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수진천자경(佛說須眞天子經) 2권
불설수진천자경 제2권
서진 축법호 한역
김달진 번역
2. 답법의품(答法義品)
수진천자가 문수사리동자에게 말하였다.
“여래께서 저희들을 위하여 32가지 일의 장구(章句)로 된 법품(法品)을 밝혀 보내주셨으니, 오직 바라건대 다시 자세히 말하여 알게 해주십시요.
어떻게 보살은 이 대승에 뜻을 두어 믿음을 잊지 않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자기 마음으로 살피어 믿고, 다른 가르침을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짓는 바가 굳세고 강합니까?”대답하였다.
“모든 탐욕을 항복시켜 버리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가장 수승한 복을 얻었습니까?”대답하였다.
“법의 경계를 알아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걸림이 없는 행을 얻습니까?”대답하였다.
“모든 감관[入]에 미혹되지 않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무명의 번뇌를 버렸습니까?”대답하였다.
“모든 법의 경계를 알아 근본이 모두 청정하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대중 가운데 들어가 용감히 변론하여 모든 두려움을 여의었습니까?”대답하였다.
“모든 법을 가려서 구하되 그 모양으로 얻지 않았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들은 바의 이치를 의지하여 보호함이 있습니까?”대답하였다.
“모든 법을 알고도 침묵하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법의 오묘함에 의지할 수 있습니까?”대답하였다.
“이미 법의 경계에 머무를 줄 알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를 수 있습니까?”대답하셨다.
“모든 소리를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법의 가르침을 따를 수 있습니까?”문수가 대답하였다.
“해탈을 얻었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허물이 없을 수 있습니까?”“모든 법에 대해 마음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마군의 무리들을 항복합니까?”“공(空)으로 애욕을 깨달아 도를 구하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의 지혜는 가히 미칠 수 없습니까?”“모든 불법을 얻어 다 받아 지니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세간법에 더럽혀지지 않습니까?”“세속을 따라 행하되 능히 더럽힐 수 없기 때문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모든 깊은 행을 얻었습니까?”“공법(空法)을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공교한 방편근(方便根)을 알았습니까?”“6정(情)에서 모든 정(情)의 근본을 다 보았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해탈문에 이를 수 있습니까?”“일체 물음에 대하여 해탈법의 가르침을 말하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기이하고 특별한 방편을 얻습니까?”“생사에서 열반을 찾아서 구하여 보았고, 열반에서 생사의 길을 보았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하는 일에 인연의 방편을 얻습니까?”“무수한 데 머물러 일체의 모든 법을 다 보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율(律) 방편을 얻습니까?”“일체의 법이 속한 바가 없음을 보았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좋은 권(權) 방편을 얻었습니까?”“세간을 따라서 하는 일이 여의지도 않고 집착하지도 않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길상의 원을 얻었습니까?”“이미 도의 지혜를 얻었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인욕의 힘을 얻었습니까?”“근본으로부터 열반에 이르기까지 모든 법을 다 알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저 언덕으로 건너갈 수 있습니까?”“일체의 다른 법을 모두 알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일체를 이익되게 할 수 있습니까?”“다함없는 법계를 모두 알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대중의 사랑하는 바가 되었습니까?”“모든 부처님의 찰토에 색(色)이 있지 않음을 보았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대중의 칭찬을 얻습니까?”“모든 법에 대해 이것은 ‘내 것’이며, 이것은 ‘내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지 않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공덕을 이루 다할 수 없습니까?”“모든 법이 허공과 같음을 동등하게 알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그 근본 요체를 견고히 할 수 있습니까?”“법계에서 파괴한 바가 없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호걸존사(尊師)가 되었습니까?”“마음이 없어서 일체의 마음을 죄다 알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스승이 될 수 있습니까?”“법을 생각함도 없고 버린 바도 없기 때문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모든 일을 밝게 알 수 있습니까?”“일체의 법이 의지함도 없고 믿는 것도 없고 오고 감도 없음을 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천자여, 보살은 모든 일을 밝게 안다.”문수사리가 이 일을 말할 때에, 8만의 보살들이 좇아 생긴 바가 없는 법인(法忍)을 얻었다.
이에 세존께서 문수사리동자를 칭찬하여 말씀하셨다.
