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확인하자 경제

[경제공부] #64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주택시장 2020년 3분기 분석 및 전망)

by Kay/케이 2021. 1. 16.
728x90
반응형

  64번째는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발간한 “[주택금융리서치 20204분기 통권 제12] 주택시장 20203분기 분석 및 전망이다.

 

  20203분기는 여러 부동산 정책과 코로나19로 인해 침체될 줄 알았으나, 예상을 깨고 많은 일들이 늘어났다. 20203분기 실거래가 상승세, 수도권 및 비수도권 모두 상승세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증위가격 최고점을 찍었고 10월 들어 강남은 하락한 반면 강북은 상승하였다. 서울뿐만 아니라 경기, 인천 주택 중위가격 상승세 지속하였고 경기 아파트 중위가격 4.2억 초과하였다. 다만, 수도권 고가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큰 가운데, 저가 아파트 가격의 상승세는 제한적이다.

 

  추후 시장을 전망해보면 정부에서 금융 및 세금 압박, 공급확대, 즉각적 수요규제 및 지역별 핀셋 정책 대응 진행 중이고 지나친 가격 상승, 전반적 규제정책 기조 강화로 향후 수요 확대 한계가 있어 보인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주택시장 20203분기 분석 및 전망을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Photo by Elle Morre on Unsplash


1. 제목: [주택금융리서치 20204분기 통권 제12] 주택시장 20203분기 분석 및 전망

2. 연구기관: 한국주택금융공사

3. 저자: 최영상, 강영신

4. 발간일: 2020.12.11

5. 주요내용

20203분기 시장현황

20203분기 실거래가 상승세, 수도권 및 비수도권 모두 상승세

서울 아파트 증위가격 최고점, 10월 들어 강남은 하락한 반면 강북은 상승

ㅇ 경기, 인천 주택 중위가격 상승세 지속, 경기 아파트 중위가격 4.2억 초과

ㅇ 지방 5개 광역시 주택가격 상승세, 대전 아파트 중위가격 크게 상승

ㅇ 수도권 고가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큰 가운데, 저가 아파트 가격의 상승세는 제한적

 

정책 및 시장전망

‘17년 이후 전방위적 시장안정화 정책 진행, ’20년 들어 전국적으로 주택가격 급등

ㅇ 금융 및 세금 압박, 공급확대, 즉각적 수요규제 및 지역별 핀셋 정책 대응 진행 중

ㅇ 지나친 가격 상승, 전반적 규제정책 기조 강화로 향후 수요 확대 한계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및 업로드 해놓음)

- 직링크

https://www.hf.go.kr/researcher/sub04/sub04.do?mode=view&articleNo=406066&article.offset=0&articleLimit=10#preview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791676

주택금융리서치_12호_시장분석.pdf
1.09MB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