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욕상공덕경(佛說浴像功德經)
불설욕상공덕경(佛說浴像功德經)
대당(大唐) 보사유(寶思惟) 한역
김성구 번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박가범(薄伽梵)께서 왕사성(王舍城) 취봉산(鷲峰山)에 계실 적에 대비구[大苾芻] 무리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대보살마하살들과 함께하셨다.
그때 모임 가운데 청정혜(淸淨慧)라고 하는 어떤 보살이 이러한 생각을 하였다.
‘어떠한 인연으로 모든 여래께서는 청정한 몸을 얻으셨을까?’
또 생각하였다.
‘만일 어떤 이가 부처님께서 세상에 계실 때에 가까이하여 공양하고, 또 어떤 이는 멸도하신 후에 사리(舍利)에 공양한다면, 이 두 사람이 얻는 복덕(福德)과 공덕(功德)은 같을까?’
이렇게 생각하고 부처님의 위신력을 이어받아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의 발에 정례하고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모든 부처님께서는 어떠한 인연으로 청정한 몸을 얻으셨습니까? 만일 어떤 이가 부처님께서 세상에 계실 때에 가까이하여 공양하고, 또 어떤 이는 멸도하신 후에 사리에 공양한다면, 이 두 사람이 얻는 복덕과 공덕이 같겠습니까?”
그때 세존께서 청정혜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그대는 이제 말세(末世)의 중생을 위하여 이러한 질문을 하는구나. 그대는 자세히 들으라. 내가 이제 그대에게 분별하고 해설하리라.”
그때 청정혜보살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그러겠습니다. 세존이시여, 듣기를 원합니다.”
부처님께서 청정혜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부처님은 보리를 구하기 위하여 지난 겁에 닦은 삼매(三昧)와 계(戒)ㆍ정(定)ㆍ인욕(忍辱)ㆍ지혜(智慧)ㆍ자비희사(慈悲喜捨)ㆍ해탈(解脫)ㆍ해탈지견(解脫知見)ㆍ10력(力)ㆍ4무소외(無所畏)와 일체불법(一切佛法)과 일체종지(一切種智)를 모두 다 청정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여래는 청정한 몸을 얻었다. 또 꽃과 향과 번과 일산으로써 공양하고, 다시 향수로 여래의 몸을 목욕시켰으며, 보배 일산으로 그 위를 덮었고, 모든 음식과 음악을 연주하고[鼔樂] 노래[弦歌]로써 여래를 찬탄하였으니, 이러한 공덕으로 일체종지에 회향하여 얻은 공덕이 한량없고 끝없으며, 내지 위없는 보리를 성취하였다. 무슨 까닭인가? 여래의 지혜는 한량없고 끝없으며, 불가사의하고, 가지신 복덕도 또한 그러하기 때문이다.
청정혜여, 내가 멸도한 후에 두 가지 사리가 있을 것이니, 첫째는 법신(法身)이며, 둘째는 화신(化身)이다.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사리에 공양하거나 부처님의 형상을 조성하되 보리쌀의 크기와 같게 하거나, 탑을 조성하되 암라(菴羅)의 열매와 같게 하거나, 표찰(表刹)은 바늘[針] 같고, 덮개[蓋]는 부평(浮萍)과 같게 하거나,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되 겨자씨 크기만 한 것을 그 속에 안치할지라도 얻는 공덕은 내가 세상에 있을 때와 똑같아서 다름이 없다.
이러한 사람은 열다섯 가지 공덕을 얻으니, 첫째는 정념심(淨念心)을 얻고, 둘째는 순법심(順法心)을 얻고, 셋째는 참괴심(慚愧心)을 얻고, 넷째는 여래를 뵙고, 다섯째는 맑은 신심을 내고, 여섯째는 바른 법을 지니고, 일곱째는 말씀과 같이 수행하고, 여덟째는 친근하고 공양함이며, 아홉째는 모든 부처님의 국토에 마음대로 태어나고, 열째는 만일 사람에 태어나면 큰 성바지의 집에 나서 그 마음이 부드러워 사람들에게 공경과 존중을 받고, 열한째는 비로소 인간에 태어나면 염불하는 마음을 얻고, 열두째는 모든 마군이 어지럽히지 못하고, 열셋째는 말법(末法) 때에 능히 정법(正法)을 보호하고, 열넷째는 항상 시방의 모든 여래께서 덮어 보호하여 주시며, 열다섯째는 속히 5분법신(分法身)을 성취할 것이다.”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만일에 청정한 마음으로써
여래가 멸도한 후에
사리에 공양하려는 이는
혹 탑묘(塔廟)를 조성하거나
여래의 형상을 조성하여라.
