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 7권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 제7권
대당 천축삼장 선무외, 사문 일행 공역
김영덕 번역
1.공양차제법중진언행학처품(供養次第法中眞言行學處品)1)
비로자나부처님께서
정안(淨眼)을 뜨시는 것이
푸른 연꽃과 같으심에
머리 조아려 공경합니다.
저2)는 대일경왕(大日經王)에 의거하여
공양의 소자(所資)3)와
여러 가지 의궤(儀軌)4)를
설하고자 합니다.
차례대로 진언법을
성취하고자 하는데
그5)와 같다면 마땅히 빠르게
성취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 본심으로 하여금
더러움을 떠나게 하고자
저는 지금 요점에 따라
간략하게 설하고자 합니다.
처음에 자타(自他)의
이익을 성취하는 것은
무상(無上)의 지(智)와
원(願)의 방편에 의한다.
그것을 이루는 방편은
비록 한량없이 많지만
실지(悉地)를 내어 일으키는 것은
오직 신해(信解)에 말미암는다.
실지의 온갖 뛰어난 원을
만족하게 하는 일체 여래와
승생자(勝生子)와 그들 불신(佛身)의
진언형(眞言形)과 머무는 바의
갖가지 인과 위의(威儀)6)와
훌륭한 진언을 수행하는 도(道)7)와
방광승(方廣乘)에 이르기까지
모두 분명하게 확신해야 한다.
유정들의 신해에는
상ㆍ중ㆍ하가 있는데
세존께서는 그것을 증득하고
수행하는 법을 설해 주셨느니라.
6취(趣)를 윤회하는
중생을 가엾이 여기시어
수순(隨順)하시고 요익하게 하시고자
설하신 것이니라.
마땅히 공경하는 마음으로
뜻을 분명히 하며
또한 부지런하고 성실하며
깊은 신심을 일으켜라.
만약 가장 뛰어난 방광승에서
묘한 진언의 조복행(調伏行)8)을 알고
선서자(善逝子)9)가 수습하는 바의
위가 없는 지명(持明)의 별률의(別律儀)10)에 따라
구연(具緣)11)의 온갖 지분을 잘 이해하면
전교인가(傳敎印可) 등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승을 보면
공경하고 예배하며
이타(利他)를 위하여
일심(一心)12)에 머물러야 하며
마치 세간의 도사(導師)처럼 우러러보고
또한 좋은 친구처럼 친하게 모셔야 한다.
은근하고 훌륭한 뜻을 일으켜서
공양하고 공급하며 모시고 하는 일을 따라하고
스승의 뜻에 잘 따라서 기쁘게 해 드려라.
자비로 섭수하여 상대해 주실 때에는
머리 조아려 뛰어난 선서(善逝)의 행을 청하라.
‘원하오니 존(尊)이시여,
저에게 가르침을 주소서’라고.
그 스승이 자재로이 대비장(大悲藏) 등의
묘한 원단(圓壇)을 건립하고
법에 의거하여 만다라에 소입(召入)하여
근기에 따라 삼매야를 수여하리니
도량(道場)13)과 교본(敎本)14)과
진언(眞言)과 인(印)을
존(尊)15)이 계신 곳에서
직접 구전(口傳)해 받아야 한다.
뛰어난 삼매야와 호(護)를 획득해서
이에 마땅히 설하신 바대로 행해야 한다.
그러나 이 계경(契經)에서 설하는 것은
바른 진언의 평등한 행을 섭수16)하는 것이다.
열등한 혜(慧)의 제자를 애민하기 때문에
점차(漸次)의 의식을 분별하는데
뛰어난 이익을 짓는 천(天) 가운데의 천
정각(正覺)의 심(心)으로부터 생하는 자(子)에서
아래로는 세천(世天)의
신어인(身語印)에 이르기까지
이 진언의 최상승(最上乘)17)에
들어가게 하시느니라.
모든 밀행(密行)으로 이끄는
궤범사(軌範師)를
모두 존중해야 하며
가벼이 여기며 헐뜯어서는 안 된다.
능히 모든 세간을
요익하게 하므로
이 까닭에 사리심(捨離心)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
언제나 끊임없이 그들의 광대한
모든 공덕에 대하여 생각하며
그들의 능력이 사업(事業)에 상응함에 따라서
모두 다 받들고 공양드려라.
부처님과 성문의 대중들과
연각께서 그 가르침에서
고(苦)를 없애는 도를 설하시면
학처(學處)를 전수하는 스승과
범행(梵行)의 모든 것에 대하여
부수거나 헐뜯으려는
교만한 마음을 내지 말아야 하며
알맞은 때와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잘 관찰하여
화합하여 공경하고 상응하며
공급하여 모셔야 합니다.
어리석은 마음으로 행하지 말고
모든 존을 싫어하거나 원망하지 말라.
마치 세간의 도사(導師)가
계경에서 설하신 것처럼
능히 큰 이익을 훼손하는
성냄의 잘못을 내지 말고
일념의 인연으로
구지광겁(俱胝曠劫) 동안
닦은 선(善)일지라도
모두 태워 없애야 한다.
이 까닭에 은근하게 언제나 의미 없는
이익의 근본을 버려야 한다.
정보리심(淨菩提心)의 여의보(如意寶)는
세간과 출세간의 뛰어나고
드문 원(願)을 채우며
의혹을 제거하고
구경에 삼매를 획득하게 하니
자리와 이타는 이로 인하여 생한다.
그러므로 마땅히 신명(身命)보다
더욱 수호해야 할 것이며
이를 관(觀)하면 광대한
공덕장(功德藏)을 갖추게 된다.
만약 몸과 입과 뜻으로
중생들을 괴롭히는 것이라면
아래로는 조금이라도
모두 멀리 여의어야 한다.
다른 방편으로 제도하는 바가 많으면
안으로는 비심(悲心)에 머물면서 성내는 것을 없애고
은덕을 저버리는 유정들에게는
언제나 인욕을 품고 허물을 보지 말라.
또한 언제나 대자(大慈)와 대비(大悲)와
희(喜)와 사(捨)의 무량심(無量心)18)을 구족하고
능력 닿는 대로 법식(法食)19)을 베풀어야 하며
자애롭고 이로운 행위로 뭇 중생들을 교화하라.
혹은 큰 이로움에 상응하는 마음으로
때를 기다려서 포기하기도 해야 한다.
만약에 널리 요익하게 할 세력이 없다면
오직 법에 머물러 보리심을 관하라.
부처님께서는 이 가운데
만행(萬行)을 갖추는 것과
청백(淸白)하고 순정(純淨)한 법20)을
만족하는 것을 설하셨느니라.
보시 등의 모든 바라밀문[度門]으로써
중생을 섭수하여 대승에서
수지(受持)와 독송(讀誦) 등과
사유와 바른 수습에 머물게 한다.
지혜로운 자는
6정근(情根)을 제어하여
언제나 고요한 마음으로
등인(等引)을 수습해야 한다.
사업을 훼손하는 것은 모든 술[酒]에 말미암으니
온갖 불선법(不善法)의 근본으로
마치 독이나 불이나 칼이나
서리와 우박 등과 같다.
그러므로 마땅히 멀리 여의며
가까이해서는 안 된다.
또한 부처님께서 아만(我慢)을
키우는 것에 대해 설하셨으니
높고 훌륭한 침상에 앉거나 눕지 말며
요점을 취하여 이것을 말하자면
지혜를 갖춘 자는, 자기에게 손해 주며
타인을 해치는 일을 모두 버려야 한다.
나는 올바른 삼매야의 도에 의거하여
지금 이미 차례대로 간략히 설하였노라.
부처님께서 설하신 수다라를 밝게 드러내어
널리 분명한 지해(知解)를 생하게 하였으니
이것에 의지하여 평등한 계에 바르게 머물러야 하며
또한 훼범(毁犯)의 인을 버려야 하느니
말하자면 습관된 악심과 게으름이며
망령된 생각과 공포와 잡담 등이니라.
묘한 진언문(眞言門)에서 그 마음 깨친 자가
이와 같이 바르게 삼매야에 머물러
마땅히 장애의 덮개를 점차 소진시키면
온갖 복덕이 늘어나고 더해지리라.
이 생에서 실지에 들어가고자 하면
이를 사념하는 바에 따라서
존(尊)에게 친히 받은 명법(明法)21)을
관찰하여 상응하면 성취할 것이다.
마땅히 스스로 진언행에 안주하여
설한 바 명법 차례의 의궤대로
우선 관정과 전교(傳敎)의 존께 예를 올리고
닦아야 할 진언에 대해 여쭈어야 한다.
지혜로운 자는
스승의 허가를 받고 나서
대지에서 마땅한 곳을 찾는데
묘산(妙山)22)과 보봉(輔峰)23)과
반암(半巖)의 사이24)와
갖가지의 감굴(龕窟)25)과
두 산의 중간에서는
언제든지 안은을 얻을 수 있다.
수초와 연과 청련(靑蓮)이 두루 피어 있는 연못과
큰 강과 흐르는 내와 섬의 기슭처럼
사람과 동물들이 소란스럽게
하는 것에서 멀리 떠나 있으며
가는 대와 잎이 성긴 열의수(悅意樹)와
기름진 유목(乳木) 및 상초(祥草)가 많으며
모기와 등에와 춥고 더운 괴로움이나
못된 짐승과 독충들의 방해가 없다.
혹은 모든 여래의 성스러운 제자들이
일찍이 옛날에 유행하시며 머무시던 곳으로
절과 탑(塔)과 연야(練若)26)와 고선실(古仙室)이니
자기가 마음으로 좋아하는 곳에 의지하여
재가(在家)27)를 사리(捨離)하고
업무를 끊어 잊으며
부지런히 5욕28)의
온갖 덮개와 얽힘을 벗겨내어
한가지로 깊이 법의 맛을 즐기며
그 마음을 장양(長養)하여 실지를 구하라.
또한 언제나 참고 견디는 지혜를 구족하여
능히 배고프고 목마른
온갖 괴로운 고통을 편안케 하며
청정한 생활로 훌륭한
동반자가 있거나 없거나
마땅히 묘법의 경권을 갖추어야 한다.
만일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의 행을 따라서
올바른 진언에 굳게 신해(信解)하고
청정한 혜력(慧力)을 갖추어
능히 감당할 수 있으며
정진하며 온갖 세간을 구하지 않고
언제나 견고함에 머물러 겁약하지 않으면
스스로에게나 다른 것에
법이 나타나 성취하리니
다른 천무외(天無畏)에
의지하여 따르지 말라.
이것을 갖추어야 어진
조반(助伴)이라 할 것이니라.
