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보살영락경(菩薩瓔珞經) 3권
보살영락경 제3권
축불념 한역
장용서 번역
6. 식계품(識界品)
그때 좌석에 이름이 호현(豪賢)이라고 하는 보살이 있었다. 이에 동쪽 16항하 모래 수효의 찰토로부터 이 세계에 이르러서 영락의 묘법(妙法)을 듣고 받아들이려 하였다.
그가 곧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팔을 드러내고 꿇어앉아 합장한 채 부처님께 여쭈었다.
“그러하나이다, 세존이시여. 만일 들어주신다면 감히 여쭙겠나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도다, 족성자야. 내가 반드시 너에게 낱낱이 분별해 말하겠노라.”그때 호현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어떻게 식이 온갖 식의 경계를 가지나이까? 가령 부처님께서는 ‘식(識)은 유위를 따르지 무위를 따르지 않는다’고 하셨으며, 또다시 말씀하시기를 ‘식은 무위를 따르지 유위를 따르지 않는다’고 하셨나이다. 무엇을 이 식이고 저 식이라 하시며 이름하여 식계(識界)라 하시나이까?”
부처님께서 호현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식은 식의 있음[有識]이 아니라 법으로부터 식을 낳느니라.”호현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무엇을 식은 식의 있음이 아니라 법으로부터 식을 낳는 것이옵나이까?”
답하여 말씀하셨다.
“식은 항상하는 식이 아니라 법에 따라 식이 있느니라.”
또 여쭈었다.
“어떤 것을 식이라 하시나이까?”
“온갖 식에 두루함이 온갖 법을 앎이니, 이를 식은 항상하는 식이 아니라고 말하느니라.”또 여쭈었다.
“식에 지혜가 있나이까. 지혜가 없나이까?”
답하여 말씀하셨다.
“식은 지혜가 있어도 여여(如如)하고, 식은 지혜가 없어도 여여하니라. 온갖 중생의 식은 지혜가 있어서 여여하고, 무학(無學)의 성현들 식은 지혜가 없어도 여여하니라. 족성자야, 이것을 식이 있어도 여여하고 식이 없어도 여여하다고 하느니라.”또 물어 여쭈었다.
“무엇이 식이 있는 것이며, 무엇이 식이 없는 것이옵나이까. 무엇이 식이 있어도 여여함이고, 무엇이 식이 없어도 여여함이옵나이까?”
답하여 말씀하셨다.
“식이 있는 지혜와 식이 없는 지혜의 여여함을 능히 다 분별할 수 있으니, 이것을 식계(識界)를 분별한다고 말하느니라.”
호현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여래께옵서 지금 선정의 뜻과 식의 뜻을 말씀하셨지만 더욱 갑절이나 의심이 나나이다.”부처님께서 호현에게 말씀하셨다.
“똑똑히 듣고 똑똑히 들어라. 그리고 잘 사유하고 생각하여라. 지혜의 식과 비지혜의 식이 있으며, 혹은 법(法)의 식과 비법(非法)의 식이 있느니라.
무엇을 법의 식이고 비법의 식이라 하는가? 가장 으뜸가는 뜻[第一義]에서부터 벽지불까지 이르는 것을 법의 식이라 말하고, 견지(見地)ㆍ박지(薄地)ㆍ성지(性地)ㆍ무애지(無碍地)에서부터 일생보처까지 이르는 것을 법의 식이라고 말하느니라.법의 식에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으니, 어떤 것들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도의 지혜에 나아가는 것이요, 둘째는 전생의 일을 인식하는 것이며, 셋째는 분별 지혜에 나아가는 것이요, 넷째는 공문(空門)에 들어가는 것이요, 다섯째는 마음의 근본을 관(觀)하는 것이니, 이것을 법의 식이 다섯 가지 일을 성취한다고 말하느니라.
다시 다섯 가지 일이 법식을 성취함이 있으니, 무엇이 그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범행(梵行)을 닦아서 3독(毒)에 의지하지 않고, 둘째는 포태(胞胎)에 처하되 생사에 물들지 않고, 셋째는 무상(無相)ㆍ공(空)ㆍ무원(無願)을 행하고, 넷째는 신통을 닦아서 신족(神足)이 걸림이 없고, 다섯째는 깨달음의 뜻[覺意]이 한 모습[一相]이면서 무상임을 세우는 것이니, 이것을 법식(法識)의 청정을 성취함이라고 말하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호현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법식청정에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으니, 어떤 것들이 다섯 가지인가? 식의 변하지 않음을 배워서 배움의 자취를 사유하고, 배움도 없고 자취도 없어서 법의 취향을 보지 않고, 유(有)의 가르침도 보지 않고 또한 무(無)의 가르침도 보지 않고, 또한 다시 도의 성품과 비도(非道)의 성품을 보지 않고, 도의 뜻을 내는 것과 도의 뜻을 내지 않는 것이 있으니, 이것을 법식이 다섯 가지 일을 성취한다고 말하느니라.법식의 정(定)을 관하는 데에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으니, 어떤 것들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정이 본래의 더러움을 멸하여 처소를 보지 않고, 둘째는 한량없이 공적한 정의 뜻을 염(念)하고, 셋째는 도의 근본을 세워서 도와 만나지 않고, 넷째는 마음이 염(念)을 끊어서 도량에 앉기를 구하는 것이요, 다섯째는 복전(福田)을 닦아서 망령된 생각을 없애는 것이니, 이것을 다섯 가지 일의 법식청정이라고 말하느니라.무생(無生) 법식에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으니, 어떤 것들이 다섯 가지인가? 식으로 과거를 관(觀)하여 생멸을 일으키지 않으며, 식으로 현재를 관하여 생멸을 보지 않으며, 식으로 미래를 관하여 생멸을 보지 않으며, 식으로 근본과 말단을 관하여 생멸을 보지 않으며, 식으로 여여(如如)한 성품을 관하여 생멸을 보지 않음이니, 이것을 다섯 가지 일의 법계청정이라고 말하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호현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여래등정각은 다시 마땅히 법식을 닦아 익혀야 한다. 음향의 통함에 열한 가지 행이 있으니, 어떤 것들이 열한 가지인가.
법계에 집착함이 없어서 식의 근본을 보지 않고, 그 가운데에서 신족의 도행(道行)을 갖추느니라.
법계의 식을 깨끗이 닦고자 하거든, 최초의 뜻을 산처럼 하고 담이나 벽처럼 해서 점점 몸의 근본까지 사유하여 몸을 알고 몸을 여의어야 하느니라. 다시 몸을 버리고 나서는 마음을 알고 마음을 여의어야 하느니라.다시 마음을 여의고 나서는 공을 알고 공을 여의어야 하느니라. 다시 공을 버리고 나서는 하나의 뜻으로부터 백천(百千)의 뜻에 이르도록 화(化)하지 못한 뜻을 모두 능히 닦느니라. 다시 화법(化法)을 알아서 가진 바가 없으니, 이것을 법식이 신족의 도를 일으키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무신식(無身識)으로 신식의 행(身識行)을 닦고 혹은 신식으로 무신식의 행을 지어서 신식(身識)과 비신식(非身識)을 식별하니, 이것을 법식이 신족의 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둘이 없는 법에서 일체의 모든 법을 분별하여 그 가운데에서 등정각을 이루는데, 생식(生識)을 보지 않고 등정각을 이루어 지나간 세상의 억백천의 수(數)를 다 능히 분별하여 온갖 음(陰)에 들어가 지님으로서 중생 본행의 나아갈 바를 잃지 않으니, 이것을 법식이 신족의 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화함이 없는 법은 변하여 바뀜을 보지 못하고 그 가운데에서 식(識)을 지음을 궁진(窮盡)할 수 없으니, 이것을 법식이 신족의 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그리하여 정(定)에 들어가 공계(空界)를 분별하고 다시 몸을 스스로 헤아리되 역시 그와 다름없게 하니, 이것을 법식이 신족의 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온갖 세계를 관해도 또한 다함을 보지 못하지만, 온갖 세계의 성계(成界)나 불성계(不成界)를 모조리 능히 알아내니, 이것을 법식이 신족의 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대저 법계식(法界識)은 5음의 형상[五陰形相]을 이루어서 생멸이 있는데, 5음에 생멸이 있음을 보지 않는 것을 법식이 신족의 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법계는 집착함이 없어서 형상을 보지 않느니라. 지나간 식은 지금이 아니요, 지금의 식은 지나감이 아니라서 현재 인연의 본말을 보지 않으니, 이것을 법식이 신족의 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법의 성품이 일으키는 일체 모든 법을 하나하나 분별해서 소굴(巢窟)을 보지 않고, 뜻을 거두어 잡고 상념을 멸해서 또한 지(智)를 낳지 않으니, 이것을 법식이 신족의 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모든 법은 생겨나지 않아서 일어나고 멸함을 보지 않으며, 다시 나고 멸하는 법을 능히 사유하면 본성은 스스로 그러해서 일상(一相)이 무상이니, 이것을 족성자(族姓子)야, 보살이 닦는 신족의 행이라고 말하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족성자에게 말씀하셨다.
“집착이 없는 법계에 다시 열 가지 일이 있으니, 어떤 것이 열 가지인가?
여래ㆍ지진(至眞)ㆍ등정각(等正覺)께서 세상에 출현하시어 문득 3세(世)의 몸의 식상(識想)을 갖추시었는데, 이것을 법식이 무아행(無我行)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세 가지 멸하는 법으로 점차적으로 중생을 교화하는데, 멸함을 보지 않기도 하고, 또한 멸하지 않음을 보지 않기도 하니, 이것을 법식이 무아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글 뜻을 분별하여 낱낱이 요달해 알고, 다시 권혜(權慧)로써 본래의 업을 나타내 보이니, 이것을 법식이 무아 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여래ㆍ지진ㆍ등정각께서 네 가지 한량없는 지혜를 분별하고 사유해서 단멸(斷滅)과 항상함이 있는 상념을 보지 않으시니, 이것을 법식이 무아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다시 묘한 지혜로 중생을 다 교화하면서 큰 사랑하는 마음을 버리지 않으니, 이것을 법식이 무아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중생을 다 관하는데 순숙(淳淑)함이 있고 순숙치 않음이 있어서 부류에 따라 교화하되 그 성품을 버리지 않으니, 이것을 법식이 무아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여래 세존께서 권도의 방편을 행하여 중생을 모두 교화하시면서도 교화된 이를 보지 않으시니, 이것을 법식이 무아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부처님의 지혜는 한량이 없어서 성패(成敗)를 보지 않으므로 생겨남이 있고 멸함이 있음은 여래의 본래 서원이 아니니, 이것을 법식이 무아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부처님은 일상(一相)이어서 지나간 세상ㆍ오는 세상ㆍ지금 세상에 물들지 않고 의지함이 없는 행을 닦아서 지진 등정각에 이르렀으니, 이것을 법식이 무아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여래ㆍ지진ㆍ등정각께서는 무수(無數) 억천만 겁을 하루로 삼으시고, 하루 동안에 중생을 교화하여 제도하심이 말로 다할 수 없으니, 이것을 법식이 무아행을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호현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지나간 세상 무수 아승기겁 동안 스스로 형상 없는 법식을 수행하겠다고 생각했는데, 그 부처님의 명호는 홍서무원(弘誓無願) 여래ㆍ지진ㆍ등정각ㆍ명행성위ㆍ선서ㆍ세간해ㆍ무상사ㆍ도법어ㆍ천인사ㆍ불세존(佛世尊)이라고 호칭하였다. 그 분은 법계의 집착 없는 행을 설하셨다. 대저 법계라 함은 107가지의 일이다. 어떤 것들이 107가지인가?공행(空行)을 구하지 않고, 항상함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세상 보기를 꿈같이 하고, 스스로 ‘나’를 멸하고, 생식(生識)을 일으키지 않고, 계(界)의 모습을 분명히 밝히고, 망령된 소견을 영원히 끊고, 보시하는 마음[施心]을 거르지 아니하고, 마음이 항상 한결같아 무리 속에서도 어지럽지 않으며, 신식(身識)과 공식(空識)에 약간의 상념도 없으며, 보살은 헤아림을 두되 명호에 집착하지 않고, 모든 법을 하나도 아니고 둘도 아니라고 관하여 요달하느니라.중생이 분노를 일으키면 문득 방편을 설하여 근본 신식의 행을 없애고, 12인연과 4성제(聖諦)의 지혜로 고통의 식이 있는가, 혹은 고통의 식이 없는가 하면서 고통의 근본을 사유하며, 어느 때에는 식을 두어서 눈ㆍ귀ㆍ코ㆍ혀ㆍ몸ㆍ뜻에 존재하고, 어느 때에는 식을 두어서 눈ㆍ귀ㆍ코ㆍ혀ㆍ몸ㆍ뜻을 여의고, 어느 때에는 식을 두어서 색(色)에 집착해도 식을 물들이지 않으며,어느 때에는 식을 두어서 색에 집착하지도 않고 식을 물들이지 않는다. 이 식은 미묘하여 퇴전(退轉)하지 않음을 보살은 능히 요달해 아는 바다. 어느 때에는 식을 두어서 소리에 집착해도 식을 물들이지 않으며, 어느 때에는 식을 두어서 소리에 집착하지도 않고 식을 물들이지도 않으며, 또한 음향도 없기 때문에 이름하여 청정식(淸淨識)이라 하느니라.어느 때에는 식을 두어서 향기에 집착해도 식을 물들이지 않고, 어느 때에는 식을 두어서 향기에 집착하지도 않고 식을 물들이지도 않으니, 낱낱이 분별하면 법식을 잃지 않느니라. 어느 때에는 식을 두어서 맛[味]에 집착해도 식을 물들이지 않으며, 어느 때에는 맛에 집착하지도 않고 식을 물들이지도 않으니, 또한 다시 분별하면 차례를 잃지 않느니라.어느 때에는 식을 두어서 몸의 더 많은 즐거움에 집착해도 식을 물들이지 않고, 어느 때에는 식을 두어서 몸의 더 많은 즐거움에 집착하지도 않고 식을 물들이지도 않으니, 낱낱이 분별하면 상념의 집착을 일으키지 않느니라. 어느 때에는 식을 두어서 모든 법은 일어나는 것인가, 멸하는 것인가, 유위의 법인가, 무위의 법인가, 정(定)이 있는가, 어지러움[亂]이 있는가를 요달해 안다. 이것을 보살마하살이 식의 성품을 분별하면서도 물드는 바가 없다고 말하느니라.다시 족성자여, 네 가지 한량없는 지혜인 사랑[慈]ㆍ어여삐 여김[悲]ㆍ기쁨[喜]ㆍ보호[護]을 분별하여 일체에 두루 차도록 중생을 구호하되 또한 집착함이 없느니라. 어느 때에 어떤 족성자는 입정(入定)삼매로 하나의 법을 닦아 행하고, 하나의 법을 행한 뒤에는 문득 백천의 총지 법문을 얻었느니라. 마치 메아리와 같고 허깨비와 같아서 차츰차츰 나아가 멸진정의 뜻에 이르기까지 신행(身行)이 청정하여 악의 근본을 짓지 않으며, 마음에 사랑하는 마음을 생각하고 뭇 악을 베풀지 않아서 3세를 잘 알아 속박과 집착을 없애버린다. 이것을 족성자야, 보살의 바른 행은 일으키면서도 일으키지 않음이 있다고 말하느니라.다시 다음에 정(定)의 뜻의 법문이 있다. 일체의 모든 법이 와서 중(中)에 들어가면, 몸이 있어도 몸의 상념은 없고, 생각[念]이 있어도 생각의 뜻은 없으며, 하나도 없고 둘도 없어서 또한 다시 식(識)도 없다. 내가 옛적 무수 아승기겁에 처음 법률에 들어가서야 비로소 이 행에 응했었다. 식법(識法)에 12인연을 짓는 근본이 있으니, 무명이 행을 반연하면서부터 늙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일어나고 멸함을 보지 않는다. 이것을 정의 뜻이라고 말하며, 이름하여 다함없다[無盡]고 하느니라.이미 정의 뜻을 얻었으면 온갖 삼계의 나아갈 바를 다 알고 있다. 혹은 어떤 중생이 항상함의 상념이 있는가, 항상함의 상념이 없는가, 고통의 상념이 있는가, 고통의 상념이 없는가, 선정의 상념이 있는가, 선정의 상념이 없는가를 낱낱이 분별하여 염착(染着)을 일으키지 않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족성자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37품 도법의 요체를 닦아 행할 것을 반드시 생각해야 하느니라. 어떤 것들이 서른일곱인가?
