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모리만다라주경(牟梨曼陀羅呪經)
모리만다라주경(牟梨曼陁羅呪經)
양(梁) 실역인명(失譯人名)
박상준 번역
만약 모리만다라(牟梨曼陁羅)를 받아 지니고자 하면 반드시 증험을 이룬 이[成驗者]가 필요하며, 먼저 3업을 지켜서 지극히 청정하게 해야 한다.
또 먼저 소유하고 있는 사리탑을 하나 정하고서 좋은 달[月]과 날[日]을 가려 선택해야 하는데, 이른바 백월(白月)의 1일부터 15일까지가 좋은 때에 해당하는 날[好時日]이다.
가령 1일에 작법하고자 해도 할 수 있는데, 그 달의 15일에 하는 것이 가장 좋다. 향탕(香湯)으로 씻어서 목욕을 하고 새로 만든 깨끗한 옷을 입은 후에 힘닿는 대로 모든 부처님과 일체의 보살과 금강 등에게 공양하는데, 4잔의 등(燈)을 밝히고 제철에 맞는 꽃을 공양하고, 3백식(白食)을 먹어야 한다. 날마다 따로 탑과 만다라를 도는데, 길을 한 바퀴 돌면서 한 번 송한다.
이와 같이 108번을 채우고 나서 잠이 올 경우에는 탑 앞에서만 잠을 자는데, 상(相)을 밝히고자 할 때에는 부처님과 금강이 곧바로 꿈속에 나타난다. 이와 같은 감응을 얻고 나면 소유하고 있는 원(願)에 따라서 만족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없다.
또 이 다라니를 송하여 3만 번을 채우면 5역의 중죄(重罪)가 즉시에 제거되어 소멸된다. 만약 이 다라니를 지녀서 지극한 체험[至驗]을 구하고자 하면 어떤 탐심도 품어서는 안 되며 욕염(欲染)을 떠나서 한결같은 마음으로 구해야 한다. 이와 같이 송하여서 지니면 모두 신속하게 체험하지 않음이 없다.
만약 날마다 따로 108번을 송할 수 있으면 지향하는 모든 것에서 이익을 얻지 못함이 없고 어떤 독(毒)도 해칠 수 없으며, 땅으로 기어 다니는 독벌레도 해칠 수 없고, 물이 빠뜨릴 수가 없고, 불이 태울 수 없고 질병과 역병(疫病)과 사나운 병이 서로 오염시키지 못한다.
가령 나라 안에서 도적과 환란이 있더라도 재앙이 또한 해칠 수 없으며, 눈ㆍ귀ㆍ코 등과 입과 치아와 몸의 모든 조그만 부분까지도 고통이 없어진다. 내지 하루 앓는 병과 이틀⋅사흘 앓는 모든 열병(熱病) 등이 해치지 못하며 온갖 뱀과 짐승 가운데 독하고 포악한 것이 상해를 입히지 못하고, 모든 염고(厭蠱)1)가 끝내 해치지 못한다. 요점을 말하자면 일체 모든 악이 해칠 수가 없으니, 이 다라니에는 이와 같은 등등의 큰 위신력이 있고, 일체 모든 공포와 두려운 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모든 근본죄를 소멸시킬 수 있고, 일체 모든 공덕의 지위에 머물 수 있고, 모든 바라밀행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빠르게 위없는 바르고 평등한 깨달음에 이르도록 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만약 높은 산꼭대기에서 이 다라니를 송하면 눈으로 보이는 곳에 있는 모든 산골짜기와 물과, 육지에 있는 온갖 중생 등과 주사(呪師)를 보는 모든 종족과 부류들이 다 명(命)의 과보가 다했을 때에 끝내 다시는 3악도에 떨어지지 않는다. 만약 천묘(天廟) 안에서 이 주(呪)를 송하면 모든 재앙을 주는 신들이 다 찾아와서 공경스럽게 받든다.
만약 용지(龍池) 가운데서 이 주를 송하면 모든 용[那伽:nāga]들이 다 찾아와서 공경스럽게 받든다. 만약 태양 앞에서 이 주를 송하면 소리라자(素唎囉闍:Sūrya-rāja, 태양왕)가 내려와서 공경스럽게 받든다.
만약 금강상(金剛像) 앞에서 이 주를 송하면 금강이 몸을 나타내서 그 소원을 만족시켜 준다. 만약 창포(昌蒲)에 주문을 송하여 8천 번을 채워서 자신이 복용하면 갈라사(曷羅闍)2)를 보게 되고 하는 말에 어그러짐이 없게 된다.
만약 호초(胡椒)에 주문을 송하여 8천 번을 채워서 입에 머금으면 그를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모두 기쁘게 할 수 있고, 그가 가르치는 말을 감히 어길 수 없게 할 수 있다.
만약 흰 겨자에 주문을 송하여 8천 번을 채워서 공중에 뿌리면 악풍(惡風)과 악우(惡雨)와 때 아닌 서리나 우박의 모든 재앙과 앙화(殃禍) 등이 다 제거되어 소멸된다.
만약에 식염(食鹽)에 주문을 800번 송하고 나서 바라믹(婆囉覓)을 먹으면 모든 악한 마음을 품은 외도들의 악한 마음이 저절로 소멸되어 다 찾아와서 귀의하고 받들어 모시게 할 수 있다.
만약 흰 겨자에 주문을 송하고 나서 갈라자(曷囉闍)의 이름을 부르며 한 번 주문을 송하고 한 번 태워서 800번을 채우면 갈라자가 굴복[屈曲]해서 따르게 하여 다시는 어기거나 거스르지 않게 할 수 있다.
만약 안식향(安息香)에 주문을 8천 번 송하고 태워서 귀병(鬼病)이 든 사람에게 훈습(熏習)시키면 즉시에 자신의 성명(姓名)을 뱉어내는데, 주사(呪師)가 그 귀신을 쫓아내서 어기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만약 비가 내리도록 기도(祈禱)하고자 한다면 푸른 소[靑牛]의 똥과 진흙을 취해서 한 마리의 용을 만드는데 몸뚱아리 하나에 머리가 셋 달리게 하고 척추와 등을 붉게 물들이고 가슴은 금으로 장식을 하고, 먼저 네모난 단[方壇]을 만든다. 가령 높은 대(臺)와 평지의 경우에는 시기에 따라 만든다. 또 청록색으로 그 단(壇)을 칠해서 단 위에 용을 시설한다.
그 단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하나의 물병과 하나의 향로를 안치해 놓고 한 향로에서는 훈육향(薰陸香)을 태우고, 한 향로에서는 전단향(栴檀香)을 태우며, 한 향로에서는 소합향(酥合香)을 태우고, 한 향로에서는 안실향(安悉香)을 태운다. 또 인접해서 단 바깥에 다시 세로의 넓이가 4주(肘)인 단을 하나 만들어 쇠똥으로 그 위를 칠하고 네 모서리에 병(甁)을 안치하는데, 한 병에는 물과 우유를 섞어서 담고 한 병에는 물과 낙(酪)을 섞어서 담으며, 한 병에는 물과 우유죽을 섞어서 담고, 한 병에는 물과 기름을 섞어서 담는다.
또 단 안쪽에 여덟 개의 등잔을 밝힌다. 또 다리 끝에는 실리(實𠼝)여기에서는 홍람화(紅藍花)가루라고 한다.를 담고 그 단을 보릿가루로 장엄한다.
또 네 모서리에는 각각 화살을 하나씩 꽂는다. 그리고 5색의 실로 화살 윗부분을 묶어서 두르며 또 5색의 번(幡)을 만들어서 그 화살 끝에 매단다. 또 일곱 가지 곡식을 그 단 안에 뿌리고 다섯 가지 색채를 사용해서 단 위를 장식하여 함께 설치한다. 또 그 해당하는 계절에 나는 갖가지의 꽃과 과일을 모두 단 안에 진설(盡設)한다.
이에 주사(呪師)가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며 주문을 송하는데, 흰 겨자를 8천 알을 취해서 주문을 한 번 송하고 용의 머리를 친다. 이와 같이 주문을 송하고 치는 것을 8천 편 채우면 큰 구름이 사방에서 몰려들어 즉시에 단비를 내린다. 이렇게 하고 난 이후에는 온갖 용[那伽]들이 다 함께 공경스럽게 받든다. 만약 비가 지나치게 많이 내리면 하얀 겨자에 주문을 송하여 800번을 채워서 용수(龍水) 가운데에 던지면 그 비가 즉시에 그친다. 이 주를 송할 때는 한 마디의 말도 해서는 안 된다.
만약 기우제(祈雨祭)를 지낼 때 갑작스레 구름과 폭풍과 짙은 안개와 삽시간에 내리는 우박이 잠깐 사이에 모였다가 잠깐 사이에 흩어지면서 비가 내리는 것을 장애하면, 거타라(佉陁羅)나무로 막대기를 만들어서 용연(龍淵)의 언덕의 측면을 두드리면 모든 장애와 환란이 다 흩어져서 없어진다.
또 기우제를 지낼 때에 모든 장애와 환란을 입어서 비가 내리지 못하게 되면 단 안에 하나의 비나야가(毘那藥劍:Vināyaka, 常隨魔)를 그리고 흰 겨자 800알[粒]을 취해서 알 하나하나마다 한 번씩 주문을 송하여서 이것으로 비나야가를 친다. 이와 같이 800번을 채우면, 모든 장애와 환란을 일으키는 존재들이 다 저절로 결박을 당해서 다시는 비가 내리는 것을 장애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 일이 끝나고 나서 우유즙으로 비나야가의 그림[畵像]을 닦으면 비나야가가 매우 크게 기뻐하여 이 이후로부터는 구하는 모든 것을 다 뜻에 따라 얻지 못하는 것이 없다.
주를 지니는 사람은 몸과 의복을 모두 항상 엄숙하고 정결하게 해야만 한다. 근본만다라(根本曼陁羅)의 공덕은 간략하게 이와 같이 설한다.
주를 송한다.
나마살-바 다타가다 남옴- 비보라아볘마니바로볘다타다 다라
那麽薩囉婆二合怛他竭多去喃烏唵二合毗布羅揭陛摩尼波𡀔陛怛他多去達囉二合
샤니 마니 마니 소바라볘비마리사가라감바리훔- 훔- 샤바 라
設你平摩尼平摩尼平素鉢囉陛毗末梨娑竭囉鉗苾𠼝虎𤙖二合虎𤙖二合什伐二合囉
샤뱌 라몯다비로기뎨구혜 야디사티다가볘사바하3)
什伐二合囉勃陁毗路吉帝炬醯血桂反耶地瑟耻多竭陛莎引訶
앞에서 말한 것은 근본다라니법(根本陁羅尼法)이다.
다시 다음으로 모리대만다라(牟梨大曼陁囉)의 공덕을 설하겠다.
만약 주문을 송하여서 10만 번을 채우면 일체 모든 부처님을 뵐 수 있다. 주문을 송하여서 20만 번을 채우면 모든 보살행의 지위[地]를 볼 수 있다. 주문을 송하여서 30만 번을 채우면 마치 모든 만다라에 깨달아 들어간 것과 같아서 모든 주를 지니고 다 통달하여 징험하지 않음이 없다. 주문을 송하여 40만 번을 채우면 모든 주를 지니고 있는 사람 중에서 왕이 된다. 주문을 송하여서 50만 번을 채우면 모든 아수라의 궁전[修羅宮]이 있는 곳을 볼 수 있다. 주문을 송하여서 60만 번을 채우면 땅 밑에 숨겨져 있는 모든 보물[伏藏]을 볼 수 있다. 주문을 송하여서 70만 번을 채우면 현재와 미래의 모든 일의 근본을 볼 수 있다. 주문을 송하여서 80만 번을 채운 경우 이 사람은 보해삼매(寶海三昧)를 얻게 된다. 주문을 송하여서 90만 번을 채우면 일체 모든 부처님께서 진실하게 수행한 정업을 얻어서 묘각지(妙覺地)에 오른다. 주문을 송하여서 100만 번을 채우면 일체 모든 부처님께서 보리를 얻을 것이라고 수기를 주신다.
가령 어떤 사람이 5역죄와 무간(無間) 등의 죄를 범한 경우, 이 주를 10만 번 송하면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무거운 죄가 모두 제거되고 소멸되어 불퇴의 지위에 들어갈 수 있으며, 또 다른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선과 악을 모두 알 수 있다. 또 눈[眼根]이 청정해지고 귀[耳根]가 청정해지며, 코[鼻根]가 청정해지고 혀[舌根]가 청정해지며, 피부[身根]가 청정해져서 5근(根)의 청정한 업으로 저절로 장엄하게 된다.
가령 주문을 송하여서 10만 번을 채우는 경우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공덕을 얻고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끝없는 무거운 죄가 소멸된다. 백만 번에 이르기까지 20만 번을 채울 때마다 각각 그 가운데에서 별도로 한량없고 가없는 공덕을 얻으며 하나하나의 공덕이 앞에서 얻은 공덕보다 배나 뛰어나게 된다.
또한 다음으로 먼저 씻어서 목욕을 하고 청정한 새 옷을 입어야 한다. 곡타(斛他)범어(梵語)이다.와 소건득(蘇乾得)돌유황인데 자세하진 않다.을 취해서 구리로 만든 그릇[銅器]에서 물과 섞어서 갈은 다음에 부처님 앞에 안치하고 3백식(白食)을 봉헌한다. 초파일부터 15일에 이르기까지 이 주를 송하고 지녀서 10만 번을 채우면 소건득 위로 세 가지 모습[三相]이 나타난다. 가령 따뜻한 모습[煖相]이 나타나는 경우에 이를 취해서 이마에 바르면 가고자 하는 곳에 따라서 뜻대로 곧바로 도달하게 되고 주를 지니고 있는 사람 가운데에서 일체왕(一切王)이 된다.
또 주를 송하여서 이마에 연기의 모습[烟相]이 나타날 때에는 즉시에 이마에서 곡타를 취하여 눈동자에 바른다. 이때 시방의 일체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이 머물고 계신 곳을 볼 수 있으며, 일체 모든 마군이 이 사람에 대해서 감히 나쁘게 볼 수가 없고, 모든 법요(法要)가 모두 다 원만하게 되며 모든 공덕을 다 성취하지 못함이 없다.
또 이마에서 불의 모습[火相]이 나타나는 경우 즉시에 시벌라니남삼매(什伐囉泥去南三昧)를 얻어서 삼십삼천 가운데에서 크게 존귀하고 뛰어나게 되어 일체 모든 것에 자재하게 된다.