2. 증익수호청정행품(增益守護淸淨行品)
그는 성취할 곳을 만들고 나서
매일29) 맨 먼저 염혜(念慧)에 머무르며
법에 의거하여 잠자리에서
처음 일어날 때30)에
온갖 다함 없이 장애 일으키는 것을
제거하는데 그날 밤에 방일(放逸)하여
생긴 죄를 은근히 정화시키고
모두 참회하여 없애야 한다.31)
5근(根)을 가라앉히고 비(悲)로써
이익하게 하려는 마음을 가져
다함 없는 중생의 세계를
제도하리라 서원해야 한다.
법답게 조욕하거나
혹은 조욕하지 않더라도
마땅히 몸과 입과 뜻을
청정하게 해야 한다.
다음에 재실(齋室)이나
텅 비고 고요한 곳32)에서
묘화(妙花) 등을 뿌리고
이로써 장엄하며
형상과 훌륭한 경전을
두는 것에 따라서 마음으로
시방의 부처님을 사념하고
마음의 눈으로 관찰하여 분명하게 하라.
마땅히 본존이 계시는 곳에
지성껏 공경하며
일심으로 머물고
5륜(輪)33)을 땅에 대고 예를 올려라.
‘시방의 바르고 평등하게 깨달으신 분이며
3세의 모두에 3신(身)을 구족하신 분께 귀명34)하고
온갖 대승법에 귀명하며
퇴전하지 않는 보리(菩提)의 대중에게 귀명하며
모든 명(明)과 진실한 언어에 귀명하며
모든 밀인(密印)에 귀명합니다’라고.
몸과 입과 뜻의 청정한 업으로
은근하고 무량하게 공경하며 예를 올려라.
작례방편(作禮方便)35)의 진언을 송한다.
옴 나마살바다타 아다 가 야바 갈 다 바나밤 나난가로미36)
唵一南麽薩婆怛他引蘖多二迦引耶嚩引吃質二合多三播娜鍐無范反娜難迦嚕弭四
이 작례(作禮)의 진실언(眞實言)으로 말미암아
곧 능히 시방의 부처님께 두루 예 올릴 수 있느니라.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손바닥을 합치며
이미 지은 죄업을 참회한다고 사유하라.
‘제가 무명(無明)으로 인하여 쌓아 모은
몸과 입과 뜻의 업으로 지은 온갖 죄는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마음을 덮었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과 정법과
현성(賢聖)과 승가와
부모의 두 스승과 선지식(善知識) 및
한량없이 많은 중생들이 있는 곳에서
시작도 없는 생사의 유전 가운데에서
아주 무거운 다함 없는 죄를 지었습니다.
시방에 계신 현재의 부처님께
모두 다 참회하오며 다시는 짓지 않겠습니다’라고.
출죄방편(出罪方便)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바바살포 타 나하나바저라 야 사바하37)
唵一薩婆播波薩怖二合吒二娜訶曩伐折囉引二合也三莎 訶四
시방 삼세불의 세 가지 상신(常身)38)과
정법장(正法藏)과 뛰어난 원과
보리의 대심(大心)을 지닌 보살대중께 귀명합니다.
저는 지금 모든 분들께 바르게 귀의합니다.
귀의방편39)진언(歸依方便眞言)을 송한다.
옴 살바몯다모디살다밤 새라난 아차미 바저라 달마 히리40)
唵一薩婆勃馱菩提薩怛鍐引二合二設囉赧平蘖車弭三伐折囉二合達麽四頡唎二合五
저는 이 몸을 청정히 하고 3세(世)의
몸과 말과 뜻에서 온갖 더러움을 여의며
큰 바다처럼 많은 국토의 먼지의 수보다도 많게
모든 여래께 봉헌하겠습니다.
시신방편진언(施身方便眞言)을 송한다.
옴 살바다타 아다 포자바라 발 리다 나야다망 난 녤야
唵一薩婆怛他引蘖多二布闍鉢囉二合跋無竭反㗚多二合曩夜怛忙去二合難三▼(口+涅)▼(口+履)夜二合
다야미 살바다타 아다사자 디따타 다 살바다타 아다야난몌
哆夜弭四薩婆怛他引蘖多室柘二合地底瑟咤敕限反二合多引五薩婆怛他引蘖多若難謎
아 미설도41)
阿引味設睹六
정보리심(淨菩提心)의 승원보(勝願寶)를
제가 지금 일으켜서 뭇 중생들을 제도하겠나이다.
태어나는 괴로움 등에 얽매이고
무지하기 때문에 몸을 해치는 바 되니
이들을 구제하고 귀의하면
받아들여 해탈케 하며
언제나 마땅히 모든 함식(含識)들을
이롭게 하겠나이다.
발보리심방편진언(發菩提心方便眞言)을 송한다.
옴 모디짇다 모다바 나야미42)
唵一菩提質多二母多播引二合娜夜弭三
이 가운데 증가구(增加句)43)를 설한다. 보리심은 온갖 사물을 여의어 있다. 이른바 온(蘊)ㆍ계(界)ㆍ처(處)44)의 능집(能執)과 소집(所執)을 버리기에 법에 아(我)가 없으며45) 자심평등(自心平等)46)이며, 본래 생겨남이 없어 대공(大空)의 자성47)과 같다.
“불세존 및 모든 보살들께서 보리심을 일으켜
보리도량에 이르는 것처럼 저도 또한 이와 같이 보리심을 일으키겠습니다.”이 증가구는 진언과 같으므로 마땅히 범본(梵本)으로 송해야 한다.
시방의 무량한 세계 가운데
모든 큰 바다 같은
정변지(正遍知)의 대중들께서
갖가지의 선교한 방편의 힘으로
모든 불자들과 뭇 중생들을 위하여
닦으시는 온갖 복업 등에 대해
제가 지금 그 모두에
수희(隨喜)하나이다.
수희방편(隨喜方便)48)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다타 아다 본 야 야나 노모나라포자몌가삼모나라 살파
唵一薩婆怛他引蘖多二本去若尼也反若囊三弩暮捺那布闍迷伽參暮捺囉二合四薩叵二
라니삼마예 훔49)
合囉儜三麽曳五𤙖六
저는 지금 모든 여래와 보리의 대심(大心) 지닌
세상을 구하시는 분들께 권청(勸請)하나이다.
오직 바라오니 시방의 세계에 두루하도록
언제나 큰 구름으로 법의 비를 내려주소서.
권청방편진언(勸請方便眞言)을 송한다.
옴 살바다타 아다 뎨사녜포자몌가사모나라 살파 라니삼마예훔50)
唵一薩婆怛他引蘖多引二睇灑儜布闍迷伽娑慕捺囉二合三薩叵二合囉儜三麽曳四𤙖五
원하오니 범부들로 하여금 그 머무는 곳에서
속히 온갖 괴로움이 모인 몸을 버리고
마땅히 더러움 없는 곳에 이르러
청정한 법계신(法界身)에 안주하도록 해 주소서.
봉청법신방편진언(奉請法身方便眞言)을 송한다.
옴 살바다타 아다 나뎨사야미 살바살다바 혜다 리타 야 달마타도
唵一薩婆怛他引蘖多二捺睇灑夜弭三薩婆薩怛嚩二合係多引㗚他去二合耶四達麽馱到
살티 디리바 말도51)
薩▼(口+體)他以反二合▼(口+底)㗚婆上二合靺睹五
닦은 바의 온갖 선업은
모든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함입니다.
제가 지금 모두 다 바르게 회향하니
생사의 괴로움을 없애고 보리에 이르소서.
회향방편진언(迴向方便眞言)을 송한다.
옴 살바다타 아다 녤야 다나포자몌가삼모나라 살파 라니삼마
唵一薩婆怛他引蘖多二▼(口+涅)哩也二合怛囊布闍迷伽參慕捺囉二合三薩叵二合囉儜三麽
예 훔52)
曳四𤙖五
또한 다른 온갖 복된 일인
독송(讀誦)과 경행(經行)과 연좌(宴坐) 등을 행하는 것은
몸과 마음을 두루 청정하게 하며53)
나와 남을 애민하여 구제하는 것이다.54)
마음의 성품이 이와 같이
모든 더러움을 여의면
몸이 상응함에 따라
안좌(安坐)55)하게 되느니라.
그 다음에 마땅히 삼매야인을 결해야 한다.
이른바 3업도를 깨끗이 없애는 것이다.
마땅히 모든 정변지(正遍知)께서 설하신
밀인(密印)의 상을 알아야 한다.
정혜수(定慧手)를 합장하고
두 공륜을 나란히 세우며
두루 모든 지분(支分)에 대면서
진실어를 송하여 지녀야 한다.
입불삼매야명(入佛三昧耶明)56)을 송한다.
나마살바다타 아뎨표 밋바 모케볘 옴아삼몌 달리 삼몌 삼마예
南麽薩婆怛他引蘖帝▼(口+驃)一微濕嚩二合目契𡃇二唵阿三迷三呾▼(口+履)二合三迷四三麽曳平五
사바하57)
莎 訶六
이 밀인을 결하자마자
능히 여래지(如來地)를 청정하게 하고
지바라밀(地波羅蜜)을 만족하게 하며
삼법도계(三法道界)를 성취할 수 있다.
나머지 인(印)들의 차례는
경에서 설한 대로이다.
진언자는 마땅히 알라.
행하면 성취할 수 있으리라.
다음에 법계에서 생하는
밀혜(密慧)의 표치를 결하라.
몸과 말과 뜻을 정화하기 위해
두루 그 몸을 움직여야 한다.
반야58)와 삼매수(三昧手)는
모두 금강권(金剛拳)을 하고
두 공륜(空輪)을 손바닥에 두고
풍륜을 깃발처럼 모두 수직으로 세워라.
이와 같은 것을 법계의
청정하고 비밀한 인이라 한다.
법계생(法界生)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달마다도 살바 바바구흔59)
南麽三曼多勃馱喃一達摩馱睹二薩嚩二合婆嚩句痕三
법계의 자성과 같이 자신을 관하라.
또한 진실어로써 세 번 반복하여 송하라.
마땅히 법체에 머물러
허공처럼 더러움 없다고 관하라.
진언과 인의 위력으로
수행자를 가지하기에
그것을 견고히 하기 위해 자신을
금강신(金剛身)으로 관해야 한다.
thdgk
금강의 지인(智印)을 결하는데
지관수(止觀手)의 손등을 붙이며
지륜ㆍ수륜ㆍ화륜ㆍ풍륜을 좌우 서로 맞대고
두 공륜은 각각 돌려서 혜(慧)의 손바닥에서 합하라.
