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존나경(佛說尊那經)
불설존나경(佛說尊那經)
서천(西天) 법현(法賢) 한역
송성수 번역
김두재 개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교섬미(憍晱彌)1)라는 나라의 구사라(瞿師羅) 숲속에 계셨다.
그때 대존자(大尊者)가 있었으니, 그의 이름은 존나(尊那)였다. 그가 부처님의 처소에 나아가 극진히 공경하며 땅에 엎드려 머리와 얼굴을 부처님의 발에 대고 예배하고는 한쪽에 물러나 서서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그지없이 많은 공덕을 다시 얻을 수 있나이까? 바라옵건대 세존이시여, 저를 위하여 말씀해 주십시오.”
그때 세존께서 대존자 존나에게 말씀하셨다.
“좋은 말이다. 참 좋은 말이다. 그대가 여래에게 그지없이 많은 공덕에 대해서 묻는구나. 지금 그대를 위해 말해 주리라. 자세히 들으라. 존나여, 이 그지없이 많은 공덕은 매우 심오하고 미묘하여 그 이름이 널리 알려졌으니, 만일 어떤 사람이든 마음을 귀의하면 큰 과보(果報)를 얻을 것이다. 이 공덕은 일곱 가지가 있나니, 이름이 두루 퍼져 매우 깊고 광대하니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이 정성스러운 마음을 내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威儀)2)에서 언제나 왕성하고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 자라서 더해지게 될 것이요, 그 자라서 더해진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어떤 것이 그 일곱 가지인가?
존나여,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큰 신심(信心)을 내어 동산이나 못을 보시(布施)하여 사방의 많은 수행자를 가득 채워 경행(經行)3)하거나 노닐거나 머물러 수행하게 하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첫 번째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니, 큰 과보가 있고 큰 칭송을 얻을 것이며, 이름이 두루 퍼져서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이 법을 완전히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威儀) 가운데 공덕이 더욱 늘어나고 자라게 되어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 자라게 될 것이요, 그 더욱 늘어난 공덕은 생각하거나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또 존나여,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큰 신심을 내어 그 숲속에 정사(精舍)를 세워 많은 수행자들을 편안히 수행하게 하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두 번째의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니 큰 과보가 있고, 내지는 명성이 두루 미쳐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 가운데 항상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 더욱 늘어나고 자라나게 될 것이요, 그 더욱 늘어난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또 존나여,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큰 신심을 내어 많은 수행자들이 사는 정사 안에 자리나 침구[坐臥之具], 즉 이른바 와상(臥床)ㆍ의자ㆍ담요ㆍ의복 등 갖가지 생활 용품을 보시하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세 번째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니, 큰 과보가 있고 나아가 명성이 두루 미쳐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이 정성스러운 마음을 내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 가운데서 항상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 더욱 늘어나고 자라나게 될 것이요, 그 더욱 늘어난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또 존나여,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큰 신심을 내어 그 정사 안에 재물이나 곡식을 보시하여 많은 수행자들을 공양하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네 번째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니 큰 과보가 있을 것이요, 나아가서는 명성이 두루 미쳐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정성스러운 마음을 내어 이 법을 완전히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 가운데서 항상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 더욱 늘어나고 자라나게 될 것이요, 그 자란 공덕(功德)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또 존나여,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큰 신심(信心)을 내어 가고 오는 많은 수행자들에게 꼭 필요한 물건들을 보시(布施)하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다섯 번째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니, 큰 과보가 있을 것이요, 나아가서는 명성이 두루 미쳐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이 정성스러운 마음을 내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威儀) 가운데에서 항상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 더욱 늘어나고 자라나게 될 것이요, 그 더욱 늘어난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또 존나여,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큰 신심을 내어 병들어 고통 받는 이에게 보시를 하며 병을 간호하는 이에게 보시를 하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여섯 번째 그지없는 공덕이니 큰 과보가 있을 것이요, 나아가서는 명성이 두루 미쳐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이 정성스러운 마음을 내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 가운데서 항상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 더욱 늘어나고 자라나게 될 것이요, 그 더욱 늘어난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또 존나여,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큰 신심을 내어 혹은 서리와 눈이 냉엄하게 엉기고 비바람이 싸늘해질 때를 만나면 이것을 보자마자 곧 갖가지 음식과 탕약ㆍ침구ㆍ의복ㆍ신 등을 수리하여 많은 수행자들에게 공급하고 공양하여, 이와 같이 많은 수행자들이 비바람을 맞지 않고 한랭한 가운도 받지 아니하며 이 공양을 받고 큰 안락을 얻으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일곱 번째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니 큰 과보가 있을 것이요, 나아가서는 명성이 두루 미쳐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정성스러운 마음을 내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 가운데서 항상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 더욱 늘어나고 자라나게 될 것이요, 그 더욱 늘어난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존나여, 이와 같은 것이 일곱 가지 그지없이 많은 공덕의 법이니,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정성스러운 마음을 내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그가 얻게 될 그지없이 많은 공덕(功德)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공덕이 매우 많으므로 대공덕온(大功德蘊)이라 하느니라.