이른바 4의지(意止)는 음행ㆍ화냄ㆍ어리석음을 없애서 3독(毒)을 영원히 멸한다.
다시 4의단(意斷)의 법을 반드시 사유하여야 한다. 생각하여 구함을 끊어버려서 과보를 낳지 않으니, 그리하여 곧 4신족행(神足行)을 얻는다. 이미 신족을 얻었다면 시방 여러 부처님의 세계에 나아가서는 스스로 신족을 일컬어 말하지 않아야 않느니라.여래의 5근(根)이 법신을 성취하나니, 계의 몸ㆍ정의 몸ㆍ지혜의 몸ㆍ해탈의 몸ㆍ해탈지견의 몸, 이것을 여래의 5분법신(分法身)이라고 말한다. 여래의 신령스런 지혜는 법신을 훼손하지 않느니라.
어떤 것들이 5력인가? 믿음의 힘ㆍ정진의 힘ㆍ염(念)의 힘ㆍ정(定)의 힘ㆍ슬기의 힘이다.
이른바 ‘믿음의 힘’이란 한결같이 무위를 향하면서 삼계에 물들지 않음이니, 바로 항하의 모래와 같이 많은 마군들을 변화시켜 부처로 만든다 해도 이 뜻은 능히 변동시킬 수 없다. 이것을 믿음의 힘이라고 말하느니라.어떤 것을 정진의 힘이라 하는가? 이른바 ‘정진의 힘’이란 일찍이 들은 적이 있던 유법법계식(有法法界識)이 한 유순에 있거나 혹은 백천 유순까지 이르더라도, 한 부처님의 경계에 있거나 혹은 백천 부처님의 경계까지 있더라도 믿음을 지키고 계를 세워서 큰 서원을 버리지 않으니, 이것을 정진의 힘이라고 말하느니라.
어떤 것을 염(念)의 힘으로 삼는가? 이른바 ‘염의 힘’이란 이어진 생각[念]이 앞에 있어서 다른 나머지 상념이 없음이니, 바로 항하의 모래와 같이 많은 마군들과 그 권속을 시켜서 이 정의 뜻을 가진 이를 헐고자 하더라도 공연히 수고로울 뿐이지 그 뜻을 얻지 못하나니, 이것을 염의 힘을 성취했다고 말하느니라.어떤 것이 정(定)의 힘인가? 이른바 ‘정의 힘’이란 근(根)을 세우는 높은 지위의 보살마하살이 뜻을 거두고 상념을 버려서 의심을 품지 않음이니, 이것을 정의 힘도 헐 수 없다고 말하는 것이니라.
어떤 것이 지혜의 힘인가? 이른바 ‘지혜의 힘’이란 한량없는 법계가 불가사의해서 갖가지 지혜와 훌륭한 방편과 법의 근본을 모조리 거두면서도 법계의 지혜 성품의 행을 헐지 않음이니, 이것을 지혜의 힘이 뭇 덕을 갖추었다고 말하느니라.다시 7각의(覺意)의 법을 반드시 분별하여야 한다.
그리고 온갖 유형과 무형의 심식(心識)이 생각하는 바를 깨달아 마쳐서 욕계(欲界)로부터 색계(色界)ㆍ무색계(無色界)에 이르기까지 이것은 분별할 수 있고, 분별할 수없는 것은 뜻을 거두어 어지러이 하지 않음이니, 이것을 정(定)의 뜻과 지혜 성품의 여덟 가지 도의 평등이라고 말하느니라.
또한 무섭거나 두려움 없이 공삼매(空三昧)에 들어가서 일행(一行)에 둘이 없어 본말이라 할 수 없으므로 한계가 있든 한계가 없든 생사를 이미 여의어 남은 지혜를 내지 않는다. 이는 일어나고 멸하는 법의 청정함을 알아서 뭇 상념을 내지 않음이니, 이것을 여덟 가지 도가 청정하여 둘이 없다고 말하느니라.다시 예순두 가지의 소견을 생각하여야 하느니라.
항상함이 있다는 상념과 항상함이 없다는 상념, 도가 있다는 상념과 도가 없다는 상념, 지금 세상이 있음과 지금 세상이 없음, 부모가 있다는 상념과 부모가 없다는 상념, 몸에 집착함이 있다는 상념과 몸에 집착함이 없다는 상념이다. 어느 때는 식을 두어서 모든 도(道)의 티 없는 청정을 분별하는데, 애착의 근본 세 곳과 욕심의 근본 다섯 곳과 음행의 일곱 곳을 하나하나 분별하느니라.어떤 때에는 행을 두어서 한가하고 고요한 곳에 있거나, 혹은 나무 아래ㆍ맨땅ㆍ무덤 사이에 있으면서 나고 드는 숨을 관(觀)하는데, 어떤 때에는 길고 어떤 때에는 짧으며, 어떤 때에는 차고 어떤 때에는 따뜻하다. 모든 법의 생생(生生)과 인연의 함께 모임[因緣共會]을 사유하고 분별해서 뜻이 교란되지 않으니, 이 까닭에 행자(行者)는 나고 드는 숨을 안다. 숨이 긴 것도 또한 알고, 숨이 짧은 것도 또한 알며, 앞의 숨도 앞의 숨이라 알고, 뒤의 숨도 뒤의 숨이라 알면서 차츰차츰 일선(一禪)의 행을 이루지만, 여래가 거룩하게 통달한 선의 뜻과는 똑같지 않다. 네 가지 선(禪)을 수행하여 상지(想知)의 멸함에 들어가야 하나니, 이와 같은 정의 뜻은 3승에 공통으로 있느니라.또다시 여래에게는 위없는 정의 뜻이 있다. 어떤 것을 위없는 정의 뜻이라고 말하는가? 이른바 ‘위없는 정’이란 마음에는 위와 가운데와 아래가 있지만, 행하는 사람은 정에 들어가면 다시는 나고 들고 길고 짧은 숨이 없다. 다만 찰토를 분별하면서 전심(專心)과 한뜻[一意]으로 지나간 세상ㆍ오는 세상ㆍ지금 세상을 관하는데, 왜냐하면 내가 화한 바이자 내가 화한 바가 아니기 때문이니라. 다시 스스로 사유하기를 ‘설사 내가 한가하고 고요한 곳에 있을지라도 중생을 분별하지 않는 것은 나에게 의당치 않다.이제 마땅히 무수한 찰토에 가서 스스로 교화하고 남도 교화하여서 나의 소원을 이루겠다’고 하니, 이것을 최초의 정(定)은 훼손할 수 없다고 말하느니라.
다시 다음엔, 행하는 사람이 처음으로 정의 뜻에 들어가서 속으로 스스로 생각하기를 ‘고통이 있고 즐거움이 있는 것은 모두 몸의 근본을 말미암으니, 이미 이 행을 지났다면 다시 마땅히 선전해서 저 중생으로 하여금 모조리 알게 하리라’고 하니, 이것을 정(定)에 들어서 두 행[二行]을 성취하였다고 말하느니라.그 다음 마음의 법은 있음도 아니요 없음도 아니다. 몸이 있다거나 몸이 없다는 상념으로는 신통을 얻어서 시방을 노닐며 교화하지 못하니, 뜻을 거두어 스스로 단속해서 그 종성(種姓)을 청정히 한다. 이것을 정의 뜻이 법식을 훼손하지 못한다고 말하느니라. 마음ㆍ뜻ㆍ식으로 지관(止觀)을 사유하면 아(我)가 바로 무아(無我)이니, 하물며 중생이 있겠는가. 먼저 공(空)을 스스로 알고서 문득 중생을 신족의 도(道)로써 관하면, 심신(心神)은 가서 교화하지만 몸은 거기에 가지 않느니라.
다시 시방의 여러 부처님 세계에서 이 정의 뜻으로 무수한 백천 중생을 제도하니, 거기에서 다시 열 가지 허공 지혜를 닦는다. 어떤 것들이 열 가지인가?설한 법의 가르침으로 마군의 궁전을 꺾어 부수고, 도량에 나아가서 한량없는 깨달음을 이루고, 마음이 허공과 같아서 더하고 덜함도 없느니라. 족성자여, 이것을 허공의 지혜를 닦는다고 말하느니라.
다음에 족성자여, 처음에 외도와 다른 학파를 교화하여 그들의 삿된 업을 버리고 바른 소견을 세우게 함으로서 모두 귀의하게 하여 다시는 간탐하고 시기하는 일이 없게 하니, 이것을 허공의 지혜를 닦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다시 또 세존께서 중생의 무리를 교화하시되 그들의 원하는 바를 따라서 모두 갖추게 하시고, 비록 이 법문을 설하더라도 마음에 집착한 바가 없으니, 이것을 허공의 지혜를 닦는다고 말하느니라.
다시 걸림 없는 지혜의 신통의 도로써 한량없는 세계에 노닐어 온갖 법을 펴서 중생을 교화하되 중생을 보지 않으며 교화도 보지 않으시니, 이것을 허공의 지혜를 닦는다고 말하느니라.다시 여래의 지혜가 있는데, 그 이름을 회공(懷空)이라고 부른다. 법계를 성취하여 근본성품을 헐지 않고, 마음을 허공처럼 지녀서 염오(染汚)를 내지 않으니, 이것을 허공을 닦는 지혜라고 말하느니라.
여래등정각은 한 몸으로 허공계에 노니시거나, 혹은 무수한 몸으로 노닐거나 다시 멸진열반을 나타내 보이시더라도 하나의 몸에 집착하지 않고, 약간의 상념도 일으키지 않으시며, 또한 다시 멸진열반에도 집착하시지 않으시니, 이것을 허공의 지혜를 닦는다고 말하느니라.모든 부처님께서는 일흔두 가지의 걸림 없는 변재와 열네 가지 설상보(舌相報)로 중생을 교화하여서 지혜가 걸리거나 막히지 않으므로 중생들을 모두 지혜의 밝음[慧明]을 이루게 하시나니, 어떤 것들이 일흔두 가지 걸림 없는 변재인가.
족성자여, 여래께서 처음으로 공덕상(功德相)의 근본을 닦으시면서 큰 서원을 스스로 발하시기를 ‘만일 내가 나중에 한량없는 등정각을 이루면, 태어난 국토의 중생들은 무명이나 음행ㆍ화냄ㆍ어리석음의 이름조차 듣지 않게 하여 나의 국토를 허공처럼 청정케 하고, 정거천(淨居天)처럼 욕심이 적고 만족할 줄 알게 하며,뜻은 도에 나아가되 중간에 걸림이 없게 할 것이며, 또한 다시 여덟 가지 한가함이 없는 곳에 태어나지 않게 하고, 부귀한 가운데서 살되 스스로 잘난 체하지 않게 하며, 낮고 천한 이를 더럽다 하지 않게 하며, 그 가운데서 뜻을 거두어서 보시의 복을 행하게 하리라. 즉 음료[漿]를 구하는 이에겐 음료를 주고, 밥을 구하는 이에겐 밥을 주며, 나라나 재물이나 아내나 자식도 다 보시해 주어서 마음의 보시가 걸림이 없고 어지러운 상념을 내지 않게 하리라.다시 중생에게 완벽히 갖춰진 계를 지니게 하고, 정진의 일심(一心)으로 여섯 가지의 중한 법을 닦게 하리라. 만일 어떤 중생이 백천 가지의 괴로움을 만나면, 문득 나아가서 제도하여 추락으로 성현의 품류를 잃지 않게 하리라’라고 하니, 이것을 여덟 번째 법으로 허공의 지혜를 닦는다고 말하느니라.