또 가령 산꼭대기에서 주문을 1만 번 송하는 경우 즉시에 섬부주(贍部洲)의 모든 지역에 있는 모든 족속 가운데에서 크게 존귀하고 뛰어나게 되며 갈라사를 취하게 된다.
또 용수(龍水) 안으로 들어가 8천 번 주문을 송하는 경우 일체 모든 용[那伽]들이 다 공경하지 않음이 없다.
또 흰 겨자를 취해서 주문을 송하여 8천 번을 채워 공중에 뿌리면 비가 내리도록 할 수 있다. 또 일체 모든 용들이 다 공경하고 따르게 된다. 만약 날마다 따로 이 주를 송하여서 지닐 수 있으면 그 사람의 공덕과 과보는 생각할 수도 없고, 또 말로 설할 수도 없다. 또 청정한 새 옹기를 취해서 깨끗한 물을 가득 담고 그 토지에 따라서 여러 가지 화초와 모든 나무 등에서 부드러운 싹을 취해서 모든 옹기 가운데에 끝 부분을 거꾸로 하여 안치한다.
또 인다라하새다(因陁羅訶塞多)이것은 인삼(人蔘)이라고 한다. 사람의 손과 비슷한데 상세하지는 않다. 건타파라박(健平陁波囉去縛)과 흰 겨자와 울금화(鬱金花)와 전단 등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모든 약물(藥物)을 취하여 모두 물속에 집어넣고 1만 번 주문을 송한다. 가령 세간에 있는 모든 사람들의 모든 나쁜 병과 고통 등에 이 약을 복용하고 이 약으로 깨끗하게 씻는 경우 모든 병자들이 다 쾌차되며 일체 모든 죄가 다 제거되어 소멸되고 또 일체 모든 나쁜 사람이 일으키는 염고(▼(示+厭)蠱))가 자연히 소멸된다. 또 일체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다 공경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일으키게 할 수 있으니, 이와 같은 주문을 송한 약의 힘으로 다음과 같은 사람에게 대위덕이 있도록 할 수 있다.
가령 백라병(白癩病)과 모든 나병 등에 걸린 경우 이 물을 복용하고 깨끗하게 씻도록 하면 모든 악질이 다 제거되어 쾌차할 수 있다. 가령 부인이 어린 아이를 낳지 못하는 경우 이 약수(藥水)를 복용하고 이 약수로 씻으면 즉시에 아이를 낳을 수 있다. 가령 또 어떤 사람이 모두가 불길하여 하는 일마다 마치 수레가 덜컹거리는 것처럼 항상 복의 도움이 없는 경우, 이 약수를 복용하고 이 약수로 씻으면 구하고자 하는 것이 마음에 걸맞게 되어 모두 마음에 수순하지 않음이 없다.
이때 세존께서 심다라니[心陁囉]의 공덕을 이와 같이 설하시고 즉시에 주를 송하셨다.
주를 송한다.
옴마 니 바아리 훔-4)
唵摩上尼上拔折𠼝二合虎𤙖二合
또 수심주(隨心呪)를 송하셨다.
주를 송한다.
옴- 마니다리 훔- 바닥5)
烏唵二合一摩尼達哩二合二虎𤙖二合三泮吒半聲四
다시 오파라대만다라(烏波囉大曼陁囉)의 공덕을 설하겠다.
만약 주문을 송하여 1만 번을 채우면, 모든 비나야가와 모든 마군의 권속과 나쁜 귀신 등이 다 부복하고 엎드려서 주사(呪師)의 발아래에서 가슴을 땅에 대고 목숨을 구해달라고 애걸하며 각각 모두가 큰 소리로 “말씀하신 것 모두를 공경하게 받들어 수순(隨順)하겠습니다” 하고 말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주문을 송하여 2만1천 번을 채우면 일체 모든 천신들 가운데서 존귀하고 뛰어나게 될 수 있고 모든 용 등이 각각 찾아와서 귀의하고 공경스럽게 모시고 명(命)을 받든다.
만약 주문을 송하여서 3만 번을 채우면 일체의 야차와 일체의 악귀가 모두 공경하여 따르고 귀의하여 항복하고 받들어 모시지 않음이 없다. 만약 주문을 송하여서 5만 번을 채우면 하고자 하는 사무(事務)가 멀고 가까움을 물을 것도 없이 그 일하는 사람의 뜻에 따라 그에 걸맞게 성취되며, 저 욕계와 저 아수라와 모든 부류의 중생 모두 가운데에서 하는 일이 뜻대로 되는데, 그들 모두가 믿고 따른다.
만약 주문을 송하여서 8만 번을 채우면 일체의 금강과 그의 권속과 모든 부락(部落)이 모두 그 앞에 서서 공경하게 분부 내리시기를 기다린다. 만약 주문을 송하여서 9만 번을 채우면 모든 보살이 기쁜 마음으로 호념(護念)한다. 만약 주문을 송하여서 10만 번을 채우면 일체 모든 부처님께서 몸을 나투시는 가피를 입는다.
이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대들 선남자들이여, 가지고 있는 원(願)을 지금 만족하게 될 것이며, 시방의 정토에 그대의 뜻에 따라 가게 될 것이며, 가지고 있는 모든 다라니주와 모든 법을 다 갖추게 되느니라. 나와 일체 모든 부처님이 지금 그대들에게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주노니, 모든 공덕과 모든 과보가 그대에게 원만히 갖추어져 있느니라. 오파라대만다라의 공덕은 이와 같이 반드시 차제(次第)를 따르느니라.”
즉시에 주를 송한다.
여섯 번째 좌주(座呪)모든 본(本)에는 전부 앞에서와 같은 차례의 수(數)가 없다.
옴- 마니군다리 훔- 훔- 사바하6)
嗚唵二合一末尼軍茶唎二虎𤙖二合虎𤙖二合三莎 訶四
이 앞에 나오는 것을 좌주라고 이름한다.
일곱 번째 결단주[結壇呪]
옴마니비샤예다라다라훔-훔- 사바하7)
唵末尼比社曳馱囉馱囉虎𤙖嗚𤙖二合莎 訶
가령 결단(結壇)을 할 때 이 주를 송하는데 흰 겨자에 주문을 일곱 번 송하여 단 가운데 뿌린다.
여덟 번째 시방을 결계하는 주[十方結界呪]
옴- 샤바철 리다마니로짇리니 훔- 훔- 바닥8)
嗚唵二合什縛啜引栗多麽尼嚧質栗你平虎𤙖二合虎𤙖二合泮吒吒半聲
아홉 번째 모든 비나야가를 포박하는 주[縛一切毘那夜迦呪]
옴- 마니바라바라바 니하라하라훔- 바닥 사바하9)
嗚唵二合末尼婆囉婆囉婆去你訶囉訶囉虎𤙖二合泮吒吒半聲莎 訶
가령 비나야가의 장애와 환란을 피하려 하는 경우 재[灰]를 취해서 물에 섞고 주문을 스물한 번 송하여 시방에 뿌리면 모든 비나야가들이 다 포박되어서 장애와 환란을 일으킬 수 없다.
열 번째 몸을 결호하는 주[結護身呪]
옴- 바아라 마니 딛 -따 딛 -따 훔- 훔- 바
嗚唵二合拔折囉二合麽尼二合底丁里反瑟吒二合底丁里反瑟吒二合虎𤙖二合虎𤙖二合泮
닥10)
吒吒半聲
만약 몸을 보호하려 하면 자신의 양손에 주문을 송하여 일곱 번을 채우고 스스로 머리를 만진다.
열한 번째 옷을 청정하게 하는 주[結淨衣呪]
옴- 마니비보리 디 리디 리 훔- 바닥11)
嗚唵二合一摩尼毗布𠼝二地輕𠼝地上輕𠼝三虎𤙖二合泮吒吒半聲
열두 번째 손과 얼굴을 씻을 때 사용하는 주[洗手面呪]
옴- 비 디여 바디가라아라마하마니 훔- 훔- 바닥12)
嗚唵二合毗上地余平伐低褐囉揭囉麽訶麽你平呼虎𤙖二合虎𤙖二合泮吒吒半聲
가령 손과 얼굴을 씻으려 할 때 물에 주문을 송하고 손과 얼굴을 씻고 온몸에 뿌린다.
열세 번째 몸을 씻을 때 사용하는 주[洗浴呪]
옴- 소니리마라마디 하라하라 바바샤 바리훔- 훔- 사바
嗚唵二合一蘇你𠼝麽囉祙低二訶囉訶囉三跛波含二合必𠼝虎𤙖二合虎𤙖二合莎
하13)
訶
가령 목욕을 할 경우에는 흰 겨자를 취해서 청정한 물에 섞고 주문을 108번 송하여 이로써 몸을 씻는다.
열네 번째 옷에 물을 뿌리는 주[灑衣呪]
옴- 마니다 리훔- 훔- 바닥14)
嗚唵二合摩尼多去𠼝虎𤙖二合虎𤙖二合泮吒吒半聲
열다섯 번째 밧줄에 주문을 송하는 주[呪索呪]
옴- 디 리디 리비마라가리훔- 훔 바닥15)
嗚唵二合地上𠼝地上𠼝毗摩羅伽𠼝虎𤙖二合虎𤙖二合泮吒吒半聲
열여섯 번째 꽃에 주문을 송하는 주[呪花呪]
옴- 살바다타아다보샤마니 훔- 훔- 바닥16)
嗚唵二合薩婆怛他揭跢步社摩你平虎𤙖二合虎𤙖二合泮吒吒半聲
열일곱 번째 단에 향기로운 진흙을 바르는 주[和香泥壇呪]
옴- 살바다타아다건 다마니사바 라니 훔- 훔-17)
嗚唵二合薩婆怛他揭多健平茶末你娑破上囉尼上虎𤙖二合虎𤙖二合
열여덟 번째 향을 사르는 주[燒香呪]
옴- 샤바리다마니 아바라구타소 바 라 니 비가디 훔-18)
嗚唵二合什筏栗多末你平阿鉢羅句吒蘇上破上二合囉上尼上毗迦知上虎𤙖二合
열아홉 번째 등을 밝히는 주[燃燈呪]
옴- 샤 바 리다가리 다바리 훔- 훔- 바닥19)
嗚唵二合一社上嚩上𠼝跢迦𠼝二多鉢𠼝三虎𤙖二合虎𤙖二合泮吒吒半聲
스무 번째 모든 천신과 귀신 등에게 음식을 보시하는 주[施一切天神鬼等食呪]
옴- 바라바라아아라 바디사라사라훔- 훔-20)
嗚唵二合鉢囉伐囉阿揭囉上二合伐低娑囉娑囉虎𤙖二合虎𤙖二合
스물한 번째 제천에게 갱미를 바치는 주[獻諸天粳米呪]
옴- 마하마니보례야 다라 다라 훔- 훔-21)
嗚唵二合摩訶莫尼步㘑野上陁囉上陁囉上虎吽二合虎吽二合
날마다 따로 갱미를 취하여 주문을 송하고 신(神)에게 공양한다.
스물두 번째 날마다 따로 음식을 바치는 주[日別獻食呪]
옴- 마하마니 비 마니 훔- 훔- 바라바라훔-22)
嗚唵二合摩訶末尼一毗上末尼二虎𤙖二合虎𤙖二合頗囉頗囉虎𤙖二合
스물세 번째 일체연화주(一切然火呪)
옴- 샤 바 리 사모라가 나모다라 니훔- 훔-23)
嗚唵二合什輕筏苻何反𠼝輕娑母囉迦去音那母陁囉上你虎𤙖二合虎𤙖二合
스물네 번째 흰 밧줄을 사용할 때 송하는 주[用白繩呪]
옴- 아로지리마니바라 바라다훔-24)
嗚唵二合阿嚕質𠼝摩你鉢羅二合皤囉哆唬𤙖二合
가령 단계(壇界)와 흡사하게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끈에 주문을 일곱 번 송하면 이에 시용(施用)할 수 있다.
스물다섯 번째 결가좌주(結加坐呪)
옴- 바아라바니가람계기리기리훔- 훔- 바닥25)
嗚唵二合跋折羅跛你迦嚂雞祇𠼝抧𠼝虎𤙖二合虎𤙖二合泮吒吒半聲
스물여섯 번째 염주 굴릴 때 송하는 주[搯珠呪]
옴- 소바라 바디 다비계마니마니사바하26)
嗚唵二合蘇鉢囉二合筏底都企反跢比計麽你麽你莎 訶
스물일곱 번째 처음으로 생각을 묶을 때 송하는 주[初繫念呪]
옴- 계사라바 다타가다바노사바 계타라타라훔- 훔- 마니가
嗚唵二合雞薩囉婆二合怛他伽跢皤怒闍皤上雞他囉他囉虎𤙖二合虎𤙖二合麽你迦
나 니사바하27)
那上你莎 訶
스물여덟 번째 일체 여래를 청하는 주[請一切如來呪]
옴- 소비보라바라 바 리도로도로훔- 훔-28)
嗚唵二合蘇毗布羅鉢羅二合縛半聲哩徒嚧徒嚧虎𤙖二合虎𤙖二合
스물아홉 번째 깨달아서 여래가 되는 주[覺悟如來呪]
옴- 살바 다타가다 남바유샤볘다라다라훔- 마니가나녜사바
嗚唵二合薩婆二合怛他伽跢去喃婆兪社吠怛羅怛羅虎𤙖二合麽尼迦那寧莎
하29)
訶
서른 번째 보살을 청하는 주[請菩薩呪]
옴- 사비보라바다니 하라훔-30)
嗚唵二合薩毗布囉婆馱你去訶囉虎𤙖二合
서른한 번째 일체 모든 천과 용을 청하는 주[請一切諸天及龍呪]
옴- 아비삼마야바아례다라다라훔-31)
嗚唵二合阿鞞三麽耶跋折㘑陁囉陁囉嗚𤙖二合
사천왕을 청하는 주[請四天王呪]
옴- 마니비가바디훔-32)
嗚唵二合麽你毗迦皤低嗚𤙖二合
결하여서 호념하는 주[結護]
옴- 슈바마니호로호로훔-33)이상은 제자에게 하는 주이다.
