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170 불교(개원석교록 4권 1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7. 4.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41

 

지승 지음

 

1. 총괄군경록

 

7) 후진(後秦) 시대

진의 요()씨는 상안(常安)에 도읍하고 있었다.후진(後秦)이라고도 한다 요장(姚萇)시호(諡號)는 소무황제(昭武皇帝)이다. 백작(白雀) 원년 갑신(甲申, 384)으로부터 요홍(姚泓)시호가 없다. 영화(永化) 3년 정사(丁巳, 417)에 이르기까지 무릇 3군주(君主) 34년 동안 사문 5인이 번역하여 낸 경()ㆍ율()ㆍ논() 등은 총 94624권이다.그 중에서 66528권은 그 경본이 현재 있고, 2896권은 궐본이다. 대지도론(大智度論)후기(後記)에서 말한 홍시(弘始) 3년 신축(辛丑, 401), 왕도규(王道珪)는 경자(庚子, 400)라 하였고, 어떤 책에서는 역시 세재(歲在)신축(401)이다라고 하였다. 장방(長房)과 견란(甄鸞)도 다시 1년씩의 차이가 있는데, 이제 후기에 의거하여 바로 잡아, 차례로 1년씩 미루었다.

 

요진(姚秦) 사문 축불념(竺佛念)1274. 경ㆍ율ㆍ집

사문 구마라집(鳩摩羅什)74384. 경ㆍ율ㆍ논ㆍ집

사문 불야다라(弗若多羅)158.

사문 불타야사(佛陁耶舍)484. 경ㆍ율

사문 담마야사(曇摩耶舍)324. 경ㆍ논

 

(1) 축불념(竺佛念)

십주단결경(十住斷結經) 10권처음에는 최승문보살십주제구단결경(最勝問菩薩十住除垢斷結經)이라고 하였다. 일명 십천일광삼매정경(十千日光三昧定經), 또는 십지단결경(十地斷結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11, 또는 14권으로 되어 있다. 두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이진록(二秦錄)고승전승우록에 보인다.

보살영락경(菩薩瓔珞經) 12권일명 현재보경(現在報經)이라고도 한다. 두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혹은 13, 또는 14, 또는 16권으로 되어 있다. 부진(符秦) 건원(建元) 12(376) 7월에 번역되어 나왔다. 이진록고승전승우록에 보인다.

보살처태경(菩薩處胎經) 5권처음에는 보살종도술천강신모태설광보경(菩薩從兜術天降神母胎說廣普經)이라 하였으며, 또한 바로 태경(胎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4, 또는 8권으로 되어 있다. 이진록고승전승우록에 보인다.

중음경(中陰經) 2이진록고승전승우록에 보인다.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 2권혹은 바로 영락본업경(瓔珞本業經)이라고도 한다. 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장방록에 보인다.

비내야율(鼻柰耶律) 10권일명 계인연경(誡因緣經), 또는 비내야경(鼻柰耶經), 또는 계과인연경(戒果因緣經)이라고도 한다. 사문 담경(曇景)이 받아썼다. 안공(安公)이 지은 경의 서문에 보면 부진(符秦) 건원(建元) 14년 임오(壬午, 378) 정월 12일에 번역되어 나왔다라고 하였다.

출요경(出曜經) 20권또한 출요론(出曜論)이라고도 한다. 혹은 19권으로 되어 있다. 부진 건원19(383)에 번역되어 나왔다. 이진록고승전승우록보창록등 목록에 보인다.

이상은 현재 경본이 있고, 이하는 궐본이다.

 

지인보살경(持人菩薩經) 3권두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축법호의 지인경(持人經)과 구마라집(鳩摩羅什)지세경(持世經)과 동본(同本)이다. 장방록에 보인다.

대방등무상경(大方等無相經) 5권또한 대운경(大雲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4권으로 되어 있다. 담무참(曇無讖)방등대운경(方等大雲經)과 동본이다. 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장방록에 보인다.

보살보처경(菩薩普處經) 3장방록에 보인다.

십송비구니계소출본말(十誦比丘尼戒所出本末) 1권세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승순(僧純)이 구이국(拘夷國)에서 범본(梵本)을 얻어와 축불념(竺佛念)이 번역하였는데, 문장이 번잡하였으므로, 뒤에 축법태(竺法汰)가 삭제하여 바르게 고쳤다. 보창록에 보인다.

왕자법익괴목인연경(王子法益壞目因緣經) 1권혹은 아육왕식괴목인연경(阿育王息壞目因緣經)이라고도 한다. 세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승우록에 보인다.

이상은 1274권이다.출요경이상의 761권은 현재 경본이 있고, 지인보살경이하 513권은 궐본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