여래등정각께서 법륜을 굴리고자 하면, 먼저 등정(等定)에 들어서 몸과 뜻을 스스로 거두어 잡으시고 때가 이른 줄 스스로 아나니, ‘나는 이제 마땅히 중생의 무리들과 함께 위없는 법륜을 굴려야 한다’라고 하여마음이 6신통에 노닐면서 낱낱의 털구멍으로부터 온갖 광명을 놓으신 뒤에 이내 위없는 법륜을 굴리시는데, 일어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아서 집착하는 법이 없고, 일상(一相)이 무상이라서 물들어 더럽히는 법도 없다. 설하신 바가 허공과 같아서 말의 자취가 나타나지 않고, 중생에게 더함이 있고 덜함이 있음을 보지 않는다. 이것을 아홉 번째 법으로 허공의 지혜를 닦는다고 말하느니라.다시 다음에 여래께서는 무생(無生) 법계로부터 등정각을 이루어서 온갖 법을 허깨비 같고 화현(化現)같이 관해서, 도과를 성취한 이를 보지 않고 신통 지혜의 분별을 잃지 않고 여래의 10력에도 또한 염착하지 않으시니, 이것을 열 번째 법으로 허공의 지혜를 닦는다고 말하느니라.”이때에 부처님께서 사부대중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각각 스스로 여래 앞에서 공혜(空慧)의 집착한 바 없는 법을 말하여라.”
그때 공행(空行)이라는 이름을 가진 보살이 있었다. 여기서부터 동남쪽으로 56항하 모래 수효의 불국토들이 있는데, 그 나라로부터 와서 이 땅에 이르렀다. 그 보살이 합장하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국토가 청정하여서 법설(法說)과 의설(義說)이 없고, 청정하고 청정하지 않음이 다 허공과 같음을 아나니, 이것을 공혜(空慧)의 집착 없는 법이라고 말하나이다.”무아보살(無我菩薩)이 아뢰었다.
“봄[見]이 없음도 공이 아니고 봄도 또한 공이 아니며, 봄을 보지 않고 또한 봄 없음도 보지 않으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법이라고 말하나이다.”
법주(法住)보살이 아뢰었다.
“행의 자취를 세우지 못하였으면 물들고 더러운 식을 내지만, 헤아릴 수없는 겁이 본래 식의 성품이 없나니, 이것을 허공의 집착 없는 법이라고 말하나이다.”과행(過行)보살이 아뢰었다.
“몸ㆍ입ㆍ뜻에서 여러 가지 악을 짓지 않고, 정(定)으로 상념을 일으키지 않으니, 이것을 공행의 집착 없는 법이라고 말하나이다.”
무행(無行)보살이 아뢰었다.
“법신은 다함이 없어서 의지하여 집착함을 보지 않고, 정(定)의 마음은 한뜻일 뿐이오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보장(寶藏)보살이 아뢰었다.
“앞과 뒤의 법계의 처소를 보지 않고, 또한 다시 죄와 복, 악의 과보를 보지 않으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
습고(習苦)보살이 아뢰었다.
“여러 부처님께서는 지나간 세상ㆍ오는 세상ㆍ지금 세상을 다 알아서 자재한 지혜에 들어가 망령된 견해를 일으키지 않으시나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자의(慈意)보살이 아뢰었다.
“나라는 것은 형상이 없으므로 전심(專心)으로 도만을 행하면, 다른 상념은 없고 의지함 없고 집착 없는 법만이 자연히 일어났다 멸하리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
보계(寶計)보살이 아뢰었다.
“네 가지 무아행은 집착도 없고 물듦도 없으며, 몸이 있으면 괴로움이 있고 식상(識想)도 또한 괴로움이라고 이해해야 일어나거나 멸하지 않으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선산(善算)보살이 아뢰었다.
“온갖 법의 수 있음[有數]과 수 없음[無數]을 보지 않으니, 어떤 것이 온갖 법의 수 있음과 수 없음인가. 세속은 수가 있음이요 도(道)는 수가 없음이며, 유위는 수가 있음이고 무위는 수가 없음이니, 수와 수 없음을 보지 않는 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
진생(盡生)보살이 아뢰었다.
“온갖 법은 본래 생겨남이 없어서 또한 생겨나는 것을 보지 않으며, 청정해도 청정한 상념이 없고, 생사도 이미 다해서 영영 멸하여 일어나지 않으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범행(梵行)보살이 아뢰었다.
“세 가지 삼매를 익혀서 받을 몸을 염(念)하지 않고, 공을 염하여서 공을 여의지 않으며, 상 없음[無相]을 염해서 상 없음을 여의지 않으며, 원함 없음[無願]을 염해서 원함 없음을 여의지 않으며, 또한 다시 청정한 복 받음을 염하지 않으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
광상(光相)보살이 아뢰었다.
“3독(毒)이 어둠의 법이 된다고 분별하고, 세 가지 통달이 청정한 법이 된다고 보지 않으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소작(所作)보살이 아뢰었다.
“일상(一相)을 보지 않고 무상을 분별하며, 고(苦)도 보지 않고 고를 여읨도 보지 않으며, 고와 고 아닌 것도 없고 또한 짓는 바도 없음이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 말하나이다.”
불수형(不受形)보살이 아뢰었다.
“4대(大)의 근원이 없으므로 또한 경계의 소재를 보지 못하고, 한결같이 무위를 향하면서 세 가지 뜻을 내지 않으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 말하나이다.”무등(無等)보살이 아뢰었다.
“세상의 고통과 즐거움을 떠나서 여덟 가지 법에 집착하지 않고, 칭찬하고 기림을 보더라도 기쁨으로 여기지 않으며, 설사 헐고 비방함을 보더라도 근심걱정을 품지 않아서 참는 마음이 땅과 같으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
무구(無垢)보살이 아뢰었다.
“안의 6정(情)이 밖의 6진(塵)을 짓는 것을 보지 않고, 여섯 티끌과 여섯 정이 상대가 됨을 보지 않으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중관(重觀)보살이 아뢰었다.
“바깥의 색(色)이 안의 식(識)을 일으키지 않고, 식 또한 바깥의 색에 집착하지 않으며, 식은 내가 색이 됨을 알지 못하고, 색은 내가 식이 됨을 알지 못하며, 소리ㆍ향기ㆍ맛과 세활[細滑:觸覺]과 법도 또한 마찬가지라서 법은 내가 식이 됨을 알지 못하고 식은 내가 법이 됨을 알지 못하며, 일체의 모든 법도 각각 서로 알지 못함이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원리(遠離)보살이 아뢰었다.
“5온(薀)에 물듦이 있고 집착함이 있음을 보지 않으니, 까닭인즉 5온의 성품과 여러 가지 법의 성품은 항상 머물러서 변하여 바뀌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
현호(賢護)보살이 아뢰었다.
“온갖 법의 총지(總持)로 바람[望] 있음과 바람 없음을 보지 않고, 설할 수 있는 법과 설할 수 없는 법을 보지 않으며, 중생을 거느려서 옹호하되 불퇴전(不退轉)을 세우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보래(寶來)보살이 아뢰었다.
“모든 법은 항상 정(定)이라서 약간(若干)의 분별도 없으며, 또한 부처님 법을 분별하지 않아서 보살의 법ㆍ세속의 법과 도의 법ㆍ형상이 있는 법과 형상이 없는 법ㆍ옹호하여 지닐 수 있는 법ㆍ옹호하여 지니지 못할 법도 또한 분별함이 없으니, 이것을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이라고 말하나이다.”
이때에 자리에 있던 무수한 사부대중이 이 공혜의 청정하여 집착 없는 법을 설함을 듣고서 갑절이나 의심을 내어 구경(究竟)에 도달하지 못하였다.세존께서 곧 그들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생각을 아시고는, 공혜의 집착 없는 행을 이해하는 경지에 아직 이르지 못함에 응하시어 곧 스스로 몸을 화현(化現)했는데 몸의 높이는 4백 유순이었다. 세존께서 큰 소리를 내시어 시방세계에 고하여 말씀하셨다.
“모든 여래ㆍ지진ㆍ등정각께서 현재 법을 설하시니, 보살영락을 듣고자 하는 이가 모두 구름처럼 모여들어 사바세계에 나아가고자 하니, 무앙수(無央數)의 화현 보살[化菩薩]들을 보내어서 시방의 모든 여래ㆍ지진ㆍ등정각께 모두 예를 드리자. 지금 능인여래(能仁如來:석가모니불)께서 사바국토에서 보살 영락을 연설하시고 계시니, 우리들은 마땅히 널리 저 나라에 가서 모이도록 하자.”이와 같이 시방의 모든 부처님은 집착한 바가 없었다. 이윽고 그 상(像)처럼 위의를 거두어 지니고서 사바세계국토에 나아가시었다. 신심을 세운 보살로서 10주(住)를 얻은 이는 모두 부처님을 뵙자 예배하고 공양 올린 뒤에 각각 차례대로 무서움 없는 자리[無畏座]에 앉았다. 아직 신심을 세우지 못한 사람은 범부 경지라서 아직 천안(天眼)을 얻지 못했고 갖가지 신통도 갖추지 못한 탓에 시방의 부처님을 뵙지 못하였다. 왜냐하면 범부는 뜻이 작아서 범행(梵行)의 상실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어떤 부처님께서는 여기에 자리를 잡으셨지만 몸은 범천에 이르셨고, 어떤 부처님께서는 몸을 변화하여서 1천 찰토, 2천 찰토, 나아가 삼천대천 찰토에 이르기까지 두루 충만하였다. 왜냐하면 중생이 교화를 받으려면 응당 형상을 보여야 했고, 법을 받으려면 응당 귀로 들어서 법을 받기 때문이었다.
그때에 동쪽으로 두 강하의 모래알[江河沙] 수효만큼의 세계를 지나가면 부처님이 계셨는데 그 명호를 본정(本淨)이라 하였다. 그 부처님께서 곧 대중과 더불어 게송으로 이 법언(法言)을 말씀하셨다.
허공은 끝없건만
상념이 붙으면 의심이 생기나니
본제의 행[本際行] 이미 다하여서
둘도 없고 같이 짝할 이도 없네.
허공의 모양 말하고자 하나
본질은 생겨날 조짐[生兆]도 없네.
어째서 허공의 지혜[空慧]를 의심하여
그 속에서 없음[無]을 구하고자 하는가.
나는 이제 부처를 이루어서
있음[有]을 품어도 물드는 바 없고,
번뇌가 다하여 스스로 존귀한 이 되었으니
다시는 일어나고 멸함이 있지 않으리.
이미 평등하고 올바른 길에 들었으니
좁고 작은 뜻은 좇지 않아서
나[我]를 헤아려 마음을 냄이 없으니
도를 얻음[得道]은 이 멸함으로부터네.
나의 목숨은 겁수(劫數)가 있고
제도할 바 헤아릴 수 없으나
뜻을 끊고 영원히 적멸하면
어찌 남을 제도하는 식(識)이 있으랴.
영락의 몸을 일곱 번이나 관하니
도의 꽃 색깔[道華色] 변하지 않고
무형(無形)으로 온갖 갈래에 들어가니
이것을 보살의 행이라 하네.
여래에게 두 가지 업이 있으니
도의 근본[道本]과 뭇 덕[衆德]을 갖춰서
방편으로 허깨비[幻化]의 법 나타내니
일어나고 멸함은 본래 없는 것이라네.
천상과 세간의 중생 무리
형상도 없고 수효도 없으니
어찌 형상 있는 사람이
무색(無色)의 법을 잘 알 수 있으랴.
부처님은 무진장(無盡藏)이라서
색욕(色欲)으로도 능히 다하질 못하는데
하물며 다시 도를 얻지도 못하고
평등한 슬기를 궁구하려 하는가.
비록 백천 겁을 지나더라도
일찍이 뜻을 스스로 쉬지 않았건만.
중생은 게으름 있어
중간에 멈추어 뜻을 못 세우네.
대승의 평등한 법을
듣고서 받아들여도 어찌 다할 수 있으랴.
지금 공의 지혜[空慧]를 대강 설했으니
어찌 다시 공에 대해 의심을 내리.
그때 여래께서 이 게송을 설하시고 나서 홀연히 모습을 감추었다.
여기서 남쪽으로 18억 항하의 모래알의 수효만큼 멀리 떨어진 곳에 엄정(嚴淨)이란 이름의 불국토가 있는데, 부처님 명호는 이구(離垢)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이라 하셨다. 열 가지 명호를 갖추시고 몸에 색상을 나타내시니, 더할 나위 없이 높으시고 높으시었다. 대중 가운데 계시면서 다시 게송을 말씀하셨다.
나는 이제 도(道)를 깨닫고서
공의 평등한 지혜[空平等慧]를 듣고
12겁을 지나
이 정의 뜻[定意]을 얻었노라.
과거와 미래의 일 사유하니
6바라밀과 네 가지 평등한 행[四等行]은
모두 공혜(空慧)의 업을 말미암았고
공혜의 업은 치연(熾然)한 모든 법의 근본이었다.
뜻을 발함에는 계차(階差)가 있지만
큰 서원엔 차이가 있지 않노라.
지혜로 염(念)을 관함에 집착하지 말지니
사람의 교화에는 약간(若干)의 분별도 없다네.
가령 내가 노니는 나라에는
묘한 영락으로 장엄 청정해서
훌륭하고 특출한 슬기를 선포해서
이 나라엔 3악도(惡趣)가 없다네.
오직 공혜의 행만 연설할 뿐
‘있다’, ‘없다’는 곳에 집착하지 않아
나는 이미 무심(無心)으로 행하니
무엇 때문에 ‘있다’를 설하랴.
가령 성품에 형상 없듯이
법계 또한 청정하네.
알고 나면 이미 다하여 멸했나니
따라서 일어나고 멸함이 없다네.
다시 장엄 청정한 찰토 지나서
10억의 여러 찰토에
그곳에도 이 법이 있어
청정한 함이 없는 행[無爲行]일세.
말을 설해도 말이 있지 않고
모습 있는 근본[有相本]에 집착하지 않으니,
이렇듯 고요한 정[寂然定]에 응하기에
모든 행(行)에 명호(名號) 없어라.
중생의 마음 나아가는 곳
유(類)를 따라 본식(本識)을 일으키지만
나는 영원히 담박(澹泊)하므로
‘있다’, ‘없다’의 행(行) 보지 않네.
이 까닭에 무수한 겁 동안
구하는 것 끊고 유(有)에도 집착하지 않아
일어나고 멸하지 않음 구하고자 하여
따라가 얻어서 비로소 성취했노라.
