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173 불교(개원석교록 4권 4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7. 5.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44

 

지승 지음

 

문수사리문보리경(文殊師利問菩提經) 1권또한 바로 보리경(菩提經)이라고도 하며, 또는 가야산정경(伽耶山頂經), 또는 보리무행경(菩提無行經)이라고도 한다. 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가야산정경상두정사경(象頭精舍經)등과 동본이다. 승우록의 경도(經圖 : 경의 내력도)에 따로 보리경(菩提經)1권을 기재한 것은 착오이다.

공작왕주경(孔雀王呪經) 1권네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또한 대금색공작왕경(大金色孔雀王經)이라고도 한다. 소요원(逍遙園)에 있으면서 번역하였으며, 아울러 결계장법(結界場法)이 모두 갖추어져 있다. 장방은 별록(別錄)에 보인다라고 하였다.

수능엄삼매경(首楞嚴三昧經) 3권혹은 2권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바로 수능엄경이라고도 한다. 승우록에서는 신수능엄경(新首楞嚴經)이다라고 하였다. 아홉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방등수능엄용복정경(方等首楞嚴經勇伏定經)과 같은 동본이다. 승우록에 보인다.

부사의광보살소문경(不思議光菩薩所問經) 1권또한 다만 부사의광보살소설경(不思議光菩薩所說經)이라고도 하며, 또는 무사의광해동보살경(無思議光孩童菩薩經)이라고도 한다. 두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축법호가 번역한 무사의해동경(無思議孩童經)과 동본이다. 장방록에 보인다.

화수경(華手經) 13권혹은 화수(華首)라고도 한다. 일명 섭제선근경(攝諸善根經), 또는 섭제복덕경(攝諸福德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10, 또는 11, 또는 12권으로 되어 있다. 홍시 8(406)에 번역되어 나왔다. 이진록승우록에 보인다.

불수반열반약설교계경(佛垂般涅槃略說敎誡經) 1권또한 불림반(佛臨般)이라고도 하며, 일명 유교경(遺敎經)이라고도 한다. 승우록에 보인다.

천불인연경(千佛因緣經) 1법상록(法上錄)에 보인다.

범망경(梵網經) 2권두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홍시 8(406)에 초당사(草堂寺)에서 3천 학사(學士)들이 최후에 번역하여 내었다. 1()의 범본(梵本)에는 61품이 있었으며, 모두 번역하여 마쳤다. 융영(融影) 3백 인이 일시에 함께 보살 10()를 받았는데, 승조(僧肇)가 수여(授與)하였다. 경의 앞 서문에 보인다.

불장경(佛藏經) 4권일명 선택제법경(選擇諸法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3, 또는 2권으로 되어 있다. 홍시 7(405) 612일에 번역되어 나왔다. 이진록승우록에 보인다.

청정비니방광경(淸淨毗尼方廣經) 1문수정률경(文殊淨律經)과 같은 동본이다. 세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법상록(法上錄)에 보인다.

대지도론(大智度論) 100권혹은 대지도경론(大智度經論), 또는 마하반야석론(摩訶般若釋論)이라고도 한다. 혹은 70, 또는 110권으로 되어 있다. 홍시 4(402) 여름에 소요원(逍遙園)에서 번역을 시작하여 7(405) 1227일에 끝마쳤다. 이진록승우록에 보인다.

중론(中論) 4권또한 중관론(中觀論)이라고도 한다. 혹은 8권으로 되어 있다. 홍시 11(409)에 대사(大寺)에서 번역되어 나왔다. 승예(僧叡)가 서문을 지었다. 이진록승우록에 보인다. 앞의 지도론과 함께 용수(龍樹)보살이 지었다.

십이문론(十二門論) 1권용수보살이 지었다. 홍시 10(408)에 대사(大寺)에서 번역되어 나왔다. 승예(僧叡)가 서문을 지었다. 승우록보창록에 보인다.

백론(百論) 2권제바보살(提婆菩薩)이 지었다. 홍시 6(404)에 번역되어 나왔다. 승조(僧肇)가 서문을 지었다. 이진록승우록에 보인다.

십주비바사론(十住毗婆沙論) 14권혹은 논()자가 없기도 하다. 용수보살이 지었다. 혹은 12, 또는 15권으로 되어 있다. 장방록에 보인다.

대장엄경론(大莊嚴經論) 15권혹은 경()자가 없기도 하다. 마명보살(馬鳴菩薩)이 지었다. 혹은 10권으로 되어 있다. 장방록에 보인다.

발보리심론(發菩提心論) 2권혹은 발보리심경(發菩提心經), 또는 경론(經論)이라고도 한다. 이곽록(李廓錄)에 보인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