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용시보살본기경(佛說龍施菩薩本起經)
불설용시보살본기경(佛說龍施菩薩本起經)
서진(西晉) 월지(月氏) 축법호(竺法護) 한역
송성수 번역
이와 같이 들었다.어느 때 부처님께서 유야리(維耶離)의 나녀수원(奈女樹園)에서 큰 비구들 1,250인과 5천 보살과 한량없는[無央數] 하늘 사람들과 함께 계셨다.그때 부처님께서 경을 설하시자 대중이 모두 모였는데, 용시(龍施)보살이 부처님 앞에 서서 사자후(師子吼)를 하였다.“대승(大乘)을 찬탄하여 전세(前世)의 행을 말하겠습니다. 쌓인 공과 겹친 덕은 신명(身命)도 아깝지 않으며, 나나 우리 할 것 없이 더 바랄 것이 없습니다.”그리고 부처님께 아뢰었다.“지난 세상에 반차순(般遮旬)이 총수(叢樹) 아래에 있었는데 도 닦는 데 정진하여 마음에 집착이 없었으며, 항상 시방의 사람들에서부터 곤충까지 염려하여 네 가지 평등한 마음을 행하여 자비롭게 잘 보호하였으며, 늘 과일이나 열매를 먹고 샘물을 마시면서 세상 영화를 그리워하지 않았고, 탐내거나 아끼지 않았고, 5신통을 얻어 스스로의 즐거움[娛樂]으로 삼았으니, 그 다섯 가지란 눈으로 무엇이든 다 볼 수 있으며, 귀로 무엇이든 다 들으며, 몸은 날아다닐 수 있으며, 다른 이의 마음을 환하게 알며, 자기의 전생을 아는 것이었습니다.그는 산에 있으면서 경을 밤낮으로 외고 익혔으며, 게을리 하지 않았습니다. 그때 어떤 독사가 있었는데 반차순이 밤낮으로 경을 읽는 것을 보고 마음에 크게 즐거워하였으며, 반차순의 처소로 나아가 머리를 조아려 절하고 풀을 꺾어 비질하고 물을 머금고 땅에 뿌리면서 도인의 시중들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습니다. 항상 왼쪽에서 떠나지 않고 경을 들어서 반차순이 외웠던 경을 독사도 전부 다 외웠습니다.이렇게 몇 달 사이에 겨울의 추위도 바뀌었으며, 나무들의 꽃이나 열매도 다하게 되자 반차순은 생각하기를, ‘겨울이 되었으니 꽃과 과일도 동이 났고, 믿고 의지할 것이 없구나. 이제 나는 인간에 돌아가 살아야겠다’고 하고는 곧 옷과 발우를 챙겨 떠나려고 하였다.이때 독사가 그것을 보고 슬피 울면서 도인에게 말하였다.
‘어디로 가십니까?도인은 대답하였다.
‘추위는 닥쳤는데 집은 없고 꽃이나 열매도 없어졌으니 혼자 살아갈 수가 없구나. 그래서 버리고 마을로 들어가겠다.’독사는 그 말을 듣고 더욱 슬퍼하면서 도인에게 말하였다.‘도인이 여기 계시니까 태산같이 의지하고 밤낮으로 법을 즐기며 마음이 기울어지지 않았는데, 이제 저를 버리고 가시면 믿고 의지할 데가 없으니 원컨대 불쌍히 여기셔서 이 몸을 불쌍히 여겨주십시오.’도인이 대답하였다.
‘나에겐 4대(大)가 있어 늘 입고 먹어야만 유지할 수 있는데 이제 이 산중에는 공급할 것이 없으니, 비록 애처로운 마음이야 있지만 마음대로 되지 않는구나.’독사가 말하였다.
