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번째는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발간한 “[주택금융리서치 2020년 4분기 통권 제12호] 서울 공공임대주택 소요가구 특성 및 시사점”이다.
최근 경제적 격차가 많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공공임대주택은 저소득층 및 사회적배려자 등 사회적 약자에게 안정적인 주거를 공급하는 중요한 주거복지정책으로 기능하여 왔다. 그러나 주택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저소득게층이 접근 가능한 주택의 재고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공공임대 주택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고 이런 소요가구의 특성을 알아봐서 시사점을 보고자 한다.
예상한 것처럼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한 분들은 가구의 경제적 여건이 매우 열악하며 불안정하다. 가구주를 예로 들면 비정규직이거나 파트타임 등 안정성이 취약한 형태로 일을 하고 있으며 평균소득은 매우 낮은 상태이다. 또한 자산의 대부분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임차보증금의 금융자산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이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공공임대 입주 시에 보증금 지불이 어려운 가구가 다수 발생 가능하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서울 공공임대주택 소요가구 특성”을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1. 제목: [주택금융리서치 2020년 4분기 통권 제12호] 서울 공공임대주택 소요가구 특성 및 시사점
2. 연구기관: 한국주택금융공사
3. 저자: 김윤중, 하서진
4. 발간일: 2020.12.11
5. 주요내용
□ 결론 및 시사점
ㅇ 가구의 경제적 여건이 매우 열악하며 불안정
ㅇ 가구주는 비정규직, 파트타임 등 안정성이 취약한 형태로 일을하고 있으며 평균소득은 매우 낮음
ㅇ 자산의 대부분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임차보증금의 금융자산으로 이루어져 있음
ㅇ 부채보유 여부가 공공임대 입주확률을 3.28배 높임
ㅇ 공공임대 입주 시에 보증금 지불이 어려운 가구가 다수 발생 가능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2개 및 업로드 해놓음)
- 직링크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791666
'매일 하나씩 > 확인하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63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울산지역 아파트시장 동향과 가격형성요인 분석) (0) | 2021.01.15 |
---|---|
[경제공부] #62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빅데이터를 이용한 서울시 거주지이동 분석) (0) | 2021.01.14 |
[경제공부] #60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주택금융 Insight(2020-24호) ) (0) | 2021.01.12 |
[경제공부] #59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주택금융 Insight(2020-23호)) (0) | 2021.01.11 |
[경제공부] #58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주택금융 Insight(2020-22호) ) (0) | 2021.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