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말리지제바화만경(末利支提婆華鬘經)
말리지제바화만경(末利支提婆華鬘經)
당 천축삼장 불공(不空) 한역
최윤옥 번역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舍衛國)의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서 250명의 대아라한(大阿羅漢)들과 함께 계셨다. 그리고 또 한량없이 많은 대보살(大菩薩)들이 있었으니, 미륵(弥勒)보살과 만수실리(曼殊室利)보살과 관세음(觀世音)보살로서 그들이 상수(上首)가 되었으며, 말리지(末利支) 등의 모든 천(天)과 용신(龍神) 등의 8부(部)가 앞뒤로 에워싸고 있었다.
이때 사리자(舍利子)가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댄 다음 합장한 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미래 말세의 중생들이 어떤 법을 행하여야만 모든 재난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겠습니까?”
부처님께서는 사리자에게 말씀하셨다.
“잘 들어라, 잘 들어라. 내가 지금 너에게 그것에 대해 말해 주겠노라.”
이때 모인 대중들이 뛸 듯이 기뻐하며 거듭 권청(勸請)하였다. 그러자 불세존(佛世尊)께서 곧 말씀하셨다.
“말리지(末利支)라고 하는 천(天)이 항상 태양 앞을 지나다니는데, 태양은 그를 보지 못하나, 그는 태양을 볼 수 있느니라.”
곧 다음과 같은 주문을 염송하였다.
나모몯다야 나모달마야 나모싱가야 다냐- 타아라가마시마가마시아독
南謨佛陁耶 南謨達摩耶 南謨僧伽耶 怛你也二合他阿囉迦摩斯末迦摩斯阿豆
마시지바라마시안달단나마시마리지바라마시나모솔도저사바 하1)
摩斯支婆羅摩斯安達檀那摩斯摩利支波羅摩斯那漠率都羝娑嚩二合引賀
왕난 가운데서 나를 보호하시고, 도적의 난과 길을 갈 때 만나는 난과 광야에서 길을 잃을 때와 밤낮으로 일어나는 수난과 화난과 나찰의 난과 다계지니귀(茶雞支你鬼)의 난과 독약에 중독되는 난을 만날 때에 부처님의 진실한 말씀과 진실한 법의 말씀과 승가의 진실한 말씀과 천의 진실한 말씀과 선인의 진실한 말씀이 나를 보호하도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다냐- 타아라구리아라구리기리적저륵사륵사아모갑살바바유 바다
怛你也二合反他阿羅拘利阿羅拘利吉利的羝勒叉勒叉我某甲薩婆婆油上鉢陁
라모디바가야사 비 사바하2)
羅菩提婆伽夜栖斯亞反裨毘馺婆賀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사람이 이 법을 행하고자 하면, 모든 법 가운데 이 법이 가장 훌륭하다. 어떤 사람이 말리지천(末利支天)에게 공양하고자 하면, 반드시 금이나 은이나 적동(赤銅)이나 백단(白檀)이나 자단(紫檀)으로 말리지천의 형상을 만들어야 한다. 그 상을 조성하는 법은 천녀(天女)의 형상을 하나 만들되, 신장(身長)의 길이를 1치[寸]나 2치나 3치나 나아가 1주(肘)가 되게 한다. 그 중에서 가장 훌륭한 것은 1치나 2치로 하는 것이다.
상을 만들 때는 또한 반드시 가장 솜씨 좋은 박사(博士)를 구하여 8관재계[八戒齋]를 받게 하되, 날마다 깨끗이 목욕하고 나서 희고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고서 만들게 해야 하며, 그 보수는 박사가 청하는 대로 깎지 말고 주어야 한다. 이 상을 다 만들고 나서, 만일 비구[苾蒭]가 먼 길을 가려할 때에는 가사 속에 그 상을 넣어 가지고 가며, 만일 5계(戒)를 지닌 우바새(優婆塞)라면 상투 속에 그 상을 넣어 가지고 가야 한다. 그리고 대소변을 볼 때에는 몸에서 꺼내 놓아야 하나니, 몸에 지니고 대소변을 보면 안 된다.
이어서 인(印)과 단법(檀法)을 말하겠다. 두 새끼손가락과 두 약손가락을 교차시켜 손바닥 안에 넣되 오른손으로 왼손을 누른 다음, 두 집게손가락을 똑바로 세워 손가락 끝을 서로 붙인다. 그리고 두 가운뎃손가락을 각각 밀쳐 두 집게손가락의 바깥쪽 위에 놓되, 손가락 끝으로 서로 맞대어 붙이고, 두 엄지손가락을 나란히 세워 두 집게손가락 옆에 엮어 놓은 다음, 엄지손가락을 왔다갔다 움직인다. 이것이 바로 신모다라니인(身姥陁羅尼印)이다.