이제 비어서 없는[空無] 몸으로써
형상을 따라 나타내니
부처의 지혜 끝없어서
결코 물들지 않네.
자연(自然)의 성품 청정하여
항상함이 있다는 상념 보지 않고
도(道)의 지혜와 뭇 덕을 갖추어
그 명호를 이구(離垢)라고 하니,
스스로 도과(道果)를 이루고서부터
허공계를 두루 노닐면서
혹은 천제석(天帝釋)도 되고
대존 범천왕(大尊梵天王)도 되도다.
형상을 변화한 까닭은
저 있음[有]에 집착한 이를 교화해
모두 무생의 지혜[無生慧]에 나아가서
청정하여 구경에 이르도록 함이었네.
다시 전륜왕(轉輪王)이 되어
무수한 성(城)을 거느렸지만,
모두 버리고 가서 도를 배우니
그것을 아는 데는 오래 걸리지 않았네.
다시 성문(聲聞) 가운데 들어가
도에 미치지 못할까 하여
문득 스승을 따라 배워서
온갖 상념의 집착과 결박 끊었네.
다시 정거천(淨居天)에 이르러
청정을 행하는 근본을 설해
저 하늘의 복[天福]을 여의게 했으니,
이것들도 다함없는 고통이기에.
무색(無色)과 색(色)의 중생은
항상함을 헤아리는 상념을 버리지 않고
교만함과 스스로 방일(放逸)함으로서
모두 도의 문[道門]에 들어가게 했네.
본래 등정각(等正覺)은 없고
교화됨도 형상이 없으나
요컨대 생사의 근본을 다하여서
끝내 적멸에 듦을 버리지 않네.
하물며 이제 너희 사부대중
처음 듣고서 문득 게을러지나니
이 품류는 스스로 기약함이 있는지라
빨리 속성시킬 수는 없어라.
이때에 여래가 이 게송을 설하고 나서 홀연히 보이지 않으셨다.
여기서 서쪽으로 백억 항하의 모래 수효의 여러 불국토를 지나면 이름이 수정(水精)란 세계가 있는데, 부처님의 이름은 정존(淨尊) 여래ㆍ지진ㆍ등정각으로서 열 가지 명호를 갖추셨다. 저 국토의 중생은 한 가지 법만을 받들어 지니므로 6바라밀의 온갖 행과 업의 근본이 없었다. 다시 대중 속에서 이 게송을 설하시었다.
여덟 가지 행[八行]에 높고 낮음이 없어서
평탄하게 멸진(滅盡)에 돌아가고,
몸을 버리고 또 몸을 받으니
다만 번뇌의 더러움만 더할 뿐.
허공의 둘 없는 법[無二法]은
머묾도 없고 또한 자취도 없어라.
여덟 가지 도의 평등한 지혜는
여러 부처님의 노니시는 곳이로다.
나는 옛 적에 스스로 행을 세워
법을 굴릴 것을 크게 서원하고
믿음을 체득하여 무(無)로 돌아가
이제는 인중존(人中尊:부처)이 되었노라.
여러 부처님의 계신 나라는
훌륭한 방편과 법도가 각각 다르니
어느 곳에나 나타나서
중생을 교화코자 하여라.
즐거움에 얽매이고 집착하면
길이 어두운 집에 처하게 되니,
도(道)는 본래부터 서원이 없고
그런 뒤에 비로소 여읨을 얻네.
가령 나의 국토의 사람들은
마음을 거두어 악을 짓지 않고
끝까지 무위(無爲)를 숭상하니
이처럼 스스로 도에 가깝도다.
음행ㆍ화냄ㆍ어리석음의 때가 적고
또한 크게 은근(慇懃)하지 않아서
율행(律行)에 자연히 들어가기를
꽃이 때에 따라 피듯 하도다.
도의 뜻 옮겨 움직이지 않고
고락(苦樂)의 마음 영원히 끊어
온갖 찰토를 오고 가면서
공혜를 모조리 닦도다.
내 이제 이미 한 번 행하면
저 무리들도 다르지 않나니
이제 석가모니에게 듣기 때문에
등혜(等慧)를 닦음을 나타내도다.
구름같이 모인 큰 성현
거룩하여 높고 낮음 없어라.
비록 국토의 다름은 있으나
닦는 바는 똑같은 한 가지 법이로다.
이제 5도(道)의 사람을 살펴보니
무명(無明)의 행(行)에 가려서
나고 죽음에 빠진 채
갈수록 모진 고통만 더할 뿐이어라.
어째서 스스로 뜻을 세워서
공의 도를 체득하고 믿어
빨리 해탈을 얻지 않는가.
마치 바깥 찰토의 중생처럼.
여래께서 이 게송을 설하시고 나서 홀연히 보이지 않으셨다.
여기서 북쪽으로 세 항하의 모래알 수효만큼 먼 불국토를 지나면 보조(普照)라는 이름의 찰토가 있는데, 그곳의 부처님의 명호는 기변(機變) 여래ㆍ지진ㆍ등정각으로서 열 가지 명호를 갖추셨다. 다시 대중 가운데서 게송을 지어 말씀하셨다.
여래의 도[如來道]는 한 모습[一相]으로
본래 명색[名色]으로부터 생겨났네.
부지런히 닦아 무수한 겁 지나니
비로소 번뇌와 근심 다하네.
가령 사람이 허공을 건너고자 하여도
건널 수 있는 방법 구하지 못하듯이
다만 공한 법 기억해 바랄 뿐
그로 말미암아 과보 얻음 없도다.
뜻과 상념[意想]에 얽매어서
사물의 항상하지 않음을 헤아리지 못하고
죽지 않는 세계를 구하고자 하지만
이것 또한 일찍이 얻은 적 없네.
편히 머무름은 상념을 여의는 방법이니
있음 없음의 경계에 머무르지 않아서
이미 공의 지혜를 밟을 수 있으면
자연히 물들어 집착함이 없으리.
도는 몸의 근본[身本]으로부터 나와
그런 뒤에 정각을 이루니,
미혹의 심의(心意)는 그릇되어서
마음을 여의고 밖에서 공(空)을 구하네.
외적인 고통에 비록 이름 있지만
그 식상(識想)을 여의지 않고,
법계의 청정한 도(道)는
곧 청정한 지혜에 응하네.
중생은 나고 죽음에 처해 있지만
빠져 헤매며 스스로 구하지 못하니,
뭇 고달픔 여의고자 하거든
먼저 의식(意識)을 반드시 없애야 하네.
여래가 출현하신 것은
비할 바 없는 법 연설하시어
한 상념도 물들어 더럽힘 없게 하심이니,
무엇 때문에 다시 공(空)에 물들랴.
부처님은 세 가지 통달한 지혜로
걸림 있는 형상을 이미 초월하였으니
지금의 염(念)은 본념(本念)이 아니요
중생의 유념(有念)을 반연한 것이로다.
온갖 법은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어서
있지도 않고 또한 없지도 않으니,
소리를 인해 메아리가 있듯이
중생에겐 곧 부처[佛]가 있네.
교화 받는 중생들아,
항상 몸을 스스로 싫어하고 근심하라.
도는 도 아님[非道]을 능히 멸하니
있다 없다는 것은 참다운 법[眞法]이 아니니라.
그때에 여래께서 이 게송을 말씀하시고 나서 홀연히 보이지 않으셨다.
여기서 동북쪽으로 92억 항하의 모래 수효의 찰토를 가면 정관(淨觀)이란 이름의 찰토가 있는데, 부처님의 명호는 법관(法觀) 여래ㆍ지진ㆍ등정각으로서 열 가지 명호를 갖추셨다. 그 부처님께서 대중 가운데서 게송을 말씀하셨다.
색(色)은 본래 색이 있지 않고
또한 색의 모습[色相]도 있지 않네.
고통의 법은 본래 일어나고 멸함이 없고
또한 더한 즐거움 낳지도 않네.
의식(意識)은 아지랑이와 같고
물거품과 같아서 오래 머무르지 않네.
몸 없는 슬기는 스스로 청정하니,
이것을 일러 평등한 공[平等空]이라고 한다.
일관(一觀)과 일의지(一意止)는
청정하고 존귀한 범행이니
내[吾我]가 유상(有想)에 집착하면
있음과 없음의 경계에 이르지 못하리라.
스스로 깨치고 다시 남도 깨우쳐서
공의 지혜에 통달하게 하는데도,
중생들 스스로 깨닫지 못해
이 때문에 망설임을 품도다.
성품에 상ㆍ중ㆍ하 있고
선과 악[善惡]은 늘 상대가 있으니
악을 버리고 선을 행하더라도
공무(空無)의 지혜는 얻지 못하리.
선과 악을 능히 보지 않으면
마음이 정직해서 뒤바뀜 없네.
그대가 곧 공을 믿고 이해하면
청정한 지혜를 따라서 얻으리라.
본래 평등한 뜻을 따르면서
중생의 무리를 보지 않음이
오래오래 되면 스스로 통달해서
위없는 도[無上道]에 감응하리.
혜관(慧觀)으로 탐착(貪着)을 끊고
마음을 씻어서 때 없이 청정하며
어진 지혜(仁智)는 공의 지혜와 같나니
그러므로 진인(眞人)의 법이라 이르노라.
세간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자들은
그 까닭에 허무(虛無)의 도를 연설하나니
선과 악의 상대성을 생각지 않아
형상도 없고 정(情)의 상념도 없어라.
내 본래 평등한 뜻을 따라
여래에게 이 법을 받았나니
듣고서 문득 공한 지혜 통달하여
교화를 염(念)하면서 찰토를 청정히 관했네.
목숨을 아승기겁 동안 받아서
법을 설하여 끝내 교화하고
무수한 사람을 인도하여
이 법계의 근본에 들어갔노라.
세존께서 이 게송을 설하고 나서 홀연히 보이지 않으셨다.
여기서 동남쪽으로 1억 불토를 가면 극묘(極妙)라는 이름의 찰토가 있는데, 부처님의 이름은 미묘(微妙) 여래ㆍ지진ㆍ등정각으로서 열 가지 명호를 갖추셨다. 다시 게송을 말씀하셨다.
식(識)은 본래 5음[五陰]으로 인해
인연이 공통으로 합하고 모여
무수한 겁을 유전(流轉)하면서
스스로 일어났다 자연히 멸하는데,
어리석고 미혹한 중생들은
나고 죽는 근본을 통달치 못하고
끝내는 포태(胞胎)에 처해서
근심 걱정 여의기를 구하지 않네.
가령 사람이 한 생각[一念] 사이에
순전히 뒤바뀐 소견을 내면
얽매이고 집착함만 더욱 심해지니
어찌 다시 도의 뿌리를 낳겠는가.
중생의 무리를 생각해 보니
3독(毒)의 뿌리를 애착하고 즐겨하도다.
5개(蓋)가 심신(心神)을 가리어
눈이 없으니 어찌 살피겠는가.
여래는 큰 횃불을 잡아서
티끌 욕심의 근본을 태워 없애시건만
비록 중생들은 다시 혜명(慧明)을 보고도
오히려 돈독치 못한 믿음을 내도다.
내가 시방세계를 살펴보니
뜻을 발하여 도를 구하고자
행이 다하면 다시 생(生)을 받아
3악도(惡道)의 괴로움을 다시 받네.
네 곳은 본래의 소원이 아니니
네 가지 연못에 스스로 던져서
네 가지 생의 문[四生門] 여의지 못하면
네 가지 도과(道果)를 이루지 못하네.
어떤 때엔 네 가지 법 여의지만
5성음(盛陰)1) 문득 생기고
증상만(增上慢)에 집착 없으나
방일한 행은 다하지 않네.
차츰 무수한 법에 이르러
성행(聖行)의 근원도 보지 않으니,
마치 사람의 뜻이 유탕(遊蕩)하여
마음이 스스로 생각을 막지 못하듯이.
여래의 6신통행은
공이 아니면서 공과 다르지 않아서
나고 죽는 근본을 영원히 버리고
곧 평등한 지혜에 응하네.
본래 스스로 나고 죽음 없건만
유전하면서 색(色)에 물들어 집착해서
드디어 법계의 색을 이루니,
있음을 멸하고 있음에 집착하지 말라.
도가 있으면 식이 있나니
이 식은 본래 없는 것이 아니로다.
능히 도와 식(識)을 보지 않으면
지혜와 선정의 법에 곧 응하리.
도는 식이 더욱 즐김을 따라서
몸을 나타내 수 없이 변화하나니,
스스로 알아서 선정과 지혜 이루면
뭇 모양의 변화에 곧 응하리.
머묾이 없으매 변역(變易)도 없고
의심과 망설임의 상념 없으면
온갖 번뇌를 항복시켜
평등한 지혜에 곧 응하리.
사람의 행(行)에 세 가지 걸림 있으니,
상념을 말미암아 공을 버리지 않고
뭇 행의 근본을 일으키지 않으면
이 업(業)은 이루어지지 않으리라.
그때에 여래께서 이 게송을 설하시고 나서 홀연히 보이지 않으셨다.
여기서 서남쪽으로 13억 불토를 가면 광승(廣勝)이란 이름의 찰토가 있는데, 부처님의 명호는 묘적(妙迹) 여래ㆍ지진ㆍ등정각으로서 열 가지 명호를 갖추셨다. 대중 가운데서 게송을 말씀하셨다.
각(覺)이 낳은 이 환법(幻法)은
깊은 법요(法要)에 있지 않으니,
도(道)도 오히려 이름이 없거든
하물며 공에서 말의 자취를 보랴.
여러 외입(外入)과 내입(內入)은
분별하면 본래 있는 것이 아니니
형상이 없어서 볼 수 없으면
청정한 지혜에 곧 응하리.
마음이 계욕(計欲)을 여의고
또한 다시 공에 집착하지 않으면
피차에 물들어 집착함이 없어서
최정각(最正覺)을 이루리라.
어리석은 미혹으로 밝음을 보지 못하매
계욕(計欲)은 심식(心識)으로부터 일어나
6법(法)이 6진(塵)을 내나니
이로 말미암아 의심의 상념을 일으키도다.