이것을 법륜최승길상인(法輪最勝吉祥印)이라 한다.
이 사람은 마땅히 오래지 않아
세상을 구하시는 분과
같아질 것이다.
성취자는 진언과
인의 위력을 보게 될 것이며
언제나 보륜(寶輪)60)을 굴리는 것처럼
대법륜(大法輪)을 굴리게 되리라.
금강살타(金剛薩埵)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바저라 난 바저라 저마 구흔61)
南麽三曼多伐折囉二合赧一伐折囉引二合咀麽二合句痕二
이 진언을 송하고 나서
마땅히 등인(等引)62)에 머물러
나의 몸이 바로 집금강이라고
분명하게 관한다.
무량한 천마(天魔) 등
모든 보이는 것들에 대해
금강살타와 같이
의혹하는 마음을 내지 말라.
다음에 진언과 인으로써
금강갑(金剛甲)을 걸치고
입은 옷이 몸에 두루하며
광채를 일으킨다고 관해야 한다.
이것을 사용하여 몸을 장엄하기 때문에
모든 마군과 장애하는 자들과
다른 악한 마음 가진 종류들이
이를 보자마자 모두 네 갈래로 흩어져 버리게 된다.
이 가운데 밀인(密印)의 상은
먼저 삼보타(三補吒)63)를 결하고
지관(止觀)의 두 풍륜을
화륜 위에 올려놓으며,
두 공륜은 서로 나란하게
하여 손바닥 안에 둔다.
그 진언을 송하고 나서
마땅히 무구자(無垢字)를 관하라.
금강갑주진언(金剛甲冑眞言)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바저라 난 옴 바저라 가바차 훔64)
南麽三曼多伐折囉二合赧一唵二伐折囉二合迦嚩遮三𤙖四
라자(囉字)는 선명한 흰색이다.
공점(空點)으로 이를 장엄한다.
저 상투[髻]에 다는 밝은 구슬처럼
정수리 위에 이를 두어라.
설령 백 겁 중에 쌓은
온갖 죄의 더러움일지라도
이로 말미암아 모두 없어져서
복과 혜가 모두 원만하게 되리라.
그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람65)
南麽三曼多勃馱喃▼(口+覽)
진언은 법계와 같아
무량한 모든 죄를 없애며
오래지 않아 불퇴지(不退地)에
머물게 하니
더러움에 물든 모든 장소들을
이 자문(字門)으로 가지해야 한다.
붉은색이 위광과
불꽃을 갖추고 두루 둘러싸리라.
다음에 마군을 항복시키고
모든 큰 장애를 제압하기 위해서
마땅히 대호자(大護者)인
무능감인(無能堪忍)의 명주를 염송해야 한다.
무감인대호명(無堪忍大護明)을 송한다.
나마살바다타 아뎨볘살바패야미아뎨볘 밋바 모케볘살바타 함흠
南麽薩婆怛他引蘖帝𡃇薩婆佩也微蘖帝𡃇二微濕嚩二合目契弊薩婆他引三唅欠四
락사 마하 말려 살바다타 아다분냐 녜사뎨 훔훔 다라 타
囉吃灑二合摩訶引沬麗五薩婆怛他引蘖多奔抳也二合▼(口+涅)社帝六𤙖𤙖七呾囉引二合吒輕
다라 타 아바라 디아뎨 사바하66)
呾囉二合吒同上八阿鉢囉二合▼(口+底)訶諦九莎 訶十
억념하자마자 모든
비나야가(毘那也迦)와
추악한 모습의 나찰 등
그들 모두가 도망쳐 흩어지리라.
3. 공양의식품(供養儀式品)67)
이와 같은 정업(正業)으로
그 몸을 정화하고
선정에 머물러서
본 진언주(眞言主)를 관하라.
진언과 인으로써 소청(召請)하는데
먼저 삼매야(三昧耶)를 시현하고
진언과 상응하여
장애를 제거하였으면
아울러 부동혜도인(不動慧刀印)으로써
머리 숙여 알가수(閼伽水)를 봉헌하고
수행자는 다시
진언좌(眞言座)를 바쳐라.
다음에 마땅히 꽃과 향 등을 공양하여
더러움을 없애고
또한 무동존(無動尊)으로써
모두 이와 같이 정화하여 제거해야 하며
본 진언주로 가지(加持)하라.
또한 모든 부처님의 뛰어난 불자들의
무량 무수한 대중들이
둘러싸고 있다고 관하라.
앞의 게송을 마쳤으면 다음에 차례대로 분별하여 설하리라.
바로 앞의 라자(囉字)를 관하라.
점을 찍고 널리 장엄하게 장식하는데
이른바 맑은 빛과 광채가 찬란한 것이
이른 아침 태양의 광채와 같다.
성(聲)의 진실한 뜻을 염하면
능히 온갖 장애를 없애고
3독(毒)의 물듦에서 해탈하리니
모든 법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먼저 스스로 심지(心地)를 맑게 하고
다시 도량의 땅을 정화하며
온갖 더러운 것들을 제거하여
그 모습이 마치 허공과 같게 하라.
금강을 가진 것처럼 이 땅도 역시 이와 같다.
최초에 하위(下位)로부터 그 풍륜을 사유하라.
하자(訶字)가 안주하는 곳에
검은 빛의 광채가 널리 퍼지리라.
그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함68)
南麽三曼多勃馱喃唅
그 위에 수륜(水輪)을 안치하는데
그 색은 마치 눈이나 젖과 같다.
바자(嚩字)가 안주하는 것은
파지(頗胝)69)나 달[月]이나 번개 빛과 같다.
그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밤70)
南麽三曼多勃馱喃鍐
다시 수륜의 위에
금강륜(金剛輪:지륜)을 관상하라.
본초자(本初字)를 안치하여 관상하면
사방에 황색이 두루 가득하다.
그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아
南麽三曼多勃馱喃阿71)
이 윤은 금강과 같고
대인다라(大因陀羅)72)라고 한다.
정금색(淨金色)의 광채는
널리 두루 유출된다.73)
그 가운데 모든 불자들의
도사(導師)74)를 사유하라.
물 가운데 백련을 관상하라.
묘한 색으로 금강의 줄기가 있고
여덟 꽃잎에 꽃술을 갖추었으며
온갖 보배로 스스로를 장엄하였고
언제나 무량의 빛을 내며
백천의 수많은 연꽃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 위에 다시 대각(大覺)의
사자좌(師子座)를 관상하라.
보왕(寶王)으로 장식하였으며
큰 궁전75) 가운데에 있다.
보배 기둥이 모두 줄지어 있고
온갖 깃발과 덮개가 두루하며
구슬과 장식 등이 서로 어울려
묘한 보배 옷에 매달려 있다.
두루 퍼져 있는 향과 꽃76)의 구름과
온갖 보배의 구름에서
두루 다양한 꽃비[雜花]77)를 내려서
어지러이 땅을 장엄하며
조화롭고 사랑스러운 소리가
온갖 음악을 연주한다.
궁전 가운데에 깨끗하고 묘한
현병(賢甁)78)과 알가(閼伽)를 관상하라.
보배 나무 왕이 꽃을 피우고
마니등(摩尼燈)으로써 비추며
삼매와 총지(總持)의 땅에서
자재(自在)의 채녀(婇女)가
부처님의 바라밀 등과
보리의 묘한 꽃으로 장엄하고
방편의 온갖 재주를 나타내며
묘한 법음으로 노래를 부른다.
“나의 공덕력(功德力)과
여래의 가지력(加持力)과
법계의 힘으로 두루
공양하며 머무나이다.”
허공장전명비(虛空藏轉明妃)79)를 송한다.
나마살바다타 아뎨표 밋바 모케볘 살바다 캄 온아뎨살파 라혜문
南麽薩婆怛他引蘖帝▼(口+驃)一微濕嚩二合目契𡃇二薩婆他三欠四嗢蘖帝薩叵二合囉係門
가가나검 사바하80)
五伽伽娜劍六莎 訶七法應多誦
이 진언으로 말미암아
일체(一切)81)를 지니는 것은
진실82)과 아무런 다름이 없느니라.
금강합장하라. 이것은 바로 가지인(加持印)이다.
온갖 법은 본래 생겨남이 없으며
자성은 본래 적정한 것이므로
이 진실을 상념하며
아자를 그 가운데에 안치하라.
다음에 마땅히 아자를 전성시켜
대일모니(大日牟尼)를 이루어야 한다.
다함 없는 국토의 티끌처럼 많은 대중들이
둥근 광명 속에 두루 나타나고
천계(千界)83)에서 수를 증가시켜
광채의 바퀴를 유출하며
널리 중생계에 이르러
성품에 따라 깨달음을 열게 한다.
몸과 말이 모든 곳에 두루하며
부처님의 마음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염부정금색(閻浮淨金色)84)은 세간과
상응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연꽃 위에 가부좌로 앉아
정수(正受)85)하여 모든 독을 여의고
몸에 생풀로 만든 옷을 입고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발계관(髮髻冠)을 쓴다.
또한 석가모니는
그 가운데에서
바자(婆字)를 관상하라.
다시 이와 같은 자(字)를 전성시켜
능인존(能仁尊)을 이루는데
가사(袈裟)를 입은 근용(勤勇)으로서
32대인상(大人相)86)을 갖추고 있다.
석가종자심(釋迦種子心)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바87)
南麽三曼多勃馱喃婆
자문(字門)이 불(佛)로 전성되며
또한 모든 중생을 이롭게 하는 것이
마치 대일존과 같으니라.
유가자(瑜伽者)는 관찰하라.
하나의 몸과 둘의 몸
내지는 무량한 몸이
동일하게 본체에 들어가고
유출됨도 역시 이와 같으니라.
부처님의 오른쪽 연화 위에는
마땅히 그 자리에 맞는 존을 관할 것이며
왼쪽에는 집금강과
근용(勤勇)의 모든 권속을 두어라.
앞과 뒤의 화대(花臺) 가운데에는
광대한 보살의 대중이 있는데
일생보처(一生補處) 등
중생을 요익하게 하는 자이다.
오른쪽 화좌(花座)의 아래는
진언자가 머무는 곳이다.
만약 묘길상(妙吉祥)을 수지하려면
가운데에 무아자(無我字)88)를 안치하라.
이 자를 전성시켜 몸을 이루는 것은
앞에서 관하는 것과 같게 하라.