앞의 신인(身印)에서 각각 두 가운뎃손가락의 윗마디를 구부려 손가락 끝이 엄지손가락을 향하게 한 다음 손톱을 아래로 굽혀 서로 등지게 하고, 또 두 엄지손가락의 윗마디를 구부려 손가락 끝을 손바닥 가운데로 향하게 한다. 이것이 두정인(頭頂印)이다. 만일 비구나 비구니가 가사 속에 앞에서와 같은 상(像)을 차거나 혹은 속인(俗人)이 상투 속에 상을 넣었을 때는, 곧 이 두인(頭印)을 맺어 상(像) 위를 누르며 스물한 번 주문을 외운 다음 길을 가야 한다.
앞의 신인(身印)에서 다만 집게손가락의 끝을 2푼[分] 정도 벌리기만 하면, 곧 이것이 호신인(護身印)이니, 몸을 보호하는 법에 사용한다.
왼손 엄지손가락의 끝으로 약손가락의 첫째 마디 손금[文]을 누른 후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주먹을 쥐면, 이것이 곧 환희인(歡喜印)이다. 만일 이 인을 맺고 왕신(王臣)의 주변을 향하여 주문을 외우면, 곧 앞의 사람이 환희하게 된다.
왼손의 팔을 굽혀 앞으로 끌어당기되, 집게손가락 이하의 네 손가락으로 주먹을 쥔 다음, 다시 엄지손가락으로 집게손가락의 손톱 위를 누른다. 이어 왼손바닥을 벌려서 구멍을 만들고, 오른손의 손바닥을 펴서 왼손의 마디 위로 향하게 하여 구멍 위에 댄다. 곧 오른쪽 손바닥으로 구멍 위를 덮고, 마음속으로 왼쪽 손바닥은 바로 말리지의 마음이고 오른쪽 손바닥은 곧 말리지의 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왼쪽 손바닥의 마음 가운데서 내 몸이 가는 곳마다 말리지천이 내 몸으로 들어와 정수리 위에 붙어 있으면서 내 몸을 보호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이 바로 말리지인(末利支印)이다. 입으로 자주 주문을 외우면 곧 큰 효험을 얻는다. 수행자는 일반적인 밥을 먹지 말고 오직 보리와 우유와 낙(酪)과 소(酥)와 채소 등만을 먹어야 하는데, 만일 그렇게 하지 못하여 스스로 밥을 걸식하여 먹어야 할 때는 스님들[衆僧]의 음식을 먹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이 10만 번을 다 채우면 곧 효험을 얻는다.
깨끗한 도량에 말리지의 형상을 안치한 다음 수행자는 날마다 목욕을 하여야 하는데, 만일 목욕할 수 없을 때에는 손을 씻고 양치질을 한 후에 도량에 들어가야 한다. 신인(身印)을 맺고 말리지를 불러 안치한 다음, 온갖 공양을 하고, 날마다 주문을 108번이나 1,008번 외워야 하며, 이와 같이 하여 나아가서 10만 번을 채울 때까지 한다. 이어 좋은 장소에서 바닥을 정리[料理]하되, 더러운 물건[惡物]이나 나무뿌리나 기와나 자갈이나 터럭이나 뼈 등을 제거한 후 땅을 굳게 다져서 평평하게 하여야 한다. 단(壇)을 만드는 날은 납월(臘月) 보름이며, 오색으로 만들되 중심에 말리지의 자리를 놓고 자리 위에는 화좌(花座)와 상(像)을 그려 놓는다. 동쪽에는 바다라실리야(婆多羅室利夜)라고 이름하는 사자(使者)를 안치하고, 북쪽에는 계실니(計實你)라고 이름하는 사자를 안치하고, 남쪽에는 마리니(摩利你)라고 이름하는 사자를 안치한다. 그런 연후에 주문을 외우는 법사[呪師]는 이들을 불러서 안치한다. 그리고 향과 꽃과 음식과 여덟 개의 쟁반과 열여섯 개의 등잔(燈盞)으로 온갖 공양을 베푼 다음, 주문을 외우는 법사는 서문(西門)에서 동쪽을 향하여 앉아 주문을 108번 외우되, 온갖 공양을 다 마친 후에 보낸다. 그리고 또 다른 작법(作法)이 있으니, 일식이나 월식일에 이 단법(壇法)을 행하면 크게 효험을 얻는다.
