깨끗이 한다. 진언을 송한 물을 몸에 뿌리고 버드나무 가지에 진언을 송하여 병자를 때리거나 진언을 송한 물로 또한 병도 치료할 수 있으니 각각 스물한 번씩 송하라. 만일 능히 일생 동안 하루에 세 때[三時]로 시마다 각각 스물한 번씩 송하면 죄를 소멸시킬 것이니 불가사의하다. 이 진언은 모든 법에 통용되고, 이 법을 행하면 관세음이 환희한다.
3) 관세음모신법인(觀世音母身法印)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세워 각각 두 손의 새끼손가락 끝을 잡고 두 손을 모두 세워 서로 붙인 다음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서로 잡아 두 손의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 위에 놓고 두 손의 약손가락 역시 그렇게 하라.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은 위에서 손가락 끝을 서로 약간 떨어뜨려 놓고 손바닥 아래를 서로 붙인 다음 집게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세볘 디 반다라 바시니 저타마구타 다라니 사바하
唵一稅閉二合提二槃陀囉二合婆悉尼三折吒麽俱吒四陀羅尼五莎 訶六3)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만일 어떤 사람이 능히 날마다 이 법을 행하여 계속 공양하고 깨와 소(酥)와 꿀을 쌀과 꽃에 섞어 진언을 한 번 송할 때마다 한 번씩 불 속에 던져 태우기를 천여덟 번 하되 백여덟 번 진언을 송하고 태워도 된다. 이와 같이 날마다 이 법을 행하면 모든 관세음이 환희할 것이다. 또 어린아이가 소리내어 울 때에는 마땅히 이 진언을 송하여 매듭을 결하고 그 진언을 송한 동아줄을 아기의 정수리 위에 묶으면 곧 그친다.
4) 관세음모심인주(觀世音母心印呪)
팔목을 합치고 두 손의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 끝을 모두 구부려 서로 버티되, 큰 마디[大節]를 평평하게 하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모두 세워 서로 붙여 집게손가락 끝의 옆을 잡는다. 다음에 두 손의 새끼손가락을 세워 끝을 서로 붙이고 엄지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마하시리 예 사바하
唵一摩訶室唎二合曳二莎 訶三4)
앞의 두 가지 인과 진언의 법은 관세음모법(觀世音母法)이라고 이름한다. 만일 어떤 사람이 송하여 지니면 능히 몸 안에 있는 백억 겁의 중죄(重罪)를 없앨 수 있고, 모든 보살이 이 진언을 들으면 모두 사마타(奢摩他)를 얻고 이 인연으로 말미암아 불위(佛位)를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보살모주(菩薩母呪)라고 이름한다. 어떤 사람이 능히 받아 지니면 오래지 않아 모든 부처님에게서 수기(授記)를 받으리니, 모든 관세음보살도 이 진언과 인으로 말미암아 사마타기(奢摩他記)를 얻어 모든 것을 지녔다.
5) 관세음보살삼매인주(觀世音菩薩三昧印呪)
두 손목을 합치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끝을 합한 다음 나머지 손가락은 붙이지 않고 곧바로 세운다.단지 두 손의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벌려 서로 붙지 않게 하면 이를 십일면인(十一面印)이라고 이름하며, 집게손가락을 왔다갔다하면 이는 대삼매인(大三昧印)이다. 진언은 십일면대주(十一面大呪)를 사용한다. 이 법을 행하면, 능히 모든 왕과 도적과 물과 불과 칼과 독 등의 재난을 없애어 모두 두려움이 없게 되니 이는 관세음의 위신력 때문이다. 모든 보살 등을 청하는 법을 행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반드시 삼매인(三昧印)을 결하여야 한다. 그러면 곧 모든 보살이 환희한다.
6) 관세음보살수심인주(觀世音菩薩隨心印呪)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의 세 손가락을 바깥쪽으로 향하여 서로 교차시켜 합장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을 누르고 손끝으로 모두 손등을 잡은 다음 아울러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세워 서로 붙이고 엄지손가락 또한 그렇게 하여 각각 집게손가락을 잡은 다음 엄지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귀명(歸命)은 이전의 십일면(十一面) 등의 귀명법과 같이 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다냐타 옴 다 리다 리 도다 리 도리 사바하
跢姪他一唵二多去唎多去音唎三咄多去音唎四咄唎五莎 訶六5)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만일 어떤 사람이 총명하게 되고자 하면 누런 소 한 마리를 가져다 청정한 곳에 두고 남자아이 한 명으로 하여금 팔계제(八戒齋)를 지니게 한 다음 우유를 짜게 하라. 3일 동안 짠 우유는 날마다 그 소에게 도로 먹이고, 4일째 되는 날부터 7일까지 짜서 얻은 우유로는 곧 낙(酪)을 만들고 이 낙으로 소(酥)를 만든다. 그리고 일식(日蝕)이나 월식(月蝕)이 있을 때에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고 다섯 가지 채색으로 4주(肘) 정도 되는 수단(水壇)을 만들되 그 단에는 문이 없게 하라. 그 단의 동면(東面)에 연화좌(蓮華座)를 놓고 연화좌 위에 계도마치(雞都摩致)를 안치하고, 남면에는 도라라화좌(都邏羅華座)를 놓고, 북면에는 구로굴라화좌(俱嚕屈羅華座)를 놓고, 중앙에는 수심관세음화좌(隨心觀世音華座)를 놓아라. 그리고 열여섯 잔의 등과 여덟 쟁반의 음식을 공양하고 향을 피우며 꽃을 뿌려 공양하고 나서 이전에 만든 소를 가져다 깨끗한 새 적동그릇[赤銅器]에 담아라. 주사는 이 날에 음식을 먹지 않고 세 번 목욕한 다음에 다른 생각은 하지 않고 오직 염불만 하라. 그리고 그 소를 넣은 그릇을 단의 중심에 놓고 그 소를 만든 아이는 밖에서 해나 달만 보게 하고 단(壇) 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보게 하면 안 되며, 주사는 해나 달을 보면 안 된다. 만일 해나 달을 보면 조금의 효험도 얻을 수 없다. 만일 해나 달이 점점 다시 생겨나면, 지심으로 다리심인(多唎心印)을 결하고 소를 넣은 그릇을 잡아 빈번히 그 소에 진언을 송하라. 그러면 그 소를 넣은 그릇 안에서 세 가지 모습이 나타난다. 말하자면 따뜻해지고 연기가 나고 불꽃이 나는 것이다. 만일 단지 따뜻해진 소를 먹고 하루 동안 진언을 송하면 5백 게송의 경(經)을 얻고, 연기가 나는 소를 먹고 하루 동안 진언을 송하면 7백 게송의 경을 얻을 것이며, 불꽃이 나는 소를 먹거나 남에게 주어 먹게 하면 곧 대총명(大聰明)을 얻고, 하루 동안 진언을 송하면 1천 게송의 경을 얻을 것이다. 만일 평상[常]과 같은 것을 먹어도 역시 기억력이 좋아진다. 그 소의 분량은 한 냥ㆍ두 냥ㆍ세 냥ㆍ다섯 냥이나, 모두 마음대로 하여도 괜찮다.
7) 수심관세음인(隨心觀世音印)다른 명호도 볼 수 없고 또 다른 진언도 없다.
두 손의 열 손가락을 모두 펴서 끝을 합하고 손바닥 안을 조금 비게 한 다음 두 손목을 서로 붙이고 바로 가슴 위에 가까이 댄다.이 인은 공양일체인법(供養一切印法)과 같다.
8) 수심관세음기일체원인(隨心觀世音祈一切願印)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쪽으로 구부리고 또 집게손가락 끝을 구부려 엄지손가락 끝과 4, 5푼쯤 떨어지게 하고 가운뎃손가락 이하의 세 손가락을 모두 펴서 서로 잡은 다음 이 인을 가슴 위에 가로로 비스듬히 놓되 손끝을 오른쪽으로 향하게 하라. 진언은 이전의 진언을 사용한다. 이 하나의 인법(印法)은 다음과 같다.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바랄 때에 먼저 길이와 너비가 4주 되는 수단을 만들어 모든 번개(幡盖)를 매달아 온갖 장엄을 한 다음 그 단 안에 수심상(隨心像)을 놓고, 그 상 앞에 그릇[椀] 네 개를 놓아라. 그리고 그 네 개의 그릇 속에 각각 일미(一味)씩 담는다. 말하자면 석밀(石蜜)과 사탕(沙糖)과 우유와 꿀이니, 이것들을 그 차례대로 각각 담아 공양하고 온갖 꽃을 뿌리고 침수향(沈水香)을 피워 형상에 공양한 다음 상을 마주 대하고 지심으로 드러내어 참회하고[發露懺悔] 그 소원에 따라 우러러 성취되기를 청하고 나서 형상 앞에서 인을 결하고 가사(袈裟)로 덮거나 혹은 깨끗한 수건으로 덮는다. 그 인을 덮고 나서 다른 생각은 하지 않고 지심으로 8백 번 진언을 송하라. 이 진언을 송하고 나면 마음에서 원하는 것이 모두 뜻대로 된다. 일의 크고 작음에 따라 1일 내지 7일 동안 작법하되, 날마다 세 때로 아침과 정오와 저녁에 이전과 같이 작법하면 반드시 소원이 이루어진다. 지심으로 하지 않을 때는 제외한다.