식(識)으로 인하여 이 몸을 받아
자연히 4대(大) 이루었네.
5도(道)를 향해 윤회를 하느라고
공의 성품의 법 알지 못하네.
어떤 사람은 스스로 말하기를
물든 것은 본래 없다고 하나,
몸과 마음이 함께 걸림을 내니
어찌 유(有)와 무(無)의 상념을 통달하랴.
묘관(妙觀)으로 3세(世)를 비춰
온갖 법을 나타내 보이면서 설하시니,
모든 불체(佛體)의 묘한 교법은
있음도 아니요 또한 없음도 아니로다.
세간의 고통은 무명(無明)으로 말미암으나
평등의 공(空)은 의지하는 데 없도다.
유무(有無)를 동등하게 관하여 요달하므로
평등한 지혜라고 말하네.
때로 유(有)와 무(無)를 인식하면
이것은 여래의 지혜 아니니
피차 물들지 않는 것이
마음의 평등으로 마치 메아리의 응함 같네.
여덟 가지 도[八道]는 고(苦)의 근원 다하고
여덟 가지 이해[解]는 마음의 티끌을 씻고
여덟 가지 메아리는 모조리 허공으로 돌아가고
여덟 가지 지혜는 생기(生起)하지 않노라.
스스로 여의고 다시 상대[彼]도 여의어
중간에 걸림이 없어서
식(識)의 물들어 집착한 바에 따르나니
이것을 평등한 지혜라고 이르도다.
사람은 본래 허공에 있는데
물든 식(識)으로 3유(有)의 길이 생겨
번뇌에 스스로 집착하느라
본무제(本無際)에는 들어가지 못하나니.
본래 처음 뜻을 발함으로부터
공성의 지혜[共性慧]를 덜지 않고
다시 한량없이 지난 뒤에
곧 이 정(定)을 얻었네.
나는 모인 대중의 마음이
식을 여의고 공을 구하고자 함을 아네.
어찌 식을 스스로 염(念)하지 않는가.
안이 공(空)하고 밖도 마찬가지인 것을.
가령 법마다 상(相)이 없듯이
지혜로 보는 것도 마찬가지이니,
정(定)을 염(念)하여 어지러움 제거하면
이것을 평등한 지혜라 하네.
이 몸은 모조리 공에 돌아가
영원히 적멸하여 일어나고 멸함 없나니,
여래는 널리 크게 서원하시어
이 중생의 무리를 제도하도다.
그때 세존께서 이 게송을 말씀하시고 나서 홀연히 보이지 않으셨다.
여기서 서북쪽으로 54억 강하의 모래 수효의 불국토를 지나가면 유순(柔順)이란 이름의 찰토가 있는데, 부처님의 이름은 중상(衆相) 여래ㆍ지진ㆍ등정각으로서 열 가지 명호를 갖추셨다. 대중의 회상에서 게송을 말씀하셨다.
가령 내가 공행(空行)을 관함은
한뜻[一意]로서 높고 낮음이 없고
있다, 없다, 옳다, 그르다 하는 분별된 마음은
모두 생사를 말미암아 일어나니
부처님의 깊은 곳간[藏] 구하고자 하거든
온갖 행의 근본을 궁구하여 다하라.
아직 여래의 신령스런 신통과 지혜를
능히 궁구하여 창달한 적이 없다면.
가령 어떤 한 선비가
겁으로부터 다시 겁에 이르기까지
이와 같이 억백천이 되어도
그 수효는 늘거나 줄지 않고,
저 사람이 여러 근(根)을 갖추어
6정(情)이 줄어들지 않으니
여래의 지혜 듣고자 하나
아직은 문득 쉽게 얻지 못하도다.
하물며 다시 처음 뜻을 발해서
평등한 지혜에 이르고자 함이랴.
다만 스스로 더욱 손해만 있을지언정
도의 법에는 이익이 없네.
요컨대 큰 자비를 닦아서
방편과 슬기로 스스로를 방어하고
두려움 없는 서원을 굳건히 하면
그 뒤에 마음을 조복하리.
다시 세계에 노닐면서
여러 부처님께 공양코자 하면
지은 공(功)을 일으키지 말고
자연히 성행(聖行)에 응하라.
여래 10력(力)의 성인은
온갖 삿된 소견을 조복시키고
‘나의 상념’ 없음을 인내해 알았으니,
이 때문에 부처님이 되셨도다.
법의 머묾과 머물지 않음을 요달해서
공덕의 행을 보지 않고
생(生)을 다해도 다시 받지 않으니
이것이 부처님의 경계이어라.
뭇 상호를 이루고자 하거든
여러 선(善)의 근본 끊지 말고
뜻을 멸하고 상념을 일으키지 말지니,
이것을 평등한 지혜라 이르느니라.
내가 중생의 무리를 관하니
때로 공을 스스로 알지 못해서
그 까닭에 자주 피로하여
길이 적멸한 곳에 들지 못하니,
빨리 도과를 행하고자 하거든
뭇 덕으로 몸을 장엄하고
다만 마음 근본 끊기만 염(念)해야지
어째서 의심을 일으키는가.
그때에 세존께서 이 게송을 설하시고 홀연히 보이지 않으셨다.
여기서 위쪽으로 무수한 부처님의 국토를 지나서 중생계(衆生界)가 다한 곳에 회전(廻轉)이란 이름의 찰토가 있는데, 부처님의 이름은 음향(音響) 여래ㆍ지진ㆍ등정각으로서 열 가지 명호가 구족하시다. 저 대중 가운데 계시면서 게송을 말씀하셨다.
허공이라서 형상 없는 식(識)은
피안(彼岸)과 차안(此岸)이 없고
중생이 있음도 보지 않으니
하물며 법계에 노님이 있으랴.
현재 도(道)를 구하는 이는
허공에 노닐면서 허공을 구하니
자기 식(識)이 깨끗지 못한 이는
다시 바깥에서 허공을 구하고 있노라.
뜻으로 성스러운 지혜를 알지 못하는
이런 자들을 불쌍히 여기니,
이 혜관(慧觀)을 사유하면
또한 무상한 도[無常道]를 얻으리.
이제 삼계의 몸을 받아
신통한 지혜로 스스로 분별하니
정식(定識)에는 형태의 상념이 없어,
종자를 끊음이 도의 뜻이 되노라.
사람은 스스로 식(識)을 사유하여
4대(大)로 소굴[窠窟]을 삼으니
아무리 바깥 공[外空]에 있지만
4대(大)와 다르지 않네.
다만 이제 지혜를 얻지 못해
안팎의 정(情)을 요달하지 못하나니
이들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어서
세존께선 더욱 책망하지 않도다.
견줄 이 없는 장부[丈夫無等倫:부처]께서는
무상정(無想定)을 행해 초월하셨으니,
이것을 뭇 부처님의 법이라 이르건만
미혹한 이는 스스로 ‘나’를 계교하도다.
본래 일어나고 다하는 법 없으니
궁극적으로는 모조리 청정하고,
범행(梵行)도 끝내 청정하여
3세의 염(念)을 내지 않노라.
앞의 말은 지금의 말이 아니고
생각 생각[念念]이 스스로 변하고 바뀌니
이로써 증거를 삼을 수 있다면
어째서 삿된 의심을 내는가.
내가 이미 스스로 일컫지 않았던가,
권도의 방편으로 범부가 되었다고.
이 4대(大)를 사유하니
식법(識法)은 무엇으로부터 되었나.
지나간 세상의 법 설하는데
형상 없어서 볼 수도 없고
비록 오는 세상의 식(識)은 있지만
또한 아직 4대(大)를 받지 못했네.
지금 세상은 두 품[二品]으로 만들어
이제 하나하나 설하리니
각각 이 평등한 지혜에 대해
함부로 의심을 품지 말라.
지나간 세상의 식(識)을 분별하니
죽은 자는 지금의 형체 아니지만
이 식은 썩어 없어지지 않았으매
지나간 세상의 식이라 일컫네.
설사 식이 지금 나타나 머문다면
4대(大)의 인연이 합침이니,
이 식은 항상 변치 않으므로
다시 식의 현재라고 일컫네.
또한 다시 지금의 현재를 버리면
미래는 아직 생지지 않았고
저 식도 또한 지금이 아니니
무엇을 말미암아 3세라 일컬으랴.
식의 성품은 항상 스스로 머물러 있어
과거ㆍ미래ㆍ현재가 없네.
식의 근본을 구하고자 하지만
소굴(巢窟)은 어디에 있나.
부처님은 견줄 바 없는 지혜로
식의 ‘본래 없음’을 통달하여
공의 성품으로 담박한 하나뿐이시니
다시는 의심의 상념을 두지 말라.
등정각을 이루고자 하거든
상념에 물들거나 행에 집착하지 말라.
식의 성품 본래 없다고 밝게 깨달으면
그 까닭에 평등한 지혜라 하느니라.
그때에 여래께서 게송을 말씀하시고 나서 홀연히 보이지 않으셨다.
여기서 아래로 11항하의 모래알 수효만큼 멀리 가면 무감(無減)이라는 이름의 찰토가 있는데, 부처님의 이름은 보원(普願) 여래ㆍ지진ㆍ등정각ㆍ명행성위ㆍ선서ㆍ세간해ㆍ무상사ㆍ도법어ㆍ천인사이고, 호(號)는 불세존이시다. 세존께서는 저 회상에 계시면서 게송을 말씀하셨다.
시방의 모든 부처님 모이시니
평등하여 둘이 없도다.
공의 정[空定]을 설하여 다하니
고요하여 행이 있지 않도다.
중생에게 항상함의 상념이 있어
공(空)은 한정이 있다고 말하나
근본에 통달하면 물들어 더러움이 없나니
이것을 모두 공에 돌아간다고 말하느니라.
베풀지 못하는 마음은 얽매이고 집착해서
본원(本願)의 행(行)을 잃기 때문에
드디어 비방하는 법을 내게 되어서
불법(佛法)의 성스러운 무리가 없다네.
여래의 계와 덕의 몸은
청정하여 티와 흠이 없어
제도 못한 이를 제도했으니
3세에 관하는 상념이 없도다.
공식(空識)은 스스로 이름 있어
자연히 생겨나고 자연히 멸하나
이 생(生)은 공식이 아니니
식의 멸함도 또한 그러하도다.
저 근본을 통달하지 못하여서
바삐 헤매면서 식(識)의 모습 구하나
가공(假空)을 이름하여 식(識)이라 했거늘
공과 식이 어찌 차이가 있으랴.
몸의 모습이 오히려 형상이 없지만
하나를 낳으면 다시 하나가 생겨나니
다만 어리석은 사람을 위해
식을 일으킴이 약간 있을 뿐이로다.
뭇 지혜가 법체(法體)를 이루고
상호가 스스로 몸을 장엄하지만,
몸이 멸하고 지혜는 공(空)으로 돌아가면
다시 식이 있다고 말할 수 있으리.
찾아보니 3세(世)는 없고
식도 없고 4대(大)도 없어서
이에 법계에 노닐 수 있으니
‘있음’ 또한 본래 있지 않음을 알았노라.
모든 부처님의 한량없는 지혜는
권도(權道)로 나타나 늘고 주는 일 없으니
이 때문에 식의 형상이 없어
모든 불찰(佛刹)에 두루 노니시도다.
이 의심 오래부터 이미 있어서
너만 아니라 나 또한 그러하니
통혜(通慧)가 널리 다 비추면
그게 바로 부처의 식[佛識]에 응함이로다.
그때 여래께서 이 게송을 말씀하시고 홀연히 보이지 않으셨다.
즉시 대중 모임에 있던 11나술의 중생들이 모두 평등한 공혜의 관(觀)을 얻었고, 다시 한량이 없는 중생인 하늘ㆍ용ㆍ귀신들이 이 법문을 설하심을 듣고서 누구나 위없는 바르고 참된 도의 뜻[無上正眞道意]을 내었다.
7. 제불권조품(諸佛勸助品)
그때 세존께서 두려움 없는 자리[無畏座]에 스스로 올라앉으시어 설상(舌相)의 광명을 놓아서 삼천대천세계를 널리 비추시고, 시방 무앙수 항하 모래 수효의 불국토 및 시방의 항하 모래 수효의 지옥ㆍ축생ㆍ아귀 나아가 시방 허공까지 다 비추시니, 중생들이 모조리 광명을 보았다.
그때 세존께서 무앙수 억백천의 광명을 놓으시니, 저 중생들은 스스로 서로 이렇게 말했다.
“아주 먼 옛날부터 일찍이 이런 미묘한 광명은 보지 못하였다. 또한 별과 해와 달의 천자들도 이런 광명은 있지 않았다. 매우 신기하고 몹시 기특하다. 일찍이 들은 적도 없고 본 적도 없다.”그때 시방의 여러 나라 중생들은 이러한 생각을 각각 내었다.
‘장차 부처님이 세상에 출현하지 않으실까?’
그때에 부처님께서 시방 중생들의 마음속 생각을 즉시 아시고 온갖 광명을 나타내시니 모두가 화불(化佛)이 되었다. 한 분 한 분의 화불은 모두 무앙수의 대중에게 앞뒤로 에워싸인 채 법을 설하고 계셨다. 이른바 설하시는 법이란 형상이 없는 법, 언교(言敎)가 없는 법, 태어남도 없고 늙음도 없고 병도 없고 죽음도 없는 법이었다. 뒤에 이 음성을 듣고서 광명은 보지 못하고 형색(形色)을 본 자들은 모두 부처님 설법의 음향, 공혜(空慧), 법혜(法慧), 그리고 집착 없는 마음을 말씀하심을 들었다.그때에 부처님께서 회상에 모인 사부대중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자못 이 설상(舌相) 광명의 불가사의한 법이 시방의 무앙수 항하의 모래 수효와 같이 많은 찰토에 널리 이르러서 한량없는 중생의 무리를 비추고 아울러 온갖 화불(化佛)이 법문을 설하는 것을 보았느냐?”
그때 온갖 신통 있는 보살대사들이 모두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러하나이다, 부처님이시여. 저희들은 모두 보았나이다.”욕망에 집착한 중생인 범부들도 다시 스스로 부처님 앞에서 말씀을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저희들은 광명은 비록 보았사오나 이 광명이 무슨 상서로운 감응(感應)인지는 알지 못하나이다.”