존나여, 비유하면 마치 다섯 개 큰 강[大河]은 항상 흐르는데, 그 물은 이른바 긍가하(殑伽河)ㆍ염모나하(閻母那河)ㆍ살라유하(薩囉喩河)ㆍ애라박제하(愛囉嚩帝河)ㆍ말희하(末呬河)이다. 이 냇물은 한정지어 헤아릴 수 없이 많으니라. 그런데 이와 같은 물을 물그릇에 담는다 하면 백(百) 그릇ㆍ천(千) 그릇ㆍ백천억(百千億) 그릇이 될 것이니, 그 물이 아주 많기 때문에 수온(水蘊)이라 하는 것처럼, 그지없이 많은 공덕도 그와 같으니라.
존나여, 이 일곱 가지 그지없이 많은 공덕의 법을 죄다 완전하게 갖추면, 이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얻는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으리니, 큰 이름과 큰 과보를 갖추어 공덕이 매우 많으므로 대공덕온(大功德蘊)이라 하느니라.”
그때 대존자 존나가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이 그지없이 많은 공덕을 만일 어떤 사람들이 완전하게 갖추어 진실하고 거짓되지 아니하면, 큰 과보를 얻고 큰 칭찬을 갖추어 명성이 널리 퍼져서 매우 심오하고 광대할 것이옵니다.”
부처님께서 대존자 존나에게 말씀하셨다.
“그대가 한 말과 같아서 실로 이 그지없이 많은 공덕으로 얻게 되는 과보가 그와 같으니라.”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존나여, 다시 일곱 가지 그지없이 많은 공덕의 법이 있으니, 큰 과보가 있고 큰 칭찬을 갖추어, 명성이 널리 퍼져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정성스러운 마음을 내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威儀) 가운데서 항상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 더욱 늘어나고 자라나게 될 것이요, 그렇게 자란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무엇이 그 일곱 가지인가?
존나여, 만일 깨끗한 믿음이 있는 선남자나 선여인이 여래(如來)와 성문(聲聞)들이 그 마을에 계시고 혹은 성황(城隍)에 계시면서 경행하거나 유람하며 머무른다는 말을 듣고 나서, 크게 기뻐하는 마음을 내어 아주 선(善)한 뜻을 일으켜 보리(菩提)의 마음을 내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첫 번째 그지없이 많은 공덕의 법이니, 이에 큰 과보가 있을 것이고 큰 칭찬을 갖추어, 명성이 두루 퍼져서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威儀) 가운데서 언제나 왕성하고 그지없이 많은 공덕을 얻게 될 것이며, 그 더욱 늘어난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또 존나여, 만일 깨끗한 믿음이 있는 선남자나 선여인이 여래와 성문들이 혹은 마을에 가거나 혹은 성황(城隍)에 간다는 말을 듣고 큰 기쁨을 내어 아주 선한 뜻을 일으켜 보리의 마음을 내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두 번째 그지없이 많은 공덕의 법이니, 이에 큰 과보가 있을 것이고 내지 명성이 두루 퍼져서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깨끗한 믿음이 있는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 가운데서 언제나 왕성하고 그지없이 많은 공덕을 얻게 될 것이며, 그 더욱 늘어난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또 존나여, 만일 깨끗한 믿음이 있는 선남자나 선여인이 여래와 혹은 성문들이 길을 가고 계신다는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는 마음을 내어 아주 선한 뜻을 일으켜 보리의 마음을 일으키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세 번째 그지없이 많은 공덕의 법이니, 이에 큰 과보가 있을 것이고 내지 명성이 두루 퍼져서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 가운데서 언제나 왕성하고 그지없이 많은 공덕을 얻게 될 것이며, 그 더욱 늘어난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또 존나여, 만일 깨끗한 믿음이 있는 선남자나 선여인이 여래와 혹은 성문들이 마을에 가거나 혹은 성황으로 간다는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는 마음을 내어 아주 선한 뜻을 일으켜 보리의 마음을 내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네 번째의 그지없이 많은 공덕의 법이니, 큰 과보가 있을 것이요, 나아가서는 명성이 두루 미쳐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 가운데서 언제나 왕성하고 그지없이 많은 공덕을 