9) 십이비관세음보살신인주(十二臂觀世音菩薩身印呪)
좌우의 약손가락을 각각 가운뎃손가락 등 위에 나란히 놓은 다음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 끝을 세워 서로 붙이고 두 손의 새끼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합하여 세워서 함께 붙여라. 그리고 두 손의 집게손가락 끝을 구부려 서로 버티어 각각 엄지손가락 끝을 누르고 그 집게손가락의 두 번째 마디를 나란히 하여 평평히 한 다음 집게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마하세 뎌 사바하
唵一摩訶稅去音羝二莎 訶三6)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소의 똥과 쇠오줌과 소와 우유와 낙(酪) 등을 각각 한 대량(大兩)씩 가져다 모두 합하여 휘저어 놓아라. 그리고 나서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고 동쪽을 향하여 두 무릎을 세우고 앉아 곧 이전의 약(藥)에 진언을 백여덟 번 송하여서 6개월에 한 번씩 복용하라. 이렇게 일 년에 두 번 복용하면, 자신에게 병이 없고, 병을 치료하는 데 매우 길하다.
10) 관세음보살불공견삭신인주(觀世音菩薩不空羂索身印呪)
이전의 관세음모신인(觀世音母身印)에 준하되 오직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고쳐 한 치쯤 떨어지게 하고, 두 손의 집게손가락과 약손가락을 조금 들어 엄지손가락과 붙지 않게 하고, 집게손가락과 약손가락 사이를 한 개의 가운뎃손가락이 들어갈 만큼 벌린 다음 집게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다냐타 옴 새볘 다야 새볘 다모아 야 인 혜인혜 바라마 슈다
跢姪他一唵二濕閉二合多夜三濕閉二合多菩闍去音夜四咽去音醯咽醯五鉢囉麽六輸馱
살타 마하가로니가 사바하
薩埵七摩訶迦嚧膩迦八莎 訶九7)
이 법의 인과 진언은 온갖 경우에 통용되며 모두 큰 힘이 있다. 또한 능히 모든 악한 귀신을 항복시키고 모든 병을 치료하고 모든 도적의 난이 해칠 수 없다. 또 만일 형틀[枷: 칼과 족쇄]에 묶였을 때 시수말라지(施輸末羅脂)를 가져다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여 형틀 위에 바르고 다시 지심으로 진언을 송하면 곧 벗어나게 된다.
11) 관세음보살불공견삭구법인(觀世音菩薩不空羂索口法印)
좌우의 새끼손가락을 안쪽으로 하나로 합하여 곧바로 세우고 오른쪽의 약손가락으로 왼쪽의 약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의 등을 밀쳐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사이로 넣고, 왼쪽의 약손가락을 오른손의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 사이로부터 내놓아 곧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사이로 넣는다. 그리고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끝을 서로 버티어 놓고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각각 약손가락 끝을 얽은 다음 아울러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끝을 서로 버티어 놓되 새끼손가락와 반 치쯤 떨어지게 하라. 진언은 이전의 진언을 동일하게 송하라.
12) 관세음보살불공견삭아법인(觀世音菩薩不空羂索牙法印)
이전의 구인(口印)에 준하되, 오직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 끝을 조금 구부려 각각 두 손의 엄지손가락 끝을 누르고 두 손의 새끼손가락을 밖으로 내놓아 오른쪽에서 왼쪽을 누른 다음 모두 약손가락 등[背]을 잡아라. 진언은 이전의 진언을 사용하라. 이 하나의 법인(法印)은 능히 모든 물ㆍ불ㆍ바람ㆍ도적ㆍ칼ㆍ왕의 재난을 없애고, 야차ㆍ나찰ㆍ모든 귀신ㆍ독룡ㆍ독사의 난과 결박되는 등의 재난을 없앤다. 만일 어떤 사람이 날마다 항상 공양하면, 관세음과 모든 보살들이 모두 환희하며, 목숨이 끊어지면 아미타불국토에 태어나며 또다시 시방의 정토에 뜻대로 왕생할 수 있게 된다. 만일 바람을 그치게 하려면, 먼저 이 진언을 재[灰]에 백여덟 번 송하여 작은 비단조각에 싸서 몸에 지니고 가서 바람이 불어올 때 오른손으로 재를 쥐어 바람부는 곳을 향하여 때리듯 뿌린 다음에 오른손의 나머지 손가락은 주먹을 쥐고 집게손가락은 곧바로 세워 바람을 향하여 빈번히 진언을 송하며 성내어 꾸짖는다. 그러면 곧 그친다.
13) 관세음보살불공견삭심중심주(觀世音菩薩不空羂索心中心呪)
진언으로 송하라.
옴 리싣디리 로가 비사야 아모가바샤 마하구로다 라아야 리다
唵一唎悉底哩二合盧迦去耶反毘社夜二阿謨伽波舍三摩訶鳩嚧馱四囉闍夜五唎陀去
야 아바라 디아다 오훔오훔 박박
音夜六阿波囉上音提阿跢七嗚𤙖嗚𤙖八㧊㧊九8)
이 하나의 주법은 능히 죄장(罪障)을 없애며, 참회하고 병을 치료하면 대단히 신령스런 효험이 있다. 모두 『불공견삭경(不空羂索經)』에서 말한 것과 같다.
관세음보살상(觀世音菩薩像)을 그리는 법
모든 관세음보살상은 온몸을 백색(흰색)으로 하고 결가부좌(結加趺坐)하여 백 가지 보배로 장엄하고 연화좌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그려라. 머리에 7보로 장엄한 화관(華冠)을 쓰고 중광(重光)이 있으며 화관 가운데는 화불(化佛)께서 서 계신다. 화관의 뒤에는 파기광(簸箕光)을 그리되, 광명 안은 모두 적색으로 하고, 형상의 뒤에는 7보로 수놓은 궤(机)를 놓아 기대 놓아라. 상의 왼손은 팔을 구부려 가슴에 가까이 대고 가운뎃손가락은 구부려 위로 곧바로 세우고 있으며, 오른손은 팔을 왼손 위로 향하여 구부리고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엄지손가락과 서로 잡아 왼손의 가운뎃손가락 위에 버티어 놓고 있다. 상의 목에는 보배구슬의 영락(瓔珞)이 있고 좌우의 팔과 팔목에 각각 보배 팔찌를 둘렀으며, 또 보배꽃으로 장엄한 흰 색 겹옷을 어깨 위에 두르고 몸에는 꽃으로 장식한 백색 겹치마를 입는다. 치마의 허리는 청색에 적색 안감을 대었고, 또 보배염[寶縚]으로 그 허리 위를 묶는다. 그 형상의 좌우 행랑에는 각각 보살이 한 명씩이 있어 시자(侍者)가 된다. 온몸이 황색이고 모두 머리에 화관(華冠)을 쓰고 있으며, 오른쪽 상의 보살은 오른손은 팔을 구부려 흰 불자를 잡고 왼손은 팔을 구부려 연꽃을 잡고 있다. 왼쪽 상의 보살은 오른손은 팔을 구부려 여러 가지 보배꽃 한 가지를 들고 왼쪽 팔은 구부려 손을 세워 흰 불자를 잡고 있으며 모두 아침노을빛 치마를 다리 위에 걸치고 꽃으로 장엄한 백색 겹옷을 넓적다리 위에 두르고 각각 연화좌 위에 서 있다.