이때 부처님께서 저 중생의 마음속 생각을 아시고, 의심을 없애고 망상에 집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연수보살(軟首菩薩)에게 문득 말씀하셨다.“여래 지진(如來至眞)은 위없는 등정각을 이루어서 몸은 황금빛으로 둥근 광명이 일곱 자이고, 목소리는 갈비조(羯毘鳥)처럼 부드럽고 흠이 없으며, 뭇 상호로 몸을 장엄하였는데, 모두 지나간 세상 무앙수의 겁 동안 복을 쌓고 착한 일을 행하여 뭇 덕을 갖춘 것으로 말미암아 입의 허물을 범하지 않고 설하신 언교에 늘고 줄어듦이 없었느니라. 그런 까닭에 여래ㆍ지진ㆍ등정각으로 하여금 지금 열네 가지 설상(舌相)의 과보 법을 얻게 하였느니라.그 열네 가지는, 첫째 말소리가 지극히 정성스러워서 속임이 없고, 둘째 설하시는 바를 들으면 문득 믿어서 알게 되고, 셋째 입의 행이 근문(根門)을 잃지 않고, 넷째 때를 알아 법을 설하여서 빠뜨림이 없고, 다섯째 스스로 금계를 널리 펼침을 즐기고, 여섯째 명구(名句)가 차례대로 서로 응하고, 일곱째 큰 사랑의 가피(加被)로 보시의 마음을 버리지 않고, 여덟째 부처님의 형상(形像)을 보고는 의심을 품지 않고아홉째 부처님의 신통을 얻어 스스로 노닐고 유희하며, 열째 법계에 벌써 들어갔어도 부처 지혜를 버리지 않고, 열한째 한량없는 지혜와 다함없는 곳간을 얻고, 열두째 부처님의 뜻은 형상이 없어서 모두 다 들어가게 되고, 열셋째 권도의 지혜가 걸림이 없어서 제도가 있음을 보지 않고, 열넷째 성실한 진리의 지혜에 머물러서 누구나 다 돈독히 믿는 것이니, 이것을 열네 가지 설상(舌相)의 과보라고 이르느니라.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으로서 이 열네 가지 설상의 과보를 얻는 이는 곧 이 한량없는 광명을 놓아서 시방의 모든 불국토에 비출 수 있으니, 모두 지난 옛적의 말에 속임이 없었음을 말미암음이니라.”
부처님께서 다시 연수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 깊은 법을 지니고서 읊고 외는 이는 문득 몸에 싫증냄이 없는 열 가지 과보를 얻으리니, 어떤 것이 열 가지인가?여래ㆍ지진ㆍ등정각께서 두려움 없는 자리[無畏座]에 오르시자 먼저 평등관(平等觀)으로써 뜻을 거두어 침묵하면서 속으로 스스로 생각하셨다.
‘나는 이제 대중 가운데서 사람 중의 영웅[人中雄]이다. 지금 이 자리에 앉았으니 크게 구제해야겠다.’
그리고 다시 스스로 생각하셨다.
‘중생의 무리는 불가사의하구나. 10신(信)의 경지에서 퇴전(退轉)하고자 하는 이나 혹은 초지(初地)부터 6지(地)까지 이르렀으면서도 퇴전하고자 하는 이는 마땅히 따로 두어서 성인(聖人)의 반열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음란하고 화내고 어리석어서 마음에 얽히고 집착함이 많은 중생도 역시 따로 두어서 성례(聖例)에 있지 않아야 한다.혹은 어떤 중생이 그 뜻이 호화스러운 부귀만을 숭상하고 덕의 근본을 짓지 않는다면, 이 역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무명의 마음이 치성하여서 교만한 행을 일으킨다면, 이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마음으로 환법(幻法)을 알아서 여래는 환(幻)으로서 부처가 아니라고 본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혹은 어떤 중생이 세속의 신통을 얻어 부처님의 신통과 덕도 자기와 다름이 없다고 본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체성(體性)이 강하여 여래의 총지(摠持)의 행을 믿지 않으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혹은 어떤 중생이 보시하는 마음이 치우치게 많아서 여래의 보시를 듣고도 나와 무엇이 다른가 한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순수한 계의 마음[戒心]이 있어도 여래의 계를 듣고서 나와 더불어 무엇이 다르냐고 한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마음이 항상 인자하고 잘 참아서 지금 세존의 참음이 나와 무엇이 다르냐고 한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혹은 어떤 중생이 정진을 하면서 세존의 정진이 나와 더불어 무엇이 다르냐고 한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마음으로 참선을 즐겨서 세존께서 행하시는 선(禪)이 나와 무엇이 다르냐고 한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세간의 변재를 얻어서, 세존의 설하시는 지혜가 나와 무엇이 다르냐고 한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혹은 어떤 중생이 사랑하는 마음이 치우쳐서 여래께서 설하시는 인자함이 나와 무엇이 다르냐고 한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비의(悲意)가 끊임이 없어서 여래가 비(悲)를 행하는 것이 나와 무엇이 다르냐고 한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항상 환희를 품고 있으면서 여래의 환희가 나와 무엇이 다르냐고 한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혹은 어떤 중생이 마음을 항상 놓아버리면서 여래의 놓아버림이 나와 무엇이 다르냐고 한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마음으로 항상 공을 염(念)하면서 여래가 공을 행함이 나와 무엇이 다르냐고 한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마음으로 멋대로 거래하려고 하지 않으면서 여래의 무원(無願)이 나와 무엇이 다르냐고 한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상념에 집착하지 않으면서 여래의 무상(無想)이 나와 무엇이 다르냐고 한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그때 부처님께서 연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중생이 처해 있는 지취(志趣)도 같지 않고, 온갖 시방의 부처님세계ㆍ욕계ㆍ색계ㆍ무색계의 중생의 심념(心念)이 저마다 달라서 같지 아니하느니라. 가령 어떤 욕계의 중생은 5욕(欲)을 즐기느라고 5음(陰)을 버리지 않으니,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聖例)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은 색(色)을 계교하여 품에 간직하고서도 안으로 욕심에 집착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니,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은 무색(無色)을 즐기길 원하는데,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부처님께서 연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중생의 무리는 심식(心識)이 같지 않아서 행하는 것이 각각 다르다. 왜냐하면 모두가 뒤바뀜으로 인해 갑자기 깨달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
내가 오늘 중생의 무리를 살펴보니, 마음의 나아가는 바에 무슨 도(道)를 구하고 싶어 하는지 알겠다. 시방세계의 무수한 찰토에 이르도록 낱낱이 요달해 알아서 그릇되지 않으니, 마치 눈 있는 사부(士夫)가 몸소 자기 손으로 밝은 달의 신령스런 구슬을 잡고서 자세히 살펴 미혹하지 않고 다른 나머지 상념도 없는 것과 같다. 나도 이제 마찬가지라서 중생의 신식본행(神識本行)이 나아가는 바를 분별한다.혹은 어떤 중생이 일념 사이에 한 가지 행과 두 가지 행을 뜻하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일념 가운데 뭇 행을 갖추고 행 또한 무기(無記)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계는 있지만 보시는 없고 보시는 있지만 계가 없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 혹은 어떤 중생이 여섯 가지 행을 갖추었거나 여섯 가지 행을 갖추지 못했다면, 이것도 또한 버려두고서 성례에 있지 않아야 한다.과거 항하의 모래알과 같이 무수한 여래ㆍ지진ㆍ등정각께서는 세 가지 품을 먼저 갖추시고 난 뒤에 법을 설하셨다. 만일 미래의 항하 모래 수효의 온갖 부처님이 법을 설하고자 한다면, 또한 마땅히 이 세 가지 품의 묘한 행을 갖추어야 하느니라. 어떤 것들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중생의 생각[念]을 관하니 생각 생각마다 같지 않고, 둘째는 모든 부처님은 무외(無畏)의 도량을 장엄하시는데, 성문이나 연각은 이 도량을 능히 세울 수 없고, 셋째는 본래 아직 법을 듣지 못했어도 여래가 설해 주면 모조리 공혜(空慧)에 돌아가는 것이니라. 이것을 여래의 세 가지 품의 묘한 행이라고 말하니, 법을 설할 때가 되면 이지러지거나 줄어드는 일이 없게 하여라.”그때 연수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무엇을 여래의 세 가지 품의 묘한 행이 세운 바가 같지 않다고 하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답하여 말씀하셨다.
“그렇다. 그대의 말한 바와 같다. 내가 이제 마땅히 그대를 위하여 낱낱이 설명해 주리라. 어떤 것을 보살의 세 가지 품의 묘한 행이라 말하는가?여래 지진이 처음으로 정의중상삼매(定意衆相三昧)에 들어서 널리 중생을 위하여 한 모임에서 설법을 하시는데, 이처럼 무앙수의 무리가 마음이 똑같이 하나의 식(識)이고 염(念)하는 바도 또한 똑같아서 고(苦)의 뜻을 설함이 나머지 딴 법전이 아님을 들었다면, 이것은 곧 여래의 예에 들어가게 된 것이니라.
또다시 족성자여. 지나간 세상ㆍ오는 세상ㆍ지금 세상의 부처님들도 저 중생의 마음속 생각을 알아서 먼저 등각(等覺)으로부터 비로소 위없는 바른 법을 이루시지만, 그러면서도 유(有)의 법을 설하여 상념의 집착을 여의지 아니하면, 이것도 또한 성례(聖例)에 있지 않아야 하느니라.또다시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은 먼저 열 가지 뜻을 거두어서 어지러운 상념의 행을 없애고, 그런 뒤에 깊고 묘한 법장(法藏)을 연설해서 중생의 무리로 하여금 듣고 있는 언교(言敎)를 빨리 알아 마치게 하여야 한다. 어떤 것들이 열 가지 뜻이 되는가.
여래가 법을 설하고자 할 때에 한결같이 걸림 없이 다 관하니, 즉 중생이 어떠한 법에 응해서 도탈(度脫)을 얻게 될까. 다시 어떤 중생은 뜻에 깊고 얕음이 있는데 무슨 방편을 써야 건져서 구제할까. 혹은 다시 법을 설하매 하나의 행일 뿐 둘이 없는데, 이제 이 중생은 이 법에 응하게 되나 못되나. 한량없는 공식심(空識心)이 염(念)하는 바는 어떠한 법을 좇아야 되는가를 관하고, 그런 뒤에 분신(奮迅)삼매를 안다.행에 더러움이 없어서 일념 사이에 모든 법을 모조리 갖추고, 법계의 비롯함도 없고 끝남도 없음[無始無終]을 관해서 여러 가지 불사를 행하는 데 또한 걸림이 없다. 한량없는 지혜로써 일체를 널리 윤택하게 하고, 대중의 모임이 이미 정하여지면 신족의 힘으로 그들의 심의(心意)를 비추어 본래의 인연을 모두 알아서 법을 설하게 되니, 이는 바로 성례(聖例)에 있어야 하느니라.
다시 연수야,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은 무외좌(無畏座)에 오르시면 다시 마땅히 열 가지 다함없는 법을 갖추어야 한다. 어떤 것들이 열 가지 법이 되는가.모든 부처님의 법장(法藏)은 생각으로 헤아릴 수가 없으며, 부처님의 몸도 한량이 없고 법도 또한 한량이 없다.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은 다시 다함없는 무형의 법해(法海)가 있어서 불사를 위하여 베푸느니라. 다시 다함없이 안식(眼識)으로 거두어들일 수 없음이 있어서 시방의 유형과 무형의 식을 널리 보시느니라.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은 훌륭한 권도의 방편으로 중생을 건져서 구제하여 본래의 서원을 버리지 않고, 일체를 널리 세워서 열 가지 착한 행을 닦느니라.다시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은 안으로 항상 한뜻[一意]이면서 밖으로 설법을 나타내시는데, 한 가지 정한 것으로 적멸법에 응하지 않고, 법을 설하는 것으로 바깥의 어지러움을 나타내지 않느니라. 다시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은 법을 설하실 때 감로의 법우(法雨)를 내려서 유정ㆍ무정과 유식(有識)ㆍ무식(無識)에게 널리 두루하여 모두 윤택을 입게 하시느니라.다시 다음으로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은 집에 살면서 색상(色相)의 특수함을 성취하셨기 때문에 대중 가운데 높은 곳에 처한 자의 마음을 항복시켜 스스로 낮추게 하면서 나의 성(姓)이 부귀하다고 스스로 말하지 않게 하고, 낮은 곳에 처한 자는 여래는 본래 족성(族姓)으로부터 나왔다고 말하지 않게 하느니라. 다시 다음에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은 전생 일을 아는 지혜[宿命智]로써 전생의 일을 아시는 데 다함이 없어 계량할 수 없느니라. 제도하기 어려운 중생은 5도(道)에 태어나서 본래 이 인연을 지었으니, 이제 다시 인연을 갚는 인연으로 깨달음을 얻느니라.다시 다음에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은 크나큰 서원의 네 가지 평등한 마음을 발해서 능히 시방의 형상이 있는 중생으로 하여금 하루에 부처를 이루어 온갖 상(相)을 갖추고 여실히 원대로 모두 부처의 도를 이루게 하시느니라. 다시 다음에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은 뜻을 견고하게 세워서 본래의 마음을 버리지 않으시느니라. 다시 한량없는 부처님 세계로 하여금 널리 똑같이 하루에 다 멸도(滅度)를 취하게 하는데, 그의 생각[念]대로라서 어기거나 그릇되지 않느니라.
이상을 열 가지 다함없는 여래의 법요(法要)라고 말하나니, 무외좌에 올라 이 법요를 갖추어서 여래의 다함없는 법을 선포해 창달하시니, 또한 아라한이나 벽지불이 능히 전할 바가 아니니라.”이때 부처님께서 연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어떠한가, 족성자야.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공(空)ㆍ무상(無相)ㆍ무원(無願)을 익혀 행하여서 누구나 믿음의 경지에 서서 보살의 행을 닦으면, 그 복이 많은가 많지 않은가?”