‘이 산에는 나무들이 하늘에 닿고 샘물이 흐르며, 온갖 새들이 지저귀니 매우 즐길 만한데 어찌하여 버리십니까. 바라건대 도인은 버리지 마십시오. 지금이라도 당장 뒤따라가서 도인을 시봉하고 싶지만 감히 머물러 살 수가 없습니다. 여기에서 근심하는 것은 다만 죽을 우려가 있는 것입니다.’도인이 대답하였다.‘그대는 독사인지라 뭇 사람들에게 미움을 받으니 보는 이가 해치려고 하고 좋아하거나 즐기지 않을 것이며, 혹 도중에 호랑이나 이리나 독한 벌레나 새나 짐승들이 모두 너의 몸을 해치려고 할 것이니 이제 실로 안타깝기 한이 없구나. 나에게도 그 마음이 있지만 마음대로 할 수 없구나. 제발 너는 여기에 남아서 도를 생각하고 덕을 염려하여 부지런히 수행하고 분수를 지키면서 모든 어려움과 재앙을 참아서 전과 같게 건강하면 내년에 다시 만나리라.’도인은 슬피 울다가 눈물을 거두고 떠나가자 독사는 흐르는 눈물을 걷잡지 못한 채 도인이 한없이 보고 싶어져서 곧 나무에 올라가 도인을 멀리 바라보았다. 간 곳을 살피듯이 바라보다가 도인이 보이지 않으면 다시 위로 올라갔고, 올라가도 보이지 않으면 나무 꼭대기까지 올라가서 도인을 바라보았으나 드디어 멀어져서 보이지 않자, 독사는 더욱 슬퍼하며 스스로 꾸짖고 뉘우쳤다.‘내 몸이 지은 죄 때문에 착한 도인을 잃었구나. 전세(前世)에는 어리석고 무지하여 여러 가지 악을 많이 범하였다. 음탕하고 성내고 어리석고 내 멋대로 놀았으며, 게으르고 무지하고 정진하지 않았으며, 미혹되고 산란함이 그치지 않아 마음이 온전하지 못하였으며, 부처님 세상을 만나지 못하여 바른 법을 멀리하였으며, 큰 지혜를 잃어 지극히 밝음을 멀리하였으며, 괴로움에서 괴로움으로 들어가서 바라밀(波羅蜜)을 여의었으며, 5도(道)에 떨어져서 벌레와 나비와 벼룩과 이가 되었다가 이제는 뱀의 몸을 받아 사람들의 미움거리가 되었으니, 모든 것이 나의 잘못이고 다른 사람 때문이 아니구나. 천상이나 세간의 부귀도 덧없는 것인데 하물며 이 독을 지닌 몸이겠는가. 전전(展轉)하며 나고 죽는 것이 마치 수레바퀴와도 같구나.’이렇게 독사는 스스로의 허물을 말하고 나니 몸과 마음이 고요해졌으며, 도리어 자책만 하게 되었다.‘이제 이런 위태로운 몸은 탐내고 아낄 것이 없으며, 몸과 목숨을 돌아보지 않아도 거리낄 것이 없겠다.’그리고는 곧 나무 위에서 밑으로 몸을 던졌으나 땅에 이르지 못하고 나무 아퀴쟁이 틈에 떨어져서 몸이 두 동강이로 잘려 곧 목숨이 다하고 도솔천[兜術天]에 태어났으며, 밝은 빛을 보자 곧 생각하여 전생의 일을 알게 되었다.‘내가 세상에 있을 때는 몸이 독사였는데, 도인을 시봉하여 정도를 행하고 사도를 멀리하였으며, 정진을 게을리 하지 않아 모진 심마(心魔)번뇌를 조복하였고, 몸뚱이와 목숨을 보기를 흙이나 모래같이 하였으며, 목숨이란 덧없다는 것을 알고 스스로 나무에서 떨어져서 세상 수명이 끝나고 여기에 와서 태어난 것이다. 천상에서는 모든 옥녀(玉女)들로부터 천자까지 제각기 향과 꽃을 들고 와서 독사 위에 뿌렸었다.’이어서 말하였다.
‘이제 이 뱀 몸뚱이가 독하고 모질기는 하지만 나에겐 매우 후하고 끝내 박하지가 않았다. 정진하여 법을 수행하였으며, 마음엔 집착이 없어졌으며, 그 수명을 끊고서 하늘에 올라왔으니 이제 내려가서 그 은혜를 갚아야겠다.’곧 반차순의 처소로 가서, 머리를 조아려서 절하고 꽃과 향으로 공양하며, 공덕을 찬탄하니 모두가 칭찬하였다.
아무도 이 도인과 짝할 이 없고
대자비 행하시되 친소(親疎)가 없으며
일체를 가르쳐서 3도(塗)를 떠나게 하셨네.
독사를 보시기를 갓난애 보듯 하여
일체를 염려하신 그 공덕 크시니
그 은혜 갚으려면 언제나 끝날까.
이 말을 마치고 곧 도솔천으로 올라갔다.
하늘에서 내려온 모든 사람들
아미타불 부처님께 나아가네.
다 함께 머리 조아려 절하고 나니
그 마음 모두가 화평하였네.
아미타불 뵙고서 매우 즐거워
절하고 한쪽에 자리하였네.
아미타불 그들 위해 설법하시니
온 데 없는 태어남 모두 얻었네.
천상의 수명이 끝나고 난 후
세간에 내려와 태어나는구나.
장자인 수복(須福)이 딸을 가지니
그 이름 용시(龍施)가 분명하구나.
용시가 모든 욕정 버리고 나니
그때에 부처님 집에 오셨네.
부처님 미간에서 나오는 광명
이때 용시는 목욕하다가
몹시 놀라 누각에 올라가 보니
부처님 공덕이 거룩하시네.
6근이 모두 쉬어 고요하시고
32상 몸은 환히 빛나네.