그 형상의 시자 뒤의 좌우 행랑에는 각각 세 명의 보살이 있어 상하의 차례대로 몸을 비스듬히 하고 얼굴은 형상 쪽을 향하여 우러러보며 앉아 관세음이 신통자재하게 중생을 구제하고 보호하는 일을 돕는다. 그 형상의 왼쪽 행랑 위에 있는 한 보살은 온몸이 황색이고, 머리 위에 황색 부분이 조금 있으며 보배로 장엄한 꽃을 상투 위에 묶고 있고, 원광(圓光)은 청색이며 귀에 흰 귀고리를 하고 있다. 오른손은 펴서 오른쪽 무릎 위에 가까이 대고 다섯 손가락을 모두 펴서 손바닥을 아래로 내려뜨리고, 왼손은 가슴에 가까이 대고 연꽃을 잡고 있다. 백색 꽃으로 장식한 겹옷을 그 어깨 위에 두르고 양 팔과 팔목 위에 보배 팔찌를 두르고 아침노을빛 치마를 다리 위에 걸치고 연꽃 위에 앉아 있다. 다음으로 아래에 있는 보살은 온몸이 황색이고 머리에 화만을 쓰고 적색 원광이 있으며 귀에는 백색 귀고리를 하고 젖가슴이 높고 크며, 백색 꽃으로 장엄한 얇은 겹옷을 젖가슴 위에 옆으로 두르고 있다. 오른손은 손등을 넓적다리 위에 구부려 붙이고 손바닥은 위로 향하여 다섯 손가락을 모두 펴고, 왼손은 뒤집어 왼쪽 넓적다리와 무릎 사이에 놓고 있다. 팔과 팔목에는 팔찌가 있고 아침노을빛 치마를 입고 홍색 연꽃 위에 앉아 있다. 다음에 그 아래에 있는 보살은 온몸이 백색이고 얼굴 위의 미간에 천안(天眼)이 있으며 그 머리카락과 상투는 붉은색과 비슷하고 머리에는 화만이 없다. 원광은 청색이고 귀에 귀고리가 없으며 네 개의 팔이 있다. 오른쪽의 팔 하나는 팔꿈치를 뒤쪽으로 구부려 겨드랑이 사이로 팔꿈치를 들고 손은 머리를 향하여 귀밑머리를 받치고 있고, 또 한 손은 팔을 구부려 팔꿈치로 오른쪽 무릎을 받쳐 스물한 알의 진주염주를 잡고 있다. 왼쪽의 팔 하나는 팔꿈치를 뒤쪽으로 구부려 겨드랑이 사이로 손을 내놓아 위로 향하여 어깨 위에 이르게 한 다음 손가락으로 주먹을 쥐고, 또 한 팔은 넓적다리와 무릎 사이에 버티어 붙이고 손을 뒤집어 경갑(經匣)을 잡고 있다. 그리고 옅은 녹색 깁[紗]을 그 어깨 위에 두르고 아침노을빛 치마를 다리와 정강이에 걸치고 자색(紫色) 연화좌(蓮華座) 위에 앉아 있다. 오른쪽 행랑에 있는 세 명의 보살은 다음과 같이 그려라. 위에 있는 한 보살은 온몸이 백색이고 머리에 화만을 쓰고 원광은 청색이며 귀에 백색 귀고리를 하고 있고 젖가슴이 높고 크다. 그리고 백색 꽃으로 장식한 겹옷을 젖가슴 위에 가로로 두르고 왼손은 팔을 구부려 왼쪽 넓적다리 위에 놓고 연꽃을 잡고 있고, 오른손은 넓적다리 위에 놓고 위로 뒤집어 한 가지 물건을 잡고 있는 모습이 과자와 비슷하며 또 꽃과도 비슷하게 하며, 손바닥 안을 얼룩무늬가 있는 모습으로 그려라. 팔과 손목에 팔찌가 있고 아침노을빛 치마를 무릎에 드리우고 자색 연꽃 위에 앉아 있다. 그 다음 아래에 있는 보살은 온몸이 황색이고 머리에 적색 화만을 쓰고 있으며 원광은 적색이고 위에 백색 귀고리를 하고 왼손은 팔을 구부려 왼쪽 무릎 위에 놓고 연꽃을 잡고 있으며, 오른손은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손바닥을 위로 뒤집어 손가락을 펴서 높이 솟은 것같이 드러낸다. 팔과 손목에 팔찌가 있고 흰 색 겹옷을 어깨 위에 걸치고 아침노을빛 치마를 다리 위에 두르고 홍색 연꽃 위에 앉아 있다. 그 다음 아래에 있는 보살은 온몸이 황색이고 머리에 화만을 쓰고 얼굴은 위로 쳐들어 형상을 바라보고 있으며 귀에 흰 귀고리를 하고 있다. 원광은 청색이고 네 개의 팔이 있고 젖가슴이 높고 크며 백색 보배로 장식한 겹옷을 젖가슴 위에 두르고 있다. 두 손을 합장하고, 왼쪽에 있는 또 한 개의 손은 팔을 구부려 왼쪽 넓적다리 위에 놓고 연꽃을 잡고 있으며 꽃은 자색이고 꽃줄기는 화살대와 같은 모습으로 황색을 띠고 있고 꽃머리가 위로 향하여 있다. 오른쪽에 있는 또 하나의 팔은 뒤로 구부려 겨드랑이 사이로 손이 나와 위를 향하여 어깨 앞에 이르러 스물한 알의 진주 염주를 쥐고 있으며, 적색의 국화 무늬로 장식한 겹치마를 다리에 두르고 청색 연꽃 위에 앉아 있다. 이 보살들은 모두 관세음보살의 권속이다.
그 형상 위의 광명 부근 좌우에는 각각 두 구(軀)의 수다회천(須陀會天)이 있다. 오른쪽 행랑에 있는 천(天)은 건달바음악(乾闥婆音樂)을 공양하고 왼쪽 상에 있는 천은 꽃과 향을 뿌려 보살에게 공양하고 있다. 또 화광의 양쪽 변(邊)에는 각각 네 마리의 새가 공양을 돕고 있다. 좌변에는 두 마리의 빈가조(頻伽鳥)9)가 병행(並行)해서 서 있고, 그 뒤에는 두 마리의 앵무새가 병행하여 있다. 우변에는 두 마리의 공작이 병행해 있고, 그 뒤에 두 마리의 백학이 병행해 있다. 그 상좌(像座) 아래의 왼쪽 행랑에 또 두 명의 보살이 있다. 온몸이 적색이고 어린 모습을 하고 있으며 얼굴 모습이 단정하고 몸이 살찌고 장대하다. 머리털은 짧고 적색을 띠고 있는 것 같으며, 얼굴 위의 미간에 천안(天眼)이 한 개 있고, 흰 뱀 한 마리가 등 뒤에서 나와 왼쪽으로 둥글게 서려 머리를 높게 들고 뒤로 향하여 이 보살의 얼굴을 보고 있다. 오른손은 구부리고 왼손은 젖가슴 가까이 펴서 연꽃을 잡고 있다. 청백색 겹 수란(豎襴)을 입고 짧은 치마를 허리와 다리 위에 두르고 앉지 않고 서 있다. 오른쪽 행랑의 보살은 온몸이 황색이고 아침노을빛 치마를 입고 합장하고 자색 연꽃 위에 높이 앉아 얼굴을 들어 형상을 바라보며 공양을 하고 있다. 녹색 땅을 펼치고 그 상의 양변(兩邊)에 보리수를 그리고 그 나무 위에 능소화(凌霄華)를 그려 자리[座] 아래로 늘어뜨리고, 청색ㆍ녹색ㆍ황색ㆍ적색ㆍ자색 등의 색을 칠하여 측보지(厠寶地)를 삼는다.
화상법(畵像法)을 마친다.”
7. 세음비구지보살삼매법인주품(觀世音毘俱知菩薩三昧法印呪品)[인은 스물한 개가 있고, 진언은 마흔네 개가 있다.]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왕사성(王舍珹)에서 모든 법인다라니주(法印陀羅尼呪)를 말씀하셨다. 이 때 한량없는 보살대중과 진언을 지니는 무수한 현자와 성자들이 함께 앞뒤로 에워싸며 부처님 계신 곳으로 와서 부처님께 오체투지(五體投地)하고 부처님 발에 예배하고 나서 주위를 세 바퀴 돌고 나서 물러나 한쪽에 앉았다.
이 때 관세음보살마하살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저에게 비구지(毘俱知)라고 이름하는 심주(心呪)가 있으니 매우 깊고 미묘하고 비밀스럽고 신통합니다. 모든 법인(法印)과 단장법(壇場法)을 갖추어 세간을 호지(護持)하되 널리 중생과 인비인(人非人) 등의 모든 고통을 여의게 할 수 있기에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그 이익을 얻게 하고자 제가 지금 말하고자 하오니, 오직 원하옵건대 세존이시여, 제가 말하도록 허락하여 주소서.”
그러자 이 때 부처님께서 찬탄하시며 말씀하셨다.
“훌륭하다, 훌륭하다. 선남자여, 네가 모든 중생을 위하여 인(印)과 다라니와 단법(壇法)을 말하려 하는구나. 내가 너를 도울 것이며 기꺼이 너의 뜻을 따르리니 말하거라.”
이 때 같은 모임 가운데에 있던 모든 보살들이 환희하지 않는 이가 없었으며, 일시에 훌륭하다고 칭찬하였다.
이 때 관세음보살이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곧 인주(印呪)를 말하였다.