“훌륭하구나, 훌륭하구나. 해설한 바와 같으니, 법의 이치를 분별함이 어찌 이와 같이 통쾌한가.”
3. 순숙품(純淑品)
이에 수진천자가 다시 문수사리에게 물었다.
“어진 이시여, 제가 물은 법이 순수하고 깨끗합니까?”“세간이 소유한 욕심 부려 싫증냄이 없음을 마음에서 모두 버리고 법의 오묘함을 살핀다면 곧 법의 순수하고 깨끗함이 될 것이다.
내가 대답한 바와 같다면, 그대의 물은 바가 어찌 순수하고 깨끗한 법이라고 하겠는가?
법이란, 천자여, 순수함도 없고 깨끗함도 없으니, 왜 그런가?모양이 없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얻어 볼 수 없으니, 왜 그런가?
눈으로 보는 바가 미세한 데까지 다 이르지 못하여서 집착함이 있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또한 지음이 없는 것이니, 왜 그런가?일어남(起)이 없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길이나 지름길이 없으니, 왜 그런가?
‘나[我]’도 없고 ‘나 아님’도 없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모두 다 평등하니, 왜 그런가?
허공과 같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가히 견줄 수 없으니, 왜 그런가?
짝할 것이 없기 때문이다.천자여, 법이란 항상 머물러 있어서 오는 것도 없고 가는 것도 없으며 말도 없고 말해줌도 없으며 헐뜯음도 없고 칭찬함도 없으니, 왜 그런가?
헐뜯고 칭찬함을 여의고 꾸밈도 없고 수식함도 없으며 추(醜)함도 없고 비루[陋]함도 없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뚫음[穿]도 없고 샘[漏]도 없고 기움[補]도 없고 들임[納]도 없으니, 왜 그런가?마군의 행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자람도 기름[養]도 없으니, 왜 그런가?
일어나고 멸함을 여의었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처함도 없고 머무름도 없으니, 왜 그런가?
법계를 즐거워하기 때문이다.천자여, 법이란 두려운 것이 없으니, 왜 그런가?
미혹되지 않기 때문이다.
법이란 천자여 사랑하는 바가 없으니, 왜 그런가?
잘난 체 하는 것을 여의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잘난 체 하지 않는 것이니, 왜 그런가?
적정(寂靜)을 익히기 때문이다.천자여, 법이란 적정을 익히는 것이니, 왜 그런가?
모든 생각을 여의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생각하는 바가 없으니, 왜 그런가?
모든 이도(異道)를 항복하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소굴(巢窟)이 있지 않으니, 왜 그런가?음란하고 화내며 어리석음을 여의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공(空)하니, 왜 그런가?
처음부터 청정하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모양이 없으니, 왜 그런가?
소리와 이름(名)이 없기 때문이다.천자여, 법이란 바람[願]이 없으니, 왜 그런가?
식(識)을 만들어 세우지 않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만들어 세움이 없으니, 왜 그런가?
경계가 없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의지하는 것이 없으니, 왜 그런가?
쌍(雙)이 없기 때문이다.천자여, 법이란 움직이고 흔들림이 없으니, 왜 그런가?
굳건히 머물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나’가 없으니, 왜 그런가?
멸(滅)하지 않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남[人]’이 없으니, 왜 그런가?
처음부터 생기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천자여, 법이란 덧없는 것이니, 왜 그런가?
일어나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일어나는 바가 없으니, 왜 그런가?
생기는 바 없음을 익히[習]기 때문이다.천자여, 법이란 생기는 바가 없으니, 왜 그런가?
괴로움의 모양[苦相]이 없기 때문이다.
천자여, 법이란 모양이 없으니, 왜 그런가?
모든 모양을 여의기 때문이다.
이와 같으니 천자여, 이것이 곧 법의 순수하고 깨끗한 이치가 된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법은 소유(所有)도 없고 또한 요체도 없다고 한다면, 어떻게 어진 이께서 순수하고 깨끗한 법의 이치를 말하는 것입니까?”“훌륭하고, 훌륭하다.
그대가 말한 바와 같아서 진실로 다름이 없도다.
소유함이 없는 것이 곧 순수하고 깨끗한 법의 이치이니, 왜 그런가?