嗚唵二合輸婆麽尼胡嚧胡嚧唬𤙖二合
단에 들어가서 지송하는 주[入壇持呪]
옴- 살-바 다타가다바아리 니다라다라훔- 훔-34)
嗚唵二合薩囉婆二合怛他伽跢跋折利二合你陁囉陁囉虎𤙖二合虎𤙖二合
보내는 주[送呪]
옴- 비라비 라시예 가가나바혜니라후라후훔-35)
嗚唵二合比羅毗上囉時曳二合伽伽那婆呬你囉吼囉吼虎𤙖二合이상은 모든 장소에서 음식을 공양하는 주라고 한다.
모든 천인을 보내는 주[送諸天呪]
옴- 살-바 다타가다구라로디 디 사마라비가뎨철라철라훔-
嗚唵二合薩囉婆二合多他伽多屈羅嚧地丁里反低輕呼娑末囉比伽帝啜羅啜羅虎𤙖二
사바하36)
合莎 呵이상은 발견주(發遣呪)라고 하며 모든 장소에서 사용한다.
현성(賢聖)을 보내고 나서 호념해 주기를 원하는 주[送賢聖已乞願護念呪]
옴- 마니소훔바니 비가 바디락사다만훔-37)
嗚唵二合末尼蘇𤙖婆你平毗迦上縛底洛叉多滿虎𤙖二合
모리만다라(牟利曼陁囉)와 오리대만다라(於𠼝大曼陁羅)와 오파라대만다라(烏波囉大曼陁囉)를 말하였는데, 이와 같은 세 가지 주의 공능(功能)은 대략 이와 같으니, 만약 자세하게 설명하려면 끝까지 다 궁구할 수가 없다.
앞의 세 가지 주를 의지해서 작법을 마치고 나서 그 하나하나에 따라서 지니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주문을 송하여서 800번을 채워서 모든 법사(法事)에 다 밝게 익숙해지고 여타의 나머지 작법을 하나하나 모두 갖추면 하는 일[所作] 모두에 신비한 효험이 있게 된다.
만약 이와 같이 받아 지닐 수 있으면 일체 모든 생사의 중죄가 다 제거되어서 소멸되고, 일체 모든 번뇌의 대해(大海)가 다 고갈되어서 마르며, 위없는 보리에 빨리 이르러서 의심이 없어지고, 정진하여 부지런히 염송하여 신속하게 불과(佛果)에 오르게 되고, 성불한 이래의 공덕도 다함이 없다.
환희로운 마음으로 송하여서 지니면 반드시 물러나지 않는 지위를 얻어서 일체 모든 세간에서 법륜을 굴릴 수 있으니 오파라대만다라의 공덕이 이와 같은 것이다.
곧바로 주를 송한다.
옴- 마니다리 훔- 바닥38)
烏唵二合麽尼馱𠼝虎𤙖二合泮吒吒半聲
도량에 들어올 때에 향수를 자신에게 뿌려서 정결하게 하는 주[入道場時香水自灑潔淨呪]
옴- 마하비보라바라 디 사티다싣디아볘 션 자마나가살-바
嗚唵二合摩訶毗布羅鉢羅二合底丁利反瑟耻跢悉提阿鞞去詵去遮麽那迦薩囉婆二合
다타가다비새계바라바라삼바라훔- 훔-39)
怛他伽多毗曬罽破囉破囉三破囉虎𤙖二合虎𤙖二合
도량에 들어올 때 향수를 한 움큼을 취해서 주문을 송하고 나서 자신에게 뿌리면 모든 더러움을 다 청정하게 할 수 있다.
이미 단엄하게 깨끗이 하고 나면 도량에 들어온다.
연화좌를 결하는 주[結蓮花座呪]
옴- 모니마니바라 바바리구혜바담마니바라 볘사바하40)
嗚唵二合牟你麽你鉢囉二合婆伐𠼝矩醯破擔麽尼波囉二合鞞莎 訶去
이때 바아라반나(拔折囉半那)41)가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의 발을 향하여 합장하고 공경스럽게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오직 원하옵건대 모다라법(母陁囉法)을 설하옵소서. 원하옵건대 모두 알고자 합니다.”
이때 세존께서 금강수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어떤 사람이 진실로 이 법을 수행하고자 원한다면, 언제나 모리만다라와 오리대만다라와 오파라대만다라를 염송해야 한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주를 정근(精勤)하고 염송하여 간격이 생기거나 끊어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하고, 또 항상 금강수에게 공양을 해야 하고, 관세음(觀世音)보살과 문수시리(文殊尸利)보살과 미륵보살존(弥勒菩薩尊)께 공양해야 한다. 또 날마다 따로 향기로운 진흙[香泥]을 땅에 바르고 따로 이름난 향을 사르고 여러 가지 꽃을 시방의 모든 부처님과 보살에게 공양해야 하며, 하루에 세 번 지극한 마음으로 예배를 올려야 하고, 시방의 부처님과 일체의 보살과 금강수 앞에서 애처롭게 참회를 구해야 하는데, 지극한 정성으로 은근하게 거듭해서 주의 영험[呪驗]을 얻기를 원해야 한다. 또 진실하게 듣고 예참(禮懺)하고 발원하고 나서 반드시 알아야 한다.
첫 번째 인(印)은 먼저 몸을 단정하게 결가부좌를 하고 즉시에 손가락으로 모다라(母陀羅:mudrā, 印)를 만들어 오른쪽 팔꿈치가 사타구니[跨]에 닿도록 하고, 집게손가락을 구부려서 엄지손가락의 끝을 누르고, 나머지 세 손가락을 편다. 다음에 왼손의 인(印)을 펴서 오른손 손바닥을 누르고 심장 앞에 오도록 끌어당기고 나서 지극한 마음으로 부처님을 향하여 한순간도 기울어지거나 움직이지 말고 부처님의 용모와 자비롭게 호념(護念)해 주시는 것을 생각한다.
이와 같이 자세하게 관하여 생각이 흩어지지 않도록 하고, 그 인을 받들어 결인하여 지심으로 주문을 송하는데, 스물한 번을 채우도록 해야 한다.
곧바로 주를 송한다.
옴- 살-바 다타아다억리대마니샤바라 가니아비사다 야훔-42)
嗚唵二合薩囉婆二合怛他揭跢憶唎大摩你什伐囉二合伽你阿比瑟跢二合耶虎𤙖二合
이 인(印)을 결하면 곧바로 시방의 일체 모든 부처님의 심모다라[心母陁囉:心印]와 다름이 없게 되며, 부처님의 위없는 보리를 얻게 되고 대공덕과 복이 모이게 되나니 지금 그대를 위해서 설한다.
만약 어떤 사람이 백천 겁의 항하사겁(恒河沙劫) 동안 7보의 무더기로 장엄하여 공양하기를 다함없이 공양하여 얻는 복과 과보도 이 인을 결하고 주를 지니는 공덕에 비기면 백천만 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느니라.
그대는 알아야 한다. 만약 인(印)을 결하고자 하면 반드시 몸을 청결하게 하고 옷을 깨끗하게 하여 용뇌향(龍腦香)ㆍ단향(檀香)ㆍ사향(麝香)을 양 손에 바르고 사루어 공경해야 하느니라.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인을 결하여서 이 법(法)을 행하면 악업을 모두 타파해서 소멸되게 할 수 있으니, 가령 어떤 병든 사람이 반드시 죽어야 하는 명(命)에 다다랐는데 이 인(印)을 볼 수 있으면, 그 병이 즉시에 나아서 다시 수명이 늘어난다. 그 인의 위력(威力)과 공덕이 이와 같으니, 이와 같은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이름을 인발로바여의주청정(因鉢𡀔婆如意珠淸淨)불심인(佛心印)이라고 하는데 자세하지 않다.이라고 하느니라.
다시 두 번째 인(因)은 왼쪽 팔꿈치를 사타구니에 놓고 평평하게 펴서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한다[仰掌]. 곧바로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의 두 손가락을 구부리고 엄지손가락의 머리 부분으로 양 손가락 끝을 누르고 위로 향하게 하여 심장 옆에 놓은 다음 머리를 조금 수그리는데, 눈은 살짝 뜨고 눈썹을 약간 오므린다. 치아로는 아랫입술을 물고 자신의 몸을 응시하면서 마음을 염불하는데 집중해서 흩어지거나 요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이 주를 스물한 편을 송하여서 지닌다.
곧바로 주를 송한다.
옴- 살-바 다타가다 바라 비라가라마니훔-43)
嗚唵二合薩囉婆二合怛他伽跢呼答反鉢囉二合毗囉迦囉麽你虎𤙖二合
이 인(印)을 결하면 곧 시방의 일체 모든 부처님의 법장(法藏)과 평등하여 다름이 없게 되고, 일체 모든 부처님의 만다라에도 들어가게 되고, 곧바로 일체 모든 부처님의 권속에 섭입(攝入)된다.
이와 같은 사람은 백천 겁래(劫來)에 지은 중죄의 악업이 소멸되고 탕진되어서 다시는 여타의 누(累)가 없게 되고, 또 이미 시방의 모든 불단(佛壇)과 인(印)을 만든 것과 같아서 한결같이 평등하게 된다. 가령 시방에 있는 일체의 장애와 환난을 일으키는 마군[魔]과 악룡(惡龍)과 비다야다라(比怛野二合陁囉) 등의 경우, 저 주사(呪師)는 머리를 밟고 있는 것과 다름이 없고 저 모든 마군 등은 불에 태움을 당하는 것과 같다.
가령 시방에 있는 일체 모든 종족과 종류들이 장애와 환란을 일으키는 경우, 주사(呪師)는 항상 불심(佛心)을 염하고 이 인을 결하면 이 모든 종류의 족속들이 다 가슴을 땅에 붙이고 애걸하면서 귀명한다.
이때 당시에 그 모든 족속과 종류[族類]들이 인(印)을 보고 주를 들으면 더더욱 이익의 가피를 입게 되어서 악심(惡心)은 소멸되고 큰 복취(福聚)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은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일체 모든 부처님의 심인[一切諸佛心印]이라고 한다.
다시 세 번째 인은 오른손을 위로 향하게 펴서 무릎에 붙이고 가운뎃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구부려서 손톱을 서로 버티게 하고 몸을 약간 숙인다. 다음에 왼손을 펴서 왼쪽 늑골을 덮고 심장과 평평하게 비껴 놓이게 하고 엄지손가락으로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의 두 손톱을 누르고 집게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곧장 펴고 관대한 마음을 일으켜서 눈을 오로지 응시하고 돌아보지 않고, 자비삼매에 들어가 마음으로 다른 생각을 하지 말고 몸과 뜻을 요동하지 않게 해야 한다.
즉시에 주를 송한다.
옴- 살-바 다타가다아볘삼몯다바아리 훔- 훔-44)
嗚唵二合薩囉婆二合怛他伽跢阿鞞三勃陁跋折𠼝 虎𤙖二合虎𤙖二合
만약 이 인(印)을 결하면 시방의 일체 모든 부처님께서 똑같이 선심(善心)으로 이 사람을 함께 칭찬하시고 복덕을 더해 주시며, 일체 모든 부처님께서 항상 다 함께 섭수하시고 호념하시는 것이 비유하면 마치 자애로운 어머니가 사랑스런 아들을 기르는 것과 같다. 모든 현성(賢聖)이 각각 그 사람에게 명(命)하여 부르기를 ‘불자(佛子)야, 그대가 지금 이 법을 배우고 익혀서 지녔으니 일체 모든 부처님의 아들이 될 것이며, 백천 나유타 구지 항하의 모래알 수만큼 많은 모든 부처님께서 모두 크게 기뻐하며 환희심으로 그대를 섭수할 것이니라’고 한다.
이와 같은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이 인(印)은 일체 모든 부처님과 평등하여 다름이 없음을 알아야 한다. 이 때문에 이 인을 파라살라마니거혜마하모다라(波羅薩羅摩尼矩醯摩訶母陁囉)광대마니비밀인(廣大摩尼秘密印)이라고 한다.라고 부른다.
다음의 네 번째 인은 먼저 합장을 하고 각각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의 두 손가락을 구부리고, 엄지손가락을 쌍으로 구부려서 그 안에 들어가게 한다. 두 개의 새끼손가락을 마치 서로 붙어있는 것 같기도 하고 서로 붙어있지 않은 것 같기도 하도록 길게 펴서 심장에 닿도록 하는데 조금 구부린 것처럼 한다. 머리를 약간 숙이고 양 눈썹을 들어 올리고 눈을 크게 뜬다. 마치 한마음으로 우러러 부처님을 생각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일체 모든 중생을 자비롭게 보는 마음을 일으켜서 생각생각이 서로 이어져서 한 마음이나 한 의식도 끊어지는 간격이 없게 하고 곧바로 인을 들어 올려서 정대(頂戴)한다.
인(印)을 결하고자 하면 즉시에 주문을 송한다.
훔- 훔- 바닥45)
虎𤙖二合虎𤙖二合泮吒吒半聲 卍
인(印)을 풀고자 할 때의 주를 송한다.
옴- 살-바 다타가다 아디사다마니 훔- 훔- 바닥46)
嗚唵二合薩囉婆二合怛他伽跢一阿地瑟旦麽你二合虎𤙖二合虎𤙖二合泮吒吒半聲
이와 같이 결호(結護)하면 대위력이 있다. 이와 같은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이름을 마하마니박라파라지사달거혜남마하모다라대마니주변주비밀인(摩訶麽尼愽囉破囉底瑟旦矩醯南摩訶母陁囉大摩尼周遍住秘密印)이라고 한다.
다음의 다섯 번째 인은 용이 서린 듯한 자세로 결가부좌[盤龍結跏趺坐]를 하여 합장하고 생각을 집중하여 자기 몸이 비유하면 마치 금강과 같아 다름이 없다고 생각하면서 금강의 손으로 스스로 머리를 문지른다. 정수리로부터 발에 이르러서 다시 ‘이 몸이 마치 금강과 불신(佛身)처럼 신속하게 시방에 앉기를 원하옵니다’ 하고 생각한다.
발원하고 나서 합장하고 인을 결한다.
두 개의 엄지손가락과 두 개의 집게손가락의 끝을 각각 서로 버티게 하고, 두 개의 가운뎃손가락을 교차시켜서 손바닥 안으로 들어가도록 구부린다. 두 개의 약손가락을 펴서 곧추 서도록 하고 두 개의 새끼손가락을 교차시켜서 다시 손바닥 안으로 들어가도록 구부린다.