만일 어떤 사람이 동서쪽으로 먼 길을 가려 할 때에는 먼저 수단(水壇)을 만들고, 말리지를 불러서 안치한 다음, 멥쌀과 꽃을 소(酥)에 섞어 놓고 주문을 한 번 외울 때마다 하나씩 태워 1,008번을 다 채우면, 가고자 하는 곳마다 이르러 큰 효험을 얻는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7일 동안 날마다 수단(水壇)을 만든 다음 말리지를 불러서 안치하고, 다시 화로(火爐)를 설치한 다음 곡식이나 나무를 태워서 불을 피운다. 이 불로 멥쌀과 검은 깨를 태우기를 108번 하며 아울러 주문을 외우되, 하루 세 때마다 각각 108번씩 행한다. 이렇게 7일 동안 이 법을 다 행하여서 마치고 왕신(王臣)의 주변으로 가면, 앞에 있는 사람이 흩어져 다른 곳으로 달아나게 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만일 논의(論議)를 하고자 할 때에는 앞의 법에 의거하여 배나무가지 108단(段)을 태우되, 1단을 한 번 던질 때마다 주문을 외워 7일에 이르기까지 이 법을 행하면, 대논사(大論師)가 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앞의 법에 의거하여 소(酥)를 108번 태우고 아울러 주문을 외우면, 모든 금수(禽獸)와 독벌레가 침해하지 못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만일 어떤 사람이 말리지를 보고자 할 때에는 앞의 법에 의거하되, 곡식과 땔나무를 태워 불을 피우고 천목(天木:삼나무) 21단(段)을 취하여서 소(酥)와 꿀과 낙(酪)을 바른 다음 불에 태우며 주문을 외운다. 날마다 오직 멥쌀밥과 우유와 소(酥) 세 가지만을 먹되 다른 음식은 먹지 말아야 하며, 7일 동안 날마다 온갖 공양을 갑절이나 좋게 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7일 동안 이 법을 행하여 7일째 되는 날이 되면, 말리지가 몸을 나타내어 도량(道場)에 들어와 수행자에게 말하기를, ‘너는 무슨 법을 구하느냐?’라고 할 것이다. 이때 수행자가 마음속으로 원하는 것을 대답하면, 말리지가 허락하고 돌아갈 것이니, 그러면 곧 효험을 얻었음을 알 수 있으며, 모든 천(天)들 역시 모두 환희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7일 동안 매일 세 때에 회향초(茴香草)와 흰 창포(菖浦)와 흰 겨자 등 세 가지를 태우고 주문을 외운 뒤 왕[羅闍] 곁으로 향하여 가면, 앞에 있는 사람이 환희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관인(官人)의 곁을 향하여 가려고 하면, 앞의 법에 의거하되 흰 겨자를 불에 태우고, 날마다 세 때에 때맞춰 108번씩 주문을 외워야 한다. 7일 동안 오직 멥쌀과 우유와 낙(酪) 세 가지만을 먹고, 그 밖의 음식은 먹지 말아야 한다. 이와 같이 7일 동안 다 행하여 마치고 나서 관인 주변으로 가면, 앞에 있는 사람이 환희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앞의 법에 의거하되 아말라리(阿末羅梨)의 잎을 108번 태우고, 아울러 주문을 외운다. 이와 같이 7일 동안 행하면 모든 귀신병[鬼病]을 다스리는 데 효험이 있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앞의 법에 의거하되 잘 찧은 보리가루를 사용하면 안 된다.에 꿀을 섞어 둥글게 빚는데, 크기가 자두[李子]만 하게 108개를 만든다. 7일 동안 수행자는 첫째 날에 아무것도 먹지 말아야 하며, 나머지 6일 동안에는 마음대로 밥을 먹어도 된다. 날마다 둥글게 빚은 보리를 태우며 아울러 주문을 외우고, 위에서 말한 환희인(歡喜印)을 맺는다. 이와 같이 108개를 다 태우고 나서 물로 불을 끈다. 그 연기 위에 양 손바닥을 놓아서 쐬되, 주문을 스물한 번 외우며 소원을 말하기를, ‘나의 손이 모든 법을 행할 때 온갖 효험을 얻게 하소서’라고 한다. 