문수종자심(文殊種子心)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만89)
南麽三曼多勃馱喃瞞
또한 관세자재(觀世自在)와 금강살타와
자씨(慈氏) 및 보현(普賢)과
지장(地藏)과 제개장(除蓋障)과
불안(佛眼)과 백처(白處)와
다리(多利)와 비구지(毘俱知)와
망망(忙莽)과 상갈라(商羯羅)와
금륜(金輪)과 마두(馬頭)와
지명(持明)의 남녀 심부름꾼들과
분노(忿怒)의 모든
봉교자(奉敎者)90)들을
그 좋아하는 바에 따라서
앞의 법에 의거하여 전성시켜라.
마음을 기쁘게 하기 위하여
외(外)의 향과 꽃과 등명(燈明)과
알가수(閼伽水)를 봉헌하는 것이
모두 본 가르침에서 설한 것과 같으니라.
부동(不動)91)으로 더러움을 없애고
제거하여 광현(光顯)92)하도록 하라.
본법에서 스스로를 가지하고
자기의 몸을 호지(護持)하며
모든 방계(方界) 등을
결하는 데에는
항삼세(降三世)로써 행하라.
소청(召請)하는 데에는
본 가르침대로
인과 진언을 사용하는데
이 보통인(普通印)은
진언왕(眞言王)과 상응한다.
성자이신 부동존(不動尊)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바저라 난 젼나마하로사녜 살파 타야 훔다라 타 한
南麽三曼多伐折羅二合赧一戰拏摩訶𡀔灑儜上二薩破二合吒也三𤙖怛囉二合吒四悍引
만93)
漫引當誦三遍
마땅히 정혜수를 가지고
모두 금강권으로 결하고
화륜과 풍륜을 수직으로 세우고
허공륜으로 지륜과 수륜을 지지하라.
삼매수로 칼집을 만들고
반야수로 도(刀)를 만들어
혜도(慧刀)를 넣고 빼서
모두 삼매의 칼집에 두어라.
이것은 바로 무동존(無動尊)의
밀인(密印)의 위의(威儀)이다.
정수(定手)를 심장에 대고
혜수(慧手)를 두루 돌린다.
마땅히 알라. 접촉하는 물건은
바로 ‘더러움을 제거함[去垢]’이라고 이름한다.
이것을 가지고 왼쪽으로 돌리면
이로 인하여 깨끗이 제거되리라.
만약에 방우계(方隅界)를 결하면
모두 오른쪽으로 따라 돌려라.
나머지 모든 사업에서
악을 멸하고 온갖 장애를
정화하는 것도
또한 마땅히 이와 같이
행해야 하며 종류에 따라서
상응해야 하느니라.
다음에 진언과 인으로
성스러운 대중들을 초청해야 한다.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께서는
본서(本誓)에 의해서 오신다고 설하시느니라.
소청방편(召請方便)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아 살바달 발 디하뎨 다타 아당구사 모
南麽三曼多勃馱喃一阿去急呼薩婆怛囉引二合缽囉二合底訶諦二怛他引蘖黨矩奢三菩
디서랴 바리포라가 사바하94)
提淅▼(口+履)耶二合鉢▼(口+履)布囉迦四莎 訶應誦七遍
귀명합장(歸命合掌)하여 견고하게
금강박(金剛縛)95)을 결하고
마땅히 지혜수(智慧手)에서
그 풍륜을 곧게 펼치며
그 마디를 구부려 숙이면,
이것을 구인(鉤印)이라 이름하느니라.
모든 부처님과 구세자께서
이것으로 모두를 불러모으시는데
그들은 10지(地) 등에 안주하는
대력의 모든 보살들에서부터
나머지 조복시키기 어려운
선하지 않은 마음의 중생들까지이니라.
다음에 삼매야를 받들고
이 진언과 인을 갖추는데
인의 모습은 앞에서 설한
모든 삼매야의 가르침과 같으니라.
삼매야(三昧耶)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아사몌 다리 사몌 사마예 사바하96)
南麽三曼多勃馱喃一阿三迷二怛▼(口+履)二合三迷三三麽曳四莎 訶五應誦三遍
이와 같은 방편으로
바르게 삼매야를 나타내면
곧 능히 모든 중생의 종류를
두루 이익되게 할 수 있느니라.
마땅히 실지를 성취할 수 있고
속히 위가 없는 원을 이룰 수 있느니라.
본 진언의 주(主)로 하여금
모든 명(明)을 환희하게 하고자
봉헌하는 알가수는
우선 잘 준비하여 갖추고 나서
본 진언과 인을 사용하여
여법하게 가지하라.
모든 선서(善逝)께 바치어서
더러움 없는 몸으로 씻는 데 사용하느니라.
다음에 마땅히 온갖
부처님 입에서 생한 종자를 정화해야 한다.
알가(閼伽)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가가나삼마 삼마 사바하97)
南麽三曼多勃馱喃一伽伽娜三摩引三摩二莎 訶當誦二十五遍以不動尊印示之
다음에 자리를 펴서 바치고
밀인과 진언을 갖추어서
연화대(蓮花臺)를 결하여 만들고
두루 모든 장소에 두어라.
각자(覺者)가 안좌(安坐)하여
최승의 보리를 증득하는
이와 같은 장소를 얻기 위하여
가지하고 헌상해야 하느니라.
여래좌(如來座)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아98)
南麽三曼多勃馱喃阿引聲急呼
그 가운데 밀인의 상(相)은
정수와 혜수를 서로 합하여
두루 이것을 펼쳐서 뻗치니
마치 영탁(鈴鐸)의 모습과 같다.
두 공륜과 지륜을
모아서 합하여 대(臺)로 만들고
수륜은 끝을 서로 떨어지게 하라.
이것은 바로 연화인(蓮花印)이니라.
또다시 자기에게 생겨난
장애를 없애기 위해서는
대혜도인(大慧刀印)과 성부동(聖不動)의
진언으로 행해야 하느니라.
마땅히 그것은
최승의 금강염(金剛焰)과
같아서 온갖 장애를 태워 없애어
남김없이 다하게 한다고 관하라.
지혜로운 자는 마땅히
금강살타의 몸을 이루어야 하는데
진언과 인에 상응하며
모든 지분에 두루 펼쳐야 하느니라.
금강종자심(金剛種子心)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밤99)
南麽三曼多勃馱喃鍐
이 진실한 뜻을 염하라.
모든 법은 언설을 여의었으며
인(印) 등을 갖추었기에
바로 집금강과 동등하니라.
마땅히 알라. 저 인상(印相)은
먼저 삼보타(三補吒)100)를 하고
화륜을 중앙 봉우리로 삼고
끝을 예리하게 해서 서로 합친다.
풍륜은 갈고리처럼 하고서
서서히 구부려 그 옆에 둔다.
수륜은 서로 교차시키고
손바닥 안에 두어라.
금강살타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바저라 난 젼나마하 로사난 훔101)
南麽三曼多伐折囉二合赧一戰拏摩訶引𡀔灑赧平二𤙖
혹은 삼매수를 사용하여
반금강인(半金剛印)102)을 결하고
또한 나머지는 경전에서 설하는
궤의(軌儀)로써 하라.
다음에 마땅히 온몸에
금강의 갑옷[金剛鎧]을 입어라.
몸과 말의 밀인(密印)은
앞에서 이미 법에 의거하여 설하였느니라.
카자(佉字)와 점(點)을 가지고
정수리 위에 두고
이 진언을 사유하라.
온갖 법은 허공과 같으니라.
그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캄103)
南麽三曼多勃馱喃欠
먼저 이 자문(字門)에 주한 다음에 금강살타신을 이루어야 한다.
다음에 마땅히 일심으로
최복제마인(摧伏諸魔印)을 결하며
지혜로운 자는 마땅히 널리 전성(轉成)하여
진어(眞語)와 함께 상응하게 해야 한다.
능히 아주 사나우며 날카로운
온갖 악한 마음 가진 자를 제거할 수 있느니라.
마땅히 이 대지에 두루하게
금강의 치성한 불빛을 관하라.
항복마(降伏魔)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마하 마라바디 날사바로온바 볘 마하 매달랴
南麽三曼多勃馱喃一摩訶引沫囉嚩▼(口+底)二捺奢嚩路嗢婆二合吠平三摩訶引昧怛▼(口+履)也三
뷰 온아 디 사바하104)
合毘庾二合嗢蘖二合▼(口+底)四莎 訶五
마땅히 지혜수로 금강권을 결하고
풍륜을 똑바르게 펴고
백호(白毫)105) 가장자리에 대어
비구지(毘俱知)의 모습처럼 한다.
이것은 바로 그 표치이다.
이 인을 이름하여
대인(大印)이라 하니
이를 염하면 온갖 마군을 없애느니라.
이 법으로 결하자마자
한량없는 천마(天魔)의 군대와
나머지 장애하는 것들이
반드시 모두 퇴산하리라.
다음에 난감인(難堪忍)의
밀인과 진언을 사용하여
주변의 경계를 결하는 데에 사용하면
위맹하여 능히 바라볼 수 없으리라.
무능감인(無能堪忍)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사망다노아뎨 만다야시맘 마하삼마야녈 자뎨 사
南麽三曼多勃馱喃一三莽多弩蘖帝二滿馱也徒瞞引三摩訶三摩耶▼(口+涅)去闍去帝四娑
마 라니 아바라 디하뎨 다가다가 나라나라 만다만다 나사니션 살
麽二合囉嬭五阿鉢囉二合▼(口+底)訶諦六馱迦馱迦七捺囉捺囉八滿馱滿馱九捺奢爾羶十薩
바다타 아다 노양뎨 바라 바라달마라다미야예 바가바디 미구리
婆怛他引蘖多引弩壤帝十一鉢囉二合嚩囉達摩臘馱微若曳平十二薄伽嚩▼(口+底)十三微矩▼(口+履)
미구리 기로보리미구리 사바하106)
微矩麗十四麗魯補▼(口+履)微矩麗十五莎 訶當誦三遍十六
또한 두 번째의 약설(略說)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리노보리미구리 사바하107)
南麽三曼多勃馱喃一麗魯補▼(口+履)微矩麗二莎 訶當誦七遍
먼저 삼보타(三補吒)에서
풍륜을 손바닥에 두고
두 공륜과 지륜은
안으로 갈고리처럼 구부린다.
화륜은 합하여 봉우리처럼 만들고
그 수륜을 벌려서
시방을 가리키며 빙 돌린다.
이것을 결대계(結大界)라 하는데
시방의 국토를 호지하는 데 사용하며
능히 모두를 견고히 머물게 한다.
이 까닭에 3세의 일들은
모두 널리 보호할 수 있다.
또는 부동존으로써
온갖 사업을 성취하고자 하면
몸을 보호하고 장소를 깨끗이 하며
모든 방향의 경계 등을 결하라.