1) 비구지대신법인주(毗俱知大身法印呪)
“먼저 두 손의 새끼손가락을 거꾸로 나란히 각각 약손가락 등 위에 놓고 각각 약손가락을 나란히 가운뎃손가락 등 뒤에 놓은 다음 두 손목을 서로 붙이고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세워 끝을 서로 버티어 놓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세워라. 그리고 그 집게손가락을 구부리지 않은 것처럼 조금만 구부리고 집게손가락을 왔다갔다 한다.만일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완전히 구부리면 이것은 화좌인(華座印)이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 모살바다타가디뱌 아라하다 뱌 삼먁삼보디뱌 옴 바야
那上音謨薩婆怛他伽底驃一阿囉訶陀上音驃比冶反二三藐三菩提驃比冶反三唵四跛冶
나 살니 다라 살니 다라 서 다라 사야 비리 구 디 다
那去音薩儞五怛囉二合上薩儞六怛囉二合上西七怛囉二合上薩耶八毘𠼝二合俱上音知九跢
디 배예다디 배예다디 배라 디 배라 디 새볘 뎌 자디니
知十倍移跢知十一倍移跢知十二倍囉上音提十三倍囉上音提十四濕閉二合羝十五遮智尼
사바하
十六莎去音訶十七10)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만일 독송하고자 할 때에는 신인(身印)을 결하고 지심으로 독송해야 한다. 그러면 모든 부처님께서 들으시고는 모두 다 칭찬하실 것이며, 모든 보살이 진언 송하는 소리를 들으면 모두 환희하고, 모든 천이 들으면 모두 이마를 땅에 대어 예배할 것이다. 모든 금강이 진언 송하는 소리를 들으면 모두 다 두려워하고[怖畏], 모든 귀신이 진언 송하는 소리를 들으면 모두 몹시 두려워할 것이며[恐懼], 6도(道)의 모든 중생이 들으면 모두 보리 마음을 내고,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이 들으면 모든 고통[酸楚]을 쉬게 될 것이다. 법이 마땅히 이와 같다.
2) 비구지대심주(毗俱知大心呪)[신인(身印)을 사용한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비리 구 디 구 디하
唵一毘梨二合俱上音知二俱上音知訶入音三11)
3) 비구지중대심주(毗俱上音知中大心呪)[신인을 사용한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비리 구 디 몯다 니 삭
唵一毘𠼝二合俱上音知二沒馱上音儞三索四12)
4) 비구지소심주(毗俱知小心呪)[신인을 사용한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비리
唵一毘唎二合二13)
5) 비구지중소심주(毗俱知中小心呪)[신인을 사용한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비리 구 디 사바하
唵一毘唎二合俱上音知二莎 訶三14)
6) 청비구지래주(請毗俱知來呪)[신인을 사용한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비리 구 디 사바하15)
唵一毘唎二合俱上音知二莎 訶三
7) 비구지일체용주(毗俱知一切用呪)신인을 사용하며, 대심주(大心呪)라고도 이름한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바마바시리 니 오훔 박
唵一般摩跋時唎二合儞二嗚𤙖三泮四16)
8) 비구지정주(毗俱知頂呪)[신인을 사용하며 두주(頭呪)라고도 이름한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디니 사바하
唵一智儞二莎 訶三17)
만일 어떤 사람이 앞의 대주(大呪) 등의 여덟 가지 진언을 지니고 작법을 하고자 할 때에는 모두 마땅히 동일하게 전의 신인(身印)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면 온갖 것에 효험이 있다.
9) 비구지향로법인주(毗俱知香鑪法印呪)인(印)은 두 번째이고 진언은 아홉 번째이다.
이전의 신인(身印)에 준하되 오직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고쳐 두 손의 집게손가락에 붙이고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 뒷마디를 구부려 끝을 서로 버티어 놓아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사구 로구 로 비아 예 사바하
唵一賜俱上音嚧俱上音嚧二毘闍去音曳三莎 訶四18)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작법하여 비구지보살진언을 송하고자 할 때에 마땅히 이 인으로써 그 향로에 인하여야 한다. 향에 인한 다음에 향을 피우고 손으로 향로를 잡고 마음과 입으로 발원(發願)하기를, ‘지금 아무 일을 위하여(이하 생략)’라 하고, 공양을 마친 다음에는 향수(香水)에 인하여야 한다.
10) 비구지향수법인주(毗俱知香水法印呪)인은 세 번째이고 진언은 열 번째이다. 범음(梵音)으로는 건다다라도바(乾達羅度波)라고 한다.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을 서로 붙여 펴고 팔꿈치를 구부려 손을 기울여 향수 위에 인한다. 왼손은 사용하지 않는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모디 몯다바디 슈다 니 사바하
唵一菩底都爾反下同二菩陀鉢底三輸達上音儞四莎 訶五19)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작법하여 진언을 송하고자 할 때에 이 인을 결하여 물에 인하고 진언을 일곱 번 송한 다음 물을 머리 위에 뿌린다. 또한 이 주법을 써서 모든 부처님과 보살 등에게 공양한 다음에 호신인주법(護身印呪法)을 행한다.
11) 비구지호신법인주(毗俱知護身法印呪)[인은 네 번째이고 진언은 열한 번째이다.]
두 손을 비스듬히 기울여 아래로 뒤집어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나란히 세우고 이어서 손끝을 새의 깃털과 같이 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비 비니 하
唵一鼻上音比儞二訶入上音呼20)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작법하여 진언을 송하고자 할 때에 곧 이 인으로써 자신을 보호하고 그 다음에 결계(結界)한다.
12) 비구지결지계법인주(毗俱知結地界法印呪)[인은 다섯 번째이고 진언은 열두 번째이다.]
좌우의 가운뎃손가락 이하를 손바닥 안에서 거꾸로 교차시켜 오른쪽에서 왼쪽을 누른 다음 손가락 등으로 손바닥을 누르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비스듬히 나란히 하여 서로 버틴 다음 곧바로 세우고,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서로 손톱을 눌러 서로 등지게 하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땅에 버티어 놓아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배예다디 오훔
唵一倍移跢知二嗚𤙖三21)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작법하여 진언을 송하고자 할 때에 이 인으로 땅에 인하여 모든 땅 위와 땅 밑에 있는 악마(惡魔)와 신귀(神鬼) 등을 물리쳐 없애고, 그 다음에 사방결계인주(四方結界印呪)를 행한다.
13) 비구지결사방계법인주(毗俱知結四方界法印呪)[인은 여섯 번째이고 진언은 열세 번째이다. 범음으로는 바라가라(波羅迦羅)라고 한다.]
먼저 왼손을 기울여 다섯 손가락을 붙이고 오른손으로 왼쪽 어깨 위를 누르고 손등을 서로 붙인 다음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왼손 엄지손가락을 얽어라. 그리고 나서 해가 도는 방향 오른쪽으로 돌아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예다디 오훔
唵一婆移跢知二嗚𤙖三22)이 진언은 지계주(地界呪)와 같다.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작법하여 진언을 송하고자 할 때에 곧 이 인을 결하고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돌고 서쪽을 향하여 돌면 사방의 모든 악한 귀신 등을 물리쳐 없앤다. 그 다음에 상방계인주(上方界印呪)를 행하라.
14) 비구지결상방계법인주(毗俱知結上方界法印呪)[인은 일곱 번째이고 진언은 열네 번째이다.]
좌우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 이하의 세 손가락을 거꾸로 교차시켜 오른쪽에서 왼쪽을 누른 다음 손가락 등으로 손바닥을 누르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 끝을 기울여 서로 버티어 놓아라. 다음에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손톱을 서로 눌러 버티고 엄지손가락 끝을 거꾸로 하여 정수리 위에 가까이 대되 정수리에 닿지 않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다디 오훔
唵一跢知二嗚𤙖三23)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능히 하늘 위 허공에 있는 모든 악마와 악한 귀신 등을 없앨 수 있다. 작법하여 진언을 송하고자 할 때에 단지 호신과 결계만 하면 다시 두려울 것이 없게 되고 온갖 비구지법을 행하고자 할 때 방해하거나 어렵게 하는 것이 없고, 모두 신령스러운 효험이 있다.
15) 비구지사자좌법인(毗俱知師子座法印)[여덟 번째 인(印)이며, 대심주(大心呪)를 사용한다. 범본(梵本)에서는 사승가산나(思蠅伽散那)라고 한다.]
좌우의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의 손가락 끝을 서로 버티어 놓고 팔목을 합한 다음 두 손의 새끼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서로 반 치 정도 떨어지게 하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안으로 구부려 넣는다.내(來)는 바깥쪽을 향하여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곧바로 세우는 것이므로 내라고 이름한다.
16) 비구지환희법인(毗俱知歡喜法印)[아홉 번째 인이며, 대심주를 사용한다.]