그러면 곧 모든 일에서 효험을 얻게 되며, 앞에 있는 사람들이 환희하게 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만일 어떤 사람이 열병(熱病)에 걸렸을 때는, 좋은 청초(靑草)를 취하여서 입에 대고 주문을 스물한 번 외운 다음, 그것으로 병자의 몸을 쉰네 번 문지르며 아울러 주문을 외우면, 곧 낫는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날마다 한 번씩 주문을 외울 때마다 세 번 대호신(大護身)을 짓고 세 번 대결계(大結界)를 행하여서 다섯 번 주문을 외우면, 사랑하는 사람을 마음대로 얻게 되며, 여섯 번 주문을 외우고 결계를 행하면, 밤에 무덤에 가더라도 두려움이 없게 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만일 먼 길을 가고자 할 때에는 먼저 자기 집의 방안에서 일곱 번 불을 피워 훈륙향[薰陸之香]을 태우고, 아울러 주문을 외운다. 길을 갈 때 자주 주문을 외우면, 수행자가 길을 가는 도중에 도적의 난(難)이나 귀신의 난 등이 모두 가까이하지 못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앞의 법에 의거하되, 백월(白月) 8일에 깨끗한 방에서 좋고 향기로운 꽃과 멥쌀밥을 조금씩 1,008번 불에 태운다. 법을 행하는 사람이 하루 동안 먹지 않고 또한 청결한 옷을 입고 이 법을 행하면, 사람들이 존중하고 공경하며 공양하게 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땅에 떨어지지 않은 쇠똥을 취하되 그릇에 받들어 담아야 하며, 다른 곳에 떨어지지 않게 해야 한다. 그리고 곧 물에 섞어 수단(水壇)을 만들고, 단의 중심에 불상(佛像)이나 혹은 불사리(佛舍利)를 놓는다. 다시 어미소[母犢]와 황소[黃牛]의 젖[乳]으로 소(酥)를 만들어서 금으로 만든 그릇에 담고, 오른손의 약손가락으로 소를 휘저으며 아울러 주문을 외운다. 소(酥)의 위에서 불길이 솟으면 곧 대총명(大聰明)을 얻은 것임을 알아야 할지니, 한 번에 1천 개의 게송을 외워 읊을 수 있다. 만일 불이 나오지 않고 연기가 나며 따뜻해지기만 하면, 곧 중간 정도의 총명(聰明)을 얻은 것임을 알아야 한다. 만일 연기가 나지도 않고 따뜻해지지도 않으면, 스스로 땅에 엎드려 소를 담은 그릇에 입을 대고 오른손의 약손가락을 숟가락으로 삼아 소를 먹는다. 그러면 곧 약간의 총명함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성(城)의 동문(同門) 밖의 좋은 장소에서 바닥을 정리하고 4주(肘) 되는 단(壇)을 만들고, 흙벽돌 다섯 개를 취하여서 중심에 한 개를 놓고 네 면에 각각 한 개씩을 놓는다. 또 네 개의 물독에 물을 채워서 버드나무 가지로 입구를 막고 네 면에 놓인 벽돌 위에 놓는다. 또 자단(紫檀)을 물속에서 간 다음, 곧 그 물을 단 위에 뿌리고, 또한 붉은 꽃을 단에 공양한다. 그리고 호연지(胡燕支)3) 네 매(枚)를 각각 네 개의 물동이 옆에 붙이고, 다시 오색의 실로 단의 네 면을 둥글게 두르되, 단의 네 면 밖에는 온갖 꽃과 향과 음식을 베풀어 모든 귀신들에게 나누어 준다. 그리고 단의 네 개의 문(門)에는 푸른 풀로 만든 자리[靑草座]를 펴고, 주문을 외우는 법사[呪師]는 깨끗하고 좋은 옷으로 갈아입은 다음, 푸른 풀 위에 결가부좌하고 앉아 마리지(摩利支)와 모든 사자(使者)들을 불러서 안치하고 온갖 공양을 한다. 주문을 외우는 법사는 손에 푸른 풀을 쥐고 주문을 외우되, 자기의 머리로부터 다리를 향하여 풀을 108번 문지른다. 그런 다음 주문을 외우는 법사는 손으로 말리지의 신인(身印)을 맺고, 결인한 손으로 푸른 풀을 쥐고서 자기의 정수리에 놓는다. 그리고 제자 한 사람을 보내어 단 위에 있는 네 개의 물 항아리를 가지고 오게 하여 일일이 주문을 외우는 법사의 정수리 위에 뿌리게 한다. 그렇게 한 다음 법사는 깨끗하고 좋은 옷으로 갈아입고서, 호신인(護身印)을 맺고 부처님을 염(念)한다. 부처님께 예배드리고 마리지에게 예배하고 나서 용수화(龍樹花)와 용뇌향(龍腦香)과 소합향(蘇合香) 세 가지를 취한다. 주문을 외우는 법사는 7일 동안 오직 멥쌀과 우유로 만든 죽만을 먹어야 하는데, 그 밖의 다른 음식을 먹어서는 안 된다. 날마다 위의 세 가지 약(藥)에 108번 주문을 외우되, 7일째 되는 날에는 그 약을 자기의 정수리 위와 오른쪽 어깨와 왼쪽 어깨와 심장 위와 목 위와 이마 위에 놓으면 효험을 얻는다. 이 말은 별법(別法)을 불문(不問)하고 쓰인다.
