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537 불교(개원석교록 18권 15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9. 16.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815

 

지승 지음

 

위의 금강장경(金剛藏經)이하 1141권은 수()나라 인수(仁壽) 2(602)에 칙명으로, 흥선사(興善寺)의 대덕(大德)과 번경사문(翻經沙門)과 학사(學士) 등을 청하여, 함께 간정(刊定)중경록(衆經錄)안에 있는 위의경(僞疑經)이다.이 목록을 지은이는 말하였다. “위록(僞錄)가운데 다시 대광명보살백사십팔원경(大光明菩薩百四十八願經)이 있으며, 승우(僧祐)는 목록 안의 주()에서 초경(抄經)이라고 하였다. 지금은 별생록(別生錄)에 실려 있으므로, 위록에서 삭제하였다.”

 

(10)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에 수록된 위경

제불하생대법왕경(諸佛下生大法王經) 60권도선율사(道宣律師)가 이르기를 나는 분부(汾部)에서 이 글을 직접 보았다고 하였다.

방광멸죄성불경(方廣滅罪成佛經) 3권또한 대통방광참회멸죄장엄성불경(大通方廣懺悔滅罪莊嚴成佛經)이라고도 한다. 또한 다만 대통방광경(大通方廣經)이라고도 한다.

법구경(法句經) 2권하권은 보명보살(寶明菩薩)이 당시에 1권이 많이 유행(流行)되고 있었음을 들었다는 것이며, 집전록(集傳錄)법구경과 이름은 같지만 글이 다르다. 이것은 사람이 조작한 것이다.

죄복결의경(罪福決疑經) 1

오신경(五辛經) 1주록(周錄)에는 대승반야오신경(大乘般若五辛經)이라고 하였다.

초교경(初敎經) 1권또한 최묘초교경(最妙初敎經)이라고도 한다. 최묘승정경(最妙勝定經)과는 글투文勢가 비슷하다.

죄보경(罪報經) 1권정경(正經)과는 죄보(罪報)의 경중(輕重)이 전혀 다르다.

일륜공양경(日輪供養經) 1

유광경(乳光經) 1권그 글은 전혀 다르다. 정경(正經)에는 젖을 먹지 말 것이며, 먹으면 죄를 얻는다고 하였다.

복전보응경(福田報應經) 1

보인경(寶印經) 1

구경대비경(究竟大悲經) 4권혹은 3권이며, 또한 8권이라고도 한다.

독각론(獨覺論) 1

비니결정론(毗尼決正論) 1

우파리론(優波離論) 1권혹은 우파리경(優波離經)이라고도 한다.

보결론(普決論) 1권혹은 유식보결론(唯識普決論)이라고도 한다.

아난청문계율론(阿難請問戒律論) 1

가섭문론(迦葉問論) 1권속은 가섭문비니론(迦葉問毗尼論)이라고도 한다.

대위의청문론(大威儀請問論) 1권혹은 대위의청문경(大威儀請問經)이라고도 한다.

보만론(寶鬘論) 1

사미론(沙彌論) 1권혹은 사미론경(沙彌論經)이라고도 한다.

문수청문론(文殊請問論) 1

위의 제불하생대법왕경[大法王經]이하 2287권은 대당(大唐) 인덕(麟德) 원년(664)에 경사(京師)에 있는 서명사(西明寺) 사문 도선(道宣)이 지은 내전록(內典錄)가운데 위경(僞經)이다. 도선은 모든 위경과 위론(僞論)은 인간의 경장(經藏)에 종종 있기도 하고, 그 본()이 아직도 많이 있으므로 나타나기를 기다려서 다시 기록하겠다고 하였다.

이 목록을 지은 내撰錄者가 말하겠다. “내전록(內典錄)가운데 다시 금관촉루경(金棺囑累經)1권이 있는데. 곧 이 경은 법경록(法經錄)가운데 경복경(敬福經)이므로 거듭하여 싣지 않는다. 점찰경(占察經)유교론(遺敎論)이 있는데, 모두 번역하였던 근거가 있고 글과 뜻도 볼 만하므로 위록(僞錄)에 편입되어 있는 것은 옳지 못하다. 이미 정록(正錄)에 편입시켰으므로, 위록에는 기재하지 않는다.”

 

(11) 대주간정중경목록(大周刊定衆經目錄)에 수록된 위경

제불하생경(諸佛下生經) 20

선악인과경(善惡因果經) 1

내삼십칠품경(內三十七品經) 1권혹은 내()자가 없다.

계정신사경(戒正信邪經) 1

달공도사분별선악도고경(達空道士分別善惡度苦經) 1

노자교인복약수상주경(老子敎人服藥修常住經) 1

불도정행경(佛道定行經) 1권지금의 불유정행경(佛遺定行經)인 듯하다.

결정요혜경(決定要慧經) 1

수미상도산경(須彌像圖山經) 1권지금의 법경록(法經錄)가운데, 수미사역경(須彌四域經)과 글은 같고 이름만 다른 것 같다.

만자경(滿子經) 하권 1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