연수보살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매우 많고 매우 많나이다. 부처님이시여, 측량할 수 없사오며 비유할 수도 없나이다.”부처님께서 연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그러나 이는 선남자나 선여인이 열 가지 무진장(無盡藏)을 지녀서 읊고 외는 것만 못하니, 열 가지 무진장을 지녀서 외는 복(福)은 앞에서 말한 선남자나 선여인의 복보다 훨씬 뛰어나느니라.”
부처님께서 다시 연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어떠한가, 족성자야.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미 2지(地)에 있으면서 뭇 행을 갖추고 게으름과 하열한 마음을 품지 않고 아울러 다시 앞서 믿음을 세운 것과 같이 공양하길, 시방의 항하의 모래알과 같이 많은 불국토에서도 모두 이와 같이 하는 무리가 있다면, 그 복이 많겠느냐 많지 않겠느냐?”연수보살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몹시 많고 몹시 많나이다. 가히 측량할 수가 없나이다. 왜냐하면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온갖 법을 수행하여 믿음의 경지로부터 2지(地)까지 이르고, 이와 동등한 무리가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찼다고 하는 것은 매우 신기하고 매우 기특하여 비유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족성자여, 따라서 이 선남자나 선여인이 열 가지 다함없는 법을 받들어 지녀서 수행함만 못함이니, 그 복은 몹시 많고 몹시 많아서 비유할 수가 없느니라.”
부처님께서 다시 연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온갖 법을 수행하여 3지(地)를 성취해서 모든 법의 근본을 충분히 성취케 하고, 아울러 앞의 믿음의 경지와 2지와 시방의 항하 모래 수효의 불국토의 모든 이와 같은 무리로 하여금 성취하게 하면, 그 복이 많겠느냐 많지 않겠느냐?”연수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몹시 많고 몹시 많나이다. 가히 측량할 수가 없나이다. 왜냐하면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온갖 법을 받들어 수행해서 믿음의 경지로부터 2지, 3지까지 이르고, 이와 동등한 무리가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가득함은 비유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다시 족성자에게 말씀하셨다.
“따라서 이 선남자나 선여인이 열 가지 다함없는 법을 받들어 수행하는 것만 못하니, 그 복은 매우 많고 많아서 비유할 수가 없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연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온갖 법을 수행하여 4지를 성취해서 앞서의 믿음의 경지, 2지, 3지로 하여금 충만하게 하여 동등하게 하였다면, 그 복이 많겠느냐 많지 않겠느냐?”
연수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매우 많고 매우 많나이다. 부처님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따라서 이 선남자나 선여인이 열 가지 무진장을 지녀서 읊고 외는 것만 못함이니, 그 복은 저 선남자나 선여인보다 훨씬 뛰어나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연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어떠하냐. 족성자야.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진실한 진리를 갖추고 법을 의심하지 않아서 5지의 여래 법인(法印)을 버리지 않고, 아울러 믿음의 경지에서부터 4지까지 행하여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가득 찼으면, 그 복이 많겠느냐 많지 않겠느냐?”
연수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매우 많고 매우 많나이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따라서 이 선남자나 선여인이 열 가지 다함이 없는 법을 받들어 지녀서 수행함만 못함이니, 그 복은 매우 많아서 비유할 수가 없느니라.”
부처님께서 다시 연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다시 이걸 버리고 나서,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미 6지(地)에 있으면서 뭇 행을 갖추어 저 공(空)ㆍ무상(無相)ㆍ무원(無願)을 이미 초월하고 필연적으로 의심치 않는 한편, 믿음의 경지에서 5지까지 행하여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가득 찼다고 하면, 어떠한가. 족성자야, 그 복이 많겠느냐 많지 않겠느냐?”연수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매우 많고 매우 많나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따라서 이 선남자나 선여인이 열 가지 무진장을 지녀서 읊고 외는 것만 못함이니, 그 복이 저것보다 뛰어나느니라.”
부처님이 다시 연수에게 말씀하셨다.
“어떤가, 족성자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이 큰 서원이 굳건하여 7지에서 불퇴전(不退轉)에 머물며 온갖 법을 갖추어서 피아(彼我)가 없고, 믿음의 경지로부터 6지에 이르기까지 뭇 덕이 갖춰지고 온갖 행이 완비되었다면, 어떤가, 족성자야. 그 복이 많겠는가, 많지 않겠는가?”연수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매우 많고 매우 많나이다. 부처님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따라서 이 선남자나 선여인이 열 가지 무진장을 지녀서 읊고 외는 것만 못함이니, 그 복은 저것보다 뛰어났느니라.”
부처님께서 다시 연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7지를 이미 지나서 앞으로 성불로 나아가면서 ‘나는 이제 피차의 상념이 없는 경지에 이미 머물렀다, 나의 자각(自覺)은 필연이라서 의심치 않는다’고 하며, 이와 동등한 무리가 시방에 두루 가득 차서 앞서 믿음의 경지부터 7지에 이르기까지처럼 공양한다면, 그 복이 많겠는가, 많지 않겠는가?”연수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매우 많고 매우 많나이다. 부처님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따라서 이 선남자나 선여인이 열 가지 무진장을 지녀서 읊고 외는 것만 못하나니, 그 복은 저것보다 뛰어나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연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보살마하살이 이미 생겨남이 없고 일어나거나 멸함도 없는 법[無生無起滅法]을 얻어서 마음이 허공 같아 더럽힐 수가 없고 오직 방편의 지혜로 나무 아래에 나아가는데, 이와 동등한 무리가 처음 믿음의 경지부터 8지에 이르기까지 뭇 행을 갖추고 성불이 머지않아서 삼천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가득 찼다고 하면, 어떻겠는가, 족성자여, 그 복이 많겠는가, 많지 않겠는가?”연수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매우 많고 매우 많나이다. 부처님이시여, 왜냐하면 이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미 부처의 짝[佛伴]에 머물러서 문득 그 이름을 부처라 하거늘, 하물며 다시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서 믿음의 경지로부터 8지에 이르기까지이겠나이까. 그러하니 9지 보살마하살의 일념의 덕만 못하나이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열 가지 무진장을 지녀서 읊고 외면, 오늘날의 나처럼 여래ㆍ지진ㆍ등정각ㆍ명행성위ㆍ선서ㆍ세간해ㆍ무상사ㆍ도법어ㆍ천인사를 이루지만, 오히려 열 가지 무진장은 얻지 못하리라.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으로 열 가지 무진장을 닦아 익히고자 하는 이, 시방의 여래가 일시(一時)에 도를 얻음을 다 아는 이, 같은 때에 열반에 드는 이, 중생의 심식에서 상념의 집착을 다 멸한 이, 앞에 있으면서 부처를 이루고자 하는 이, 중생을 거두어 부처의 마음과 똑같게 하고자 하는 이는, 반드시 이 열 가지 무진장을 닦아 익혀야 하느니라.”
그때에 석가모니부처님께서 대중 가운데 계시면서 이 게송을 말씀하셨다.
내가 이제 비록 부처 이룬 것은
옛적에 권하고 도운 과보로 말미암은 것이니
바른 법은 옮길 수 없고
대도는 약간(若干)이 없네.
지나간 세상 스스로 생각하니
여러 부처님을 섬기어 공양했고
도법(道法)으로써 권하고 도와주어
형상을 버리고 형상 없음에 이르렀노라.
다시 무수한 겁에
무진장(無盡藏)은 얻지 못해
뜻을 세워서 상념을 두지 않아
무위의 언덕[無爲岸]에 차츰 이르렀노라.
여래 등정각은
세 가지 통달하고 여섯 가지 통한 지혜로
권하고 도와서 뭇 행을 갖추어
이에 무진장을 얻었네.
본원(本願)이 이제 과보를 얻으니
그래서 ‘하늘 중의 하늘’이라 이름하고
이 권하고 도운 복으로 말미암아
스스로 무극존(無極尊)을 이루었노라.
강과 바다도 다하고
산과 강도 무너져 버리고
해와 달도 이지러지고 찰 수 있지만
법장(法藏)은 다함이 없도다.
모든 부처님의 권혜(權慧)의 도(道)는
그 힘을 헤아릴 수 없으니,
온갖 중생을 양육하면서
자비와 연민으로 법을 굴리시네.
혹은 모태(母胎)에 나타나 있음은
부모를 교화하고자 함이고
다시 전륜왕이 되어서
무수한 국토를 거느렸도다.
명쾌하다, 이 과보여
이 무진장을 얻었고
수행으로 성불을 얻었으니
변화는 다함이 없구나.
옛적 무수한 세상에 있으면서
복을 짓고 공덕을 세웠는데
권유와 도움을 제일로 삼으매
더 이상 뛰어난 자가 없었네.
금ㆍ은 등 7보(寶)는
색상(色相)이 비길 데 없나니
모두 권유와 도움을 말미암은 과보이니
다함없는 온갖 법장이로다.
허공은 있는 바가 없어서
형상과 색(色)의 모습을 지음을 말미암나니
이 법은 너무나 깊고 묘해서
진제(眞諦)는 무너뜨릴 수가 없어라.
그때 석가모니여래께서 이 게송을 말씀하시고 나서 다시 선남자와 선여인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보살마하살이 처음 뜻을 발했을 때부터 성불에 이르기까지 온갖 중생을 나와 다르지 않게 하려는 이는 이 열 가지 무진장을 반드시 익혀야 하느니라.”
이때 여래ㆍ지진ㆍ등정각께서는 장차 법을 설해 법륜을 굴리고자 문득 무진장정의(無盡藏定意)에 들어가시어 시방의 항하 모래 수효의 온갖 부처님을 감동시키고, 때에 감응하여 얼굴을 나타내서 동시에 한 음성으로 각기 게송을 말씀하셨다.
현재의 법[現法]은 네 가지 뜻을 여의고
여래는 집착의 행이 없네.
하나를 닦아서 불도(佛道)를 얻고
생각[念]으로 나아가매 게으름 없네.
삼향(三向)은 평등의 공(空)으로
그 호칭을 무진장이라 하나니,
열 가지 행의 근본을 버리지 않음을
이것을 일러 여래장(如來藏)이라 하도다.
불법은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나니
허공처럼 받아들이는 바가 없고
나의 식은 나를 보지 못하나니
이 감응이 무진장이로다.
부처님의 행은 다함이 있지 않고
연설하신 바도 헤아릴 수 없으며
일체를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까닭에
있는 바 없음[無所有]을 나타내 보이시도다.
여래이신 모든 부처님의 상(相)은
도를 이루면 차이가 없지만
저 중생의 뜻에 따라서
상(相)에 높고 낮음 있음을 아네.
나는 이제 동등함이 없어
중생의 고통을 근심하고 싫어하나니
도로써 뜻을 스스로 거두어 잡아
온갖 외도를 항복시키네.
일체 모든 법의 근본은
연(緣) 없으면 또한 합하지 않고
도는 평등각(平等覺)으로부터
곧 여래의 지혜에 이르네.
모든 부처님은 불가사의하고
법의 근본도 불가사의하고
연(緣)의 과보도 불가사의하고
분별도 불가사의하네.
내가 머물면서 천겁을 지냈는데
부처와 부처가 스스로 칭찬하나니
능히 법장(法藏)을 다해서
털끝만큼의 손감(損減)도 있지 않았네.
우리들이 벌써 성불하여
공(空)의 법신(法身)을 갖춘 것은
옛적에 무진장을 닦아서
스스로 사람 중에 높은 이[人中尊]가 되었네.
욕계는 번뇌가 많지만
욕심을 끊음도 딴 곳에서가 아니니,
욕심에서 욕심을 능히 여읨은
모두 무진장을 말미암음이로다.
비록 머물면서도 머묾에 처하지 않고
형상과 색의 모습 또한 없으니,
온갖 집착을 분별하여 설하지만
부처님의 식[佛識]에는 형상 없도다.
여래는 색상(色相)이 없건만
중생 위해 상(相)을 나타내고
집착도 없고 오염도 없어서
여래의 몸도 또한 공(空)하도다.
바로 지금 등정각(等正覺)이
시방의 세계에 두루 찼으니
본식(本識)은 불가사의해서
무진장을 연설하시네.
이때 시방의 여러 부처님이 이 게송을 말씀하시고 나자, 여덟 방위[八方]및 위와 아래에서 여섯 번이나 진동이 반복되었다. 그때 자리에 있던 6백 명의 비구들은 본래 아라한에 나아갔었으나, 잠깐 사이에 뜻을 돌려 무진장에 이르렀고, 13억의 중생들도 다함없는 법장을 또한 얻었다.
8. 여래품(如來品)
그때 연수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여러 족성자(族姓子)들은 어떻게 다함없는 법장(法藏)을 닦아 익혀야 하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다함없는 법을 닦고자 한다면, 다섯 가지 고통의 법문을 마땅히 닦아야 하느니라. 어떤 것들이 다섯 가지 고(苦)의 법문인가?
만일 어떤 중생이 시방의 세계를 보아서는 마땅히 고(苦)의 지혜와 고의 식(識)을 들어서 문득 능히 형상을 따라 접하여 제도해야 하니, 이것을 첫째의 법이라 말하느니라.다시 다음에 족성자야,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한량없는 세계의 중생들이 생각하는 공(空)하여 있는 바 없음을 보고자하고 공의 고혜(苦慧)를 얻고자 한다면, 반드시 이 뜻을 세워서 물러나지 말아야 하니, 이것을 둘째의 법이라고 말하느니라.
다시 다음에 족성자야, 여러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는 모두 평등의 뜻을 얻어서 다함없는 자비를 행하니, 얻지 못한 자는 얻고, 제도 받지 못한 이는 제도를 받는다. 이것을 셋째의 법이라 말하느니라.다시 다음에 족성자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이 집에 살면서 성취하고 종성도 마찬가지라면, 모두 괴로움의 지혜를 알아서 마음에 즐거움이 있지 않음이니, 이것을 넷째의 법이라 말하느니라.
다시 다음에 족성자야,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여래의 한량없는 법문과 다함없는 법장의 온갖 지혜가 자재하면, 이것을 다섯째 법의 다함없는 법장이라고 말하느니라.
다시 다음에 족성자야,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다함없는 법장을 충분히 갖추고자 하면,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느니라. 어떤 것들이 다섯 가지 일인가?여러 부처님께서 항상 등정(等定)에 계시면서 어떤 때는 허공관(虛空觀)에 들어가 중생이 성현의 법률에 있음과 성현의 법률에 있지 않음을 분별해서 모조리 편안히 처하게 하여 그 소원을 각각 충족시키시니, 이것을 첫째의 법이라 말하느니라.