곧바로 그 인으로 땅과 좌우의 두 무릎을 버티게 하고, 또다시 정수리로부터 아래로 향하면서 몸의 좌우를 이용하여 문지른다. 이것을 마치고 나면 즉시에 이 인을 배꼽이 있는데서 2주(肘) 정도 들어 올리고 몸을 앞으로 향하는 것처럼 하여 구부리고 앉아서 주문을 송한다.
옴- 살-바 다타아다바라 바라 마니로디리훔- 훔- 바
嗚唵二合薩囉婆二合怛他揭跢鉢囉二合皤羅二合麽尼嚕止𠼝虎𤙖二合虎𤙖二合泮
닥47)
吒吒半聲
이 인을 결하고 나면 앉아있는 곳에서 시방을 두루 돌아 모두 금강이 되어 의심과 망념이 없어진다.
이 사람은 마치 모든 부처님의 좌처(座處)를 얻은 것과 마찬가지여서 일체 모든 마와 악인 등 부처님을 믿지 않는 자들이 이 사람을 볼 수가 없다. 이와 같은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일체제불금강사자좌인(一切諸佛金剛師子座印)이라고 한다.
다음에 여섯 번째 인은 결가부좌를 하고 먼저 합장을 한다. 두 개의 새끼손가락을 구부려서 손가락의 등이 서로 닿도록 하고, 두 개의 엄지손가락을 구부려서 각각 새끼손가락의 제일 첫 번째 마디에 닿게 한다. 두 개의 약손가락을 교차시켜 구부려서 두 엄지손가락의 손가락 등을 누르고, 두 개의 가운뎃손가락의 등이 서로 각각 자기의 손톱 옆에 닿도록 구부리고 두 개의 약손가락을 누른다. 두 개의 집게손가락은 서로 떨어진 듯하게 하고 높이 정수리를 지난 후에 곧바로 주문을 송한다.
옴- 살-바 다타아다비보라삼바볘훔- 훔-48)
嗚唵二合薩囉婆二合怛他揭多毗布羅三婆鞞虎𤙖二合虎𤙖二合
가령 이 인을 결할 때에 68천 항하의 모래알 수와 같은 모든 부처님께서 곧 함께 일체 모든 부처님의 일체를 굴복시키는 기별을 주시는데 이 사람에게 수여하시니 모두 신속하게 영험이 있을 것이다. 이 때문에 이름을 달마갈라아디사다마하모지라아세가모달라남(達摩羯囉阿地瑟旦摩訶母姪羅阿世伽母達羅南)이라고 하는 것이다.
다음에 일곱 번째 인은 먼저 합장을 하고 양손으로 심장을 가린다. 그 위에서 오른손을 놓은 다음에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의 손톱 끝을 서로 버티게 하고 곧바로 왼손을 들어서 다섯 손가락을 마치 연꽃을 합해 놓은 것처럼 모은다. 오른손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고 연꽃 모양의 왼손을 덮어서 손바닥 안에서 버티게 하고 자념관(慈念觀)을 일으켜서 곧바로 주문을 송한다.
옴 살-바 다타아다 삼마야 마니바아리 훔- 훔-49)
唵 薩囉婆二合怛他揭跢 三麽耶 麽你跋折𠼝 虎𤙖二合虎𤙖二合
일체 모든 부처님이 동일하게 이 인을 결하여 비로소 법륜을 굴릴 수 있었으며, 이 인을 결하기 때문에 시방세계가 여섯 가지로 진동한다. 이와 같은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일체제불전법륜인(一切諸佛轉法輪印)이라고 한다.
다음에 여덟 번째 인은 먼저 결가부좌를 하여 오른쪽 다리로 왼쪽 다리를 누르고, 왼쪽 다리의 엄지발가락으로 땅을 버티게 하여 몸을 단정하고 곧게 하도록 한다.
오른손 손바닥을 평평하게 펴서 왼쪽 갈비뼈 아래를 가리고 횡으로 배꼽과 같게 한다.
즉시에 집게손가락을 구부려서 엄지손가락의 마디를 누르는데, 중간은 둥글게 하여 마치 윤(輪)의 형태와 같게 하고 그 손을 위로 향하게 놓는다.
다음에 오른손으로 다시 이 윤을 결한다. 오른손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고 이 가운데 단단히 정신 차리고 위풍(威風)이 있는 얼굴로 자신의 몸을 돌아보면서 주문을 송한다.
옴- 살-바 다타아다서예바서예아아다바아리 훔- 훔-50)
嗚唵二合薩囉婆二合怛他揭多誓曳伐誓曳阿折跢伐折𠼝 虎𤙖二合虎𤙖二合
이 인을 결하면 시방의 일체 모든 마와 장애와 환란을 일으키는 권속들이 모두 다 숨어들어서 장애와 환란을 일으키지 못하고, 모든 원수와 빚쟁이가 모두 꺾여 조복되며, 일체의 죄업이 모두 제거되어 소멸되지 않음이 없다.
이와 같은 힘이 있기 때문에 아파라지다모다라(阿波羅至多母達羅)[무능승부인(無能勝符印)이라고 한다.]라고 한다.
다음에 아홉 번째 인은 먼저 합장을 하고 오른손의 네 손가락으로 권(拳)을 만든다. 엄지손가락으로 오른쪽 옆구리를 문지르고 곧바로 들어 올려서 왼쪽 손바닥 위에 놓는다.
다음에 왼손을 위로 향하게 하고 손가락을 펴서 받들어 그 오른쪽 권을 쥐는데 손가락의 등을 위로 가게 하여 오른쪽 인을 잡는다. 즉시에 주문을 송한다.
옴- 살-바 다타아다달마다도마하마니 석가리 하라 하라 훔-
嗚唵二合薩囉婆二合怛他揭跢達摩馱都摩訶麽你 釋迦唎 訶囉 訶囉 虎𤙖二合
훔-박51)
虎𤙖泮
이것을 일체제불전륜성왕모달라(一切諸佛轉輪聖王母達羅)라고도 하고 시방일체제불모달라(十方一切諸佛母達羅)라고도 한다.
다음에 열 번째 인은 먼저 합장을 하고 약손가락을 쌍으로 구부려서 손가락 등의 측면이 서로 붙게 한다. 두 개의 엄지손가락를 구부려서 두 개의 약손가락 등의 첫 번째 마디를 누르고, 곧바로 두 개의 가운뎃손가락을 약손가락 위에 교차되게 구부린다. 새끼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이 서로 닿도록 곧추 세운다.
곧바로 오른쪽부터 일어나 서서히 높이 들어 올려서 오른쪽 어깨와 머리와 배꼽을 지나가고 다시 곧바로 서서히 아래로 내려서 땅을 가리킨다.
다음에 오른쪽 무릎을 구부려 세우고 왼쪽 다리로 땅을 밟는다. 성난 눈으로 화내는 마음을 일으켜 바라보면서 아랫입술을 물고 들이마시듯이 ‘훔(𤙖)’소리를 낸다.목구멍에서 소리를 낸다. 스스로 금강의 형상이 되어 진노(瞋怒)를 일으킨다고 생각하면서 즉시에 이 주를 송한다.
옴- 도로도로마니 마니 마하필돌유 마니사바하52)
嗚唵二合杜嚕杜嚧摩你上摩你上摩阿苾突庾二合麽你莎 訶
이 인을 결하면 삼십삼천이 모두 다 진동하고, 일체 모든 천과 모든 마의 무리[魔衆]가 다 두려워서 떨며 큰 공포와 두려움을 일으킨다.
다음에 열한 번째 사천왕인(四天王印)은 배꼽에서 오른손을 위로 향하게 하여 엄지손가락을 구부리고 또 집게손가락을 구부린다. 다음에 새끼손가락을 구부리고, 왼손의 세 손가락으로 권(拳)을 만든다. 엄지손가락을 뒤로 향하게 하여 호구(虎口:손바닥 안)에 등지게 하고 왼쪽 사타구니 위에 있게 한다. 집게손가락은 곧장 앞으로 향하게 하고 엄지손가락은 뒤로 향하게 한다. 관대하게 눈을 뜨고 바라보는 형상을 하고 즉시에 주문을 송한다.
옴- 아 로로가마리디 샤야샤야훔-53)
嗚唵二合阿上嚕嚕迦摩哩地上社耶社耶虎𤙖二合
다음에 열두 번째 시라디박인(施囉地縛印)은 먼저 합장을 하고 두 개의 엄지손가락을 구부린다. 나머지 여덟 개의 손가락은 모두 연꽃의 형태처럼 합하고 즉시에 주문을 송한다.
옴- 비마라기리디 삼마라훔-54)
嗚唵二合毗麽羅抧哩地上三麽囉虎𤙖二合
다음에 열세 번째 상기니인(商企祢平印)은 오른손을 세워서 오른쪽 허벅지 위에 올려놓아 반합장(半合掌)을 한 형상을 만들고 엄지손가락을 약간 구부리고 또 집게손가락을 약간 구부린다. 나머지 세 개의 손가락은 서로 배꼽에 대고 도끼 모양처럼 구부린다.
다음에 왼손을 펴서 왼쪽 넓적다리 위를 덮는다. 팔꿈치를 바르게 하여 두려워할 만한 모습의 얼굴 표정을 하는데, 사악하게 바라보는 눈을 해서는 안 된다. 머리를 약간 숙이고 즉시에 주문을 송한다.
옴- 등-따 라니인사라 훔-55)
嗚唵二合鄧瑟吒二合囉你𤧕索囉 虎𤙖二合
다음에 열네 번째 두지인(杜地印)은 오른손을 땅으로 향하게 하여 덮는 모습으로 편다. 다음에 왼손을 세워서 펴고 어깨 위에 댄다. 손바닥은 밖으로 향하게 붙인다. 즉시에 농장(朧長)과 같은 형상을 한 두지면(杜地面)을 본다고 생각하면서 즉시에 주를 송한다.사자인(使者印)이라고 한다.
옴- 아가니다디리문자아타 아사니훔―56)
嗚唵二合阿迦你怛底唎文闍遏他二合阿薩你虎𤙖二合
다음에 열다섯 번째인 단 가운데서 모든 천 등을 청하여 모든 때[一切時]에 공양하는 인은 손을 위로 향하게 하여 연꽃이 스러진 것처럼 서로 교차시킨다. 양 손목이 배꼽에 오도록 하고 평평하게 펴며, 몸을 바르게 세우고, 왼쪽 무릎을 앞으로 하여 걸어가는 듯한 형상을 하고 발로 땅을 누르면서 주문을 송한다.
옴- 삼만다아가라마리포라니다가다가훔- 바닥57)
嗚唵二合三曼陁阿迦囉麽哩怖囉你吒迦吒迦虎𤙖二合泮吒吒半聲
다음에 열여섯 번째 우발라보색파인(優鉢羅補色波印)은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을 마치 연꽃의 형상처럼 합하고 왼손과 함께 들어 올려서 배꼽의 높이와 같게 한다.
다음에 왼손도 연꽃의 형상처럼 만들고 심장에 닿도록 세우고 곧바로 주문을 송한다.
옴- 사라사라비사라훔- 훔-58)
嗚唵二合薩囉薩囉毗薩囉虎𤙖二合虎𤙖
이것이 연화인(蓮花印)이다. 단 가운데 있는 연꽃의 그림에 모두 이 인으로 꽃에 인한다. 꽃을 꺾어 꽂은 병이 있으면 병 위에도 인한다.”
이때 금강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만약 이 모리만다라를 지니고자 하고, 또 오리대만다라를 지니고자 하며, 또 오파라대만다라를 지니고자 하면, 이 세 가지 인법(印法)은 어떻게 성립되는 것입니까? 오직 원하옵나니 세존이시여, 저희들을 위하여 설해 주소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자세히 들으라. 지금 그대들을 위해서 설하겠다. 저 모리만다라의 모다라(母陁囉:印)는 먼저 양손을 합장하여 심장 위치에 놓고 곧바로 엄지손가락을 각각 구부리고 또 집게손가락을 구부려서 손톱 끝이 서로 버티도록 한다. 두 개의 새끼손가락을 힘주어 세워서 서로 합쳐지게 하고,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을 각각 서로 안으로 들어가도록 교차시킨다.
모리만다라의 법은 이와 같이 지송하고 지녀서 작법을 해야 하는데,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다음에 오심인리대만다라(於心印𠼝大曼陁囉)의 모다라는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약손가락의 끝 양쪽이 서로 꼬아서 닿게 한다. 나머지 손가락은 곧장 펴서 심장에서 위로 향하게 놓는다.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새끼손가락의 끝을 누른다. 나머지 손가락을 펴서 왼쪽 무릎 위에서 위로 향하게 놓는다. 오리대모다라법(於𠼝大母陁囉法)은 이와 같이 지송하고 작법해야 하는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다음에 오수심파라모다라(烏隨心波囉母陁羅)는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약손가락의 끝을 누르며, 심장에서 횡으로 위로 향하게 하고 세 손가락을 편다. 왼손은 왼쪽 무릎 위에서 위로 향하게 놓으며 집게손가락의 한 마디를 구부리고 나머지는 모두 편다. 오파라대모다라법(嗚波囉大母陁羅法)은 이와 같이 지송하고 작법해야 하는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또 그대들은 반드시 알아야 한다. 이 인을 지니고 있는 사람은 세간에 있는 일체 모든 사업을 이루지 않는 것이 없고, 소멸시키지 못하는 대죄(大罪)가 없으며, 얻는 복과 이익과 공덕이 많아서 부처님을 제외하고는 설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
또 만약에 어떤 사람이 있는 곳마다 이 세 가지 인(印)을 결하면, 이 땅은 불탑과 전신사리(全身舍利)와 같음을 알아야 한다.
이 법을 지니고 있는 사람은 시방의 일체 모든 천[諸天]과 세간을 보호하는 사천왕[護世四王]이며, 이 사람을 공양하거나 이 사람을 공경하는 것은 여래와 사리 등의 탑에 공양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다음에 그대를 위해서 소공양주(燒供養呪)를 설하겠다. 하나하나의 법에서 모두 효험을 얻고자 하는 사람과 모든 중생을 이롭고 즐겁게 하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음식에 주문을 송하고 태워서 공양하여 신(身)ㆍ구(口)ㆍ의(意)를 지극히 청정하게 해야 한다. 곧바로 주를 송한다.