부동존종자심(不動尊種子心)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바저라 난한108)
南麽三曼多伐折囉二合赧悍
다음에 먼저 공경하고 예를 올리며
다시 알가를 헌상한다.
경에서 설하는 것처럼 향 등은
법에 따라서 공양해야 한다.
다시 성부동존(聖不動尊)으로써
이 온갖 공양물들을 가지하는데
그 혜도인(慧刀印)을 결하여
모두 다 고루 미치게 뿌린다.
이 온갖 향과
꽃 등의 공양구를
밀인을 가지고 자주 뿌리며
다시 자주 진언을 송하는데
각기 본진언과 스스로 소지하는
명[自所持明]109)을 송하라.
마땅히 이와 같이 행하고 나서
명칭을 부르고 봉헌해야 한다.
온갖 곳에 먼저 두루하게 청정한
법계심을 두는데
이른바 람자문(★字門)이다.
그것은 앞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
명칭을 부르는 가운데 바르는 향[塗香]110)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미슈 다건두 나바 바 사바하111)
南麽三曼多勃馱喃一微輸上馱健杜引納婆二合嚩二莎 訶當誦三遍
다음에 화(花)112)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마하 매달랴 뷰 온아뎨 사바하113)
南麽三曼多勃馱喃一摩訶引昧呾▼(口+履)也三合二毘廋二合嗢蘖帝三莎 訶當誦三遍
다음에 분향(焚香)114)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달마다타노아뎨 사바하115)
南麽三曼多勃馱喃一達摩馱埵弩蘖帝二莎 訶當誦三遍
다음에 연등(然燈)116)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다타 아다 라지 살파 라나바바 사나 가가유달
南麽三曼多勃馱喃一怛他引蘖多引喇旨二合二薩叵二合囉儜嚩婆去娑娜三伽伽猱陀
야 사바하117)
哩耶二合四莎 訶當誦三遍
다음에 제식(諸食)118)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아라라가라라
마린나니 마하 마리 사바하119)
南麽三曼多勃馱喃一阿囉囉迦囉囉二沫鄰捺泥三摩訶引沫履四莎 訶當誦三遍
그리고 나머지 공양구는
마땅히 봉헌할 수 있는 자가
이 법칙에 따라서
무동존(無動尊)으로 정화해야 한다.
마땅히 정ㆍ혜의 손바닥을 합하고
오륜을 서로 교차시키는데
이것은 바로 온갖 공양물을 지니는 것으로
보통공양인(普通供養印)이라 한다.
혜(慧)를 갖춘 진언자는
온갖 성스러운 존을 공경 공양하며
다시 마음으로 의식을 행하는데
청정하고 아주 장엄하게 하라.
바친 것이 모두 충만하며
평등한 것이 법계와 같아
이곳이나 다른 국토에까지
두루 모든 세계에 들어가느니라.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의
복덕에 의지하여 생겨나는
당번(幢幡)과 모든 영락과 덮개와
광대하고 훌륭한 누각과
그리고 천보수왕(天寶樹王)과
두루한 온갖 자구(資具)와
온갖 향과 꽃의 구름 등이
가이없는 것이 허공과 같아
각기 온갖 공양물들을 비처럼 내리듯
공양하고 불사를 이룬다고
사유하며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에게 봉헌한다.
허공장명(虛空藏明)과
보통공양인(普通供養印)으로
세 번 가지하면
소원은 모두 성취되리라.
지허공장명(持虛空藏明)의 증가구(增加句)를 설한다.
나의 공덕력(功德力)과
법계력(法界力)에 의지하니
언제든지 얻는 것이 용이하며
광대하고 많고 또한 청정하니라.
대공양의 장엄한 구름은
일체 여래와 모든 보살대중들의
바다와 같은 모임에
의지하여 유출하느니라.
온갖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께서 가지하시므로
법답게 불사를 닦으면
온갖 공덕이 쌓이고
회향하여 실지(悉地)를 이루면
모든 중생들을 이롭게 하느니라.
이와 같은 마음으로 설하며
진언의 행이 청정하기를 바라고
온갖 장애가 소멸되고
공덕이 스스로 원만하기를 바란다.
때에 따라서 바른 행을 닦는데
여기에는 정해진 기간이 없느니라.
만약에 모든 진언을 수행하는 사람이
이 생애에서 실지를 구하려면
먼저 법에 의거하여 지송하고
다만 마음으로 공양을 행하라.
공양할 일을 이미 다 마쳤으면
다음에는 한 달을 경과하여
외의궤(外儀軌)120)를 갖추고서
진언을 수지하라.
또한 지금강의
뛰어난 풍영(諷詠)으로써
부처님과 보살들께 공양하면
마땅히 속히 성취할 수 있으리라.
집금강(執金剛)이 아리사(阿利沙)121)의 게송을 읊는다.
동등한 것이 없고 물러서지 않으며
평등하여 견고한 법은
생사에 유전하는 자를
가엾이 여기어
온갖 괴로움과 근심을 물리치고
널리 실지의 온갖 공덕을 수여한다.
더러움을 멀리 떠나 흘러 변하지 않고
비할 바 없는 뛰어난 원(願)의 법이다.
허공과 동등하다 하여도
그것은 비유가 될 수 없다네.
극히 적은 티끌의 천만분의 일에도
오히려 미치지 못하느니라.
언제나 중생들의 세계에서
과(果)를 성취하려 원(願)하는데
실지가 다함이 없으므로
비유를 떠나 있는 것이니라.
언제나 더러움의 덮개 여읜 비(悲)는
정진함에 따라 생기고
원에 따라 실지를 성취하며
법이(法爾)로써 능히 가릴 수 없느니라.
중생들의 의리(義利)를 이루는 데
두루 널리 골고루 미치고
밝게 비춤도 언제나 끊임이 없어
중생들을 애민하시는 광대한 몸이시며
장애를 떠나 걸림없이
비(悲)를 행하시는 수행자이시라.
두루 3세 가운데에 노니시어
소원을 성취하도록 베푸시는데
한량없는 양을 베푸시어
궁극의 경지에 이르게 하시네.
기이하도다, 이 묘법이여.
선서(善逝)께서 도달하신 바이니
오직 본서(本誓)를 거스르지 않는다면
나에게 무상(無上)의 과를 주시리라.
만약 이러한 원(願)으로 베푸는 자는
언제나 뛰어난 곳에 이르러
널리 세간에 미쳐서
능히 뛰어난 희원(希願)을 채울 수 있으며
모든 중생들의 세계에서 물들지 않고
삼계에 의지하지 않으리라.
위의 이 게송은 진언처럼 범본(梵本)으로 독송해야 한다.
이와 같이 게송으로
송지(誦持)하여 찬탄하고 나서
지성껏 세간의
도사(導師)께 귀명한다.
‘오직 바라오니
모든 성현이시여,
저에게 유정을 자비로 구제하는
실지(悉地)를 수여해 주소서.’
또다시 다른 이들에게
이익을 주기 위하여
부처님께서 변화로 만드신 구름[化雲]122)이
모든 곳에 두루하다고 관하라.
내가 닦은 복과 부처님의 가지력과
보현보살 자체의 법계력(法界力)으로
연화대에 앉아 시방을 왕래하고
중생들의 하고자 함에 수순하여 인도하며
모든 여래의 본서의 원에 의하여
모든 안팎의 장애를 깨끗이 제거하라.
출세간의 온갖 자구(資具)를 나타내 보이는데
그 신해에 따라 이를 충만케 하라.
나의 공덕력으로 장엄하고
청정한 법계 가운데에서 출생하여
여래의 신력으로 가지하기 때문에
중생들의 온갖 이익을 성취할 수 있으리라.
모든 부처님의 창고에 간직된
다함 없는 보배를 내시는 것은 생각하기 어려워라.
허공장(虛空藏)의 명주를 세 번 송하는데
밀인의 모습은 앞에서 설한 것과 같다.
이 진언승을 배우는 모든 이들이여,
마땅히 진실한 신심을 일으켜라.
모든 도사께서 설하신 것에 대해
비방하거나 의심하고 후회해서는 안 되느니라.
4. 지송법칙품(持誦法則品)123)
이와 같이 법식을 갖추어 공양드리고 나서
다함 없는 중생들을 이롭게 하려는 마음을 일으키고
모든 부처님과 성천(聖天)들께 계수(稽首)하며
상응하는 좌(座)에 앉아서 삼매에 들어가라.124)
네 가지 정려(靜慮)의 의궤를 가지고
내심에서 기쁨을 일으키도록 하며,125)
진실한 뜻126)으로 가지하기에
진언으로 등인(等引)을 성취할 수 있느니라.
만약 진언을 염송하려고 할 때라면
지금 마땅히 차례대로 그 방편을 설해야 한다.
지혜로운 자는 먼저 나타내 보인 것처럼127)
현전에서 본소존(本所尊)을 관하라.
그 심월(心月)의 둥글고 밝은 가운데에
진언자를 모두 다 비추어 보고
곧 마땅히 차례대로 수지하며
마음을 깨끗하고 더러움 없게 하라.128)
수(數)129)와 시분(時分)130)과 상(相)이 나타남 등은
경의 가르침에 따라 이미 만족하였으니,
유상(有相)131)의 의리(義利)를 추구하는데
진언의 실지는 뜻대로 이루어지리라.
이것을 세간에서 상(相)을 갖춘 행[世間具相行]이라 하느니라.
4지(支)132)의 선문(禪門)은 다시 차이가 있는데133)
수행자는 마땅히 분명한 뜻을 내어서
먼저 하나의 연으로 본존을 관해야 하느니라.
그 진언과 비밀인을 지니고서
스스로 본존의 상과 유가(瑜伽)하여
그 색상과 위의 등과 같이
나의 몸이 둘이 아닌 것처럼 행하니 동등하다.
본지(本地)와 상응하는 몸으로 머물기에
비록 복이 적은 자134)라도 또한 성취하리라.
그것은 「유가승의품(瑜伽勝義品)」135) 가운데에 설해져 있다.
다음에 마땅히 명(明)의 자문(字門)을 전변(轉變)시켜라.
그리고 관함으로써 본존의 모습을 만들고
신밀의 비밀스러운 표치를 잘 보아야 한다.
경전에서 간략히 설하는 데에 두 가지가 있으니
정변지(正遍知)의 관을 가장 우선으로 하고
다음은 보살과 성천의 관인데
묘길상존(妙吉祥尊)을 상수(上首)로 한다.
또한 그 승위(乘位)136)에 의해서 전성시키는데
상응하는 인과 진언으로 한다.