몸과 입과 뜻으로 짓는 바가 없음이 바로 법의 순수하고 깨끗함이다.그러한 까닭은, 천자여, 법은 소굴(巢窟)이 없기 때문이니, 소굴이 있다면 몸이 뜻과 달라서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을 베풀게 된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알 수 있습니까?”“천자여, 몸은 6쇠(衰)10)가 서로 얽혀서 된 것임에도 유상(有常)하다고 헤아린다면, 곧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법을 알고도 이름을 구하고 소리와 메아리에 집착하여 삿된 길을 따른다면, 곧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법과 승가를 알고도 도의 과(果)를 증득함을 받으려고 한다면, 곧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애욕이 삿된 모양에 근본한 것임을 알고도 사용한다면, 곧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계율을 알고도 적정(寂靜)을 여의면, 곧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3악도(惡道)를 마치고 벗어나서 사람이 되고도 뜻을 하늘의 복(福)에 둔다면, 곧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그 뜻을 조복하지 않고 보시를 하고자 한다면, 곧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뜻에 적멸(寂滅)이 없다면, 곧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뜻에 의지하고 믿는 것이 있으면서 인욕(忍辱)하려고 한다면, 곧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그 뜻을 청정히 하지 않고서 정진하려고 한다면, 곧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생각이 많아 기쁨도 잊어버리고 선정에도 안정하지 못한다면, 곧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스스로 크고 잘난 체 하여 지혜를 소홀히 한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내 것[我所]’에 머물면서 자(慈)를 행하려고 한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뜻이 망설이면서 애(哀)를 행하려고 한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행이 4증(證)에 떨어지고도 희(喜)를 행하려고 한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몸이 있다는데 머물러 있으면서 사(捨)를 행하려고 한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몸과 느낌과 뜻을 없애지 않으면서 법을 생각하여 응하여 멈추지 않으려고 한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모든 일어나고 멸함을 알고도 응하여 끊지 않는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몸과 뜻이 서로 의지하여 신족(神足)에 응하지 않는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6정(情)으로써 5근(根)에 의지한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보는 바의 힘으로 5력(力)에 의지한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일곱 가지 법을 알면서도 깨달을 뜻이 없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애욕을 탐하기를 생각하여 여덟 가지 바른 행에 응하지 않는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고지(苦智)에 대해 의심함이 있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집(集)에 대해 의심함이 있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멸진(滅盡)에 대해 의심함이 있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
세속의 소유를 그대로 두고 도에 들어가려고 한다면,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이와 같으니 천자여, 받아 지님은 청정하되 마음이 오로지 집착하는 까닭에 때에 맞지 않는 마음인 줄 안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옳은 때의 마음인 줄 알 수 있습니까?”
문수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마음이 허공과 같다면 옳은 때의 마음인 줄 안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마음이 허공과 같습니까?”
“허공이 무심(無心)한 것과 같이 마음 또한 그러하니, 이와 같은 마음인지라 마음이 허공과 같다는 것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누가 마땅히 마음이 허공과 같다는 것을 믿겠습니까?”
“천자여, ‘나’와 ‘남’이 있다고 헤아리는 이는 믿지 않을 것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나’와 ‘남’을 계교한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마음이 허공과 같으나 불리고 보태서 그보다 위로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다.”다시 물었다.
“어떻게 불리고 보태서 그보다 위로 벗어납니까?”“유상(有常)하다고 헤아리는 것도 곧 그보다 위로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며, 무상(無常)하다고 계교하는 것도 그보다 위로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며, 괴로움[苦]이라고 하는 것도 그보다 위로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며, 즐거움[樂]이라고 하는 것도 그보다 위로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며, 근심[憂]이라고 하는 것도 그보다 위로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며, 근심이 없음[無憂]이라고 하는 것도 그보다 위로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다.
몸이 있다고 계교하는 것도 그보다 위로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며, 몸이 없다고 계교하는 것도 그 보다 위로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다.공(空)하여 모양이 없는 것과 바람이 없는 것도 그 보다 위로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며, 허깨비와 꿈과 물속의 달과 그림자와 메아리처럼 일체 모든 법도 그것을 비유하면 이와 같으니, 이와 같은 것도 그보다 위로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다.만약 법(法)에 소처(所處)가 있다면 곧바로 음란하고 성내고 어리석음을 늘리고 보태서 다시 서로 의지하는 것도 그보다 위로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며, 이 생사를 형용해서 열반의 일을 찬탄하지 않는 것도 그보다 위로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다.