옴- 사바하바닥보로보바 훔- 훔- 바닥 사바하59)
嗚唵二合莎長訶破吒布𡀔步皤 虎𤙖二合虎𤙖二合泮吒吒半聲莎 訶
가령 이 주를 사용해서 오마(烏麻)와 흰 겨자에 주문을 송하고, 아울러서 우소(牛酥)에 모두 8천 번 주문을 송하고 태워서 공양하면 모든 주법(呪法)이 즉시에 효험을 얻을 수 있다.
또 자기의 몸과 다른 이의 몸에 일체 모든 장애ㆍ환란과 자타가 소유하고 있는 모든 악몽을 제거해서 소멸시킬 수 있고, 일체 모든 재앙과 액화도 제거해서 소멸시킬 수 있다.
또 우소와 안실향과 흰 겨자 등을 취해서 모두 8천 번의 주문을 송하는데, 한 번 주문을 송하고 한 번 태운다. 이와 같이 태우면 일체의 가락하(伽嚛訶)와 모든 악한 귀신 등이 모두 다 머리가 부서져서 두 조각이 되며, 일체의 병을 치료하고 다 제거해서 낫게 할 수 있다.
또 우소와 흰 겨자 등을 태우면 일체의 모든 마와 일체의 계나벌(繫那伐)을 항복시킬 수 있다.
또 흰 겨자와 우소를 취해서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 일체 모든 사나(娑那) 가운데 들어가도 적(賊)이 볼 수가 없다.
또 제바달가목(提婆達迦木)소나무을 취해서 우소를 바르고, 갈라사(曷羅闍)의 이름을 부르면서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 저 갈라사를 불러서 대면(對面)하게 되니, 구하는 것이 모두 따른다.
또 산꼭대기에서 초화(稍去和)ㆍ인자라(因柘囉)와 흰 겨자와 우소 등을 취해서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 곧바로 모든 아수라궁(阿素洛宮)을 보고 장애가 없게 되며, 즉시에 일체의 주를 지니는 법[持呪法]을 얻어서 갈라사가 된다. 또 흰 겨자의 기름과 나가(那伽)와 계살(雞薩)에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 일체의 용[那伽]이 귀의해서 복종한다. 또 부처님께 청정한 재식을 공양하고 주문을 송하여서 태울 때는 가령 스스로 자기를 위하는 경우이거나 타인을 위한 경우이거나 각각 반드시 하나하나를 칭명하면서 태워야 한다. 이렇게 하면 5곡(穀)을 모두 풍족하게 할 수 있다.
또 소금에 주문을 송하여서 태우면 곧바로 일체의 약차와 악한 귀신 등이 머리를 발아래 붙이고 가슴을 땅에 깔고 목숨을 슬프게 구걸하면서 모두가 귀의해서 복종하며, 모든 가르침을 정대(頂戴)해서 믿고 따른다.
또 갱미(粳米)와 우소를 취해서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 창고에 가득하도록 모든 재물이 저절로 풍족하여 넘치게 된다.
또 얼굴을 동방으로 향해서 호초(胡椒)에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 일체 모든 천(天)으로 하여금 모두 환희하도록 할 수 있고, 구하고자 하는 원이 모두 걸맞게 완수되지 않음이 없으며 일체 모든 천이 이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바라본다.
또 만약에 실리제바(失唎提縛)의 앞에서 상대하여 검은 호마(胡麻)와 흰 겨자를 취해서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 구하고자 하는 모든 원이 다 뜻에 걸맞게 이루어진다. 또 아가목(阿加木) 8천 단(段)을 취해서 각각 한 척의 길이마다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 일체 모든 부처님과 보살대중이 항상 이 사람을 자비롭게 억념(憶念)하여 그 죄업이 모두 소멸되도록 하고, 주법(呪法)이 모두 효험이 있도록 하며, 일체의 병고가 모두 몸에서 떠나게 하고, 모든 세간에 있는 일체의 고통과 번뇌가 모두 다 소진되며, 다시는 태장(胎藏)의 형상을 받지 않는다.
이 주를 지송한 그 위신력 때문에 항상 모든 부처님의 정토에 태어나서 연꽃 가운데 태어날 수 있고, 항상 모든 부처님과 동일하게 유쾌함과 즐거움을 받는다.
이 나무를 태우기 때문에 일체의 악몽과 일체의 변괴(變們)와 일체의 원수가 흩어져서 소멸되고, 사람을 파괴시키는 염매(礻厭魅)가 모두 저절로 소멸되어서 옛날처럼 평탄하게 회복되고 일체 모든 마와 액난이 다 제거되어 소멸된다.
다음에는 지금 여기서 상을 그리는 법[畵像之法]을 설하겠다. 아직 자르거나 물들이지 않은 새로 나온 흰 모직을 취해서 힘에 따라 크고 작게 사방을 벽으로 만든다.
그림을 그리는 사람[畵匠]은 그림을 다 그리고 나서도 5신채[五辛]와 술과 고기를 먹지 않고 음욕 등의 일을 행하지 않아야 한다. 채색(彩色)은 반드시 새 그릇에 담아야 하며 가죽으로 된 아교[膠]를 사용해서는 안 되고 향으로 된 아교를 사용하여야 한다.
흰 모직의 중심에는 사자좌에 앉아 계신 부처님을 그리고 여러 가지 영락으로 장엄한 모습을 그리며 머리 위의 공중에는 당(幢)과 개(蓋)를 그리는데, 그 불상의 형세는 설법하는 모양과 같게 그린다. 그 부처님의 오른쪽에는 팔이 열두 개인 금강상을 그리는데 붉은 색과 흰 색으로 몸을 칠하고, 손에는 각각 여러 가지 무기를 들고 있는 모습을 그린다. 반드시 네 얼굴[四面]을 그려야 하는데 앞의 정면은 자비로운 얼굴을 그리고 왼쪽의 한 면은 두려워할 만큼 성내는 얼굴을 그린다. 오른쪽의 한 면은 개의 어금니처럼 이가 위로 튀어나와 성내는 얼굴을 그린다. 네 번째의 한 면은 눈썹을 찌푸려서 두려워할 만큼 하고 머리카락이 모두 위로 솟아 있는 얼굴을 그린다. 각각 꽃다발로 그 머리를 휘어잡아 묶고 연화좌에 있으면서 한 쪽 다리는 위로 구부리고 한쪽다리는 아래로 늘어뜨린 모습을 그린다.
그 부처님의 왼쪽에는 마니벌절라(摩尼伐折囉)보살을 그리는데 네 얼굴[四面]에 열여섯 개의 팔이 있도록 그린다.
오른손은 여의주를 잡고 있는데 부처님을 받들고 있는 것과 같은 형세를 하게하고, 왼손은 연꽃을 잡고 있도록 한다. 두 손은 위로 향하게 하고 다섯 손가락은 서로 펴서 두 손은 합장을 하고, 한 손에는 석장(錫杖)을 잡고 한 손에는 윤(輪)을 잡게 한다.
세 번째 한 손은 합련화(合蓮花)를 잡고, 네 번째 한 손은 수주(數珠)상세하지 않다.를 잡고, 다섯 번째 한 손은 견삭(羂索)을 잡고, 여섯 번째 손은 아가라디(阿迦囉低)칼이다.를 잡고, 일곱 번째 한 손은 머리가 둘인 철퇴[兩頭鐵鎚]를 잡고, 여덟 번째 한 손은 수미산(須弥山)을 잡고, 아홉 번째 한 손은 탑[窣堵波]을 잡고, 열한 번째 한 손은 패경(貝經)을 잡게 한다.
앞의 한 면은 자비의 얼굴을 하도록 해야 한다. 오른쪽의 한 면은 마하가라천(摩訶迦囉天)의 얼굴을 하고, 왼쪽의 한 얼굴은 반은 사자의 얼굴을 하고 반은 사람의 얼굴을 한 형상이 되게 한다. 네 번째 얼굴은 눈썹을 찡그리고 이를 드러내어 성내는 얼굴이 되게 한다.
그 얼굴은 옅지도 않고 진하지도 않은 녹색으로 두려워할 만한 모습이 되게 하고, 한쪽 다리는 위로 구부리고 한 쪽 다리는 아래로 늘어뜨려서 연화좌에 있게 한다. 그 자리는 앞과 연결되어 있도록 하며 상기니상(商企尼像)을 그리는데 양 무릎을 꿇고 앉아 있으며, 여덟 개의 팔이 있고, 손에는 부처님께 공양하는 꽃을 잡은 모습을 그린다.
오른쪽 금강좌 아래에는 마하제바(摩訶提婆)와 시라제바(尸羅提婆)를 그리는데, 그 마하제바의 양 손에 있는 봉발(棒鉢)에는 여러 가지 보물을 담아 부처님께 받들어 올리는 모습을 그린다.
그 마하제바의 뒤에는 사두디천(莎杜地天)을 그리는데, 웃는 얼굴로 그리고, 네 개의 손이 있으며, 여러 가지 영락으로 그 몸을 장식한 모습을 그린다. 손에는 모두 각각 무기를 잡고 있도록 한다.
그 상기니의 뒤에는 보색파달디(補色波但地)를 그리는데, 흰 옷을 입고, 손에는 꽃을 잡고서 부처님의 얼굴을 우러러 바라보는 모습으로 그린다. 그 부처님의 자리 아래에는 따로 일곱 개의 보배 연꽃[七寶蓮花]을 그린다. 그 꽃의 줄기는 폐유리(吠瑠璃)의 형상이 되게 하고, 100개의 잎을 갖추게 그리며, 그 꽃의 중심(中心)은 순금으로 된 대(臺)를 그리는데, 지극히 분명하게 한다. 그 꽃 아래에는 사천왕을 그린다. 금으로 영락을 만들어서 여러 가지로 장엄하고, 몸에는 갑옷과 투구를 입고 쓰게 한다.
그 꽃의 줄기 아래에는 연못[池水]을 그리는데, 네 개의 난순(欄楯)과 다양한 보배로 전측(塡廁)을 갖가지로 장엄해서 장식한다. 연못의 언덕 위에는 많은 대중의 흰 옷 입은 선인(仙人)을 그리는데, 모두 다 오른쪽 무릎을 꿇고 부처님의 얼굴을 우러러 바라보고 있으며, 향과 꽃을 잡아서 지니고 있고 혹은 수주를 꺼내 각각 기이하게 장엄하여 지니고 공양을 하는 모습을 그린다.
그 부처님의 깃발과 일산에는 마하제바(摩訶提婆)와 그 권속을 그리고, 또 범천과 그 권속을 그리고, 또 나라연(那羅延)과 그 권속을 그린다. 이 모든 천신들은 각각 기이한 꽃 등을 잡고 공중을 훨훨 날면서 일산을 보시하여 공양한다. 모궤(模軌)을 펴서 안치하는 법은 이와 같다.
또 주를 지니는 사람[持呪人]은 신업ㆍ심업ㆍ구업과 의복을 지극히 청정히 지켜야 하고, 오직 3백식만을 먹어야 한다.
그 달의 8일부터 15일에 이르기까지 상(像) 앞에서 이 주를 10만 번 송하여서 채워야 하는데, 상이 즉시에 요동하고 주사(呪師)의 몸에서 곧바로 불이 일어나는 이와 같은 감응이 있는 때를 접하면 즉시에 천안(天眼)을 얻고 또 비번타마리사리다라삼매(比皤上音陀麽里闍哩跢囉三昧)를 얻어서 일체 모든 주를 지니는 사람 중에서 전륜왕이 되며, 시방삼세의 모든 부처님을 다 뵐 수 있다.
이 주를 지니고 있는 사람은 일체 모든 악도의 괴로움을 다 제거하여 소멸시킬 수 있고, 3독을 멀리 떠나 구하는 모든 공덕이 원에 감응하여 성취되어 장애가 없어지고, 부처님이 환희하는 마음으로 섭수하는 가피를 입으며, 일체 모든 보살이 감탄하면서 찬탄을 하고, 시방의 일체 모든 천ㆍ용ㆍ야차ㆍ건달바ㆍ아수라ㆍ가로라(迦路羅)ㆍ긴나라(緊那羅)ㆍ마후가라(摩睺羅伽)ㆍ인(人)ㆍ비인(非人) 등이 모두 다 이 사람을 공경하여 공양을 하고 일체의 중생 가운데서 자재를 얻으며, 일체의 사업 가운데서 뛰어난 최상의 것[勝上]을 얻는다.
만약 법에 의거해서 수행할 수 있으면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복덕을 얻는다. 가령 이 주를 송하거나 이 인을 결하거나, 내지 보고 듣고 발심하여 믿고 존중하며 환희하는 마음으로 공경을 일으키는 사람은 찬탄 받고 우러름을 받는다. 이와 같은 사람들은 불신(佛身)과 같아서 다름이 없다. 이와 같은 사람은 세세생생에 항상 모든 부처님의 정토에 노닐고, 태장의 어두움에 들어가지 않고 연화 가운데 태어나며, 내지 무등등도(無等等道)를 이루어서 언제나 모든 부처님과 보살을 어기거나 떠나지 않는다.
다음에는 또 항상 훈륙향(薰陸香)을 태워서 모든 부처님께 공양한다. 그리고 새북리향(塞北哩香)목숙향(苜蓿香)이다.ㆍ전단향(栴檀香)ㆍ침수향(沈水香)ㆍ다가라향(多伽羅香)ㆍ도로색가향(堵嚕色迦香)을 태우는데, 이와 같은 향을 태워서 공양을 한다.
다음에는 단에 진흙을 바르는 법[泥塗壇法]을 말하겠다. 사향(麝香)ㆍ용뇌향(龍腦香)ㆍ울금향(鬱金香)ㆍ백단향(白檀香)ㆍ자단향(紫檀香) 등의 가루가 있는데, 이러한 것 등을 발라서 장식한다.
다음에는 결계법(結界法)인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대는 지금 자세히 들으라. 주를 지니는 법[持呪法]을 설하겠다.
먼저 반드시 목욕을 하고 부처님께 공양한다. 공양을 마치고 나서 다음에 그 도량이 있는 곳에서 호계(護界)하는 천지의 신 등을 모두 공양해야 한다. 다음에 결계를 하고자 하면 먼저 3보 전에 ‘지금 어떤 일을 위해서 결계를 합니다’ 하고 말해야 한다. 그러고 나서 약간의 날짜가 지나면 방편[權]으로 청해서 하고자 하는 작법을 차용(借用)한다.
일체 모든 일에 작법을 하고자 하면 모두 염불을 해서 마음 가운데서 작법을 한다.
