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6권 13편
지승 지음
(2) 석담요(釋曇曜)
대길의신주경(大吉義神呪經) 2권혹은 4권으로 되어 있다. 『법상록』에 보인다.
정도삼매경(淨度三昧經) 1권네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축도조록(竺道祖錄)』과 『속고승전』에 보인다.
부법장전(付法藏傳) 4권두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보리류지록(菩提流支錄)』과 『속고승전』에 보인다.
이상은 3부 7권이다.『대길의신주경』 1부 2권은 경본이 현재 있으며, 『정도삼매경』 등 2부 5권은 궐본이다.
사문 석담요는 어디 사람인지 아직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젊을 때에 출가하여 몸가짐과 행이 굳고 곧았으며, 사람됨이 바르고 검약하였다.
위(魏)의 화평(和平) 연간(460~465)에 북대(北臺)에 머물러 있을 때는 소현통(昭玄統)으로서 승가 대중[僧衆]을 편안히 의탁하게 하면서 그들의 마음에 미묘함을 얻게 하였다.
항안(恒安)의 석굴(石窟) 통락사(通樂寺)에 머물렀으니 곧 위제(魏帝)가 지은 절이었다. 항안에서 서북쪽으로 30리 떨어진 무주산(武周山) 북면(北面)의 바위 낭떠러지에 돌을 새겨 불사(佛寺)를 건립하여 이름을 영암사(靈巖寺)라 지었다. 감실(龕室)의 크기는 높이가 20여 길[丈]에 달하였고, 3천여 인을 수용할 만하였다.
앞면에는 따로 불상을 새겨 온갖 솜씨와 아름다움을 다하였고, 감실에는 따로 다른 모양을 새기어 사람과 귀신을 놀라게 하였으며, 그것이 30리까지 즐비하게 서로 이어졌다. 동쪽 머리의 승사(僧寺)에는 항상 천여 인의 비석이 현재에도 남아 있으니 갑자기 다 자세히 설명할 수조차 없었다.
이보다 앞서 태무황제(太武皇帝) 태평진군(太平眞君) 7년(446)에 사도(司徒) 최호(崔皓)가 간사하고 아첨을 잘하여 황제로 하여금 도사(道士) 구겸지(寇謙之)를 숭상하고 존중하게 하여 그를 천사(天師)로 배(拜)하고 도교(道敎)를 더욱 존경하게 하면서 승려들을 죽이고 사탑을 불태웠다. 그리고 경인(庚寅, 450)에 이르러서 태무황제가 문둥병에 걸리게 되자 비로소 잘못을 깨닫게 되었고, 겸하여 백족선사(白足禪師)가 와서 그의 지혜를 열어 주었으므로 부끄러움과 뉘우치는 마음이 생겨 곧 최호를 죽여 저자에다 매장하고 그의 입이 묻힌 곳에 뒷간을 만들어 모든 사람들이 그곳을 더럽히게 하였다.
임진(壬辰, 452)에 이르러 태무황제가 죽고 손자 문성제(文成帝)가 자리에 오르자 곧 탑과 절을 세우고 경전을 찾아 모으게 하니 법이 허물어진 지 7년 만에 삼보(三寶)가 다시 흥성하게 되었다.
석담요는 앞서 불교가 능멸당하고 피폐해짐을 개탄하다가 이제 다시 회복된 것을 기뻐하였다. 그리고 화평 3년 임인(壬寅, 462)에 옛날 북대에 지었던 석굴(石窟)에 여러 덕망 있는 스님들을 모아 천축의 사문들을 상대하면서 『대길의신주경』 등 3부를 번역하여 후현(後賢)들에게 유통되게 하였으니, 그의 뜻은 불법이 끊어지는 일이 없게 하는 것이었다.
(3) 길가야(吉迦夜)
대방광보살십지경(大方廣菩薩十地經) 1권다섯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구마라집이 번역한 『장엄보리심경(莊嚴菩提心經)』과 같은 동본이다. 『시흥록』과 도혜의 『송제록』에 보인다.
칭양제불공덕경(稱揚諸佛功德經) 3권또한 『집제불화경(集諸佛花經)』이라고도 하고, 또한 바로 『집화경(集華經)』이라고도 하며, 일명 『현재불명경(現在佛名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4권으로 되어 있다. 세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구마라집 등이 번역해 낸 경과 동본이다. 도혜의 『송제록』에 보인다.
방편심론(方便心論) 1권혹은 2권으로 되어 있다. 무릇 4품(品)으로 되었다. 두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동진(東晋)의 각현(覺賢)이 번역하여 낸 경과 동본이다. 도혜의 『송제록』과 『승우록』에 보인다.
부법장인연전(付法藏因緣傳) 6권혹은 인연(因緣)이란 글자가 없으며, 또한 『부법장경(付法藏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4권 또는 2권으로 되어 있다. 도혜의 『송제록』에 보인다. 세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송(宋)나라 지엄(智嚴)과 위(魏)나라 담요(曇曜)가 번역하여 낸 경과는 동본이다. 역시 『승우록』에 보인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246 불교(개원석교록 6권 15편 / 開元釋敎錄) (0) | 2021.07.20 |
---|---|
[적어보자] #245 불교(개원석교록 6권 14편 / 開元釋敎錄) (0) | 2021.07.19 |
[적어보자] #243 불교(개원석교록 6권 12편 / 開元釋敎錄) (0) | 2021.07.19 |
[적어보자] #242 불교(개원석교록 6권 11편 / 開元釋敎錄) (0) | 2021.07.19 |
[적어보자] #241 불교(개원석교록 6권 10편 / 開元釋敎錄) (0) | 2021.07.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