문수의 종자(種子)는 이른바 만자문(瞞字門)이다. 이미 앞의 품에서 설하였다.
본존의 삼매와 상응하고자 하면
심(心)137)으로써 심(心)138)에 두어 종자로 삼고
그는 마땅히 이와 같이 스스로 관찰해야
청정한 보리심139)에 안주하게 되리라.
온갖 알려진 바의 형상은
그에 수순하여 행하여야 하며 달리하지 말라.
마땅히 알라. 성자묘음존(聖者妙音尊)은
몸의 모습이 마치 울금(鬱金)140)의 색과 같고
정수리에 동진(童眞)의 오계상(五髻相)141)을 나타낸다.
왼손으로는 바저라(伐折羅)를 둔 푸른 연꽃을 잡으며142)
지혜수로는 시무외인을 하거나
또는 금강여원인(金剛與願印)을 결하라.
문수사리(文殊師利)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혜혜구마라가 미목가디 바타시톄 다 사마 라살
南麽三曼多勃馱喃一係係俱摩囉迦二微目吃▼(口+底)二合鉢他悉▼(口+體)二合多三薩麽二合囉薩
마 라 바라 디연 사바하143)
麽二合囉四鉢囉二合▼(口+底)然五莎 訶六
정혜수를 합하여 허심합장을 하고
화륜을 교차하여 결하고
수륜으로 지지하며
두 풍륜을 고리처럼 구부려서 공륜을 누르라.
그 모습이 갈고리 같으면
밀인이 된 것이다.
이것을 두루 자기의 팔다리 등에 포치하고
이로써 온갖 사업을 수행하라.
마땅히 알라.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께서
종자를 전성시키는 유가도 역시 이러하니라.
또한 다른 경에서 설하는 진언과 인도
이와 같이 사용하면 틀린 것이 아니니라.
또는 그 설한 것과 다른 의궤에 의거하거나
또는 보통삼밀문(普通三密門)으로써
만약 이해하고 선전(旋轉)할 수 있으면
모든 유정의 세계에서 행하는 것이 다 성취되리라.
보통종자심(普通種子心)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가144)
南麽三曼多勃馱喃迦
경전에서 설하는 가자문(迦字門)은
온갖 법이 지은 것이 아니라는 것으로
마땅히 이와 같은 이치의 광명으로
이 소리의 진실한 뜻을 관하라.
진타마니보왕(眞陀摩尼寶王)145)의 인은
정혜수의 오륜을 서로 교차시켜라.
금강합장(金剛合掌)의 표식은
두루 모든 보살의 법에 통하느니라.
모든 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살바타 미마디 미지라녜 달마다도녈자다 삼삼하
南麽三曼多勃馱喃一薩婆他二微沬▼(口+底)三微枳羅儜上四達摩馱睹▼(口+涅)闍多五參參訶六
사바하146)
莎 訶七
온갖 색을 머금은 카자(佉字)에
대공점(大空點)을 더하여
앞에서 널리 설한 것처럼
이것을 정수리 위에 두어라.
허공과 동등함을 얻으리니
모든 법도 또한 그러하다고 설한다.
다시 그 머리 안147)에서
본초자(本初字)148)를 상념하라.
순백의 점으로 장엄하게 장식한
가장 뛰어난 백명(百明)의 핵심149)이니라.
안계(眼界)150)는 마치 밝은 등불과 같은
대공(大空)의 무구자(無垢字)151)이니라.
본존의 위에 머무르면
바른 깨달음 마땅히 현전하리니
이에 참으로 명료하게
마땅히 이와 같이 보아야 하느니라.
또한 그 심처(心處)152)의
둥글고 가득하며 맑은 월륜 가운데에
아자문(阿字門)이 밝게 나타나서
두루 금강색을 이루는 것을 관하라.
소리[聲]의 진실한 뜻은
제법이 본래 생겨남이 없음을 설하는 것이며
이 가운데에 바르게 관찰하면
모두가 이 마음 따라 일어난다네.153)
성자(聲字)는 화만(花鬘)과 같이
빛나는 불꽃이 스스로 주위를 감고
그 빛은 두루 밝고 맑아서
능히 무명(無明)의 굴을 깨뜨리느니라.
가자(迦字)를 필두로 하여
또다시 나머지 자문(字門)도
모두 이 법을 닦아야 하며
성(聲)의 진실을 가지고 염하라.
또한 소지하는 진언154)이
고리처럼 나열되어 둥글고 밝으니155)
단자(單字)와 구인(句因)은
호흡에 따라서 들고 나느니라.
혹은 의지법(意支法)156)을 닦고
마땅히 이치대로157) 등인(等引)에 들며
염하는 데에 따라 실지를 이루니
널리 중생을 이롭게 하는 마음이니라.
방내(方迺)158)에 지송하여
피곤함이 극치에 이르면 그쳐라.
혹은 진언자(眞言字)를 가지고
심월륜 가운데에 운포(運布)하고
그 깊고 비밀한 뜻에 따라서
소리의 진실을 사념하라.
이와 같이 수지하는 자는
또한 하나의 방편159)을 행해야 하느니라.
모든 유정계에서 복취(福聚)를 닦아
온갖 선근(善根)을 성취하기 위하여
의지법(意支法)을 닦아야 하는데
정해진 시분(時分)은 있지 않느니라.
만약 현법(現法)에서
상ㆍ중ㆍ하의 실지를 즐겨 구하려면
마땅히 그 방편을 사용하여
먼저 마음으로 수지하도록 하라.
바른 깨달음의 모든 세존께서
설하신 법은 이와 같으니
향이나 꽃 등을 바칠 때에는
능력껏 공양을 닦을지어다.
이 가운데 먼저 지송법을 간략히 밝히면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때에 의거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상(相)에 의거하는 것이다. 때[時]는 이른바 기간의 수를 채우는 것인데, 시(時)와 일(日)과 월(月)의 한계 등이 정해져 있다. 상(相)은 이른바 불탑과 도상(圖像)과 광염과 음성 등을 출생하는 것이다. 마땅히 알라. 이것은 진언을 수행하는 자의 죄장을 깨끗이 없애는 상이다. 그것은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먼저 뜻으로 염송하고 나서 다시 수지하여 1락차(落叉)를 채우고, 이로부터 두 번째 달을 경과하여 구지방편(具支方便)을 수습하라.
그런 다음에 그 본원에 따라서 성취법을 행하라. 만약 장애가 있으면 먼저 현상문(現相門)에 의지하여 마음으로 지송하라. 그런 다음에 두 번째 달에 구지(具支)를 가지고 공양하라. 마땅히 이와 같이 알아야 한다.
다시 원하여 여래의
삼밀문을 수습하고
한 달을 경과한 자를 위하여
다음에 그 방편을 설하노라.
수행자가 만약 대비로자나의
정각의 진언과 인을 지송하려면
마땅히 이와 같은 법에
의거하여야 하느니라.
대일여래종자심(大日如來種子心)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아160)
南麽三曼多勃馱喃阿
아자문(阿字門)은, 이른바 온갖 법은 본래 생겨남이 없다는 뜻으로 이미 앞에서 설한 것과 같다.
이 가운데 신밀인(身密印)은
정각(正覺)의 백호상(白毫相)이니라.
혜수를 금강권(金剛拳)으로 하여
두 눈썹 사이에 두어라.
여래호상(如來毫相)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아 흔야161)
南麽三曼多勃馱喃一阿去聲急呼痕若急呼
앞에서와 같이 아자를 전성시켜
대일존을 이루어라.
법력으로 가지하기에
자신과 아무런 다름이 없느니라.
본존의 유가에 머물러
오지(五支)의 자(字)로 가지하라.
하체와 배꼽 위와
심장과 정수리와 미간이니라.
삼마희다(三摩呬多)162)에서
운상(運相)하여 안립하라.
이 법에 의거하여 머무니
곧 모니존(牟尼尊)과 같아지리라.
아자(阿字)163)는 두루 금색이며
금강륜(金剛輪)을 만들고
하체를 가지하라.
이것을 유가좌(瑜伽座)라 하느니라.
밤자(鍐字)164)는 흰 달빛과 같으며
자욱한 안개 속에 있다.
이것으로 자신의 배꼽165) 위를 가지하니
이것을 대비수(大悲水)라 하느니라.
람자(★字)는 동터오는 햇빛과 같은
붉은색으로 삼각(三角)166)에 있다.
본심위(本心位)를 가지하는데
이것을 지화광(智火光)이라 하느니라.
함자(唅字)167)는 겁재(劫災)168)의 불과 같이
검은색으로 풍륜(風輪)에 있다.
백호(白毫)의 가장자리를 가지하는데
이것을 자재력(自在力)이라 하느니라.
카자(佉字)169)와 공점(空點)은
서로 온갖 색을 이룬다.
정수리 위에 가지하니
이것을 대공(大空)이라 이름하느니라.
이 다섯 가지의 핵심이 되는 진언은 제2품에서 이미 설하였다.또한 이 다섯 게송은 전도자(傳度者)가 자못 경의 뜻을 충분히 알아야 하며, 문구를 사용하여 두루 갖추어야 한다.
5자(字)로써 몸을 장엄하면
위덕이 갖추어져 성취하리라.
치성하게 타오르는 대혜(大慧)의 횃불은
온갖 죄업을 멸해 없애느니라.
천마의 군대들과
나머지 장애하는 자들이
이와 같은 사람을 보고서
혁혁한 것이 금강과 같다고 여기리라.
또한 머리 가운데에
백광변조왕(百光遍照王)을 두고
무구안(無垢眼)을 안립하니
마치 등불이 밝게 드러나 비춤과 같네.
앞에서와 같이 유가에 머물러
가지하는 것도 역시 이와 같다.
지혜로운 자는 자기의 몸을
여래의 몸과 동등하다고 관하라.
심월(心月)이 둥글고 밝은 곳170)에
성만(聲鬘)이 더불어 상응하니
자(字)와 자가 끊임이 없어
마치 방울과 풍경의 울림과 같네.
정등각의 진언171)을
취하여서 받아 지니면
마땅히 이 방편으로써
속히 실지를 성취하게 되리라.
또다시 석가모니존을
관념하는 데 필요한
진언과 자문(字門)을
내가 지금 차례대로 설하겠노라.
석가의 종자인 이른바 바자문(婆字門)172)은 이미 앞의 품에서 설하였다.
이 가운데 성(聲)의 참된 뜻은
이른바 온갖 관(觀)을 떠나 있다.
그 부처님의 신밀인(身密印)은
여래의 발우 등이다.
