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한국고용정보원이 올린 보고서 주제는 “2018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이다.
하기 연구 보고서는 총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7개의 장 중에서 핵심적으로 보는 항목은 3개장이라 생각한다. “제1장 조사개요”, “제6장 청년층 현재 일자리”, “제7장 청년층 첫 일자리”이다.
교육시장과 노동시장은 늘 일치하지 않는다. 이런 격간을 줄이기 위하여 기초분석보고서가 작성 되었다. 신뢰성있는 보고서를 계속 제공함으로써 불일치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내요을 확인해보면 첫 일자리와 현재 일자리의 산업 비중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취업 시간도 각각 다르다. 본인에 맞는 분야를 찾아 취업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대졸자직업이동경로”를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1. 제목: 2018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2. 연구기관: 한국고용정보원
3. 저자: 이주현 외
4. 발간일: 2019.12.31
5. 주요내용
□ 조사개요
ㅇ 졸업 후 18개월 시점의 경제활동 상태, 대학 졸업 후 일자리 이동, 교육 및 직업훈련 등
ㅇ 교육노동시장간 신뢰성 있는 인력수급 정보제공 및 인력수급 불일치 완화를 위한 정보 수집
□ 청년층 현재 일자리
ㅇ 학교유형별 졸업자 고용률 확인
ㅇ 전공계열별 졸업자 고용률 확인
ㅇ 현재 일자리 산업 진출분야는 제조업 분야가 제일 높음
□ 청년층 첫 일자리
ㅇ 대학 졸업 후 첫 일자리에 진입하는데 걸리는 소요 기간 확인
ㅇ 성별로 졸업 이전에 취업하는 비율
ㅇ 첫 일자리 진출분야 산업 대분류별 확인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용랑관계상 링크만 공유)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712026
'매일 하나씩 > 확인하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 공부] #16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기술혁신에 따른 산업현장 직무 변화) (0) | 2021.01.08 |
---|---|
[고용 공부] #15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공공 고용서비스(PES) 강화를 위한 고용센터 직업진로지도 기능 개선 방안 연구 -고용센터 상담서비스를 중심으로-) (0) | 2021.01.07 |
[고용 공부] #13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인력수급 전망 방법 개선 : KEISIM 개선 및 개발) (0) | 2021.01.05 |
[고용 공부] #12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해외 청년고용정책 실태 분석 연구 : 온/오프라인 연계를 중심으로) (0) | 2021.01.04 |
[고용 공부] #11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2019 청년 사회생활 실태조사) (0) | 2021.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