또 다른 작법이 있다. 앞의 법에 의거하되, 만일 어떤 사람이 치질을 앓고 있다면, 검은 실을 취하여서 그 끈에다가 주문을 외워 가지한다. 병자의 머리를 동쪽으로 두고, 다리를 서쪽으로 하여 침상에 눕힌 다음, 그 끈으로 병자의 허리를 묶고, 또 다른 끈으로 그 침상의 다리를 묶는다. 그리고 주문을 스물한번 외우면, 치질이 곧 낫는다. 목[頸]을 앓는 사람의 병을 고치려 할 때의 작법은 위의 작법에 준하되, 다만 앞에서 허리에 묶던 것을 그 목에 묶는 것만 다르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강의 양 언덕의 진흙을 취하여 100개의 귀신 형상을 만든다. 그 귀신들의 왕은 비나야가(毗那夜迦)라고 하는데, 이 귀왕의 머리는 코끼리 머리의 형상으로 만들고, 그 나머지 귀신들의 머리는 각각 모든 금수(禽獸)의 형상으로 만들되, 그 몸과 손과 발은 모두 사람의 형상으로 만든다. 크기와 장단(長短)은 4지(指)나 8지 정도가 되게 만든다. 그리고 자단목(紫壇木)을 물에 넣고 불려 짓이긴 다음, 그 물을 진흙과 섞어서 땅에 단(壇)을 만들고, 오색의 흙으로 단 위에 자리[座處]를 만든다. 중심에는 자리 하나를 놓고, 북쪽에는 자리 두 개를 놓으며, 남쪽에도 자리 두 개를 놓고, 동쪽에도 자리 두 개를 놓는다. 그리고 그 중심에 있는 자리에는 귀왕상(鬼王像)을 놓고, 그 나머지 여섯 개의 자리에는 전부 나누어서 아흔아홉 개의 귀신상을 놓는다. 이어 갖가지 향과 꽃, 그리고 일곱 잔(盞)의 소등(酥燈)을 태우고, 음식 등으로 온갖 공양을 하며, 아울러 안식향을 소에 섞은 다음 불에 태워서 공양한다. 주문을 외우는 법사[呪師]는 서쪽 문에서 동쪽을 향하여 앉되 말리지주(末利支呪)를 일곱 번 외우고, 온갖 색실에 스물한 번 주문을 외운 다음, 단(壇)의 세 면에 있는 모든 귀신상들을 취하여서 중심에 있는 귀왕 곁에 모아 한데 놓는다. 이어 그 일곱 가지 색실로 그 모든 귀신상을 모두 결박한 다음에 송아지 똥 108덩이를 취하여서 하나하나 불에 태우며 주문을 외운다. 낱낱의 덩이를 태울 때마다 사바하(馺婆訶)라고 주문을 외우되, 먼저 선창(先唱)하기를 ‘모든 귀신을 결박하리라’고 한 다음에 ‘사바하’라고 외쳐야 한다. 이와 같이 108번을 다 끝내고 나서 다른 곳[別處]에 깊이가 사람의 허리까지 이르는 구덩이를 만들고, 그 결박한 귀신들을 구덩이 속에 넣은 다음, 갖가지 향과 꽃과 온갖 음식으로 공양한다. 그런 후에 흙으로 구덩이를 메운 다음 단단히 다져서 땅을 이전처럼 만들면, 그 귀신들이 영원히 나올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만일 그 주문을 외우는 법사[呪師]가 업병(業病)으로 거의 죽게 되었을 때 마음속으로 그 귀신들을 풀어 주어야겠다고 생각하면, 그 귀신들이 풀려날 수 있다. 만일 이 법을 행하면, 곧 말리지의 큰 효험을 얻을 수 있으며, 모든 주문의 효험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일생 동안 날마다 오직 멥쌀과 우유죽만을 먹고 자주 주문을 외우면, 대총명(大聰明)을 얻을 수 있으며, 4성(姓) 가운데 바라문(婆羅門, brāhmaṇa)의 큰 사랑[大愛念]을 얻게 된다. 만일 소(酥)와 낙(酪)과 우유를 불에 태우면 찰제리(刹帝利, kṣatriya)의 사랑을 얻게 되고, 보리와 우유와 낙을 불에 태우면 비사(毗舍, vaiśya)의 사랑을 얻게 되며, 검정 깻묵을 불에 태우면 수다(首陁, śūdra)의 사랑을 얻게 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만일 어떤 사람이 귀신병에 걸려 입으로 전혀 말을 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는, 물에 스물한 번 주문을 외운 후에 뿌려 주면 곧 말을 하게 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귀신병에 들려 입이 붙어 말을 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는, 가사(袈裟)의 끝자락에 주문을 스물한 번 외운 후에 그를 때리면 곧 말을 하게 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손에 재[灰]를 움켜쥐고 주문을 일곱 번 외운 후에 사방에 뿌리면 결계(結界)가 이루어진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진흙으로 탄환(彈丸)을 열 개 만든 후에 각각 시방에 던지면 대결계(大結界)가 이루어진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만일 부인이 난산(難産)하게 되었을 때는, 검정깨로 만든 기름에 일곱 번 주문을 외운 후에 배꼽 위를 문지르면, 곧 순산하게 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만일 남과 논쟁을 벌여서 이기게 되었는데도 그들이 성내고 증오하는 말을 하게 되는 것을 듣게 되었을 때나, 또 남과 싸울 때 관가에서 그들의 말만 듣고 칼과 족쇄로 채우고서 죄의 시비를 물을 때에는, 흰 창포를 가져다가 스물한 번 주문을 외운 다음 오른쪽 어깨에 묶어 놓고, 다시 오른손으로 환희인(歡喜印)을 맺고서 아울러 주문을 외우면, 곧 크게 이길 이치를 얻는다. 만일 여러 번 주문을 외우면, 온갖 효험을 얻게 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만일 어떤 사람이 독벌레에 물렸다면, 주문을 외우는 법사(呪師)는 오색의 실을 취하여 주문을 외운 후에 그 끈을 스물한 번 매듭을 지어서 자기의 오른손과 어깨에 묶는다. 이어 물린 사람의 곁으로 가서 버드나무 가지를 취하여 주문을 외우면서 여러 번 손으로 그 사람을 문지르면, 곧 낫는다. 만일 어떤 사람이 맹독을 가진 독사에게 물려 거의 죽게 되었을 때는, 주문을 외우는 법사가 자기 손에 물을 한 움큼 떠서 입을 헹군 다음 일곱 번 주문을 외우고, 그 물을 병자에게 스물한 번 뿌리고 나면, 곧 낫는다.