다시 다음에 족성자야, 만일 하늘에 나고자 하거든 마땅히 여러 하늘의 계법을 닦아 행해야 하느니라. 애욕이 있는 하늘도 있고, 애욕이 없는 하늘도 있다. 때로 어느 하늘은 애욕과 즐거움에 집착하기도 하고 애욕과 즐거움에 집착하지 않기도 하니, 능히 두 가지 일을 갖추어서 모조리 물들거나 집착함이 없어야 다함없는 법에 응하느니라.다시 다음에 족성자야, 다시 마땅히 네 가지 과보의 행을 갖추어서 문득 신통을 타고 한량없는 세계에 노닐어야 하나니, 어떤 것들이 네 가지 과보의 행인가?
모든 부처님은 항상 고요함에 처해 있는데, 만일 여러 하늘ㆍ용ㆍ귀신ㆍ건달바ㆍ아수라들이 여래에게서 진실을 듣고자 한다면, 물음을 채 발하지도 못한 사이에 여래께서 이미 이 족성자가 장차 물으려는 뜻을 아나니, 이것을 첫째 법의 네 가지 과보의 행이라고 말하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족성자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심의(心意)가 고요하여 법을 듣고자 하지 않으면, 여래께서는 좇아올 수 있을까, 좇아올 수 없을까, 법을 듣고자 할까, 법을 듣고자 하지 않을까를 다 알고 있으니, 이것을 족성자야, 제2의 과보라고 말하느니라.다시 다음에 족성자야,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미 여래의 인(印)을 얻었으면, 문득 중생의 심의를 능히 인가할 수 있으니, 이것을 제3의 과보라고 말하느니라.
다시 다음에 족성자야,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미 바른 법을 들었지만 마음으로 헤아리는 바도 아니고 생각으로 측량하는 바도 아니어서 모두 평등해서 두 가지 상념이 없게 하니, 이것을 제4의 과보라고 말하느니라.다시 다음에 족성자야, 4신족의 행을 갖추고자 한다면, 마땅히 이 네 가지 일의 과보를 생각해야 하느니라. 어떤 것들이 4신족인가?
보살마하살이 처음으로 뜻을 발하면서부터 1지(地), 2지, 나아가 10지에 이르기까지 각각 신족이 있지만 행마다 같지 않느니라. 어떤 보살은 이미 1지에 있으면서 문득 신식(身識)을 얻어서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노닐며 다니고, 정(定)의 뜻은 못 얻었지만 중생의 마음을 안다.다시 어떤 보살은 이미 1지에 있으면서 부처님의 색상과 온갖 상호[好]의 갖춤을 얻어서 또다시 시방의 세계를 유람하며 여러 부처님에게 절하며 공양 올리는데, 비록 신통은 얻었으나 아직 중생을 교화해서 부처님 국토를 청정케 하는 일은 능히 감당하지 못하느니라.
다시 어떤 보살마하살은 신통을 이미 얻어서 여러 부처님께 절하며 공양올리고, 문득 법을 설하여 중생을 교화할 수 있느니라.다시 어떤 보살마하살은 이미 초지(初地)에 있으면서 부처님 나라를 청정하게 닦지만 제1지의 일은 능히 스스로 알지 못하느니라.
다시 어떤 보살마하살은 큰 서원의 대승의 마음을 갖추지 못한 채 그 가운데에서 망설이는 상념의 집착을 문득 내는데, 이와 같은 무리는 반드시 성문과 연각의 도에 떨어지니라.
다시 어떤 보살마하살은 1지의 청정한 행을 닦아 다스리고, 다시 신통으로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널리 노닐면서 중생의 마음속 생각을 두루 알지만, 저 중생을 능히 제도하여 도검(道撿)에 편히 두지는 못하느니라.다시 어떤 보살마하살은 이미 초지(初地)에 있으면서 4신족(神足)을 얻었느니라. 제1의 신족은 그 이름을 고관(苦觀)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모든 부처님 세계에 항상 노니면서 온갖 고통을 받는 중생을 무위(無爲)에 처하게 하느니라. 제2의 신족은 그 이름을 음향(音響)이라고 하는데, 이 법을 얻은 보살은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니며, 응당 음향으로부터 제도를 받을 수 있는 중생들은 보살의 설하는 바를 듣고 믿어 이해하지 않음이 없느니라.다시 신족이 있으니 그 이름을 발의(發意)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며, 중생들이 뜻을 발하여 도에 나아가려고 하면 능히 옹호하여 성취케 하느니라. 다시 신족이 있으니 그 이름을 감동(感動)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시방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의 마음을 관하여 공관(空觀)으로부터 제도를 얻게 하니, 이것을 초지의 보살마하살이 갖추는 4신족의 행이라고 말하느니라.2지 보살에게 다시 네 가지 일[四事]이 있으니, 어떤 것들이 넷이 되는가. 보살이 신족이 있으니 그 이름을 멸종(滅種:종자를 멸함)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시방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며 중생이 의식으로 생각하는 바를 모두 알아서 범부의 종자를 멸하여 성제(聖諦)의 경계에 들어가게 하느니라. 다시 멸하는 신족이 있으니, 이 신족을 얻은 이는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 마음속 생각의 선과 악에 대한 상념을 다 관하여 악(惡)의 상념을 능히 멸하고 성제에 들어가게 하느니라.다시 신족이 있으니 그 이름을 제구(除垢:때를 없앰)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 마음속 생각이 더러움의 욕심으로 얽어맨 마음임을 관해서 능히 범부의 식념(識念)을 없애주고 성제에 들어가게 하느니라. 다시 삼교편(三巧便)이라는 신족이 있으니,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의 심식(心識)이 생각하는 바를 모두 알아서 능히 저 뜻을 세우고 세 가지 평등한 법을 건립하느니라. 이상을 보살마하살이 4신족의 법을 얻어서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능히 노닐면서 2지(地)의 행법을 능히 갖추었다고 말하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족성자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3지에 있으면서 다시 네 가지 영락신족이 있으니, 이 몸을 능히 변화시켜 한량없는 형상을 이루었다가 도로 합쳐서 하나로 만드느니라. 어떤 것들이 네 가지인가? 본요(本要)이라는 신족이 있으니, 이 신족을 얻은 이는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의 마음속 생각을 널리 보아서 내가 생각하는 바처럼 해서 제도하여 해탈시키느니라. 다시 법행연치(法行然熾)라는 신족이 있으니,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의 마음속 생각을 다 관해서 기쁨과 분노 있는 자와 기쁨과 분노 없는 자를 보면 불타는 법으로써 교화하느니라.다시 무형(無形)이라는 신족이 있으니,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의 마음속 생각을 관해서 심식 없음으로 교화하느니라. 다시 삼청정(三淸淨)이라는 신족이 있으니, 이 신족을 얻은 이는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의 생각을 관하여 알아서 세 가지 법행을 설하여 세 가지 상념을 멸하게 하느니라. 어떤 것이 세 가지 법행인가. 첫째는 공이요, 둘째는 식(識)이요, 셋째는 나[我]이니라. 이상을 보살마하살이 3지에 있으면서 4신족의 행을 갖춘다고 말하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족성자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4지에 있으면서 다시 이 4신족을 마땅히 갖추어야 하나니, 어떤 것이 4신족인가? 다시 신족이 있으니 그 이름을 무상(無相)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3색천(色天)으로부터 허공의 끝[虛空際]에 이르기까지 널리 중생으로 하여금 무상법을 얻게 하느니라. 다시 제탐(除貪:탐욕을 없애는)이라는 신족이 있으니, 이 신족을 얻은 이는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의 마음속 생각을 모두 관해서 정의(定意)의 법으로 교화하느니라.다시 전법륜(轉法輪:법륜을 굴리는) 신족이 있으니, 이 신족을 얻은 이는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4무소외 없고 죽지 않는 감로의 법[不死甘露法]을 굴려서 오랫동안 굶주리고 목마른 이에게 충족함을 얻게 하느니라. 다시 등혜(等慧)라는 신족이 있으니, 이 신족을 얻은 이는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의 마음속 생각을 모두 관해서 평등한 지혜로 제도하여 해탈시키느니라. 이상을 보살마하살이 4지에 머물러서 4신족을 갖춘 것이라고 말하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족성자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5지에 있으면서 다시 4신족이 있으니, 어떤 것이 4신족인가? 어떤 신족은 그 이름이 무량문(無量門:한량없는 문)인데, 이 한량없는 문을 얻은 보살은 중생의 마음속 생각을 모두 관하여 해탈의 지혜로 제도하여 해탈시키느니라. 다시 행(行)이라는 신족이 있으니, 이 신족을 얻은 이는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의 생각하는 것을 다 요달해서 즉각 법의 근본을 설하여 법문을 통달하게 하느니라. 다시 수보(受報:갚음을 받는) 신족이 있으니, 이 신족을 얻은 이는 현재 행하는 법의 과보로 제도하여 해탈시키느니라. 이상을 보살이 5지에서 4신족을 갖춘 것이라고 말하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족성자에게 말씀하셨다.
“보살은 6지에 있으면서 다시 4신족행을 마땅히 갖추어야 하니, 어떤 것들이 네 가지인가? 어느 신족은 그 이름을 타락(墮落)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의 마음속 생각을 모두 관해서 온갖 악의 과보로 마땅히 순숙(純熟)할 이에게는 차츰 법을 설해 주어서 타락하지 않게 하느니라.다시 무근(無根:뿌리 없음)이라는 신족이 있으니, 이 신족을 얻은 이는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의 마음속 생각을 모두 관해서 그 근본을 캐어 영원히 끊어서 나오지 않게 하느니라. 다시 신족이 있으니 그 이름을 이구출요(離垢出要:번뇌를 여의어 초월하는 법요)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이는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두루 노닐면서 중생의 마음속 생각을 모두 관해서 저 중생으로 하여금 번뇌에서 벗어나는 도의 요체를 얻게 하느니라.”[범본에는 한 가지 항목이 빠져 있다]부처님께서 다시 족성자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7지에 있으면 그 이름을 불퇴전법(不退轉法)이라고 하는데, 문득 4신족의 법을 마땅히 갖추어야 하느니라. 어떤 것들이 네 가지인가? 어느 신족은 그 이름을 중생신부정(衆生身不淨:중생의 몸이 청정하지 못함)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오로(惡露)의 깨끗하지 못함을 능히 나타내 보여서 무수한 중생을 교화하느니라. 다시 신족이 있으니 그 이름을 도덕(道德)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능히 바른 도로써 3악도를 버리고 아라한을 얻게 하느니라. 다시 신족이 있으니 그 이름을 각정(覺正)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능히 중생으로 하여금 모두 믿음의 경지에 서서 물러나지 않게 하느니라. 이상을 보살마하살이 7지에서 신족의 법을 갖춘 것이라고 말하느니라.”부처님이 다시 족성자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8지에 있으면서 4신족을 갖추는데, 광대무변(廣大無邊)함이 성문이나 벽지불이 알 수 있는 경지가 아니니, 어떤 것이 4신족인가? 어느 신족은 본미발도심(本未發道心:근본적으로 도의 마음을 아직 발하지 못함)인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저 중생으로 하여금 처음으로 믿음의 경지에 서게 하지만, 나머지 행에는 아직 나아가지는 못하게 하느니라.다시 신족이 있으니 그 이름을 무생(無生)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온갖 행에서 나[我]가 없음을 하나하나 관찰하느니라. 다시 신족이 있으니 그 이름을 탐착(貪着)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여러 부처님의 상호를 탐하여 즐겨하느니라. 다시 진루(盡漏:번뇌가 다함) 신족이 있으니,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능히 한뜻으로 온갖 번뇌의 법[漏法]을 끊게 할 수 있느니라. 이상을 보살마하살이 8지에서 4신족을 갖춘 것이라고 말하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족성자에게 말씀하셨다.
“보살이 9지에 있으면서 문득 4신족의 법을 마땅히 갖추어야 하니, 어떤 것이 네 가지가 되는가. 어느 신족은 그 이름을 중해(衆海)라고 하느니라.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온갖 4사(使)가 나아와서 문을 향하는데, 번뇌가 이미 끊어졌으면 문에 들어감을 얻지만, 번뇌가 끊어지지 못했으면 문에 들어감을 얻지 못하느니라. 이것을 보살이 9지에 있으면서 4신족을 갖춘 것이라고 말하느니라.”부처님께서 다시 족성자에게 말씀하셨다.
“보살은 10지에 있으면서 4신족을 갖추어야 하니, 어떤 것이 네 가지가 되는가. 어느 신족은 그 이름이 광명(光明)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시방의 무수한 부처님 국토에 노닐면서 중생의 마음속 생각을 모조리 관해서 보리수[樹王] 밑에 나아가 결가부좌하며, 이때 큰 서원의 마음을 갖추었느니라. 다시 신족이 있으니 그 이름을 무량문(無量門)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나아갈 데를 분별하여 모두 1승(乘)으로 나아가느니라.다시 신족이 있으니 그 이름을 일념(一念)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시방의 한량없는 중생으로 하여금 모조리 일념에 도를 이루게 하느니라. 다시 신족이 있으니 그 이름을 장엄(莊嚴)이라고 하는데, 이 신족을 얻은 보살은 하루 사이에 모든 부처님 국토를 다 함께 장엄하고 똑같은 명자(名字), 똑같은 때에 함께 도를 이루느니라. 이상을 10주(住) 보살마하살이 4신족의 법을 갖추었다고 말하느니라.”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4634 보살영락경(菩薩瓔珞經) 5권 (0) | 2024.08.10 |
---|---|
[적어보자] #4633 보살영락경(菩薩瓔珞經) 4권 (0) | 2024.08.10 |
[적어보자] #4631 보살영락경(菩薩瓔珞經) 2권 (0) | 2024.08.10 |
[적어보자] #4630 보살영락경(菩薩瓔珞經) 1권 (0) | 2024.08.09 |
[적어보자] #4629 보살염불삼매경(菩薩念佛三昧經) 5권 (0) | 2024.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