이와 같으니 천자여, 이것이 바로 ‘나’와 ‘남’을 헤아리는 것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성냄이 없고 사납지 않을 수 있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생사로부터 벗어나 열반에 머물고, 세간으로 돌아와 모든 애욕을 없애서 행을 깨끗이 하며, 멸(滅)하여도 영원히 멸하지 않고 일어나도 일어나는 바가 없어서 모든 모양과 소리에 두려워하지 않는다.이와 같이 멸(滅)을 익힌다면 해탈한 바가 있고, 해탈을 익힌다면 이미 이와 같은 일과 일체 법을 건넜으므로 능히 그 공(功)을 열거(列擧)할 수 없고 그 덕(德)을 이길 수도 없으니, 이것이 바로 성냄이 없고 사납지 않은 것이다.”이 법을 말할 때에 3만 2천의 천자들이 법안(法眼)이 청정해짐을 얻었고, 5천의 비구는 마음으로 해탈을 얻었으며, 만 2천의 보살들은 인욕(忍辱)의 힘을 얻었다.
4. 성문품(聲聞品)
이에 수진천자가 모든 큰 제자들에게 말하였다.
“어진 이들이여, 의심스러운 것은 문수사리에게 물어도 됩니다.”장로(長老) 마하가섭(摩訶迦葉)이 앞으로 나와 문수사리에게 물었다.
“보살은 어떻게 여덟 가지 유무선(惟務禪)을 행합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보살은 여덟 가지 유무선이 본래 없으며, 조립선(造立禪)도 없고, 진에선[恚禪]과 평등선[等禪]도 없으니, 이것이 보살의 선(禪)이다.”마하가섭이 다시 물었다.
“어떻게 이런 말을 하는 것입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가섭이여, 몸은 본래 없으니 3계(界)에 만들어 세울 것도 없어서 문득 애욕이 일어나면 이미 애욕을 떠날 줄 안다. 그러므로 몸이란 본래 없음을 알아서 3계에 만들어 세움도 없고 애욕을 생각함도 없으니, 이미 공(空)함을 알아 선(禪)을 세운 것이다.
가섭이여, 이와 같이 말할 수 있으니, 여덟 가지 유무선은 본래 없으며, 조립선도 없고, 진에선과 평등선도 없는 것이 곧 보살의 선(禪) 이다.”
이에 가섭은 묵묵히 말이 없었다.현자 사리불(舍利佛)이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이 걸림 없는 지혜를 얻을 수 있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보살은 모든 걸림에 대해 성내거나 원망함이 없고, 모든 걸림에 대해 억누르거나 집착함도 없으므로 일체의 애욕을 모두 보고 알아서 버리거나 여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일체를 길러 보호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보살은 걸림이 없는 지혜를 얻는 것이다.”현자 마하목건련(摩訶目犍連)이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이 신족(神足)을 얻을 수 있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목건련이여, 보살은 무위법에 대해 받아들이는 바가 없어서 일체를 건너 벗어나고 항복하여 다하며, 유위법에 대해서도 받아들이는 바가 있지 않다.
왜냐하면 일체를 이끌어 보호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보살은 큰 신족(神足)을 얻는 것이다.”장로 수보리(須菩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이 다른 법의 행을 알 수 있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수보리여, 보살은 일체의 다른 이법(異法)을 죄다 알아서 마음으로 도의 일을 싫어하지 않고 항상 삼매를 좋아하여 만족히 여기지 않으며 모든 작위(作爲)하는 일을 나타내 보인다. 그러므로 보살은 다른 법의 행을 알 수 있다.”현자 분뇩문타니자(分耨文陀尼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모든 이치를 널리 채취하여 밝은 지혜의 법을 말합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분뇩이여, 보살은 일체의 모든 근기를 다 보고서 그 좋아하는 바에 따라 그 덕(德)을 말하되, 덧없고 괴롭고 공하고 몸이 아닌 이치로써 각기 그 자리를 얻게 하며, 무수한 생사의 백천 겁 동안 이 법의 이치를 가지고 두루 가르치되 멸하여 다함이 있지 않다.