탑묘와 불상 앞에서
만다라(漫陀羅)를 쓸고 바르고
갖가지 꽃과 향으로
그 위에 흩뿌려라.
여러 가지 묘한 향수로
불상을 목욕시키고
최상으로 미묘한 모든 음식을
조촐히 가져다 공양하여라.
부처님의 공덕 무량하고
가히 생각할 수 없는
지혜(智慧)와 신통(神通)과
모든 선교방편(善巧方便)을 예찬하면
모두가 저 언덕에 도달하리라.
그때 청정혜보살이 부처님께서 이러한 게송으로 말씀하시는 것을 듣고 다시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계시는 세상이나 멸도하신 후의 미래세에, 중생들이 어떻게 불상을 목욕시켜야 합니까? 바라건대 여래께서는 중생을 위하여 열어 보이고 연설하여 주십시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청정혜여, 부처님이 계시는 세상에서 모든 중생들이 청정한 마음을 일으키는 것과 같이 부처님께서 멸도한 후에도 그렇게 해야 한다. 공(空)과 유(有)에 집착하는 생각을 짓지 말 것이며, 모든 선한 법[善品]을 마음에 목마르듯이 우러르고, 피로하다거나 싫은 생각을 내지 말아야 한다. 무슨 까닭인가? 여래의 법신(法身)을 성취하기 위한 때문이며, 보신(報身)을 성취하기 위한 때문이다. 나는 이미 그대를 위하여 4성제(聖諦)와 12인연(因緣)과 6바라밀(波羅蜜)을 말하였다. 나는 이제 그대를 위하여 불상을 목욕시키는 법을 말할 것이니, 모든 공양 가운데서 가장 수승하다.
선남자야, 만일 불상을 목욕시키고자 한다면, 마땅히 우두전단(牛頭栴檀)ㆍ다마라향(多摩羅香)ㆍ감송(甘松)ㆍ궁궁(芎藭)ㆍ백단(白檀)ㆍ울금(鬱金)ㆍ용뇌(龍腦)ㆍ침향(沈香)ㆍ사향(麝香)ㆍ정향(丁香) 따위의 갖가지 묘한 향을 얻는 것에 따라서 더운 물을 만들어 맑은 그릇에 담고, 먼저 네모진 단을 만들어 묘한 평상과 좌석을 깔고, 그 위에 부처님을 모시고, 모든 향수로써 차례차례 목욕을 시킨다. 모든 향수를 두루 쓴 다음에는 다시 청정한 물로써 위에서 뿌려야 한다.
불상을 목욕시킨 이는 제각기 조금씩 불상을 씻긴 물 약간을 자기의 머리 위에 두고 여러 가지 향을 피워 공양해야 한다.
처음 불상 위에 물을 뿌릴 때에는 반드시 게송을 외우라.”
내가 이제 모든 여래 목욕시키니
맑은 지혜 공덕과 장엄이 모였네.
5탁 악세의 중생 모두가 때를 여의고
여래의 맑은 법신(法身) 깨치길 원하네.
향을 사를 때에는 마땅히 이러한 게송을 외워야 한다.
계(戒)ㆍ정(定)ㆍ혜(慧)ㆍ해탈(解脫)ㆍ지견(知見)의 향이
시방세계 두루하여 항상 그윽해
원컨대 이 향연(香烟)도 그러하여서
자타(自他)의 5종신(種身) 이뤄지길 바라네.
그때 세존께서 이러한 법을 말씀하시니, 무리 가운데 있던 무량한 보살마하살이 청정한 무구삼매(無垢三昧)를 얻고 곧 자리에서 일어났으며, 무량한 천인들은 물러나지 않는 위없는 깨달음[無上菩提]을 얻었다.
그때 아난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이 경은 무엇이라 이름하며, 저희들이 어떻게 받들어 지녀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경은 세욕제불득신청정(洗浴諸佛得身淸淨)이니, 반드시 이렇게 지니라.”
이 경을 말씀하시니, 일체의 무리들이 모두 크게 즐거워하며 믿고 받들었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5600 불설용시보살본기경(佛說龍施菩薩本起經) (0) | 2025.02.19 |
---|---|
[적어보자] #5599 불설용시녀경(佛說龍施女經) (0) | 2025.02.19 |
[적어보자] #5597 불설요치병경(佛說療痔病經) (0) | 2025.02.19 |
[적어보자] #5596 불설요의반야바라밀다경(佛說了義般若波羅蜜多經) (1) | 2025.02.19 |
[적어보자] #5595 불설온실세욕중승경(佛說溫室洗浴衆僧經) (0) | 2025.0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