다음에는 새바척사실지가인(塞溥陟莎悉底加印)을 사용해서 인을 결하여야 한다. 이 인이 빠져 있으면 그 땅을 옮기도록 청한다. 이른바 모든 신은 다음에 파담인(波曇印)으로 그 신들을 편안하게 하고, 경계 밖의 별처(別處)에 안치한다. 그 모든 음식을 각각 약간을 취해서 이 신들에게 받들어 보시하는데 이와 같이 날마다 따로 공양해야 한다.
다음에는 지니고 있는 소주(小呪)를 날마다 따로 사용한다. 먼저 각각 8백 번을 송한 후에 행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면 반드시 효험이 있다.
다음에 시방에 결계를 하고 나서 부처님 앞에 무릎을 꿇고 가슴을 열어젖히고, 모든 악념과 선하지 못한 3업을 말씀드리고 근본죄업을 모두 참회해야 한다. 3업을 청정하게 하고 나서는 곧바로 ‘원하옵건대 아무개가 지금 부처님 전에서 이 주를 받들어 지니고자 하옵니다. 만약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끝내 물러나지 않겠습니다’ 하고 큰 서원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서원을 일으키고 나서 자기 스스로 주문을 송할 수 있는 편수의 한량을 헤아려서 부처님 앞에 단정하게 앉아서 몸과 마음을 움직이지 말고 날마다 지송해서 반드시 그 한량을 채워야 한다. 초일분(初日分)의 때와 후일분(後日分)의 때에 공과(功課)의 편수를 채워서 빠뜨리지 않아야 하며, 항상 견고하고 흔들리지 않는 마음으로 지송한다.
다음에 그 땅의 첫 부분에 결계하는 작법을 마치고 나서 두 번째로는 다른 처소에서 작법을 해야 한다. 세 번째로는 비로소 초지(初地)의 작법을 행할 수 있다. 만약 별도의 처소에서 번갈아 작법 행하는 것을 거치지 않으면 끝내 첫 부분의 땅을 중복해서 사용할 수 없다.
연이어서 다음에 작법을 하여 매번 지송하는 편수의 한량을 채운다. 마치고 나서 일어나고자 할 때에는 하나하나를 모두 부처님께 말씀드려야 한다. 말하고 나서는 ‘원하옵건대 제가 훗날에 그 원하는 편수를 신속하게 채우고자 합니다’ 하고 생각한다. 이와 같이 원하고 나서 예를 올리고 물러난다.
처음에 단에 들어가서 일을 마친 이래로 만약에 의비다야달(衣去比陀耶二合達)의 갑옷 중심을 열어젖히지 않으면, 송할 수도 없고 끝내 그 편수를 채울 수도 없다. 내지 예불과 공양과 바라고 원하는 것[乞願]은 모두 관행심(觀行心) 가운데서 작법해야 하고, 법을 수립하는 오른쪽 행랑을 향하여야 한다.
달비초(達比草)모초(茅草)인데 자세하지 않다.를 베어서 취한다. 그 위에 단정하게 앉아서 자비로운 눈으로 바라보는데, 느슨하지도 않고 급하지도 않으며 작지도 않고 크지도 않게 하고, 용모를 온화(溫和)하게 하고 마음을 경건하게 하며 생각을 바르게 한다. 5역죄 등의 생각을 한 가지라도 반연해서는 안 되고, 단지 한결같이 부처님에게만 오로지 마음을 집중하고 기우려서 동요함이 없는 생각으로 분명하게 부처님을 관하고, 부처님의 상호가 광명이 혁혁한 것을 생각하면서 대자비가 엄연(儼然)하여 마치 자애로운 아버지가 우리를 민망하게 여겨 보호해 주는 것과 같은 부처님의 뜻[佛意]을 조견(照見)하여 받드는 마음과 애타게 흠모하여 우러르는 마음을 스스로 배가되도록 엄정하게 힘쓰는데 오직 손가락만 제외하고 그 외에는 움직여서는 안 된다. 심장에 닿게 손을 붙이고 수주를 돌리면서 수를 기억한다. 가령 정해진 숫자를 채우지 못하는 경우에 끝내 중간에 그쳐서는 안 된다. 눈물ㆍ콧물이 나오려 하면 오른손으로 누르며 기억해서 잠시도 놓지 않아야 하며, 수를 채우지 못하면 끝까지 주문 송하는 것을 그치지 않아야 한다.
주문을 송할 때마다 항상 부처님을 염원하는 마음을 일으켜서 그 속에서 송한다. 주문의 구절과 문자는 분명하게 불러야 하고, 길고 짧은 것을 잘못해서는 안 되며 청탁(淸濁)을 바르게 하고, 음성을 조화롭게 해서 온화하고 윤택하게 하도록 해야 하며, 내지 끝내는 소리[了聲]도 빠뜨리거나 잘못해서는 안 된다.
다음에 가령 불로 태워서 공양하는 경우에는 모두 자기 스스로 맹세한 횟수를 부처님께 말씀드려야 하고, 이러한 횟수가 정해지면 어기거나 빠뜨려서는 안 된다. 만약 태우지 않고 공양하면 주문을 송하여서는 안 된다.
다음에 만약 탐욕심을 일으켜 주문을 송하면서 효험을 바라면 미래에 야차의 종자가 된다. 만약 지혜가 없는 마음 가운데서 주문을 송하며 효험을 찾고자 하면 미래에 귀신의 종자가 된다.
가령 자애롭고 애민하게 여기는 마음과 대자비심과 염불하는 마음과 같은 이러한 마음으로 효험을 바라는 사람은 미래에 여래종지(如來種智)를 성취하여 하려고 하거나 짓는 것에 장애가 없어지며, 모든 것이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성취된다. 다음에 혹시 잠이 오거나 기지개를 켜고 싶거나 재채기가 나오려 하거나 경기가 나오려 하거나 눈물과 콧물이 나오려 하면 자세를 단정하게 한다. 모든 것이 불안하거나 걱정하는 마음이 살며시 일어나면 곧바로 주문을 송하지 말아야 하며, 빨리 지극한 마음으로 부처님을 향해서 우러러보면서 간절한 정성을 전일하게 기우려서 생각을 응축시켜 바르게 관찰해야 한다. 마음과 뜻을 청정하게 해야 주문을 송할 수 있다.
가령 크거나 작게 빠뜨리면 물 한 움큼에 스물한 번의 주문을 송하고 달빛이 이르러서 비추어 준다는 생각을 하면서 자기 스스로 머리의 정수리를 씻고 온몸과 옷을 씻으면 가지고 있는 더러움이 모두 청정해진다.
다음에 만약 일이 어려워지면 반드시 일어나서 가야 한다. 그리고 편수를 다 채울 즈음에 아직 채우지 못했는데 해가 지려 한다면 지극한 마음으로 부처님을 관하고 즉시에 이 주를 108번 송한다. 이와 같이 작법해서 편수를 채워야 한다. 만약 일이 어려워져서 마치지 못하고 이 날을 빠뜨리는 경우 세 배(倍)로 주문을 송하면 공과가 옛날과 같다.
다음에 가령 구하는 원이 아직 효험이 나타나지 않았을 때에는 좋은 침상과 이부자리 등에 앉거나 눕지 않아야 하고, 설사 수용(受用)했더라도 곧바로 작법을 해야 한다.
해가 뜨려 할 때 동쪽을 향하여 합장을 하고 몸을 단정하게 하고 바르게 서서 일심(一心)으로 염불하면서 여덟 번 주문을 송한다. 그러면 증상만(增上慢)의 장애를 소멸시킬 수 있다.
혹시 욕심을 부리는 생각이 일어나 더러운 것이 유출(流出)되어 드러나면 반드시 청정하게 씻어서 목욕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마음속으로 생각하고 지송하면서 108번 주문을 송하면 옛날처럼 청결해져서 청정함을 잃지 않는다.
다음에는 나무를 사용하는 법을 알아야 한다. 어떤 나무가 모든 법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고 좋은 효험이 있는가, 어떤 나무가 모든 법을 파괴시킬 수 있고 효험이 없는가, 화로법(火爐法)은 어떤 것인가, 화상법(火相法)은 어떤 것인가 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만약 알지 못하면 일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주바수목(住婆樹木)과 가란치수목(迦蘭蚩樹木)과 거타라목(佉陁羅木)과 구디지목(拘底支木)괴목(槐木)이라고 하는데 자세하지 않다.에 대하여 선남자는 사용법을 알아야 한다.
갈가수목(曷迦樹木)울발(鬱勃)이라고 한다.과 비혜리륵목(毘醯唎勒木)없다고 한다.과 아미시리사목(阿弥尸𠼝師木)궁(宮)을 지키는 괴목이라고 한다.과 라진목(羅丁丁隣反木)촉(蜀)지역에 있다고 한다.과 아미라목(阿弥羅木)과 진두가목(鎭頭迦木)감나무라고 한다.과 마가목(䔍迦木)밤나무라고 한다.과 낙가미목(鑠迦米木)과 그밖에 잡다한 종류[雜類]의 나무 등은 자수목(刺樹木)과 함께 사용하기만 하면 원수를 피할 수 있고 적을 제거할 수 있고, 유수목(乳樹木)과 함께 사용하기만 하면 갈애(渴愛)를 뽑아내서 친하고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차례[次第]를 알아야만 한다. 그 필립번목(必立皤木)배나무와 비슷하다고 하는데 여기에는 없다.과 파라사목(播囉師木)호도(胡桃)라고 한다.은 모든 것과 사용하는데 단지 자수목과는 사용하지 않는다. 안온함을 구하는 사람이 사용하면 모든 사람의 마음에 유연함이 생기게 할 수 있다.
그 주로다목(注露多木)과 모소거목(牟素佉木)감초(甘草)라고 한다.과 거릉가등목(居▼(口+陵)二合迦等木)오얏나무라고 한다.과 가탐바목(迦耽婆木)과 아수가목(阿輸迦木)과 사리반나목(舍唎般那木)장미를 말한다.과 파가사목(波迦沙木)과 같은 등의 나무를 모든 효험을 구하는 자가 사용하면 구하는 것을 하나하나 길(吉)하게 이룰 수 있다.
다음에 가져다가 태우면서 사용해서는 안 되는 모든 나무 등을 알아야 한다. 저절로 꺾여서 떨어진 것과 부러져 꺾인 적이 있는 것과 도끼에 다친 적이 있는 것과 이미 서리를 맞은 것과 벌레에게 먹힌 것 등, 이와 같은 등등의 좋은 모습이 아닌 것은 모두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이름 없는 법일 경우에는 사용해도 된다.
모든 나무의 종류와 네 가지 모습의 형상은 설명한 것에 걸맞게 사용해야 하며 잘못하거나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된다. 다음에 첫 번째 상법(上法)과 두 번째 중법(中法)과 세 번째 하법(下法)과 네 번째 축법(逐法)을 알아야 한다. 네 가지 법의 장단(長短)은 각각 차례가 있다. 상법을 사용하는 사람은 열두 손가락을 길게 하고, 중법을 사용하는 사람은 열 손가락을 길게 하고, 축법을 사용하는 사람은 여덟 손가락을 길게 하고, 하법을 사용하는 사람은 네 손가락을 끊는다.
다음에 상법은 아직 서로 친하지 않은 모든 친우에게 사용하는 법임을 알아야 하고, 중법은 주를 지녀서 대원(大願)을 성취하고자 하는 경우와 사람을 구하고 재물을 구하고 법에서 일체의 효험을 구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하법은 일체 모든 사람 등이 공경하고 존중해서 서로 연민하도록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축법은 일체의 원수 등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다음에 상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름을 바르고, 중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乳)와 낙(酪)을 바르고, 하법은 연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한 가지 단 것[甛]을 바르고, 축법의 경우에는 여덟 손가락의 피[八指血]와 독약을 사용해서 바른다.
다음에는 화로를 만드는 법을 알아야 한다. 땅에서 1주를 들어가서 잡토(雜土)와 더러운 흙을 파내고, 소[牛]의 5미(味)60)로 청정하게 씻는 것을 마치고 나서 깨끗한 흙으로 덮는다.
대원을 성취하기 위해서 상로(上爐)를 만드는 경우는 한 방향이 1주인 벽(僻)을 사방에 만든다. 네 겹의 연니[四重緣泥]를 일으키는 것을 마치고 즉시에 손으로 인을 결하고 염불하면서 주문을 송하여 다섯 신[五神]이 화로 가운데 편안하게 앉도록 청해서 맞이한다. 화로에 신이 편안히 앉도록 하고 나서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서 공양한다.
중로(中爐)를 만들어 스스로 효험을 구할 때에는 그 화로의 벽을 사방 20지(指)로 하고 3중연(三重緣)을 만든다. 땅을 파고 깨끗하게 씻어서 신을 청하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다름이 없다.
연민(憐愍)함을 구하고자 하여 하로(下爐)를 만드는 것은 가장 높은 것은 9지(指)로 하고 3각(角)으로 만든다. 면(面)의 넓이는 각각 별도로 해서 18지로 하고 3연(緣)을 만드는데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싸움과 병을 쫓아내는 축법을 일으키고자 해서 화로를 만드는 경우에는 사방의 벽을 9지로 하고 1겹의 니연(泥緣)을 만든다.
다음에는 음식 등을 태워서 공양하고자 하는 것을 알고자 하는 경우에는 얼굴은 동방을 향하고 마음으로는 부처님을 관하는 생각하면서 주문을 송하고 태워서 공양한다.
가령 뛰어난 일을 구하고 원적(怨敵)을 항복받으며 모든 어려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얼굴을 동북으로 향하고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서 공양한다.
가령 은혜와 복[恩福]을 원하여 구하고자 해서 작법하는 경우에는 얼굴을 동남으로 향해서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서 공양한다. 가령 싸움과 병을 쫓아내기 위해서 작법을 하는 경우, 주사(呪師)는 얼굴을 남방으로 향해서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서 공양한다. 가령 대원(大願)을 이루기 위해서 작법하는 경우, 주사는 얼굴을 서남으로 향해서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서 공양한다. 연민하는 생각 때문에 작법하는 경우, 주사는 얼굴을 서방으로 향해서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서 공양한다. 가령 싸움을 말리고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작법하는 경우, 주사는 얼굴을 서북으로 향해서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서 공양한다. 가령 복종하는 것이 싫기 때문에 작법하는 경우, 주사는 얼굴을 북방을 향해서 송주하고 태우면서 공양한다. 다음에는 숟가락[匙]을 공양하는 법을 알아야 한다. 자루의 길이는 1주로 하고, 숟가락의 면(面)은 오목하게 만드는데, 엄지손가락의 마디를 벗어나는 정도의 크기와 같아야 함을 알아야 한다. 가령 일체 모든 호법(好法)을 행하는 경우에는 동숟가락과 은숟가락과 금숟가락의 세 가지를 경우에 따라 사용한다. 가령 일체 모든 악법을 행하는 경우에는 잡다하게 만든 백추(白鎚)와 동숟가락을 사용한다.
