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대종지현문본론(大宗地玄文本論) 11권
대종지현문본론 제11권
마명 지음
진제 한역
이병욱 번역
21. 겸시범락본왕도로(▼(玨/覞)尸梵諾本王道路) 대결택분
이와 같이 영븡타시범가락본왕의 본지의 대결택분을 설명하였다. 다음은 겸시범락본왕의 도로의 대결택분을 설명하겠다. 그 내용은 어떠한가? 게송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본왕의 도로에
세 종류의 천 가지 변화가 있으니
이름은 앞에서 말한 분량과 같다.
각기 처음에 변화하는 것이 순서대로
백ㆍ천ㆍ만억 늘어나고
각기 뒤의 모든 변화하는 것은
순서대로 배의 수로 전개되니
마음을 머물러 관찰해야 한다.
【論】 겸시범락본왕도로분에 세 종류의 천 가지 변화수행이 있는데, 그 이름과 순서는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게송에서 “본왕의 도로에 세 종류의 천 가지 변화가 있으니, 이름은 앞에서 말한 분량과 같다”고 말한 것과 같다. 이와 같은 세 종류의 첫 번째 변화에서 그 순서대로 백억과 천억과 만억의 수가 늘어나 위와 아래로 한 가지 분량이 점점 전개하는 것이다. 게송에서 “각기 처음에 변화하는 것이 순서대로 백ㆍ천ㆍ만억 늘어난다”고 말한 것과 같다.
각각 뒤의 모든 변화는 그 순서대로 배의 수로 늘어나 전개되니 잘 살펴서 관찰해야 할 것이다. 게송에서 “각기 뒤의 모든 변화하는 것은 순서대로 배의 수로 전개되니, 마음을 머물러 관찰해야 한다”고 말한 것과 같다.
수다라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여래장 부처님의 위와 아래 문에 세 종류의 수행이 있으니, 수효로는 천을 분량으로 삼는다. 이와 같은 세 가지 품은 많은 억(億)으로 전개되어 광대하고 두루한 법문 바다의 장(藏)을 출생시키고 증장시킨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22. 마하겸시범락모원주천왕(摩訶▼(玨/覞)尸梵諾母原主天王) 대결택분
이와 같이 겸시범락본왕도로의 대결택분을 설명하였다. 다음은 마하겸시범락모원주천왕의 대결택분을 설명하겠다. 그 내용은 어떠한가? 게송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마하천왕에
세 종류의 억 가지 변화가 있으니
이름과 순서는 앞에 말한 것과 같다.
각기 처음에 변화하는 것이 순서대로이며
1ㆍ2ㆍ3의 시방세계의
수량이 전개되어
나머지 모든 변화도
순서대로 배의 수로 전개된다.
【論】 마하주천왕의 체(體)에 세 종류의 억 가지 변화수행이 있는데, 이름과 순서는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게송에서 “마하천왕에 세 종류의 억 가지 변화가 있으니, 이름과 순서는 앞에 말한 것과 같다”고 말한 것과 같다. 이와 같은 세 종류에서 첫 번째 변화에 그 순서대로 1시방과 2시방과 3시방의 수가 늘어나 전개된다. 게송에서 “각기 처음에 변화하는 것이 순서대로이며, 1ㆍ2ㆍ3의 시방세계의 수량이 전개된다”고 말한 것과 같다. 나머지 모든 변화도 순서대로 배의 수효가 전개되는 것이다. 게송에서 “나머지 모든 변화도 순서대로 배의 수효로 전개된다”고 말한 것과 같다.
총자법륜대륜(摠字法轉大輪) 수다라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불타의 마하본장왕(摩訶本藏王)의 지지(地地)에 세 종류의 수행이 있다. 어떤 것이 세 종류의 수행인가? 첫째는 아래로 억 가지로 전개되는 수행이고, 둘째는 중간으로 억 가지로 전개되는 수행이며, 셋째는 위로 억 가지로 전개되는 수행이다. 처음의 행은 1대방계(一大方界)의 분량으로 하(下)권속의 바다를 출생시키고, 중간의 행은 2대방계의 분량으로 동등하게 함께 전개하는 바다를 출생시키며, 뒤의 행은 3대방계의 분량으로 상(上)권속의 바다를 출생시킨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3990 불교 (대종지현문본론/大宗地玄文本論) 13권 (2) | 2024.04.03 |
---|---|
[적어보자] #3989 불교 (대종지현문본론/大宗地玄文本論) 12권 (0) | 2024.04.03 |
[적어보자] #3987 불교 (대종지현문본론/大宗地玄文本論) 10권 (0) | 2024.04.03 |
[적어보자] #3986 불교 (대종지현문본론/大宗地玄文本論) 9권 (0) | 2024.04.03 |
[적어보자] #3985 불교 (대종지현문본론/大宗地玄文本論) 8권 (0) | 2024.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