마땅히 지혜수를 사용하여
삼매173)의 손바닥을 가지하고
정수(正受)174)의 의식은
둥근 배꼽에 두어라.
석가모니불진언(釋迦牟尼佛眞言)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살바아리 사녜소나나 살바달마바시다 바라 발
南麽三曼多勃馱喃一薩婆吃麗二合奢▼(口+涅)素捺那二薩婆達摩嚩始多引鉢囉引二合鉢
다 가가나삼마 삼마 사바하175)
多三二合伽伽娜三摩引三摩四莎 訶五
이와 같이 언제나 나머지 등정각의 밀인과 진언은 각기 본 경에 의거하여 사용한다. 또한 앞의 방편과 같게 하는데 자문(字門)을 관(觀)하여176) 전성시켜서 본존신을 만들고 유가법에 머물러 종자를 운포(運布)하라. 그런 다음에 수여받은 진언을 지송하라. 만약 여래행177)에 의거한다면 마땅히 대비태장생만다라왕(大悲胎藏生漫茶羅王)178)에서 아사리의 관정(灌頂)179)을 받아 수행을 구족할 것이다. 다만 지명관정(持明灌頂)만 받은 자180)는 감당할 수 없다.
그 사지선문(四支禪門)의 방편차제는 설령 다른 경 가운데 설한 의궤일지라도 이지러지고 모자람이 있다. 만약 이 법대로 닦으면 온갖 허물을 떠나게 되리라. 본존을 환희하게 하므로 그 위세를 증가시키며 공덕이 따라 생한다. 또 지송을 마치고 나서 곧바로 본법181)을 사용하여 이를 호지(護持)하라. 비록 다른 경에 설하지 않았더라도 역시 이 뜻이 통용되는 것이니 수행하는 자로 하여금 속히 성취하게 한다.
또 다음에 본존이 머무시는 바
만다라위(漫茶羅位)의 의식은
그 형상이나 색과 같이182)
단(壇)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 유가183)에 의지하면
빨리 성취하리라.
마땅히 알라.
실지에는 세 가지184)가 있는데
적재(寂災)와 증익(增益)과 항복심(降伏心)이다.
사업을 분별하면 무릇 넷185)으로 나뉘며
그 물건의 종류에 따라서
마땅한 곳에 사용하라.
아주 흰색과 황색과
적색과 심현색(深玄色)이며
원(圓)과 방(方)과
삼각과 연화의 단(壇)이다.
북면은 승방(勝方)으로 연화좌186)에 머무는데
담백한 마음으로 적재(寂災)의 사업을 행한다.
동면은 초방(初方)으로 길상자에 머무는데
기뻐하는 얼굴로 증익(增益)의 사업을 행한다.
서면은 후방으로 현좌(賢座)에 앉아
기쁨과 노여움을 갖추어 섭소(攝召)의 사업을 행한다.
남면은 하방(下方)으로 준거(蹲踞) 등으로 앉아
분노의 모습으로 항복(降伏)의 사업을 행한다.
비밀의 표치187)인 성위(性位)188)와 형색(形色)
그리고 위의(威儀)189) 등을 알아야 한다.
꽃과 향 등을 바치고 상응하는 바190)에 따라
모두 마땅히 이와 같이 자세하게 분별하라.
장애를 깨끗이 하고 복을 늘려
원만하게 하는 것 등과
머무는 곳을 떠나 멀리 유행하며
해로운 것을 없애는 것191)은
진언의 처음 글자를
옴자(唵字)192)로 하며,
뒤에 사바하(莎-訶)193)를 더하는 것은
적재용(寂災用)이니라.
진언의 처음을
옴자로 시작하여 뒤에
훔바(★癹)194)를 더하는 것은
섭소용(攝召用)이고
처음과 뒤에 나마(納麽)195)가 있는 것은
증익용(增益用)이며
처음과 뒤에 훔바가 있는 것은
항복용(降伏用)이니라.
훔(★)자와 바(癹)자는 세 군데196)에 통용되는데
증익에는 그 명호가 중간에 있다.
이와 같이 진언상을 분별하는 것을
지혜로운 자는 마땅히 모두 알아야 하느니라.
5. 진언사업품(眞言事業品)197)
이 때에 진언수행자는 그 상응하는 바에 따라서 법답게 지송하고 나서 다시 앞의 사업과 같이198) 스스로를 가지하여 금강살타의 몸199)으로 만들고 불보살대중들의 무량한 공덕을 사유하며, 다함 없는 중생의 세계에 대해 대비심을 일으키고, 그 자구(資具)가 필요한 것에 따라서 공양행을 닦아야 한다. 공양하고 나서는 또다시 일심으로 합장하고 금강의 풍송(諷誦)200)과 다른 미묘한 언사(言辭)로써 여래의 진실한 공덕을 찬탄해야 한다.
다음에 온갖 선행을 행하며 회향하고 발원하며 이와 같이 말한다.
“대각을 얻으신 세존께서 증지하시고 이해하여 요달하시며201) 공덕을 적집하시고 무상보리에 회향하신 것처럼, 저도 지금 이와 같은 온갖 복덕의 쌓임으로 법계중생 모두와 함께 생사의 바다를 건너 두루 아는 도(道)를 이루고, 자리와 이타의 법을 모두 만족하여 여래의 대주(大住)202)에 머물게 하고자 하나이다.
홀로 자기 몸만을 위하여 보리를 구하지 않으리니, 이에 생사의 세계로 되돌아와 모든 중생을 구제하여 함께 일체종지를 얻도록 하리라고 한 이래로 언제나 마땅히 복덕과 지혜를 닦아 모을 뿐, 나머지 행위는 하지 않겠나이다. 우리들이 제일의 안락(安樂)에 이르며, 구하는 실지를 얻고, 온갖 장애를 여의며, 모두가 원만하기를 바랍니다.”
다시 또 생각하라.
‘제가 속히 안이거나 밖이거나 갖가지 청정한 묘한 보배를 구족하여 스스로를 장엄하고 상속하여 끊임이 없으며 두루 모두 유출하여 이 인연으로 인해 능히 모든 중생들이 가지고 있는 희원(希願)을 만족시키를 바랍니다.’
이것을 간략하게 설하면 위와 같다.
만약 수행하는 것에 대해 자세하게 하면 보현행원(普賢行願)이나 다른 대승의 수다라(修多羅)에서 설한 바와 같다.
분명한 뜻으로 이를 칭하여 서술하라.
“또한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께서 스스로 증지하시고 대비의 원을 일으키신 것처럼 저도 역시 이와 같이 발원합니다.”
다음에 마땅히 알가(閼伽)를 봉헌하고 귀명합장하여 정수리 위에 올리고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의 진실한 공덕을 사유하며 지성으로 예를 올리고 게송으로 읊어라.
제유(諸有)203)에서 영원히
온갖 허물을 여의고
무량한 공덕으로
그 몸을 장엄하며
오로지 중생을
요익하게 하시는 분께
저는 지금 온갖
귀명의 예를 올리나이다.
다음에 수많은 성현에게 아뢰어야 한다. 이 게송으로 읊는다.
현전하시는 모든 여래와
세상을 구하시는 모든 보살들이시여
대승의 가르침을 끊지 않고
뛰어난 경지에 도달하신 분이시여
오직 바라나이다. 성스러운 천중(天衆)이시여
분명하게 저를 증지하여 주소서.
각기 소안(所安)204)에 따르시고
나중에 다시 애부(哀赴)205)를 드리워 주소서.
다음에 삼매야의 진언과 밀인을 정수리 위에서 풀고 이러한 생각을 해야 한다.
‘제유(諸有)에서 결호(結護)하고 가지(加持)하면 모두 해탈하게 할 수 있다.’
이 방편으로 먼저 제존께 봉청(奉請)드리고 나서 각기 머무시는 곳으로 돌아가시게 하며, 동등할 바 없는 대서원을 위해서 머물러 그쳐서는 안 된다. 다시 법계의 본성(本性)206)을 가지고 스스로를 가지하며, 정보리심을 사유하고, 금강살타의 몸으로 머물러야 한다. 이 가운데의 진언과 인계는 제2품 중에서 이미 설하였다. 만약 염송을 마치면 이 3인(印)207)으로 몸을 가지하고 모든 진언 행문을 끝마치면 법칙은 모두 만족된다.
또한 앞의 방편처럼 법계의 자(字)를 관하여 정상(頂相)으로 삼고 금강의 갑옷과 투구를 입으면, 그 비밀장엄으로 말미암아 금강의 자성처럼 되어서 누구도 이를 무너뜨릴 수 없으리라. 제유(諸有)에서
그 음성을 듣거나 보거나 접촉하면 모두가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모든 공덕이 다 성취되어서 대일세존과 같아져 아무런 차이가 없으리라.
또다시 증상심(增上心)을 일으켜서 뛰어난 사업을 수행하라. 청정한 장소에서 향과 꽃으로 장엄하고 우선 자신을 관세음보살로 삼거나, 혹은 여래의 자성에 머물거나 하여 앞의 방편에 의지하여 진언과 밀인으로 가지하라. 그런 다음에 법시(法施)의 마음으로 대승의 방광경전(方廣經典)을 독송하거나 혹은 심송(心誦)하며 온갖 천신들을 청하여 이를 듣도록 해야 한다. 설한 것대로 게송으로 읊는다.
『금강정경』에서 설하는
관세(觀世)208)의 연화안(蓮花眼)은
곧 모든 부처님과 동등하게
다함 없이 장엄한 몸이시다.
또한 세간의 도사로서
제법에서 자재한 분이시다.
하나의 명호를 취함에 따라서
본성을 가지(加持)209)하시느니라.
관자재의 종자심(種子心)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사210)
南麽三曼多勃馱喃娑急呼
자문(字門)의 진실한 뜻은
제법이 물들 것도 집착할 것도 없음이니
음성이 유출되는 곳에서
마땅히 이와 같이 관하여야 하느니라.
이 가운데 신밀상(身密相)은
이른바 연화인(蓮花印)이며,
앞과 같이 자리를 펴서 바치는 것이라고
나는 이미 분별하여 설하였느니라.