만일 어떤 사람의 몸에 심한 종기가 났을 때는, 진흙을 개어 종기 위에 스물한 번 바르고 아울러 주문을 외우면, 곧 낫는다.
또 만일 축생이 계절병[時氣病]에 걸렸을 때는, 성(城)의 한 가운데서 곡식과 나무를 태워 불을 피우고 우유를 태우면서 주문을 외우면, 곧 낫는다. 반드시 이 법은 밤중에 행하여야 하니, 그 다음날 오시(午時)에 다시 곡식과 나무를 태워 불을 피우고 흰 겨자기름을 흰 겨자와 섞어서 1,008번 태우면서 주문을 외우면, 곧 낫는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구로다목(俱嚕陁木) 1,008단(段)이 나무는 그 모습이 보리수와 비슷하다.을 취하여서 하나씩 태울 때마다 주문을 각각 한 번씩 외우면, 모든 구반다(鳩槃茶)와 약차(藥叉) 등의 귀신들이 다 환희한다.
만일 동고(冬苽)를 조금씩 1,008번을 태우면, 모든 도깨비[魍魎]들이 다 환희한다.
만일 무덤 위에 있는 나무 1,008단을 검정깨와 섞어 태우되, 주문을 1,008번 외우면, 모든 대악귀신(大惡鬼神)들이 환희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만일 보리수나무 가지 1,008단을 취하여서 하나하나에 소(酥)를 바르고 1,008번 태우면서 주문을 외우면, 사대천왕(四大天王)이 환희하며 애념(愛念)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만일 어떤 사람이 나병(癩病)에 걸렸을 때는, 주문을 외우는 법사[呪師]가 오곡(五穀)을 모두 섞은 다음 손에 쥐고 주문을 외우면서 그것을 1,008번 태우면, 귀신들이 환희하고 곧 병이 낫게 된다.
만일 안실향(安悉香)을 빻아서 환(丸)으로 만든 다음 소(酥)를 발라 불에 1,008번 태우면서 주문을 외우면, 마혜수라(摩醯首羅)와 그 주변의 천(天)들이 모두 환희한다.
만일 앞의 법에 따라 단(壇)을 만들어 온갖 공양을 하고, 단의 중심에 불상(佛像)이나 불사리(佛舍利)를 안치한 다음, 갈라가사미다목(喝囉迦沙弥陁木)이것은 보리수나무의 또 다른 이름이다. 3,008단을 취하여 소(酥)와 낙(酪)과 꿀을 발라서 하나씩 태우되, 한 단을 태울 때마다 한 번씩 주문을 외우는데, 이와 같이 3,008단이 다 하도록 이 법을 행하면, 4중죄(重罪)와 5역죄(逆罪)가 소멸되고 효험을 얻는다.
만일 수행자가 앞의 법에 의거하여 수단(水壇)을 만든 다음, 백월 8일부터 보름까지 날마다 자강목(紫薑木) 1,008단을 취하여서 소를 바른 다음, 하나씩 불에 태우면서 주문을 외우면, 말리지가 곧 도량에 들어와 그 소원을 들어 준다. 이때 수행자가 눈으로 말리지의 몸을 보면, 큰 효험을 얻는다.