그 지혜가 이와 같으니, 그러므로 보살은 모든 이치를 널리 채취하여 밝은 지혜의 법을 말하는 것이다.”현자 이월(移越)이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항상 선(禪)을 좋아합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이월이여, 보살은 삼마월(三摩越)11)을 익혀서 모든 법을 다 알고, 뜻이 어지러운 이들에게 큰 자비심을 내어 수없이 많은 행을 일으키게 해서 선(禪)이 아니면 좋아하는 바가 없도록 한다. 그러므로 보살은 선(禪)을 얻은 것이다.”현자 우파리(憂婆離)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법장(法藏)을 지닐 수 있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우파리여, 보살은 모든 법의 깊은 법장을 다 알아서 처음부터 열반에 이르기까지 애욕을 여읜 자라고 말하며, 이미 법장을 따라 일체를 가르치되 애욕을 보여주어 깨달아 알게 하고 애욕 가운데서 도의 뜻을 일으키게 하니, 그러므로 보살은 법의 깊은 법장을 얻은 것이다.”현자 아나율(阿那律)이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천안(天眼)으로 꿰뚫어 볼 수 있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아나율이여, 보살은 시방의 모든 색(色)을 다 비추어서 보고 나서, 색에 반연하는 이가 있으면 그를 위해 일체의 법을 나타내 보이고, 집착할 바가 없음을 다 나타내 보여 자취를 찾아 벗어날 수 있게 하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천안으로 꿰뚫어 보는 것이다.”현자 박구로(薄鳩盧)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모든 감관이 적정(寂定)할 수 있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보살은 일체의 경계에 대해 보기를 부처님 경계와 같이 하고, 부처님 경계에 대해 보기를 모든 경계와 다를 바 없이 한다. 그러므로 보살은 모든 감관이 적정할 수 있다.”현자 앙굴마(鴦掘魔)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모든 근기를 이롭게 할 수 있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보살은 모든 거스르거나 악한 것을 보기를 평등하게 도(道)와 같이 보니, 그러므로 보살은 모든 근기를 이롭게 할 수 있다.”현자 마하가전연(摩訶迦旃延)이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여러 경의 방편(方便)을 분별하여 알 수 있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보살은 네 가지의 다함없음[無盡]을 얻으니, 무엇이 네 가지인가?
첫째는 이치이며, 둘째는 법이며, 셋째는 차례이며, 넷째는 보답(報答)이니, 이것이 네 가지이다.한 마디 법구(法句)로 백천 겁 동안 널리 일체를 위하여 분별하고 연설하니, 이 가르침은 유위법(有爲法)을 가까이 하지 않아 물든 바가 없고, 이미 청정하므로 물리칠 것이 없으며, 이 가르침은 모든 법계에서 돌아다니지 않고 일체를 받아들여 작용(作用)한다. 그러므로 보살은 여러 경의 방편을 분별하여 아는 것이다.”현자 마하구치(摩訶拘絺)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이치와 법과 차례와 보답 이 네 가지를 얻을 수 있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보살은 적연법(寂然法)에 대해서 이것을 얻고 나면 이치로써 가르치고, 법에 머물 때는 법으로써 가르치고, 하는 바가 항상 기꺼워 유감[恨]이 없는 데는 차례로써 가르치고, 메아리처럼 보호하여 지니지 못하는 데는 보답으로써 가르친다. 그러므로 보살은 의와 법과 차례와 보답을 얻을 수 있다.”현자 라운(羅雲)이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그 계율을 청정하게 할 수 있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라운이여, 보살은 정계(淨戒) 삼매로써 계를 버리기도 하고 계를 범하기도 하여 일체를 거느리고 기른다. 그러므로 보살은 계율을 청정하게 할 수 있다.”현자 아난이 다시 물었다.
“어떻게 보살은 널리 들을 수 있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보살은 일체의 모든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바를 듣기 좋아하여, 들을 적에는 그 이치를 받고, 들은 다음에는 모두 지녀서 들은 대로 곧 가르친다. 이것이 바로 보살이 널리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모든 큰 제자들이 기뻐하면서 잠자코 있었다.이때 수진천자가 모든 큰 제자들에게 말하였다.
“문수사리께 부촉하여 말씀하신 법(法)과 인(仁)에 어찌 이런 일이 있겠습니까?”모든 큰 제자들이 말하였다.