두 손의 새끼손가락을 각각 구부려 두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각각 손톱 위를 누르고 나머지 손가락을 각각 벌려 펴고, 오른손은 팔을 곧바로 펴고 왼손은 아래로 덮어 가슴 위에 붙이고 서서 오른쪽 무릎을 굽혀 몸을 오른쪽으로 기울이고 왼쪽 다리는 곧바로 편다.만일 두 다리를 네 자쯤 떨어지게 벌리면 곧 사자인(使者印)이다. 만일 불러올 때에는 오른손의 집게손가락을 구부리면 곧 오고 펴면 곧 간다. 이 한 가지 인법(印法)은 모든 귀신과 아수라를 타도하니 사용할 때마다 모두 큰 효험을 얻는다. 만일 모든 악법을 행하는 악인이 와서 해치려 할 때 이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면 모두 다 뜻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
17) 비구지공양법인(毗俱知供養法印)[이는 열 번째 인이며, 대심주를 사용한다. 범본(梵本)에서는 아가모다라(阿伽母陀羅)라고 한다.]
이전의 인에 준하되, 오직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고쳐 손가락 끝을 벌려 서로 거리가 두 치 반쯤 되게 하라.만일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함께 구부려 손바닥 안에 넣으면 곧 내법(來法)이 되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내놓으면 곧 거법(去法)이 된다. 이 하나의 인법은 다음과 같다. 만일 온갖 꽃과 향과 음식을 삼보께 공양하고 아울러 이 인을 결하여 공양하면 한량없는 복을 얻고 모든 보살이 다 크게 환희할 것이다.
18) 비구지수심법인(毗俱知隨心法印)[열한 번째이며, 대심주를 사용한다.]
두 손의 약손가락을 손바닥 안에서 구부려 오른쪽에서 왼쪽을 누르고 두 손의 새끼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을 각각 세워 서로 붙인 다음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각각 가운뎃손가락의 첫째 마디 아래에 붙이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구부려 집게손가락의 아랫마디 옆을 눌러라.
이 하나의 인법은 다음과 같다. 공양하고자 할 때 마땅히 이 인을 결하고 대심주를 송하면 비구지신(毗俱知身)이 수행자 앞에 나타나 수행자로 하여금 볼 수 있게 하고 원하는 것이 모두 마음대로 된다.
19) 비구지시여일체식법인(毗俱知施與一切食法印)[열두 번째 인이며, 대심주를 사용한다. 범음(梵音)으로는 바리(皤唎)24)라고 한다.]
두 손을 위로 뒤집어 여덟 손가락을 펴고 새끼손가락을 팔 옆에 대어 서로 누르고, 각각 두 손의 엄지손가락 끝을 구부려 손바닥 중심에 놓아라. 이 하나의 인법은 다음과 같다. 인(印) 가운데 모든 음식을 놓아 호법신(護法神) 등에게 보시하면 모든 중생이 일체를 얻어 모두 환희하고, 모두 함께 이전 오인(五印)의 대심주를 송하면 온갖 것에 효험이 있다.
20) 비구지화공양법인주(毗俱知華供養法印呪)[열세 번째 인이며, 진언은 열다섯 번째이다.]
합장한 다음 손바닥을 비게 하고,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손바닥 안에 구부려 넣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안에서 나란히 세우되 집게손가락에 바짝 대지 않는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시리 디라 추 미 소바라 뎨 바라 디 하리 사나
唵一失哩二合智羅上音閦初數反彌二蘇婆羅上音帝三鉢囉上二合底都爾反紇哩二合瑟拏二合
마유바지등보시 사바하
四摩逾波指登布史五莎 訶六25)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만일 관세음비구지보살(觀世音毗俱知菩薩)의 법사(法事)를 행할 때에는 모두 반드시 이 인을 결하고 공양해야 한다. 그러면 모든 보살이 환희하게 된다.
21) 비구지향공양주(毗俱知香供養呪)[열여섯 번째 진언이고, 인은 화공양인(華供養印)을 사용한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바라 디 하리 사나 두마라구 리 사바하
唵一鉢羅二合上底都爾反紇哩二合瑟拏二合二杜麽囉俱上音梨三莎 訶四26)
22) 비구지멸죄주(毗俱知滅罪呪)[열일곱 번째 진언이고, 인은 화공양인(花供養印)을 사용한다.]
옴 아디입 디 비하라니 바라 디 사바하
唵一阿地邑以入反二合地二毘訶囉儞三波囉二合提四莎 訶五27)
이 두 가지 진언의 법은 다음과 같다. 만일 비구지법을 행할 때에는 모두 동일하게 이전의 화공양인(華供養印)을 결하고 이 두 가지 진언을 송하면 모든 부처님께서 이 진언을 들으시고 모두 환희하실 것이며, 모두 무량겁의 죄가 없어질 것이다.
23) 비구지만리결계공양주(毗俱知萬里結界供養呪)[열여덟 번째 진언이고, 법신인(法身印)을 사용한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하리 사나 사 오훔 박
唵一紇哩二合瑟拏二合絲二嗚𤙖三㧊四28)
이 한 가지 진언법은 다음과 같다. 만일 모든 도량을 만들어 법단(法壇)을 만들 곳을 결계하고 널리 공양하려 할 때, 모든 마사(魔事)가 일어날까 염려될 때에는 마땅히 이전의 법신인을 결하고 이 진언을 송하여야 한다. 그러면 이 때 곧 법이 성취된다.
24) 비구지작단니지공양주(毗俱知作壇泥地供養呪)[열아홉 번째 진언이고, 향수인(香水印)을 사용한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뎨서뎨아바 디
唵一帝誓帝闍婆上音底都爾反二29)
이 한 가지 진언법은 다음과 같다. 만일 단(壇)을 세우고 널리 공양을 베풀고자 할 때에는 이전의 향수인을 결하여 향수에 인(印)한 다음 마땅히 이 진언으로써 그 향수에 백여덟 번 진언을 송하고 단지(壇地)에 바르면 즉시 법이 성취된다.
8. 비구지보살항마인주법품(毗俱知菩薩降魔印呪法品)
1) 비구지법갑주(毗俱知法甲呪)스무 번째 진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바치나 샤니 오훔 박
唵一跛治那去音舍儞二嗚𤙖三㧊四30)
2) 비구지법노주(毗俱知法弩呪)[스물한 번째 진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다라 살셰 오훔
唵一跢囉二合上薩西二嗚𤙖三31)
3) 비구지법좌사주(毗俱知法左射呪)[스물두 번째 진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다라 사야 오훔
唵一跢囉二合上薩耶二嗚𤙖三32)
4) 비구지법우사주(毗俱知法右射呪)[스물세 번째 진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다라 샤니 오훔
唵一跢囉二合上薩儞二嗚𤙖三33)
5) 비구지법전주(毗俱知法箭呪)[스물네 번째 진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비리 구 디 오훔
唵一毘𠼝二合俱上音知二嗚𤙖三34)
6) 비구지해일체외도급제법사등결계주(毗俱知解一切外道及諸法事等結界呪)[스물다섯 번째 진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새볘 뎌 아디니 사바하
唵一濕閉二合羝二闍智儞三莎 訶四35)
이 갑주(甲呪) 등의 진언법은 다음과 같다. 만일 비구지도량(毗俱知道場)을 만들고 도단(都壇)을 시설하고 결계하여 공양하는 곳을 방호(防護)하거나, 병을 치료할 때, 모든 신귀(神鬼)를 막고 모든 외도와 바라문의 난법(難法)을 깨뜨리려고 하면, 일일이 모두 모름지기 이전의 신인(身印)을 결하고 이 여섯 가지 진언을 송하여야 한다. 모든 진언을 송하고 나면 모든 효험을 얻게 된다.
7) 비구지작가라법인(毗俱知斫迦羅法印)[열네 번째 인이다.]
불륜인(佛輪印)에 준하되, 위의 인에서 오직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고쳐 가운뎃손가락과 반 치쯤 떨어지게 하라.
8) 비구지발저라법인(毗俱知跋折囉法印)[열다섯 번째 인이고, 진인(嗔印)이라고도 이름한다.]
두 손을 합하여 두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각각 손바닥에서 약손가락의 아랫마디를 잡고 아울러 두 손의 약손가락을 구부려 엄지손가락 위를 누른 다음 나머지 세 손가락 끝을 각각 합하고 두 손의 세 손가락의 중간 마디와 한 치쯤 떨어지게 하라.
9) 비구지타일체귀법인(毗俱知打一切鬼法印)[열여섯 번째 인이다.]