얻게 될 것이며, 그 더욱 늘어난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또 존나여, 만일 깨끗한 믿음이 있는 선남자나 선여인이 여래와 성문들이 혹은 마을에 계신다거나 혹은 성황에 계신다는 말을 듣고, 직접 가서 친근히 하고 예배하며 우러러뵙고, 우러러뵙고 나서는 크게 기뻐하는 마음을 내어 아주 선한 뜻을 일으켜 보리의 마음을 내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다섯 번째 그지없이 많은 공덕의 법이니 큰 과보가 있을 것이요, 나아가서는 명성이 두루 미쳐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 가운데서 언제나 왕성하고 그지없이 많은 공덕을 얻게 될 것이며, 그 더욱 늘어난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또 존나여, 만일 깨끗한 믿음이 있는 선남자나 선여인이 부처님께나 혹은 성문에게 가서 예를 올리고 나서 우러러뵙고 미묘한 법을 들으며, 이 법을 듣고는 기쁨을 내어 아주 선한 뜻을 일으켜 보리의 마음을 내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여섯 번째 그지없이 많은 공덕이니 큰 과보가 있을 것이요, 나아가서는 명성이 두루 미쳐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 가운데서 언제나 왕성하고 그지없이 많은 공덕을 얻게 될 것이며, 그 더욱 늘어난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또 존나여, 만일 깨끗한 믿음이 있는 선남자나 선여인이 여래가 계신 곳에서나 혹은 성문의 처소에서 이 법을 듣고는 아주 선한 뜻을 일으켜 불(佛)ㆍ법(法)ㆍ승(僧)께 귀의하며, 삼보(三寶)에 귀의하고는 나아가 여래의 청정한 계율을 받으면, 존나여, 이것이 바로 일곱 번째 그지없이 많은 공덕의 법이니 큰 과보가 있을 것이요, 나아가서는 명성이 두루 미쳐 매우 심오하고 광대하리라. 존나여,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이 정성스러운 마음을 내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이 사람은 4위의 가운데서 언제나 왕성하고 그지없이 많은 공덕을 얻게 될 것이며, 그 더욱 늘어난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을 것이니라.
존나여, 이와 같은 것이 일곱 가지 그지없이 많은 공덕의 법이니,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얻는 공덕은 한량이 없을 것이니라. 존나여, 이 일곱 가지 그지없이 많은 공덕의 법을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정성스러운 마음을 내어 이 법을 완전하게 갖추면, 얻게 될 그지없이 많은 공덕은 한량이 없을 것이며, 이와 같은 공덕은 명성과 칭찬, 그리고 큰 과보이며, 공덕이 매우 많기 때문에 대공덕온(大功德蘊)이라 하느니라.
존나여, 비유하면 마치 다섯 개의 큰 강은 항상 흐르는데, 그 물은 이른 바 긍가하ㆍ염모나하ㆍ살라유하ㆍ애라박제하ㆍ말희아이다. 이 냇물은 한정지어 헤아릴 수 없이 많으니라. 그런데 이와 같은 물을 물그릇에 담는다 하면 백 그릇ㆍ천 그릇ㆍ백천억 그릇이 될 것이니, 그 물이 아주 많기 때문에 수온(水蘊)이라 하는 것처럼, 그지없이 많은 공덕도 그와 같으니라.
존나여, 이 일곱 가지 그지없이 많은 공덕의 법을 죄다 완전하게 갖추면, 이 선남자나 선여인들이 얻는 공덕은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아 헤아릴 수도 없으리니, 큰 이름과 큰 과보를 갖추어 공덕이 매우 많으므로 대공덕온(大功德蘊)이라 하느니라.”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청정하게 선정의 행을 닦되
성인의 자취[聖跡]에서 닦아야 하리니
보배 캐는 데는 바다보다 더 나은 곳 없고
온갖 하천도 다 근원(바다)으로 돌아가네.
냇물은 그 끝이 없으며
온갖 흐름[衆流] 근원으로 돌아가나니
보시로 많은 복 얻게 되는 것
냇물이 항상 바다로 흐르는 것과 같네.
그때 대존자(大尊者) 존나(尊那)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나서 크게 기뻐하며 예배하고 믿고 받아서 받들어 실천하였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5794 불설존승대명왕경(佛說尊勝大明王經) (0) | 2025.03.31 |
---|---|
[적어보자] #5793 불설존상경(佛說尊上經) (0) | 2025.03.31 |
[적어보자] #5791 불설조탑공덕경(佛說造塔功德經) (0) | 2025.03.31 |
[적어보자] #5790 불설조립형상복보경(佛說造立形像福報經) (0) | 2025.03.30 |
[적어보자] #5789 불설제행유위경(佛說諸行有爲經) (0) | 2025.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