다음에 선악을 불로 태우는 것에 열 가지 모습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첫 번째 모습은 불꽃이 마치 처음 떠오르는 해[初日]와 같다. 두 번째 모습은 그 색이 윤택하고 기름지다. 세 번째 모습은 수정(水精)색과 같다. 네 번째 모습은 순수한 우소(牛酥)의 색깔과 같다. 다섯 번째 모습은 금색과 같다. 여섯 번째 모습은 그 불에 연기가 없다. 일곱 번째 모습은 밝고 치연하게 번개처럼 일어나는 불꽃의 소리가 마치 말소리[語聲]와 같다. 여덟 번째 모습은 한 번 태움에 끝까지 태워서 남는 것이 없다. 아홉 번째 모습은 많거나 적은 장작을 모두 다 타도록 하는 것이다. 열 번째 모습은 먼저 불을 붙이고 땅을 태워서 뜨겁게 만드는 것이다.
그대는 또 이와 같은 열 가지 모습은 그 행하는 법이 모두 다 효험을 이룬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대는 또 알아야 한다. 가령 불꽃이 일어나지 않거나, 때로는 장작을 태우는데 타지 않거나, 단지 연기만 나는 이와 같은 때에는 작법을 하지 않아야 하며, 그 사람이 죽는 우환의 시기가 이르렀음을 알아야 한다. 그대는 또 알아야 한다. 가령 불기운이 차가워지거나 윤기가 없어지거나, 때로 불똥[火星]이 흩어져 솟아나오거나, 연기와 불꽃이 서로 이어지거나, 불꽃이 재속으로 들어가면 이것은 모두가 나쁜 조짐[惡相]이므로 한 가지 작법도 효험을 이룰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그대는 또 알아야 한다. 가령 불 속에서 문득 나쁜 냄새가 나거나, 때로는 모든 악취(惡臭)의 기운이 나오거나, 불꽃이 흰 색이 되거나, 연기와 불꽃이 없거나 검고 삿된 기운이 땅으로 들어가는 이와 같은 모습이 나타나면, 어떤 사람이 장애와 환란을 일으키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그대는 또 알아야 한다. 가령 불에서 붉은 색의 불꽃이 먼저 일어나고 다음에 금색의 형상이 일어나는 경우와, 화로 가운데서 태우는 쇠가 환하게 밝아지고 때때로 우소의 색깔처럼 변화되고, 때때로 금색의 불꽃이 되고 윤택해지며, 혹은 머리카락이 별도로 나누어지는 경우 작법을 통해서 구하는 원이 모두 효험을 이룰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 그 모든 상(相) 중에서 어떤 것이 첫 번째인가를 알아야 한다. 가령 불의 빛이 좋고 향기가 왕성하게 나오거나, 혹은 불꽃이 타는 소리가 없고 번개와 같은 형상의 불꽃이거나, 혹은 불꽃 위에 다시 별도의 불꽃이 밀려나오거나, 붉은 쇠의 색깔과 같고, 끈이나 머리를 땋은 가닥과 같고, 불꽃의 끝이 우산이나 일산처럼 퍼지는 이와 같은 모습을 첫 번째라고 한다. 이때에는 영험이 있어서 허망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은 등등의 모습이 어떤 때는 나오고 어떤 때는 나오지 않으며, 나중에 나오는 것이 앞의 것과 같지 않으면, 상서롭지 않은 것임을 알아야 하나니 즉시에 작법을 정지시키고 다시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형상으로 공양하지 말아야 하고, 이미 붙은 불은 저절로 꺼져서 다하도록 둔다.
그대는 또 어떤 것이 두 번째의 상인가를 알아야 한다. 가령 불의 모습이 두 가지인 것을 보고 두 모습이 서로 비슷하면 정지해서 멈추지 않아야 한다. 이것은 일체 모든 효험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또 모든 천신들도 그 효과가 있는 모습[效相]을 본 것이다. 그대는 또 알아야 한다. 가령 불법을 구하는 사람이 어떻게 하면 효험을 얻고 어떻게 하면 효험이 없는지를 선남자는 자세하게 관해야 한다.
가령 큰 눈[大雪]을 비추는 것과 같은 불꽃이 일어나서 눈[雪]에 비추어지는 기이한 색상(色狀)이 되거나, 혹은 예쁜 꽃나무와 같은 불꽃이 일어나거나, 혹은 깨끗한 금색과 같은 불꽃이 일어나거나, 혹은 붉은 연꽃색과 같은 불꽃이 일어나거나, 혹은 석류꽃[石榴花]과 같은 불꽃이 일어나거나 하면 뜻과 같이 소원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은 등등의 상호는 가장 뛰어나서 영험이 있다. 또 그대는 어떠한 상(相)이 효험을 얻을 수 없는지를 알아야 한다. 가령 숯과 불꽃이 검은 색이어서 파리의 모양과 같거나, 숯부스러기가 잡다하게 부서져서 검은 불꽃이 되고 혹은 윤택함이 없어 그 불꽃이 마르고 건조하거나, 혹은 차가운 쇠의 색깔과 같은 불꽃의 모습이 나오거나, 혹은 연기가 다시 나오고 혹은 흩어져 뿜어 나오는 이와 같은 등등의 모습[相]은 영험이 없음을 알아야 한다. 또 그대는 불 속에서 특별한 소의 울음소리가 나오거나, 소라나 조개가 우는 소리가 나오거나, 혹은 우렛소리가 나오고 사람의 정(情)과 뜻[意]에 맞는 온화한 소리가 나오면, 이때에는 구하는 것에 반드시 영험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 그대는 알아야 한다. 가령 불 속에서 산이 무너진 후에 돌이 구르며 부서지는 것과 같은 소리가 나오거나, 마치 구리로 만든 그릇이 부서져서 금이 가는 소리가 나오면, 이와 같은 상(相)은 몸이 반드시 죽어야 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구하는 것이 뜻에 따라주지 않고 악상(惡相)이 어지럽게 하기 때문이다. 다음에 주사가 태워서 공양하고자 하면 먼저 소의 오줌을 물에 섞는다. 혹은 깨끗한 물을 사용해서 씻고 목욕하고 나서 비로소 작법을 한다.
또 그대는 알아야 한다. 가령 주문을 송하고 태우면서 공양하여 구하는 원을 만족시키고자 하면, 반드시 진품이면서 순수한 우소를 태워야 한다. 혹은 낙을 태우고, 혹은 유를 태우며, 혹은 과자(果子)를 태우고, 혹은 호마를 태우며, 혹은 음식[食]을 태우고, 혹은 꽃[花]을 태우며, 혹은 잎[葉]을 태우고, 혹은 나무[木]를 태운다.
앞에서 말한 나무와 같은 등등의 물건을 그 응하는 바에 따라서 세 가지의 숟가락으로 잡아서 태운다.
만약 앞에서 말한 3대주(大呪)의 문으로 구하는 원에 따르고자 하면, 각각 그 주를 음식에 주문을 송하여서 태운다.
이와 같이 해서 공양하면 일체 모든 천ㆍ용ㆍ건달바ㆍ시방신(時方神) 등이 모두 다 환희하여 주사로 하여금 신속하게 효험을 이룰 수 있게 해주고 모든 천신들 등이 항상 옹호하여 마군 등이 모두 장애와 환란을 일으키지 못하게 한다. 다음에 그대를 위해서 장작의 모습[柴相]을 설하겠다. 모든 선악의 효험을 장작으로 알 수 있는데, 장작의 모습이 나쁘면 법(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어떤 장작이 결정적으로 효험을 이룰 수 있고 어떤 장작이 반드시 효험이 없는가 하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이른바 선재수상(先在樹上)인 나무와 바싹 말라서 껍질이 없거나 짧고 휘어져 있거나 시들어 있거나 줄기가 나쁘거나 껍데기가 벗겨져 있거나, 혹은 너무 긴 것이거나, 혹은 너무 거친 것의 경우, 이와 같은 등등의 장작은 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길조의 효험을 무너뜨린다.
고목(枯木)을 사용하면 수명을 감소하게 하고, 껍질이 없는 나무를 사용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병(病)을 얻게 하며, 짧은 나무를 사용하면 법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곧바로 효험을 잃으며, 휘어져 있는 나무를 사용하면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나쁘게 보도록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주사가 파리하거나 껍질이 벗겨져 있는 나무를 사용하면 사람의 상호를 소멸시켜서 복과 덕을 잃도록 하며, 너무 긴 나무는 원하는 바를 무너뜨리고, 너무 거친 나무는 뜻하지 않게 상서롭지 않은 일을 만나게 하여 일체 모든 법에 장애가 많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가 있기 때문에 나쁜 장작 등과 마르고 건조하고 껍질이 없고 짧고 휘어지고 파리하고 껍질이 벗겨져 있고 길고 거친 것은 모두 사용해서는 안 되며, 신속하게 효험을 이루고자 하면 이와 같은 등등의 나쁜 모양의 장작을 제거해야 한다. 지금 또 그대를 위해서 나뭇가지를 사용하는 법을 분별해서 설하겠다. 나뭇가지가 나무에서 곧장 위로 올라와서 홀로 나있고 옆으로 뻗은 가지가 없는 이와 같은 등등의 것은 나쁜 사람을 제압하고 조복해서 환희하는 마음을 일으키도록 하려는 경우에 사용한다. 나무의 중심(中心)에서 가지가 홀로 곧장 올라온 것은 창고에 진기한 보배[珍寶]와 즐거운 법을 구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나무뿌리 아래에서 옆으로 나와 홀로 뻗은 가지는 법대로 따르려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또 그대는 알아야 한다. 원수와 적을 제압해서 조복시켜 성내는 마음을 해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12지(指)의 길이로 끝을 나란하게 자른다.
나누어 바라보는[分望] 데에서 안락을 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8지의 길이로 끝을 나란하게 잘라야 한다.
싸움이나 병을 쫓아내는 경우에는 4지의 길이로 자르는데, 이름도 없고 껍질이 없는 것을 취하는 경우에는 4지의 길이로 해서 나귀의 발자국처럼 자른다. 앞에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따르도록 하려는 경우에는 반드시 껍질이 없는 단목(端木)을 5지의 길이로 자른다.
서로 떨어져서 괴리되어 등지도록 하려는 경우에는 껍질이 없는 나무를 6지의 길이로 자르고 흰 겨자의 기름을 바른다. 밟으려 하는 경우에는 껍질이 없는 나무를 7지의 길이로 자르고 포도주를 바른다. 해탈을 구하여 일심(一心)으로 생사를 벗어나고자 하면 11지의 길이로 끝을 나란하게 자른다.
소망과 안락을 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껍질이 있고 단정하며 곧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제압해서 조복시키고 화합하여 기쁘게 하려는 경우에는 껍질이 없거나 휘어진 것과 나귀의 발굽처럼 자른 것은 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 그대는 알아야 한다. 소망과 안락을 구하기 위해서 작법하는 경우에는 우소(牛酥)와 단 물건[甛物]을 사용해서 바른다. 이름을 없애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름[脂]을 사용해서 바른다. 원하는 일이 모두 뜻과 같이 되기를 구하는 경우에는 곧장 우소를 사용해서 바른다.
다음에 갈라진 것과 마디가 없는 나무는 바라문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나무의 중심에서 홀로 나와 갈라짐과 마디가 없는 것처럼 옆으로 뻗은 가지가 없는 것은 라자(囉闍:王)를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나무의 중심에서 위로 뻗어서 갈라짐과 마디가 없는 나무는 천신(天神)을 섬기고 귀신과 사람을 섬기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가지가 뿌리 근처에서 나뉘어져 갈라지고 마디가 있는 것은 공장(工匠)을 위해서 사용한다.
유수(乳樹)가 뿌리 가까이에서 홀로 나있고 떨기로 나누어져서 나있으며 묶여있는 것은 때로는 왕이나 바라문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가시가 많이 있으며 청흑색인 나무는 공장을 위해서 사용한다.
또 그대는 알아야 한다. 네 가지 나무 중에서 단지 젖만 있는 것은 은혜와 복을 구하는 모든 사람이 선안(善眼)으로 환희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다음에 또 알아야 한다. 앉고 눕는 곳에 달폐초(達吠草)를 가득 채우려면 반드시 동남쪽에 있는 것을 베어야 한다.
이 풀은 어떤 것이 나쁜 모양인가? 노랗게 된 것과 마른 것과 잡스러운 것과 꺾인 것과 헝클어진 것과 양쪽 가지가 서로 엉켜있는 것과 회임(懷妊)한 것 등 이와 같은 종류는 모두 사용할 수 없다.
어떤 것이 좋은 것인가? 붉은 색이 있는 것과 유연하고 미끈하며 윤택한 기름기가 있는 것 등 이와 같은 풀은 사용할 수가 있는데, 반드시 넓은 땅에서 일정하게 잘라야 한다. 오직 뿌리만은 제외되는데, 잘 가려서 깨끗한 방소[方]에서 수용(受用)하게 할 수 있다.
또 그대는 알아야 한다. 좋게 바라보는 눈[善眼]과 환희를 구하고 은혜와 복덕을 구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이와 같이 좋은 풀을 얻어야 한다. 성을 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절반은 생채로 있고 반은 익은 풀을 얻어야 한다. 이름을 없애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풀의 색깔이 반드시 흰 겨자와 같은 것이어야 한다.
다음에 지금 여기에서 그대를 위해서 설하겠다.
이미 효험을 얻었거나 아직 얻지 못했거나 단을 결하고자 하고 주법(肘法)을 사용하려면, 먼저 땅을 간택하여 태우고 나서 단을 만들어야 한다. 단에는 4개의 문을 연다. 다섯 가지 색깔의 흙과 미세한 오라(摀羅)의 가루와 새 질그릇에 각각 단향(檀香)과 사향(麝香)을 바르고 나서 담아 놓고 단의 내부에 안치한다.
또 와기 두 개 중에서 한 개에는 미세한 단의 분말[細檀末]을 담고, 1개에는 울금화(鬱金花)를 담는다. 앞의 다섯 가지 색을 사용해서 그 단을 그린다.