이전에 준하되 왼손의 집게손가락과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구부리고 엄지손가락으로 세 손가락의 손톱 위를 눌러 손톱이 나타나지 않게 하고 가운뎃손가락을 곧바로 세워라. 그리고 두 다리를 나란히 하여 일어서서 인을 이마 위에 놓고 가운뎃손가락을 아래로 내려뜨려 미간(眉間)에 가까이 대고 성난 모습을 한다. 오른손은 사용하지 않는다. 마땅히 이 인으로써 모든 귀신을 때려야 한다.
10) 비구지삼안법인(毗俱知三眼法印)[열일곱 번째 인이다.]
불정인(佛頂印)에 준하되 위의 인에서 오직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 이하의 세 손가락을 고쳐 손바닥 안에서 거꾸로 교차시키고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끝을 서로 버티어 놓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은 가운뎃손가락에 닿지 않게 하여 각각 집게손가락 옆에 붙여서 세워라. 그리고 두 다리를 나란히 하여 일어서서 손을 뒤집어 바로 이마 위에 가까이 대고 손끝을 미간에 가까이 댄 다음 아래로 내려뜨린다. 얼굴은 성난 모습을 한다.군다리삼안법인(軍茶利三眼法印)과 같다. 이 한 가지 인법은 다음과 같다. 만일 병을 치료하려 할 때나 모든 악마와 대귀신(大鬼神) 등을 항복시키려 할 때 마땅히 이 인을 사용하고 이전의 대주를 송하여야 한다. 그러면 행하는 법에 모두 효험이 있다.
11) 비구지도수주법인주(毗俱知搯數珠法印呪)[열여덟 번째 인이고, 스물여섯 번째 진언이다.]
십일면관세음부(十一面觀世音部)의 도수주법(搯數珠法)과 같아 다른 차이가 없다. 대심주를 사용한다. 또 다음과 같은 멸장애주(滅障礙呪)를 사용하라.
옴 비리 샤릉 가 니 삭
唵一毘唎二合舍稜輕呼伽上音儞二索三36)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멸장애라고도 이름하니, 비구지보살이 말하기를, ‘이 인을 결하고 염주를 굴리고 이 진언을 송할 때에 과거ㆍ미래ㆍ현재의 3업으로 지은 죄업의 장애가 없어져 모두 다 소멸되어 영원히 다하여 남음이 없게 된다’고 하였다. 모두 이 진언을 송하면 효험을 보지 못하는 일이 없다.
12) 비구지염회법인주(毗俱知捻灰法印呪)[열아홉 번째 인이고 스물일곱 번째 진언이다.]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약손가락으로 재[灰]를 움켜쥐어 진언을 일곱 번 송한 다음 정수리 위에 놓아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오드 가 디 식보 로 사바하
唵一烏特二合伽上音底都爾反二息普二合嚕三莎 訶四37)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만일 어떤 사람이 비구지진언법을 송하여 지니고 밖에 나아가 왕래하면서 스스로를 보호하고 또 다른 사람에게 그 사람 자신을 보호하게 하려면 이 법의 인을 결하고 재를 쥐어 일곱 번 진언을 송한 다음 정수리에서부터 미간과 겨드랑이와 목구멍 밑과 가슴 등의 여섯 곳에 그 재를 발라야 한다. 그러면 가는 곳마다 모두 장애가 없게 된다.
13) 비구지발견일체거법인주(毗俱知發遣一切去法印呪)[스무 번째 인이고 스물여덟 번째 진언이다.]
왼손의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 끝을 구부려 둘째 마디까지 평평히 한 다음 엄지손가락을 서로 대어 세 손가락을 모으듯 하고, 새끼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각각 곧바로 펴되 약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에 닿지 않게 하라. 그리고 나서 무릎을 구부리고 앉아 오른손으로 땅을 짚고 왼손 인의 모은 세 손가락을 가슴 앞에 놓고 허리를 앞으로 향하여 굽혀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비리 구 디 구 디 오훔 니니 각
唵一毘𠼝二合俱上音知二俱上音知三嗚𤙖四儞儞五脚六38)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만일 모두를 보내고자[發遣] 하거나 몰아내려[使] 할 때에는 마땅히 이 인을 결하고 땅을 짚은 다음 머리를 들고 소리 내어 말하기를 ‘가라 가라’라고 하여야 한다. 그러면 곧 속히 떠나간다.
9. 비구지보살사자법인품(毗俱知菩薩使者法印品)
비구지에게는 두 명의 사자(使者)가 있는데, 하나는 바라탑마(鉢囉塔摩)라 이름하고, 또 하나는 바라사나(鉢囉薩那)라고 이름한다. 이 두 명의 사자에게 각각 진언을 한 가지씩 송하고, 보살의 이전의 신인(身印)을 결하여 청하면 모두를 항복시킨다.
1) 사자바라탑마주(使者鉢囉塔摩呪)[이전 것과 합하여 스물아홉 번째이고, 사자진언으로는 첫 번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비리 구 디혜 바라디 가라바 사바하
唵一毘𠼝二合俱上音底兮二合二婆羅提三伽羅婆四莎 訶五39)
2) 사자바라사나주(使者鉢囉薩那呪)[이전 것과 합하여 서른 번째 진언이고, 사자진언으로는 두 번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바가바디혜 비리 구 디혜 바라 나니혜 바라 바바
唵一婆伽婆底兮二合二毘𠼝二合俱上音底兮二合下同三鉢囉二合那儞兮四鉢囉二合婆皤
디 사바하
底五莎 訶六40)
이 두 가지 진언을 송하면 보살이 듣고 마음으로 환희하며, 그 두 명의 사자가 보살에게 청하여 보살이 인가(印可)함에 따라 능히 모두로 하여금 이 신주를 말하는 사람을 믿고 우러르게 하라. 또 그 밖의 진언 역시 모든 인(印) 등에 통용되도록 청하니, 보살의 위신력을 도와 이루기 때문이다. 이 때 부처님 역시 동시(同時)에 모두 다 인가하시고 그 사자(使者) 등이 모두 크게 환희한다. 보살법을 행하는 사람은 이 주법(呪法)을 마땅히 송하여 지녀야 할 것이니, 능히 주사가 행하는 모든 법을 보살이 항상 호념(護念)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서른한 번째 진언이고 사자진언으로는 세 번째이다.
옴 다디 오훔 각
唵一跢知二嗚𤙖三脚四41)
3) 사자상방결계법주(使者上方結界法呪)[이전과 합하여 서른두 번째이고 사자로는 네 번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바예다디 오훔 박
唵一婆移跢知二嗚𤙖三㧊四42)
4) 결계주(結界呪)[진언은 전과 합하여 서른세 번째이고 사자진언으로는 다섯 번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새볘 뎌 아디니 박
唵一濕閉二合羝二闍知儞三㧊四43)
이 두 가지 진언을 결호(結護)할 때 보살결계호신인(菩薩結界護身印)과 함께 사용하여 진언을 송하면 법이 이루어진다.
5) 사자두법주(使者頭法呪)[진언은 이전과 합하여 서른네 번째이고 사자진언으로는 여섯 번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바야나 샤니 사바하
唵一皤冶那去音舍儞二莎 訶三44)
6) 사자정법주(使者頂法呪)[진언은 이전과 합하여 서른다섯 번째이고 사자진언으로는 일곱 번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다라 사니 오훔
唵一跢囉二合上薩儞二嗚𤙖二合三45)
7) 사자안법주(使者眼法呪)[진언은 이전과 합하여 서른여섯 번째이고 사자진언으로는 여덟 번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다라 사야 박
唵一跢囉二合上薩耶二㧊三46)
8) 사자구법주(使者口法呪)[진언은 이전과 합하여 서른일곱 번째이고 사자진언으로는 아홉 번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다라 셰 오훔 박
唵一跢囉二合上西二嗚𤙖二合三㧊四47)
9) 사자심법주(使者心法呪)[진언은 이전과 합하여 서른여덟 번째이고 사자진언으로는 열 번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비리 구 디 박
唵一毘𠼝二合俱上音知二㧊三48)
10) 사자궁법주(使者弓法呪)[진언은 이전과 합하여 서른아홉 번째이고 사자진언으로는 열한 번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바예다디 오훔 박
唵一婆移跢知二嗚𤙖二合三㧊四49)
11) 사자전법주(使者箭法呪)[진언은 이전과 합하여 마흔 번째이고 사자진언으로는 열두 번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라 디 박
唵一囉上知二㧊三50)
12) 사자방법주(使者棓法呪)[진언은 이전과 합하여 마흔한 번째이고 사자진언으로는 열세 번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바예다디 박
唵一婆移跢知二㧊三51)
이 모든 진언들은 모두 다 비구지보살법인(毗俱知菩薩法印)에 통용되며, 귀신을 제압하여 복종시키고 모든 질병을 치료하고 중생을 구호(救護)하는 데 모두 효험이 있다.
