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한국고용정보원이 올린 보고서 주제는 “2019 청년 사회생활 실태조사” 이다.
최근에 청년 고용과 관련한 많은 정책들이 나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청년 고용 문제에서 청년의 삶 전반으로 정책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청년 사회 생활 실태조사 뿐만 아니라 청년의 지방 이주 의사를 묻고 있다. 취준생의 약 30% 정도가 향후 5년 이내 지방(비수도권)으로의 이주 혹은 정착 의사가 있다고 하였다.
다만, 이러한 이주를 위해서는 개선 사항이 필요하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정책에 대해서 개선이 필요한데 청년층 지방이주 혹은 정착을 위한 통합적 정책 설계 필요하며, 지자체에서 진행하는 각종 지방이주 프로그램의 내실화 요구된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청년 사회생활 실태조사”를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1. 제목: 2019 청년 사회생활 실태조사
2. 연구기관: 한국고용정보원
3. 저자: 고재성 외
4. 발간일: 2019.12.31
5. 주요내용
□ 서론
ㅇ 청년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년정책은 초기에는 고용문제를 중심으로 한 일자리 정책이 주된 정책적 관심
ㅇ 최근에는 고용을 포함한 청년의 삶 전반으로 정책 범위가 확대
□ 청년의 지방 이주 의사
ㅇ 향후 5년 이내 지방(비수도권)으로의 이주 혹은 정착 의사 확인
ㅇ 지방 이주 혹은 정착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 청년들은 라이프 스타일 실현형 가장 선호
ㅇ 청년들의 지방 이주 혹은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분석
□ 결론 및 제언
ㅇ 취업 청년에 대한 지속적인 능력 개발을 위한 제도적 지원 강화와 능력 개발에서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마련
ㅇ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는 적정 수준의 일자리 발굴
ㅇ 취업 청년들의 장기근속과 업무의욕 증대 개입 필요
ㅇ 청년층 지방이주 혹은 정착을 위한 통합적 정책 설계 필요
ㅇ 지자체에서 진행하는 각종 지방이주 프로그램의 내실화 요구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링크 및 파일 공유)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707679
'매일 하나씩 > 확인하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 공부] #13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인력수급 전망 방법 개선 : KEISIM 개선 및 개발) (0) | 2021.01.05 |
---|---|
[고용 공부] #12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해외 청년고용정책 실태 분석 연구 : 온/오프라인 연계를 중심으로) (0) | 2021.01.04 |
[고용 공부] #10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기업의 청년고용정책 인식조사 및 제언) (0) | 2021.01.02 |
[고용 공부] #9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2018 고령화연구패널(KLoSA) 기초분석보고서) (0) | 2021.01.01 |
[고용 공부] #8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청년패널2007 12차(2018) 조사 기초분석보고서 (0) | 2020.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