다음에 관자재(觀自在)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몯다남 살바다타 아가바로기다 갈로나마야 라라라훔야
南麽三曼多勃馱喃一薩婆怛他引蘖多嚩路吉多二羯嚕拏麽也三囉囉囉𤙖若短聲四
사바하211)
莎 訶五
앞의 법계심의 종자를 정수리 위에 두어라. 또한 이 진언과 밀인을 사용하여 서로 가지하고, 감당할 만큼 능력껏 경법(經法)을 독송하거나 혹은
제저(制底)와 만다라 등을 건립한다. 행하는 것이 끝났으면 다음에는 자리에서 일어나 부드럽게 공경하는 모습으로 모든 인사(人事)를 응접해야 한다. 또한 몸을 지탱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다음에 걸식(乞食)을 행한다. 또는 단월(檀越)에 청하거나 승가 안에서 얻는 것은 마땅히 어육(魚肉)과 훈채(薰菜) 및 본존과 제불에 공양하고 남은 것이나 내지 갖가지 찌꺼기로서 부정한 것과 온갖 술과 나무 열매 등의 마실 것으로 사람을 취하게 하는 것은 피해야 하며, 모두 마시거나 먹어서는 안 된다.
다음에 단식(摶食)을 받들어 본존에 봉헌하는 데 사용한다. 또 수의(隨意)의 식법(食法)212)을 행해야 하는데, 만약 남은 것이 있으면 다음에 적은 양을 내야 한다. 이것은 굶주리고 가난하여 구걸하는 것을 구제하기 위해서이니, 마땅히 이러한 마음을 내야 한다.
나는 몸을 유지하여 안온하게 도를 행하고자 이 단식(段食)을 받는 것으로 마치 수레의 바퀴에 기름을 치면 손상되지 않아 가려는 곳에 이를 수 있는 것과 같다. 더욱 맛있는 것에 그 마음을 기울이거나, 기쁘고 윤택하며 단장한 몸의 모습을 생하게 하지 말라. 그런 다음에 법계심의 자(字)를 관하여 두루 모든 음식을 청정하게 하고 사업(事業)의 금강으로써 스스로의 몸을 가지하라. 이 가운데의 종자는 밤자(鍐字)의 진언으로 설한 바와 같다.
또한 시십력명(施十力明)을 여덟 번 송하고 이에 그것을 먹는다. 이 명주를 송한다.
나마살바몯다모디사타남 옴마란나녜 뎨유마리니 사바하213)
南麽薩婆勃馱菩提薩埵喃一唵麽蘭捺泥去帝孺忙栗寧二莎 訶三
이와 같이 머물고서 우선 본존의 유가를 성취하며, 음식 먹는 것을 마치고 나서 나머지 입댄 음식은 온갖 사업을 성취하는 진언심으로써 마땅히 먹어야 할 자에게 공양하는데, 불공위노증가성부동(不空威怒增加聖不動)의 진언을 써야 한다. 한번 송하면 받는 자는 환희할 것이며, 언제나 수행하는 사람을 따라다니며, 그를 호념할 것이다. 그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바저라 난 다라 타 아모가 젼나마하로사녜 사파
타
南麽三曼多伐折囉引二合赧一怛囉二合吒輕阿謨伽二戰拏摩訶𡀔灑儜上三娑破二合吒
야훔 다라 다라 마야마야 훔다라 타 한만214)
野𤙖四怛囉二合怛囉二合麽野麽野五𤙖怛囉二合吒輕悍漫六
그 먹는 것을 마치고 잠깐 휴식한 다음에 다시 모든 부처님께 예배하고 온갖 죄를 참회하여 마음을 정화한다. 이와 같이 계속해서 언제나 수행하며, 내지는 앞에서처럼 경전을 독송하고 언제나 이에 의지하여 머문다. 다음 날에도 역시 이와 같이 한다. 초야(初夜)나 후야(後夜)에 대승을 사유하는데 끊임이 없게 하며, 중야(中夜)에 이르러서는 사업의 금강으로 앞에서처럼 금강의 갑옷을 입고 모든 부처님과 대보살들께 경례 올린다.
다음에 마땅히 운심(運心)하여 여법하게 공양하고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
나는 모든 중생들을 위하여 대사(大事)의 인연을 지구(志求)하기에 마땅히 이 몸을 애호하여야 하며, 잠시 안온하게 하여야 하는데 수면의 즐거움을 탐착해서가 아니다. 우선 몸의 위의를 바르게 하고 두 발을 포개며 오른쪽 옆구리로 눕는다. 만약에 팔다리가 피로하면 뜻대로 옆으로 굴러도 허물은 없다. 속히 깨어나게 할 것이며, 언제나 생각을 명(明)에 두어야 한다.215) 또한 평상 위에 쓰러져 누워서는 안 된다. 다음에 다른 날에도 역시 이와 같이 이를 행해야 한다. 진언을 수지하는 자가 법칙을 어기지 않고 끊임없이 부지런히 수행하면 진언문에서 보살행을 행한다고 하리라. 만약 수(數)와 시(時)와 상(相)이 나타나는 지송법 가운데에서 전방편(前方便)을 행하고 내지 뛰어난 업을 갖추고서도 오히려 성취되지 않는다면 마땅히 스스로 놀라 깨닫고 더욱더 정진해야 한다.
하열한 생각을 일으켜서 이 법은 내가 감당할 수 없다고 말하지 말라. 그 의지력을 이와 같이 펼쳐서 자리이타(自利利他)하고, 언제나 부질없는 허물을 짓지 말라. 수행자가 부지런하고 성실하며 쉬지 않는다면 수많은 성현들께서
그 마음을 그윽하게 비추시고 곧 위신이 세워짐을 입어 온갖 장애를 여읠 수 있으리라. 이 가운데 두 가지 일이 있나니 절대로 버려서는 안 된다. 말하자면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과 다함 없는 중생들을 요익하게 하는 마음을 버려서는 안 된다. 언제나 일체지를 구하는 마음이 흔들리지 않아야 하며, 이 인연으로 반드시 그 종류에 따른 실지를 얻게 되리라.
항상 내법(內法)에 의거하여 몸을 씻고
외정법(外淨法)에 집착해서는 안 된다.
촉식(觸食)216) 등에 삼가는 마음을 품으며
이와 같은 것217)은 모두 해서는 안 되느니라.
이 몸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면
때에 맞추어 목욕하여 온갖 더러움을 없애는데
흐르는 강물 등에서 교법에 맞게
진언 및 인(印)과 함께 상응하여야 하느니라.
법계심(法界心)218)으로 온갖 물[水]을 정화하고
사용하는 데에 따라 부동항삼세(不動降三世)의
진언과 밀인과 호방(護方)219) 등으로
본존의 자성관(自性觀)220)에 머물러야 한다.
다시 세 번 전(轉)221)하여 정토를 지(持)222)하며
항상 일심으로 바르게 사유한다.
성부동(聖不動)의 진언 등을 염하면서
지자(智者)는 묵연(黙然)하게223) 조욕(澡浴)해야 하느니라.
정법계심(淨法界心) 및 부동존(不動尊)의 종자와 도인(刀印)은 모두 앞에서 설한 것과 같다. 항삼세(降三世)224)의 종자심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바저라 난학225)
南麽三曼多伐折囉引二合赧涸
이 가운데 하자문(訶字門)은
성(聲)과 이(理)가 앞의 설과 같으나
약간의 차별이 있는 것은
이른바 정제상(淨除相)이다.
항복삼계존(降伏三界尊)의
신밀의 의식은
마땅히 사업을 이루는
오지금강인(五智金剛印)을 써야 한다.
다음에 항삼세(降三世)의 진언을 송한다.
나마사만다바저라 난 하하하 미살마 예 살바다타 아다미
사야삼
南麽三曼多伐折囉引二合赧一訶訶訶二微薩麽二合曳平三薩婆怛他引蘖多微灑也三
바바 다리 로지야 미야야 훔야 사바하226)
婆嚩四怛囇二合路枳也二合微若也五𤙖若急呼六莎 訶七
이와 같이 조욕하여 쇄정(灑淨)227)하고 난 뒤에
삼매야를 구족하고 지분(支分)을 호지하며
다함 없는 성스러운 천의 대중들을 사유하고
세 번 두 손으로 물을 떠받들어 바쳐라.
몸과 마음을 정화하고 이타를 위하여
여래의 승생자(勝生子)에게 공경하여 예를 올리며
3독과 분별 등을 멀리 여의어 모든 감각기관을
정실(精室)에 있는 것처럼 고요하게 하라.
혹은 수실(水室)의 다른 방편에 의거하여
마음을 앞과 같이 정해진 의궤에 머물게 하라.
자신의 3업 등을 한계로 삼는 것은
상ㆍ중ㆍ하의 법을 구하기 위해서이니라.
수행자가 이와 같이 지송하면
모든 죄는 흘러서 영원히 사라지며
반드시 온갖 장애 쳐부숨을 성취하여
일체지(一切智)의 구(句)를 그 몸에 적집하느니라.
그가 「세간성취품(世間成就品)」이나
다른 경에서 설하는 바에 의거하여
공양의 지분과 온갖 방편을
그 수행하는 차례대로 행하더라도
아직 유위(有爲)의 모든 모습을 여의지 못하였기에
이것을 세간의 실지라고 하느니라.
다음에 무상의 가장 뛰어난 것을 설하노라.
신해를 갖춘 자가 관찰하는 바이니라.
만약 진언승(眞言乘)의
깊은 지혜를 가진 자가
이 생에서 무상(無上)의 과를 지구(志求)한다면
신해하는 바에 따라서 관조를 수행하며
앞의 심공양(心供養)의 의궤 및
「실지유출품(悉地流出品)」과
「출세간품(出世間品)」의
유가법(瑜伽法)에 의거하여 행하라.
그228) 진실의 연생구(緣生句)229)에서 내심지분(內心支分)230)의
엉겨붙은 연을 여의어야 하느니라.
이 방편에 의거하여 증수(證修)하면
언제나 출세간의 성취를 얻으리라.
우다나(優陀那)231)의 게송으로 읊는 바와 같다.
심히 깊은 무상(無相)232)의 법은
열등한 지혜로는 감당할 수 없기에
마땅히 저들을 위하여 또한 남기기 위하여
유상(有相)으로 설하느니라.233)
이상으로 아사리234)가 모은 바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 가운데 공양의식을 완전히 마친다. 전도자(傳度者)는 두루 마음을 모아야 한다. 또한 문장을 생략하고 그 중복되는 진언을 피했으니, 이를 돌려서 사용해야 한다. 수행자는 마땅히 위아래의 문장의 뜻을 총괄해야 한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3687 불교 (대사문백일갈마법/大沙門百一羯磨法) (0) | 2024.02.03 |
---|---|
[적어보자] #3686 불교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약시칠지염송수행법/大毗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略示七支念誦隨行法) (0) | 2024.02.03 |
[적어보자] #3684 불교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 6권 (0) | 2024.02.02 |
[적어보자] #3683 불교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 5권 (6) | 2024.02.02 |
[적어보자] #3682 불교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 4권 (4) | 2024.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