13) 소심주(小心呪)[이전과 합하여 마흔두 번째 진언이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기
唵一岐入二52)
14) 비구지보살아리다법인주(毗俱知菩薩阿唎茶法印呪)[스물한 번째 인이고 일자인주(一字印呪)라고도 한다.]
두 손의 네 손가락으로 각각 엄지손가락을 잡아 권(拳)을 만드는데 우선 오른손을 왼쪽 겨드랑이 밑에 놓고 다음에 왼손을 오른쪽 겨드랑이 밑에 놓아라. 그리고 왼쪽 무릎을 구부려 왼쪽으로 기울이고 오른쪽 다리를 비스듬히 하여 곧바로 편다.모두 군다리신법인(軍茶利身法印)에 준한다.
진언으로 송하라.
옴 필릉
唵一苾凌二合去音長呼53)
이 인을 결하고 나서 이전의 대주(大呪)를 일곱 번 송한 다음 곧 뒤에 둔 다리를 거두고 발꿈치를 바로 오른쪽 무릎 아래 두되, 다리를 땅에 대지 말고 오른쪽으로 한 바퀴 돌며 입으로 호훔(唬𤙖)이라고 한 소리 크게 외치고 나서 일자진언[一字呪]을 송하라. 그리고 사방을 돌아보며 크게 성난 모습을 나타낸다. 이 비구지의 한 가지 인법을 이름하여 대대모달라비구지(大大母達囉毗俱知)라고 하니, 모든 것을 타도[打]하고자 할 때에는 마땅히 이 법을 행하여야 한다.”
이 때 모임 가운데의 모든 금강부(金剛部)의 권속들이 크게 두려워하고 모든 천과 마(魔) 등이 모두 다 꺾여 일시에 괴로워하며 기절하였으니 보살인(菩薩印)의 위신력 때문이었다. 일자진언을 한 번 송하면 곧 관음신주(觀音身呪)를 송하는 것과 같아 차이가 없으며 일자불정(一字佛頂)공덕과 다름이 없다.
10. 비구지구병법단품(毗俱知救病法壇品)
주사(呪師)가 병자를 치료하고자 할 때에는 병자의 집에 가서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고 함께 법단(法壇)을 만들어 그 병고에서 구해 준다. 그 단을 만들 곳은 마땅히 좋은 땅에 나아가 물과 나무와 꽃이 가까이 있는 숲 사이에 잡아야 한다. 언제나 흐르는 강의 물가나 벼랑에 임(臨)해 있는 곳이나 용이 있는 깊은 못 근처가 택할 수 있는 중에서 가장 좋은 곳이다. 그 땅을 깨끗이 고르는 법은 십일면칠일단법(十一面七日壇法)과 같이 한다. 이렇게 땅을 깨끗이 고른 다음에 향기 나는 진흙을 땅에 바르고 온갖 다양한 색 번기(幡旗)와 일산에 모든 보배 그릇을 매단다. 그 도량 가운데 마땅히 4주(肘) 되는 오색법단(五色法壇)을 만들어야 하며, 그 단의 중심에 비구지보살위(毗俱知菩薩位)를 놓아라. 동쪽에 연화좌를 만들고 연화좌 위에 하나의 큰 칼을 옆으로 놓고, 북쪽에도 역시 연화좌 하나를 만들어 연화좌 위에 거울의 한 면을 위로 뒤집어 놓아라.
남쪽에 다시 연화좌 하나를 만들고 그 연화좌 위에 세 대의 화살을 세워 놓고 단(壇)의 서쪽 문 밖에 주사(呪師)의 자리를 펴놓아라. 그리고 각각 한 되[一升] 이하들이 수관 다섯 개에 깨끗한 물을 가득 담고 오곡의 종자를 넣어 청색 측백나무 잎과 대나무 잎과 가지와 배나무와 능금나무 잎과 가지로 그 수관의 입구를 막아 장엄하고 나서 네 모서리와 단의 중심에 놓아라. 그리고 온갖 가장 맛좋은 과일과 열 쟁반의 음식을 공양하고 열두 개의 등을 밝히고 모든 향과 꽃으로 온갖 작법을 하고 진언을 송하며 공양하기를 날마다 그치지 않고 7일 동안 한다. 그리고 마땅히 심법인(心法印)에 따라 효험이 생길 때까지 한정하고 살피며 지성으로 참회하면 장애를 없애고 속히 증험(證驗)을 얻게 된다. 그 후에 병을 치료할 때에도 역시 이 법에 의거하되, 그 병자로 하여금 주사의 동쪽에서 북쪽을 향하여 앉게 하고 흰 겨자의 진언을 송하여 그 병자의 머리 위로 둥글게 돌린다. 이렇게 3일 동안 돌리면 반드시 낫는다. 만일 이 법단을 만들 때 능히 일식이나 월식 때 단을 만들면 가장 큰 효험을 얻는다. 만일 일식이나 월식을 만날 수 없을 때에는 그 달 중에서 길일(吉日)을 택한다. 만일 이전과 같이 좋은 처소가 없으면 좋은 절에 가서 단을 만들어도 된다. 그리고 그 주사는 반드시 그에게서 백마(白馬)를 보시 받아야 한다. 만일 백마가 없으면 은(銀)으로 말을 만들어 주사에게 주고, 만일 말을 만들 은이 없으면 주사의 뜻에 맡겨 필요한 물건을 말 대신 사용하게 하라. 만일 물건이 없으면 좋은 마음으로 효도하며 순종하고 계를 견고히 지켜야 한다. 그리고 능히 아사리의 가르침을 엄격히 어기지 않을 사람에게 이 법을 가르쳐야 한다.
비구지보살주(毗俱知菩薩呪)의 공능(功能)
만일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선남자나 선여인 등이 이 대주인(大呪印)을 지니고 호신하고 결계하고 온갖 작법을 한 다음 병을 치료하고자 참회하여 향과 꽃을 끊임없이 공양하면 보살의 호념(護念)을 받게 된다. 만일 아수라궁(阿修羅宮)에 들어가고자 하면, 8년 동안 날마다 진언을 3천 번 송한 다음 삼안인(三眼印)을 결하고 이전의 대주(大呪)로써 흰 겨자에 백여덟 번 진언을 송하되 한 번 진언을 송할 때마다 한 번씩 땅 위에 던져라. 그러면 그 땅이 곧 열리며 구멍이 뚫릴 것이니 주사가 그 속으로 들어가 머물러 미륵불을 보고자 하면 곧 임의대로 머물게 된다. 만일 나오고자 할 때에는 성(城) 안으로 들어가면 안 된다. 만일 길에서 재물을 보면 가지고 나와도 죄가 없고 만일 과자(果子)를 보고 집어서 먹으면 수명이 1천 살이 된다.
만일 큰 바닷물을 마르게 하고자 하면 해변에 3개월 동안 머물면서 이전의 대주(大呪)로써 흰 겨자에 백여덟 번 진언을 송하고 바닷물에 뿌리기를 날마다 하면 바닷물이 곧 마른다. 만일 용을 잡으려 하면 마땅히 용이 있는 물가에 1백 일 동안 머물면서 작법하고 진언을 송하면 그 용이 스스로 나와 주사(呪師)에게 와서 조복된다. 또 열병(熱病)을 치료할 때에 가장 길(吉)한 효험이 있다.
만일 안다라다나(安怛囉二合陀那)를 얻고자 하면 마나질라(摩那叱囉)당나라에서는 석웅황(石雄黃)이라고 한다.와 밀다승(蜜陀僧) 두 개를 똑같이 나누어서 함께 빻아 가루를 만들고 다시 미세하게 갈아 놓고, 여섯 달 동안 날마다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고 날마다 세 때[三時]로 아침과 정오와 해질녘에 지심으로 약(藥)에 백여덟 번 진언을 송한 다음 다시 일곱 번 진언을 송하여 눈 속에 점 찍으면 곧 뜻대로 안다라다나를 얻게 된다. 그리고 그 약을 씻어 버려야 비로소 볼 수 있게 된다. 그 약은 다른 사람이 갖게 해서는 안 된다. 만일 아수라궁(阿修羅宮)에 들어가고자 할 때, 모든 악물(惡物)과 나찰과 뱀 등이 장애와 어려움을 쳐서 문이 열리지 않거나 흑암(黑闇) 등의 장애가 있을 때는 모두 미리 생각하여 흰 겨자에 진언을 천여덟 번 송하여 몸에 지니고 가서 장애가 있는 곳에 이르러 곧 그것으로 때리면 가는 곳마다 모두 장애가 없어진다.