“우리들도 오히려 한 법도 제대로 알 수 없는데, 하물며 그대가 법에 대해서 이겠는가.”천자가 말하였다.
“어진 이들이시여, 온갖 종류의 몸이 각기 다를지라도 그 도의 이치는 한 가지일 것입니다.”큰 제자들이 대답하였다.
“비유컨대 소 발자국 가운데 괴인 물처럼 나머지 제자들이 아는 바가 이와 같고, 또한 수레바퀴가 박혔던 곳에 괴인 물처럼 우리 같은 부류를 비유하면 이와 같다. 비유컨대 큰 바다는 그 물이 넓고 길어서 끝이 없고, 깊어서 바닥을 알기 어려움과 같이 성문과 벽지불 가운데 보살이 가장 높다.”천자가 찬탄하였다.
“훌륭합니다, 훌륭합니다. 말한 것이 지극히 진실하여 잘난 체하지 않는구려.”문수사리가 말하였다.
“이와 같으니, 천자여, 제자들이 말하는 것이 잘난 체함이 아니며, 보살을 칭찬하고 기림이니, 사실을 자세히 살펴보라.”천자가 문수사리에게 물었다.
“어진 이시여, 어찌 이렇게 말하십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이와 같으니, 천자여, 성문과 벽지불은 잘난 체함에 의지하기도 하고 잘난 체함을 여의기도 하지만, 보살의 잘난 체함은 그들보다 뛰어나서 부처님 법을 모아 합하니, 바로 이것이 보살의 용맹한 행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보살의 잘난 체함은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칭찬하고 기리게 하려는 것입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장차 일체를 인도하고자 하기 때문이니, 이와 같다, 천자여.”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떻게 이와 같습니까?”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그러므로 보살은 방편으로 불승(佛乘)을 칭찬하고 기리며 제자승(弟子乘)을 비판하여 대중들 가운데서 자신이 행하는 바와 법의 일을 스스로 나타내는 것이다.
왜 그런가?일체의 사람들로 하여금 모두 큰 도의 뜻을 일으키게 해서, 작은 도의 뜻을 일으키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왜 그런가?
불종(佛種)을 태워[燒] 없애기 때문이니, 일체의 사람들로 하여금 모두 멀리 여의도록 하는 것이다.왜 그런가?
사람들로 하여금 탐내고 즐겨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까닭이다.
이와 같으니 천자여, 보살에게 대승을 일으키게 하고 제자승을 없애도록 하려는 까닭이다.”천자가 다시 물었다.
“허물은 없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마니(摩尼)와 유리와 수정(水精)이 매우 깨끗하여 더럽거나 물듦이 없음을 칭찬하고 기리는데, 어찌 허물이 있겠는가.”천자가 대답하였다.
“말한 바에는 허물이 없습니다.”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이와 같으니 천자여, 보살이 대승을 칭찬하여 기리고 제자승을 비판함은 더하지도 않고 덜하지도 않은 것이다.
천자여, 비유컨대 장자(長者)의 아들이 전륜성왕의 공덕을 칭찬하여 기리고 나라 안의 모든 가난한 이와 걸인들을 비방하는 것과 같으니, 어찌 불가함이 있겠는가?”천자가 말했다.
“불가함이 없으니, 문수사리께서 말씀하신 그대로 입니다.”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이와 같으니 천자여, 보살이 대승을 칭찬하여 기리고 제자승을 비방하는 것은 손해 될 것이 없다.”부처님께서 이때 문수사리를 찬탄하여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이와 같이 말한 바가 매우 통쾌하도다.왜 그러한가?
문수사리가 대승을 칭찬하여 기리고 제자승을 비판하였는데, 제자승을 비판하는 것은 일체의 승(乘)을 비판하는 것이니, 그 이유는 대승은 모두 일체의 승(乘)을 내기 때문이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5479 불설수진천자경(佛說須眞天子經) 4권 (0) | 2025.01.26 |
---|---|
[적어보자] #5478 불설수진천자경(佛說須眞天子經) 3권 (0) | 2025.01.26 |
[적어보자] #5476 불설수진천자경(佛說須眞天子經) 1권 (0) | 2025.01.26 |
[적어보자] #5475 불설수제가경(佛說樹提伽經) (0) | 2025.01.25 |
[적어보자] #5474 불설수용존자경(佛說隨勇尊者經) (0) | 2025.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