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매일 하나씩/확인하자 경제1287 #6 연구보고서로 본 코로나19에 따른 영향(포스트 코로나19 중국 유망상품 유망서비스) 6번째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서 작성한 “포스트 코로나19 중국 유망상품 유망서비스”이다. 코로나로 타격을 처음 받은 나라는 바로 중국이다. 이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서 중국을 분석하는 자료를 만든 것 같다. 한국과 중국은 가까우면서도 먼 나라이다. 실제로 거리도 가깝고 경제적으로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지만, 서로 간의 경쟁 의식도 가지고 있다. 중국에서 유망 분야를 4가지로 정리해놨다 홈코노미, 인터넷 및 5G, 무인화, 헬스케어 분야이다. 특히, 홈코노미의 식품과, 헬스케어 분야는 한국에서 유망한 분야라 볼 수 있다. 재택근무가 늘어나면서 배달 음식 및 안전하고 위생적인 음식에 대한 욕구가 늘어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가까워서 식품 수출도 쉽고 안전하고 위생적인 것으로 유명하다. 이에 유망하다고.. 2020. 9. 12. #5 연구보고서로 본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주요국의 코로나19 정책 대응(4.24.)) 5번째는 4번째에 이어서 예금보험공사에서 발간한 “주요국의 코로나19 정책 대응”의 2020.04.24.판을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연구원도 동일하다.) 코로나19가 확산됨에 따라 예금보험공사에서도 지속적으로 “주요국의 코로나19 정책 대응”내용을 업로드 하고 있다. 2주전에 나왔던 내용보다 더 경제가 어려워지고 있는 지표들이 보인다. 미국은 심각한 상황인데 코로나 이후 3월 중순부터 5주간 청구한 실업수당 청구건은 2,645만건으로 지난 미국에서 10년간 생긴 일자리 2,244만건을 넘는다는 것이었다. 10년간 생긴 일자리는 다 없어진 샘이다. 이어 중소기업 및 병원 추가 지원 프로그램 및 항공업계 지원 계획을 실시하였다. 한국도 경제 살리기에 고분분투하고 있다. 한국은 1분기 1.4% 마이너스 성장률.. 2020. 9. 11. #4 연구보고서로 본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주요국의 코로나19 정책 대응(4.10.)) 4번째는 2번째 리뷰한 예금보험공사에서 발간한 “주요국의 코로나19 정책 대응”의 2020.04.10. 기준판이다. (연구원도 동일하다.) 코로나19가 확산됨에 따라 예금보험공사에서도 지속적으로 “주요국의 코로나19 정책 대응”내용을 업로드 하고 있다. 3월자에는 예측을 했던 내용에 대한 실물 지표가 들어나있다. 다운로드 받아보면 알겠지만 미국의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4월 초에는 660만명을 기록하였다. 대한민국 생산 가능 인구의 약 30~40프로 수준으로 길가다 보이는 어른 10명중 3~4명이 실업자라는 뜻이다. 엄청 충격적인 숫자이다. 미국은 3월에 발표한 2.2조 달러의 지원이 부족하다고 느껴서 최소 1조 달러의 추가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한국도 2월 이후에 대부분의 지표가 악화하였고, 음식·숙박.. 2020. 9. 10. #3 연구보고서로 본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코로나19의 디스플레이산업 영향) 3번째는 1번째 리뷰한 한국수출입은행에서 발간한 “코로나19의 디스플레이산업 영향”이다. (연구원도 동일하다.) 첫 번째는 한국 수출에서 가장 중요한 “반도체산업”을 분석했다면, “디스플레이”도 한국 수출에 매우 중요한 품목이다. 현재 디스플레이는 한국의 대표적 산업으로, 핸드폰, TV, PC등 중요 가전 제품에 포함되는 항목이다. 그 중에서도 저가 LCD가 아닌 OLED, 고부가 LED로 대표적 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계를 이끌고 있다. 이렇기에 “디스플레이산업”이 한국 산업의 핵심이다. 코로나로 인해 전제 경기침체가 일어나고 도쿄올림픽 같은 대규모 이벤트도 연기되면서 “디스플레이산업”도 큰 도전을 받고 있다. 불확실한 시대에 원가 절감, 고부가 가치 제품 생산·판매 등을 통해서 어려움에 대응해.. 2020. 9. 9. #2 연구보고서로 본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주요국의 코로나19 정책 대응(3.27.)) 1편에 이어서 2편은 날짜가 지난 관계로 중국 한정으로 된 코로나가 전세계로 퍼진 상황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보고서가 작성되었다. 두 번째는 예금보험공사에서 분석한 “주요국의 코로나19 정책 대응”이다. 예금보험공사의 업무에 맞게 금융 쪽으로 컨셉을 잡아서 나라벌 정책 대응 방법이 작성되어 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코로나가 전세계적으로 확산이 되어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내용이다. 특히, 12년 전에 일어났던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 방어를 위해 주요국은 무제한 양적완화 지원하겠다고 하였는데, 대표적인 나라가 미국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무제한 QE 및 광범위한 신용시장 지원대책 뿐만 아니라 경기부양을 위한 2.2.. 2020. 9. 8. #1 연구보고서로 본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코로나19 발생에 따른 반도체산업 영향) 우리는 현재 코로나 시대를 살고 있다. 일상곳곳에 코로나가 주는 영향이 매우 크다. 공공기관에서 발행한 연구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가 국내·국제 경제에 미치거나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한국수출입은행에서 분석한 “코로나19 발생에 따른 반도체산업 영향”이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코로나가 전세계적으로 확산을 전제하는 내용은 아니다. 중국 우한지역만을 한정시켜 코로나로 인한 영향을 작성하였다.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을 예측했는데 2020년 1분기 이후에는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 이라고 예측하였다. 1월에서 6월까지 D램은 올랐으나 7월부터는 보합이거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낸드플래시의 경우에도 7월부터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2020. 9. 7. 이전 1 ··· 59 60 61 6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