비구지상(毗俱知像)을 그리는 법
만일 백색 겹옷을 사용해서 비단 위에 그 형상을 그리려면, 화사(畵師)가 먼저 팔계재(八戒齋)를 받아 지닌 다음 석가불의 형상을 그리되, 왼쪽 행랑에 금강을 그리고, 오른쪽 상에 관세음보살을 그려야 한다. 그 부처님은 금색의 금강신(金剛身)으로 하고 얼굴은 흙색으로도 하지 말고 백색으로도 하지 말며, 형상은 열여섯 살 된 동자(童子)의 모습으로 그려라. 그리고 모든 몸의 각 부분은 마치 보살신(菩薩身)을 장엄하는 법과 같이 장엄한다. 그 관세음보살의 얼굴과 몸의 각 부분은 머리에 영락을 쓰고 천의(天衣)로 장엄하고 금색 비단치마를 입고, 모두 다른 곳에서 관세음보살을 그리는 법과 같이 한다. 관음의 왼손 밑에 다시 따로 천녀(天女)의 형상을 그려라. 몸은 모두 백색이고 의복 역시 백색이며 용모가 극히 단정하고 머리에 화관(華冠)을 쓰고 있다. 다음에 지주사(持呪師)를 그리되, 아래에서 무릎 꿇고 손에 향로를 들고 관세음을 향하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라. 이 형상을 그리고 나서 백월(白月) 초하루부터 보름까지 보리와 우유죽만을 먹고 항상 뒤의 진언을 송한 다음 흑월(黑月) 8일이 되면 사흘 낮 사흘 밤 동안 음식을 먹지 말고 형상에 공양하여야 한다. 그러면 그 천녀상(天女像)에서 광명이 나와 부처님 발가락 사이로 들어갈 것이니, 이 모습을 볼 때에 마음으로 원하는 것을 모두 이루게 된다.
또 만일 반다라바사니(槃茶囉婆私尼)를 보고자 하면, 13일ㆍ14일ㆍ보름에 사흘 낮 사흘 밤 동안 큰 바닷물 속에 들어가 진언을 송하고 그 화상(畵像)을 해안 위에 펼친 다음 백천 송이의 연꽃을 공양해야 한다. 그러면 그 때 그 반다라바사니 천신(天神)이 올 것이니, 수도(修道)하는 데 총명하고 지혜로워지고 변재(辯才)가 있게 되며 지주선인(持呪仙人)이 되어 그 원하는 것을 모두 뜻대로 얻게 될 것이다.
(1) 비구지주(毗俱知呪)
진언으로 송하라.
나 마살바다타아뎨보 바가 바뎨바 옴 살바바 야나사니
那上音麽薩皤跢他揭羝驃鼻朝反一婆伽上音皤帝弊鼻可反二唵三薩皤婆上音夜那舍儞四
다라사 니다라사 니 다라사 야다라사야 다라셰 필거디 니거디
怛囉娑上音儞怛囉娑上音儞五怛囉娑上音夜怛囉娑夜六怛囉西七苾炬智八儞矩智九
다디다디 볘다디볘다디 호로로볘다디 세 뎌아 디니 사바하
哆智哆智十吠跢智吠跢智十一戶嚕嚕吠跢智十二稅去音羝闍上音智儞十三莎 訶十四
句54)
이 진언은 또한 관세음보살이 설한 금강주(金剛呪)라고도 이름한다. 이 진언을 송할 때 모든 장애와 어려움이 다 그친다. 만일 스스로를 보호하고자 하면 재[灰]에 일곱 번 진언을 송하여 이마와 정수리 아래와 두 넓적다리 위에 점 찍어라. 그러면 가는 곳마다 두려움이 없게 된다. 만일 타인을 위할 때는 그 머리털에 진언을 송하고 매듭을 결한다. 또 마음으로 항상 진언을 염(念)하면 모든 관가[官府]에 갈 때나 밤에 혼자 길을 갈 때나 도적 사이를 갈 때 등 모든 두려운 곳에서 모든 어려움이 없게 되고 모든 악인이 환희하며 복종하고 귀의하여 장애가 되지 못한다. 모두를 항복시키고자 하면, 마땅히 백월 보름에 하루 낮 하룻밤 동안 음식을 먹지 않고 보리수로 땔감을 만들어 불을 피우고 깨를 한 줌 쥐어 진언을 한 번 송할 때마다 한 번씩 불 속에 던져 태우기를 8천 번 하라. 그러면 이 때 모두가 항복하여 귀의한다. 시리사수(尸利沙樹)55)합환수(合歡樹)가 이것이다.는 구류손불(拘留孫佛)56)께서 득도하신 나무[得道樹]이니, 단지 이 부처님께서 득도하신 나무만을 써야 하나, 고련목(苦練木)을 써도 된다.
만일 모든 원수에게 저주[厭禱]를 받아 심성(心性)을 잃게 되었을 때는, 남자뼈를 가지고 말뚝을 만들어 진언을 8천 번 송하여 원수의 문 밑에 박아 묻는다. 그러면 도리어 그 사람으로 하여금 심성을 잃게 할 수 있다.
또 법이 있으니, 시체를 태운 재를 가져다 흑월(黑月) 8일에 한 줌 쥐어 진언을 한 번 송할 때마다 한 번씩 불 속에 던져 태우기를 8천 번 하면 원수가 곧 멸망한다.
또 흑월 14일에 물 속에 들어가 배꼽까지 차는 데 서서 진언을 송하면 모든 원수 집안과 악한 무리들이 서로 화해(和解)하고 모두 선한 마음을 낸다. 또 사방에 결계하고자 할 때에 길이와 너비가 8지(指) 되는 카다라목(佉陀囉木)을 네 개 가져다 각각 진언을 8백 번씩 송한 다음 사방에 박아 놓으면 모든 악귀와 악한 원수들이 모두 이 경계 안에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또 계(界) 안에 만다라를 만들 때 물에 진언을 스물한 번 송하여서 땅 위에 뿌리면 곧 결계가 성립되고, 그 가운데에서 곧 주법(呪法)을 행할 수 있다. 또 법이 있으니 사다모다바다나훔포리사비(薩埵姥跢跛吒上音那𤙖蒲利沙蜱)라는 법이 있는데 겨자(芥子)에 일곱 번 진언을 송하라. 또 장명(長命)이라는 법이 있으나, 쓰는 물건을 구할 수 없어 이룰 수 없으므로 번역하지 않는다.
또 진우(秦牛)와 소(酥)를 한 점[點子]쯤 가져다 진언을 한 번 송할 때마다 한 번씩 태우기를 8천 번 송하면 모든 질병의 고통과 장애가 오더라도 모두 소멸해 없어진다. 이 법은 또한 반드시 날[日]이나 달[月]이나 시절(時節)을 볼 필요 없이 행하면 되고, 땔감 역시 마음대로 써도 된다. 또 목환자(木患子)를 땔감으로 하여 불을 피우고 약(藥)이 나라에는 없으므로 쓰지 않는다.을 태워라.
또 성난 적(賊)이 와서 나를 짓밟으려 할 때에 이 진언을 송하면 곧 환희하는 마음을 내게 된다. 또 관사(官事)가 있을 때 흰 꽃에 진언을 송하되, 한 줄기에 송할 때마다 한 번씩 불 속에 던져 태우기를 8천 번 하면 관사가 해결된다.
또 적(賊)이 와서 침란(侵亂)하려 할 때 관음상 앞에서 진심으로 진언을 송하면 적이 곧 물러간다. 또 구하는 법에 따라 이 진언을 송할 때 무연탄(無煙炭)으로 불을 피워 흰 겨자에 진언을 송하되 한 알 송할 때마다 한 번씩 불 속에 던져 태우기를 8천 번 하면 구하는 것이 모두 이루어진다. 또 흰 겨자에 일곱 번 진언을 송하면 모든 일어난 시체[起屍]나 귀신 등이 모두 다 포박된다. 또 석밀(石蜜)에 일곱 번 진언을 송하여 물 속에 던져 놓고 그 물을 가지고 만다라를 만들어 결계한 다음 그 가운데에서 진언을 송하면 모든 사자(師子)ㆍ독사[大]ㆍ금수(禽獸)ㆍ물소ㆍ흰 코끼리ㆍ라자(囉闍:王)ㆍ주라수(朱囉水) 등이 모두 해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비구지인주(毗俱知印呪)와 그 공능(功能)의 법을 간략히 말하여 마친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4981 불설다라니집경(佛說陀羅尼集經) 7권 (1) | 2024.10.19 |
---|---|
[적어보자] #4980 불설다라니집경(佛說陀羅尼集經) 6권 (0) | 2024.10.18 |
[적어보자] #4978 불설다라니집경(佛說陀羅尼集經) 4권 (2) | 2024.10.18 |
[적어보자] #4977 불설다라니집경(佛說陀羅尼集經) 3권 (0) | 2024.10.18 |
[적어보자] #4976 불설다라니집경(佛說陀羅尼集經) 2권 (3) | 2024.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