만일 하루 동안 먹지 않고 이 법을 지어 온갖 공양을 하면, 말리지의 큰 효험을 얻는다. 또 만일 돈과 재물을 얻고자 할 때에는, 흑월 14일부터 보름까지 2일간 매일 세 때에 검정깨와 멥쌀과 멥쌀 튀밥[粳米花]4) 세 가지를 취하여서 불에 태우면서 주문을 외우면, 곧 돈과 재물을 얻는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만일 악마를 포박하고자 할 때에는, 7일 동안 날마다 일명 보리수나무라고 하는 고련수(苦練樹) 나뭇가지 1,008단을 취하여서 하나마다 흰 겨자기름을 발라 불에 태우면, 곧 포박할 수 있다. 만일 주문을 외우는 법사[呪師]나 속인(俗人)이 이 법을 행할 때에 관가에서 알고 잡아들여 목에 씌우는 칼과 족쇄로 묶이게 되었을 때, 자주 이 주문을 외우면 영원히 포박당하지 않게 된다. 만일 어떤 사람이 성난 모습을 할 때에 검정 깻묵과 멥쌀 겨를 섞어 1,008번 불에 태우면서 주문을 외우면, 곧 앞의 성냈던 사람이 환희하게 된다. 만일 검정깨를 불에 1,008번 태우면, 앞사람이 애념(愛念)하며 환희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만일 돈과 재물을 얻고자 할 때에는, 7일 동안 날마다 길이가 6지(指)되는 석류초(石榴草) 줄기 1,008단을 취하여 하나씩 불에 태울 때마다 주문을 외우면, 곧 돈과 재물이 생긴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다른 사람의 처소에 갖고 싶은 물건이 있을 때에는, 흰 창포를 취하여 1,008번 주문을 외우고 자기 어깨 위에 묶으면, 달라고 하여서 얻지 못하는 일이 없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21일 동안 날마다 세 때에 안실향을 빻아서 환(丸)으로 1,008개를 만든 다음 소와 낙과 꿀을 바르고, 하나씩 태울 때마다 주문을 외운다. 그리고 나서 왕과 백관(百官)의 주위에 가면, 앞사람이 환희하며 애념한다. 만일 그들을 다스리고자 할 때에는 7일 동안 날마다 세 때에 많은 이름난 향을 빻아서 1,008개의 환으로 만든 다음 각각마다 소(酥)를 바르고, 불에 태울 때마다 주문을 외우면, 곧 다스리게 된다.
또 다른 작법이 있으니, 만일 수행자가 목욕하고 도량에 들어가 수단(水壇) 등을 만든 다음 온갖 공양을 하여 말리지(末利支)를 불러 안치하되, 이와 같이 하기를 10만 번을 채우고, 이 법을 행한 다음 입으로 결계(結界)한다고 말하면,손으로 인(印)을 맺지 말라. 수행자의 소원이 모두 성취되고, 온갖 어려운 일이 다 해결된다. 그리고 다른 사람이 작법(作法)하는 일도 깨뜨릴 수 있다.”
이때 말리지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다른 작법[別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너비가 3지(指)가 되고 길이가 3치[寸]가 되는 좋은 자단목(紫檀木)을 취하여 그 나무의 한 면에 말리지의 형상을 조각하되, 여천(女天)의 형상으로 합니다. 그 상의 좌우에 각각 말리지의 시자(侍者) 두 명을 조각하되, 또한 여자의 형상으로 합니다. 그리고 다시 따로 자단목으로 덮개를 만들어 그것을 덮습니다. 이 상을 만든 다음에는 먼 길을 가려할 때 이것을 지녀서 자신에게서 떨어지지 않게 하되, 은밀하게 지녀 남이 알지 못하게 하고 날마다 자주 주문을 송합니다.
만일 어떤 소원이 있어 수단(水壇)을 만들고자 할 때에는 단의 중심에 상(像)을 놓은 다음, 말리지를 불러 안치하고 온갖 공양을 합니다. 다시 108송이의 연꽃을 취하여 공양합니다. 그 공양법은 손에 연꽃 하나씩을 잡고 주문을 외우면서 공양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다시 참깨와 멥쌀을 불에 1,008번 태우면서 그 때마다 주문을 외운 다음 상을 잡으면, 온갖 효험을 얻습니다.이 말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이상의 모든 법은 모두 수단(水壇) 등을 만들고 온갖 공양을 하여야 비로소 효험을 얻게 됩니다.”
말리지는 이 법을 말하고 나서 모든 천룡팔부와 함께 부처님께 예배드리고 물러났다.