그녀의 마음은 즐거워지고
드디어 편안함에 이르러
부처님께 즉시 공양드리고
곧 보리심 내었네.
그때 마귀가 그것을 알고
혼자서 속으로 근심하기를
만약에 이 여자가 뜻을 낸다면
내 경계의 사람들 모두 없어지리라.
어느새 아버지로 변화하고서
어렵고 고달픈 일 이야기하네.
지금 부처님 세상에 계시니
그 공덕 높고 또한 우뚝하구나.
보살이 되기란 고생도 많고
아라한 되기는 쉽고 빠르네.
이때 용시가 대답하기를
아버지 말씀은 옳지 못합니다.
부처님 이 지혜가 허공이라면
아라한은 작기가 겨자입니다.
만약에 사실이 이러할진대
작은 도엔 보살이 있을 리 없고
부처님 공덕은 바다와 같아
한없는 생명을 제도합니다.
이때 마귀는 다시 말하되
너야말로 어찌 그리 어리석으냐.
보살의 길이란 매우 어려워
도를 얻으려면 기한이 없네.
만약에 부처가 되고 싶다면
몸과 목숨을 아끼지 말고
누각에서 땅으로 뛰어내려야
너의 아리따움 알고
집착 없이 정진하여
더없는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여인은 난간에 서서
부처님께 향하여 두 손 모으고 말하기를
저는 지금 모든 것 맡기오니
바라건대 저의 정성 아시옵소서.
드디어 누각에서 뛰어내리니
온 데 없는 태어남 얻게 되었네.
여자 몸 변하여 남자로 되니
아난은 놀라고 두려워하며
손 모아 옷자락을 바로잡고는
부처님께 아뢰었네.
지금 저는 매우 괴이합니다.
그 뜻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일체의 중생은 어리석으니
크신 빛 나타내어 주시옵소서.부처님께서는 아난에게 이르시기를
너는 이 여자를 보았느냐.
스스로 허공에 몸을 던져
남자의 몸으로 변화된 것을.
몸을 버린 것이 오늘뿐이랴.
전생에서도 이미 그러하여서
1만 부처님을 섬기었고
쉬지 않고 부지런히 정진하였네.
그리하여 다음의 뒷세상에는
항하사 같은 부처님께 공양하고서
그때엔 반드시 부처 되리니
용상(龍上)이라 이름하리라.
첫 번째 있게 될 큰 모임에서
하늘과 사람을 구제하리니
그 수는 이루 다 헤아리지 못하여
비유하면 구름과 같으리라.
그때엔 부처님께서 다스리기에
한없이 기쁘고 즐거우리라.
음식은 모두가 저절로 되어
도리천의 그것과 흡사하리라.
이렇게 설하시자 용시의 몸은
부처님 앞에 머무르면서
부모님께 기별하여 말씀드리되
저에게 사문이 됨을 허락하소서.
부모는 이를 곧 들어주니
시종 5백 인과
8백 천신(天神)이
위없는 마음 모두 내었네.
그때에 마귀는 더욱 괴로워
회한(悔恨)을 펼 길이 없네.
용시는 부처님께 아뢰기를
원컨대 모든 중생 불쌍히 여겨
열두 가지 고해를 끊어 주시고
우리들의 모든 괴로움 없애주소서.
중생들 어리석어서
값진 보배만 좋아합니다.
그때 부처님께서 설법하시니
시종 5백 인은
무소종생(無所從生) 얻고
8백 하늘은
법인(法忍)이 일어나지 않음을 얻었네.
그때 용시보살
부처님 앞에서
스스로 지난 세상 이야기하네.
도를 찾기란 힘듭니다.
내 한 몸 위하지 않으며
일체의 중생들 위하나이다.
여래의 공덕을 말하자면
이루 다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때의 반차순(般遮旬)이
곧 세존이오며
그때의 독사는
지금 용시의 몸입니다.
그때의 옥녀(玉女)가
지금 5백 인이며,
8백의 모든 천자들
모두가 뜻이 같아 짝할 이 없네.
그때에 용시보살 보여준 것은
오히려 뚜렷한 까닭이 있네.
빛나는 그 공덕 칭찬하려면
아무리 하여도 끝이 없다네.
용시보살 일어나
사자후(師子吼)할 때
무수한 천인들
보리심 내고
모두가 환희하여
부처님께 예배드렸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5602 불설우바새오계상경(佛說優婆塞五戒相經) (0) | 2025.02.20 |
---|---|
[적어보자] #5601 불설우란분경(佛說盂蘭盆經) (0) | 2025.02.20 |
[적어보자] #5599 불설용시녀경(佛說龍施女經) (0) | 2025.02.19 |
[적어보자] #5598 불설욕상공덕경(佛說浴像功德經) (0) | 2025.02.19 |
[적어보자] #5597 불설요치병경(佛說療痔病經) (0) | 2025.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