그 중심에 있는 단은 사방 2주로 만들어서 백단향을 바르고 그 위에 울금향을 뿌린다. 그 단의 바깥은 다시 서쪽에 기탁한다. 면(面)은 각각 따로 양(量)을 14주로 한다. 땅에는 깨끗한 흙을 소똥에 섞어서 바른다. 단의 중심에는 일곱 가지 색을 사용해서 7보로 장식한 연꽃을 그리고, 그 꽃에는 천 폭(輻)의 바퀴테를 그린다. 바퀴 바깥의 주위에는 모두 불꽃을 그린다. 그 연꽃의 줄기는 폐유리보(吠琉璃寶)의 모양으로 그리고, 그 위에 부처님을 그린다. 부처님의 왼쪽에는 오른손으로 저(杵)를 잡고 왼손에는 도끼를 잡고 있는 금강을 그린다. 부처님의 오른쪽에는 갖가지 영락으로 장엄하고 있는 마니발절리(摩尼拔折唎)보살을 그리는데, 그 몸의 한 손에는 여의주를 가지고 있고 한 손으로는 발새막(鉢塞莫)수주(數珠)를 말한다.을 잡고 있다.
4각(角)의 위치에는 사천왕을 그린다. 그 몸에는 모갑(牟甲)을 갖추고 있으며 여러 가지 영락으로 장엄하고 있고 위의(威儀)가 있게 하며 혹은 두려워할 만한 형상으로 그린다. 내외(內外) 등의 단이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을 때에는 먼저 1주 정도의 나쁜 흙을 파내야 한다. 그 중심에 있는 단은 조금 높게 만든다.
다시 당번과 일산[傘蓋]을 높이 세워서 장식해야 한다. 단의 4연(緣)은 다섯 가지 색으로 그린다. 단의 바깥 사방에는 각각 화로를 만들고 좋은 장작으로 여법하게 불을 피운다. 화로의 사각에는 각각 당번을 안치하는데 다섯 가지 색의 비단으로 단의 주위를 돌아가면서 채색한다.
남면(南面)에만 출입하는 문 하나를 남겨두고, 외단(外壇)의 동면에는 각각 당번을 안치한다. 또 다섯 가지 향을 물에 섞어서 하나의 금병 가운데 담고 각각 오묘한 꽃을 안배하여 단의 모서리에 놓아둔다.
만약에 금병이 없으면 작은 와병에 금을 칠해도 된다. 또 은병 네 개에 각각 우유를 가득 담아서 네 모서리[四角]에 안치한다.
그 중단(中壇)의 문 바깥의 오른쪽에는 여러 가지 영락으로 장엄하게 장식하고 있는 마하제바(摩訶提婆)와 비마제바(毗摩提婆)를 모두 한 곳에 그린다. 왼쪽의 문 가운데에는 상기니(商企尼)를 그리고, 세 번째 문의 중심에는 벌절라두지(伐折囉杜地)를 그린다. 이는 여덟 개의 팔이 있는데, 손과 손마다 각각 다른 무기를 잡고 있으며 여러 가지 영락으로 그 몸을 장엄하고 있고, 양손은 머리보다 더 높이 들어 올려서 푸른 명주를 덮어쓴 모양을 하고 있다.
그 중단(中壇)의 4반(畔)에는 여러 가지 잡색의 뛰어나고 좋은 음식을 공양한다. 또 네 개의 병에 향수를 가득 담고 좋은 꽃을 꽂아서 4변(邊)의 신(神)이 있는 곳 가까이에 안치해 둔다.
서른두 개의 잔등(盞燈)을 밝히고, 그 중단의 연꽃 위에는 향수를 가득 담아 좋은 하나의 금병을 안치하는데 그 가운데 여러 가지 과실과 여러 가지 곡식과 여러 가지 꽃을 꽂아서 부처님께 공양한다.
부처님 앞에는 소합향(酥合香)을 사른다. 나머지 모든 위치에는 각각 스스로 향을 사른다. 중단의 부처님 앞에는 은향로(銀香爐)와 발절라파지(拔折羅波膩)를 안치하고 구로(俱嚧)와 구로두바(俱嚧杜婆)안실향(安悉香)을 말한다.를 사른다.
마니발절리(摩尼拔折唎) 앞에는 돌축가향(突縮迦香)소합향(酥合香)을 말한다.을 사르고, 마하제바(摩訶提婆) 앞에는 백단향을 사르고, 상기니 앞에는 안실향을 사르고, 사저도(社底堵)사자(使者)를 말한다. 앞에는 시라지향(施羅枳香)을 따로 사른다.
중단의 문에는 각각 별도로 갖가지 공양을 안치한다. 동문(東門)에는 아리지(阿唎地丁利反)와 6자매를 그린다. 오른쪽의 서반(西畔)에는 마하제바(摩訶提婆)와 보색파달지(補色波但地)를 그린다. 북쪽에는 비마제바(毗摩提婆)가 수치스러워서 겁을 먹고 있는 형상을 그린다.
그 단의 4변(邊)에는 서른두 개의 화살을 꽂아두는데 5색의 실로 화살의 주위를 묶어둔다. 이곳의 네 모서리에는 반드시 5색의 증번(繒幡)을 안치해야 하고, 여러 가지 꽃을 단 가운데 어지럽게 뿌리며 여러 가지 과일을 안치해서 공양해야 한다.
또 일곱 가지 떡을 만드는데 여러 가지 훌륭한 맛을 떡에 장엄한다. 또 서른두 개의옹기에 향수를 가득 담고 여러 가지 잡화(雜花)를 그 가운데 안치한다. 또 서른두 개의 군지(軍持)에 각각 따로 음료수를 담아놓고, 또 서른두 개의 향로를 만들고, 또 108개의 잔등(盞燈)을 만들고, 또 108개의 화만(花膵)을 만들고 또 여러 가지 향수를 바른다.
이른바 여러 가지 향인데 훈육향과 새북리향(塞北哩香)과 전단향과 침수향(沈水香)과 건다가라향(健多伽羅香)과 시락기향(施口洛起香)과 용뇌향과 사제향(麝臍香)과 울금향과 자단향(紫檀香) 등을 말한다.
이와 같은 향을 물에 섞어서 모든 천신들을 목욕시킨다. 또 모든 천신들의 앞에는 각각에게 알맞는 향을 사른다. 또 우유와 낙과 석밀(石蜜)과 낟알[顆]을 각각 음료수에 섞는다. 우유를 섞은 음료수를 여덟 개의 병에 담고 낙을 섞은 음료수와 꿀을 섞은 음료수와 과자 등을 섞은 음료수를 각각 여덟 개의 병에 담고 네 가지의 음료수를 각각 여덟 개의 병에 담는다.
또 여덟 개의 그릇에 우유죽을 안치한다. 또 갱미와 녹두와 호마와 우소를 취해서 끓인 죽에 서로 섞어 여덟 개의 그릇 가운데에 담는다. 또 여덟 개의 그릇에 갱미로 만든 밥을 담는다. 또 여덟 개의 그릇에 볶은 갱미[炒粳米]와 보릿가루를 석류장(石榴漿)에 섞는다. 또 기와로 만든 주발 서른두 개를 취해서 네 개의 주발에는 호마유(胡麻油)를 담고, 네 개의 주발에는 좋은 소를 담고, 네 개의 주발에는 과자와 석밀그 낟알을 흔들어 채운 것이다.을 담고, 네 개의 주발에는 석밀장을 담고, 네 개의 주발에는 호마와 쌀을 채우고, 네 개의 주발에는 모든 과자를 채우고, 네 개의 주발에는 일곱 가지 곡식과 보리를 담고, 네 개의 주발에는 꿀과 여러 가지 재식(齋食)과 호떡과 우유로 만든 음식 등을 담는다.
또 포도주를 밀가루에 섞어서 밀떡을 만든다. 또 두황(豆黃)가루를 포도첨장(蒲桃甛漿)에 섞어서 떡을 만든다. 또 조와 호마로 떡을 만든다. 또 조와 호마와 복숭아와 수수호마[穰胡]로 떡을 만들고, 또 조와 호마와 진자(榛子)로 떡을 만들고, 또 조와 과자와 석밀로 떡을 만든다. 또 조와 석밀로 떡을 만들고, 또 포도를 졸여서 떡을 만들고, 또 꿀 바른 떡을 만든다. 또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음식의 재료 등의 것을 모두 그 위에 얹을 수 있다. 그 출입문의 양쪽에는 각각 하나의 군지(軍持)를 안치하고 향수를 가득 담아서 주문을 송한다.
옴 마하비보라 바사디 사티 다 싣디 비션 자 마나가 살바다타
唵一摩訶毗布羅二鉢師底都你反瑟致二合多三悉提四比詵去者五摩那迦六薩婆怛他
가다비셰 계 바라바라삼바라호훔호훔61)
伽多毗煞所戒反雞七破囉破囉三破囉呼𤙖呼𤙖
다음에 향과 꽃과 음식과 과자와 의복 내지 재[灰]와 흙ㆍ물ㆍ불 등 단에 들어와야 하는 모든 물건 등을 알아야 하는데, 모두 이 주문을 송한 물을 그 위에 뿌린 연후에 비로소 들여올 수 있다.
가령 부처님을 청하고 신(神)과 사천왕을 청하여 자리 위에 안치하는 경우, 하나하나를 모두 그 몸에 본주(本呪)를 결인(結印)하여 청하고 안치한다. 중단을 만들고 나서 곧바로 보살과 금강을 청하는데 하나하나 모두 그 몸에 본주를 인하여 장엄하고 견고하게 하고 자리 위에 안치한다. 청하고 나서 바로 나가 그 위를 걸어 다녀서는 안 된다. 중심의 단을 만들고 나서 곧바로 외단(外壇)을 만들어 자리에 앉도록 청하고 모든 꽃에 곧바로 주문을 송하여 자신이 앉는 곳에서 자신을 결호(結護)한다.
만약 다른 사람이 단에 들어오려 하면 먼저 옷을 씻고 목욕을 하여 각각 청정하게 하고 인도하여 화로의 주변에 이르러서 차례로 자리에 앉도록 한다. 다음에 만약 지극한 마음으로 가르침을 의지하면 구족하게 됨을 알아야 한다. 다만 지극한 마음으로 법(法)을 행할 수 있으면 한 번에 이 단에 들어가며, 시방의 일체 모든 부처님이 함께 이 사람에게 청정한 수기를 주어 과거ㆍ현재의 모든 중죄가 모두 다 소멸된다.
가령 독[▼(示+厭)蠱]에 중독되어 부서지는 경우에도 일체 모든 장애와 환란이 다 제거되어 소멸된다. 가령 중병에 걸린 사람도 이 단에 들어오면 병이 제거되어서 나을 수 있다. 가령 시방의 일체 모든 부처님께 공양하려는 사람과, 일체 모든 보살에게 공양하려는 사람과, 부처님의 지혜의 종자를 취하여 보리를 깊이 심으려 하는 사람과, 퇴전하지 않고 견고하게 지키려는 사람은 반드시 가르침에 의거해서 이 법단(法壇)에 들어와야 한다. 가령 마하제바와 대자재천과 나라연천과 범천ㆍ제석ㆍ32존천(尊天)에게 돌아가면서 공양하려고 하는 경우, 단지 이 법단에 한 번만 공양하면 제천에게 각각 공양해서 청한 것과 같아서 모든 천(天) 등이 다 환희한다. 만약 이 단에 한 번 공양하면 마하가라바디가(摩訶迦羅皤底都儞反迦)에게 공양한 것과 같다. 이는 5형제천(兄弟天)과 하리디(何唎地)62)의 7자매(姉妹)를 말한다. 또 사천왕과 32마달라다(摩怛羅達)의 모든 천신들 등에게 구족하게 공양해서 청한 것과 같다.
다음에 이 단을 건립하고 나서 부처님께 소원을 성취하기 위해서 청하고 혹은 보살에게 원을 구하거나, 혹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모든 천신들 등에게 원을 구하면 모든 과원(果願)이 전부 성취되어 앞에서 말한 것처럼 얻지 못하는 것이 없다. 가령 액난이 있어서 나이와 수명이 불안하거나, 돈[珍貨]을 벌고자 하는데 잘 안벌리거나, 일체 모든 일이 다 뜻과 같이 길(吉)하지 않을 경우에 이 단에 들어오면 모든 것이 뜻대로 된다.
가령 나라 안에 재앙과 환란과 역병(疫病)이 유행하고, 나쁜 귀신 등과 독기가 가득 차는 경우에 단을 시설해서 공양하면 재앙과 병이 곧바로 소멸된다. 가령 국왕이 이웃의 적군과 사자가 두려운 경우에 이 법을 세우면 모든 원적(怨賊)이 저절로 귀의해서 항복한다. 왜냐하면 이 복의 힘이 해를 끼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혹은 명예와 벼슬을 구하고, 혹은 부귀와 풍요를 구해서 이 단을 세우면 일체 모든 원이 성취된다.
만약 지극한 정성으로 이 단에 들어올 수 있으면 현세에서 금생의 몸[今身]에 병이 없어지고, 모든 나쁜 귀신이 틈을 탈 수가 없으며, 항상 모든 이에게서 흠모와 찬탄을 받고, 지향하고자 하는 뜻대로 모든 사람이 공경하여 복종하고, 대중들이 가장 추앙해서 모두가 신수(信受)하고, 모든 때와 장소에서 최상의 복과 이익을 얻으며 이 몸을 버리고 나서 태어나는 곳마다 한 불국토에서 한 불국토에 이르기까지 항상 부처님 앞에 있는 보배꽃 위에 앉으며, 일체 모든 부처님의 행덕[佛行]을 다 구족하여 오래지 않아서 무등등도(無等等道)를 얻는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4245 불교 묘법성염처경(妙法聖念處經) 2권 (0) | 2024.05.24 |
---|---|
[적어보자] #4244 불교 묘법성염처경(妙法聖念處經) 1권 (0) | 2024.05.24 |
[적어보자] #4242 불교 말리지제바화만경(末利支提婆華鬘經) (0) | 2024.05.24 |
[적어보자] #4241 불교 만수실리주장중교량수주공덕경(曼殊室利呪藏中挍量數珠功德經) (0) | 2024.05.24 |
[적어보자] #4240 불교 만수실리보살주장중일자주왕경(曼殊室利菩薩呪藏中一字呪王經) (0) | 2024.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