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확인하자 경제

[경제공부] #63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울산지역 아파트시장 동향과 가격형성요인 분석)

by Kay/케이 2021. 1. 15.
728x90
반응형

  63번째는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발간한 “[주택금융리서치 20204분기 통권 제12] 울산지역 아파트시장 동향과 가격형성요인 분석이다.

 

  울산의 대한민국의 광역시중 하나로 많은 중공업 기관들이 포진해있다. 울산 지역의 주택시장 동향을 보면 2017년부터 주택공급이 증가하였으나, 이런 증가와 조선업 등 불황에 따라 2017년부터 가격이 하락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2020년 이후에 상승 추세로 변경되었는데 경기회복 이외에도 울산 외 지역에서 수요 유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격 형성 요인을 분석해보니 금리, 아파트 가격 지수 뿐만 아니라 면적, 연수 등 특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울산지역 아파트시장 동향과 가격형성요인을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Photo by Vidar Nordli-Mathisen on Unsplash


1. 제목: [주택금융리서치 20204분기 통권 제12] 울산지역 아파트시장 동향과 가격형성요인 분석

2. 연구기관: 한국주택금융공사

3. 저자: 김형근

4. 발간일: 2020.12.11

5. 주요내용

결론 및 시사점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서울의 주택시장과 달리 2017년부터 가격이 하락

ㅇ 울산지역의 주택공급 증가와 조선업 등 지역 기반산업 불황에 따른 구매수요 감소 원인

ㅇ 주택시장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지역별 단위면적당 주택가격을 비교하면 울산을 비롯한 다수의 비수도권 지역의 단위면적당 가격이 낮을 뿐만 아니라 가격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음

ㅇ 지역 균형 발전이라는 점에서 고민할 필요가 있는 부분

울산 외 지역의 매수자가 증가할수록 주택가격의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및 업로드 해놓음)

직링크

https://www.hf.go.kr/researcher/sub04/sub04.do?mode=view&articleNo=406066&article.offset=0&articleLimit=10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791671

주택금융리서치_12호_논고3.pdf
0.69MB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