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105 불교(개원석교록 1권 23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6. 21.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3

 

지승(智昇) 지음

 

불문자류상취경(不聞者類相聚經) 1구록에서는 유상취경(類相聚經)이다라고 하였다. 상응상가경(相應相可經)과는 동본(同本)이다.

천상석위고세재인중경(天上釋爲故世在人中經) 1권혹은 상()자를 쓰지 않기도 하는데, 잘못이다.

조두토경(爪頭土經) 1

신위무유반복경(身爲無有反復經) 1

사자축생왕경(師子畜生王經) 1

아수륜자바라문경(阿須倫子婆羅門經) 1

바라문자명불침경(婆羅門子名不侵經) 1

생문바라문경(生聞婆羅門經) 1구록에서는 생문범지경(生聞梵志經)이다라고 하였다.

유상갈경((+)竭經) 1

서두승바라문경(署杜乘婆羅門經) 1

불재구살국경(佛在拘薩國經) 1

불재우타국경(佛在優墮國經) 1권경에서는 우수(優隨)라고 썼다.

시시자범수경(是時自梵守經) 1

유삼방편경(有三方便經) 1구록에서는 삼방편경(三方便經)이다라고 하였다. 법경록(法經錄)에서는 칠처삼관경(七處三觀經)에서 나왔다라고 하였다.

바라문불신중경(婆羅門不信重經) 1

불고사일경(佛告舍日經) 1

사의지경(四意止經) 1구록에서는 사의지본행경(四意止本行經)이다라고 하였다. 법경록에서는 중아함경에서 나왔다라고 하였다.

설인자설인골부지부경(說人自說人骨不知腐經) 1색비구염본기경이하의 25권을 안공(安公)모두 잡아함경에서 나왔다라고 하였다. 이제 장경중에 단권(單卷)으로 된 잡아함경속에 찾아보았더니, 모두 이 경들이 있었다. 대부분 뒷사람들이 합쳐서 각 권을 만든 것이다.

잡아함삼십장경(雜阿含三十章經) 1법경록에는 잡아함경에서 나온 이본(異本)이다라고 하였다.

오십오법계경(五十五法誡經) 1권혹은 오십오법행경(五十五法行經)이라고도 한다.

일체의요(一切義要) 1

설선악도경(說善惡道經) 1

애욕성경(愛欲聲經) 1권어떤 본에서는 애욕일성경(愛欲一聲經)이다라고 하였다.

마하차갈선경(摩訶遮曷旋經) 1

천왕하작저경(天王下作猪經) 1

시조욕불시경(始造浴佛時經) 1

십이현자경(十二賢者經) 1

불병부제조달경(佛倂父弟調達經) 1오십오법계경이하의 경에 대하여 안공(安公)위의 10경은 아비담(阿毘曇)에서 나왔다라고 하였는데, 지금 다만 9경만 있는 것은 1본이 중역경重譯 속에 들었기 때문이다. 바로 마왕입목련복경이 그 경이다.

우타라가섭경(憂墮羅迦葉經) 1

사부본문경(四部本文經) 1권안공(安公)위의 2경은 장아함경에서 나왔다라고 하였는데, 다른 책一本에서는 아비담(阿毘曇)에서 나왔다라고 하였다.

양덕경(讓德經) 1

유현자법경(有賢者法經) 1

마하궐미난문경(摩訶厥彌難問經) 1권혹은 대궐미경(大厥彌經)이라고도 한다.

대본장경(大本藏經) 1

설아난지계경(說阿難持戒經) 1

아난문하인연지계견세간빈역현도빈경(阿難問何因緣持誡見世間貧亦現道貧經) 1

급고독사성가문응수시경(給孤獨四姓家問應受施經) 1

효소쟁불해경자경(曉所諍不解經者經) 1권지금 위에 있는 경()자는 착오가 아닌가 한다.

기이도가난문주처경(奇異道家難問住處經) 1

기이도가난문법본경(奇異道家難問法本經) 1

현자수력경(賢者手力經) 1

팔법행경(八法行經) 1

우다라경(憂多羅經) 1권혹은 하()자로 쓰기도 한다.

전단조불경(栴檀調佛經) 1

악인경(惡人經) 1

난제화난경(難提和難經) 1권혹은 난제화라경(難提和羅經)이라고도 한다.

사성장자난경(四姓長者難經) 1구록에서는 사성장자경(四姓長者經)이다라고 하였다.

절불경(折佛經) 1

도지경중요어장(道地經中要語章) 1권혹은 소도지경(小道地經)이라고도 한다. 지요(支曜)가 역출한 것이 이것이 아닌가 한다.

수련의장(數練意章) 1구록에서는 수련경(數練經)이다라고 하였다. 안공(安公)이상의 2경은 생경(生經)에서 나왔다라고 하였으며, 승우(僧祐)는 살펴보고 지금의 생경에는 이 수련의장(數練意章)의 이름이 없다라고 하였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