다냐타아라거예아라거예기리뎨디살바가라혜바 살모오바도사제비
怛姪他阿羅居隷阿羅居隷吉利帝底薩婆伽羅醯鼻毘簸反薩菩烏波塗瑟䶩鼻反同
살바이디유오바다라폐비 륵사륵사막마 야샤사바 하5)
前薩婆伊底廋烏波達囉䏶鼻反同前勒叉勒叉莫麼某甲耶寫莎嚩二合引訶引
또 다른 한 본[一本]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천상(天像)을 만드는 법은 다음과 같다. 그 상은 두 개의 손이 있다. 왼쪽의 한 손은 팔을 위로 구부린 다음 옆으로 나란히 하여서 왼쪽 젖가슴 앞에 대고 주먹을 쥔 채 불자[拂]를 쥐고 있는데, 그 모습은 강법사(講法師)가 높은 자리[座] 위에서 불자를 잡고 있는 형상이다. 그 불자에 서국(西國)의 만(卍)자 모양을 그려 넣되, 또한 불상(佛像)의 가슴 위에 있는 글자와 같이 한다. 글자의 네 군데 굽은 곳의 안쪽에 각각 해의 모습을 만들어 각각 그려 넣는다. 이렇게 네 개의 해의 모습을 붙이고, 그 불자 위에는 불꽃 모양을 만든다. 오른쪽의 한 손을 팔과 손가락을 펴서 밑으로 내린다. 그 상(像)을 만드는 법은 한 종류의 형상으로 그려 차별이 없게 하되, 신장(身長)은 1치[寸]나 2치나 내지 1주(肘)로 한다.
다냐타아라구리아라구리계리디다살바 가라혜바 살모바다라폐바
怛姪他阿羅拘梨阿羅拘梨雞利底跢薩嚩去伽囉醯鼻比可反薩菩鉢跢羅䏶鼻同上
살바이도유바다라볘 아륵사아륵사마마 야샤사바 하6)
反薩婆伊都廋鉢跢囉鞞弊曷勒叉曷勒叉麼麼某甲夜寫莎嚩二合引訶引此一呪欲以挍言
이후에 따로 이 주문으로 적(賊)을 결박한다.
만수실리보살이 송하는 주문은 다음과 같다. 귀명(歸命)은 천전(千轉)다라니의 앞부분과 같다.
나모만수시리예구마라모다야다냐타혜리디-따 다바가라 부도사마
那冒曼殊室利曳矩摩羅菩多夜怛姪他醯利底瑟吒上二合怛婆羯羅上趺途徙摩
자라 사바 하7)
遮羅上二合莎嚩二合引賀
또 만일 길을 가다가 도적을 만났을 때는 엄지손가락에 주문을 외우고 급히 손가락을 쥐면, 도적을 만나도 재난을 입지 않는다. 또한 옷소매나 옷깃에 주문을 외운 다음 왼쪽 끈[左綟]을 일곱 번 급히 잡고 주문을 외우며 지나가도 된다.
잠을 쫓는 주문[除睡呪]은 다음과 같다.
다냐타이디미디지디비가나션디바타치사바 하8)
怛姪他伊底弥底只底比迦那羶底波陁恥莎嚩二合引賀引
만일 좌중(坐中)에 잠이 쏟아질 때 부처님 앞에서 지극한 마음으로 7번 외우면, 곧 조금도 졸리지 않게 된다.
비사문(毗沙門) 주문은 다음과 같다.
나모비삭라바나샤마하아라아샤시볘사바 하 시파바부리사바하9)
那謨裴鑠囉皤拏寫摩訶曷囉闍寫施鞞娑婆二合引呵引施皤跋趺犁娑婆訶
만일 깨끗한 기름에 일곱 번이나 열네 번 주문을 외우고 누울 자리에 바르면, 재물을 구하거나 하는 등의 일들이 소원하는 대로 이루어진다.
모든 도적들에게 주문을 송하는 법은 다음과 같다.
보로나보로나주로하주로하사샤사바 하10)
補魯那補魯那主嚕訶主嚕訶薩寫娑婆二合引訶
다시 도적들을 포박하는 주문이 있으니 다음과 같다.
가타가타싱가타아금위가타종불위해가타11)
伽吒加吒僧伽吒我今為加吒終不為解加吒
또 만일 도둑을 맞았다면, 향을 사르고 주문을 외우되 의심이 가는 자가 있으면 그 이름을 함께 부른다. 만일 그 이름을 모를 때에는 단지 얼굴만을 생각하면서 주문을 외워 주술을 건다. 그러면 도둑이 곧 스스로 자신을 묶고 도둑질한 물건을 말하게 되는데, 물건을 되찾은 후에는 포박이 저절로 풀어지는 큰 효험이 있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4244 불교 묘법성염처경(妙法聖念處經) 1권 (0) | 2024.05.24 |
---|---|
[적어보자] #4243 불교 모리만다라주경(牟梨曼陀羅呪經) (0) | 2024.05.24 |
[적어보자] #4241 불교 만수실리주장중교량수주공덕경(曼殊室利呪藏中挍量數珠功德經) (0) | 2024.05.24 |
[적어보자] #4240 불교 만수실리보살주장중일자주왕경(曼殊室利菩薩呪藏中一字呪王經) (0) | 2024.05.23 |
[적어보자] #4239 불교 만수실리보살길상가타(曼殊室利菩薩吉祥伽陀) (0) | 2024.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