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한국고용정보원이 올린 보고서 주제는 “인력수급 전망 방법 개선 : KEISIM 개선 및 개발” 이다.
하기 연구 보고서는 총 9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9개의 장 중에서 핵심적으로 보는 항목은 3개장이라 생각한다. “제1장 서론”, “제2장 KEISIM 기본 특징과 구조”, “제9장 정책 모듈 : 최저임금의 효과”이다.
한국은 점차 고령 국가로 진행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층 진입과 은퇴로 노동 시장에 대한 공급 구조 파악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팀에서는 2012년에 자체 개발하여 구축한 미시모의실험 모형인 KEISIM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특히 2018년에는 최저임금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내용도 분석하였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인력수급 전망 방법 개선”를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1. 제목: 인력수급 전망 방법 개선 : KEISIM 개선 및 개발
2. 연구기관: 한국고용정보원
3. 저자: 박진희 외
4. 발간일: 2018.12.31
5. 주요내용
□ 서론
ㅇ 1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2차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층 진입, 에코 및 에코붐 세대의 청년층 노동시장 진입 등 거대 인구집단의 노동시장 진입과 퇴장에 따른 노동시장의 공급 구조 변화가 급격히 진행
ㅇ 인구구조의 변화는 인력수급 전망 방법론에 대한 정교화 작업을 요구
□ KEISIM 기본 특징과 구조
ㅇ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팀에서 자체 개발하여 구축한 미시모의실험 모형인 KEISIM
ㅇ 개개인이 시간에 따라 특정 기간 생애사건을 경험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이산적 시간 모형을 이용
□ 정책 모듈 : 최저임금의 효과
ㅇ 미시모의실험은 예산이 소용되는 사회복지정책이나 재정이 투입되는 일자리사업 등에 따른 인구구조나 노동시장 변화를 전망할 수 있다는 대표적인 방법
ㅇ KEISIM을 이용하면, 개인들의 노동시장 참가여부, 고용, 가구소득, 임금소득분배 등 다양한 방면에서 정책효과를 분석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링크 및 파일 공유)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709530
'매일 하나씩 > 확인하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 공부] #15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공공 고용서비스(PES) 강화를 위한 고용센터 직업진로지도 기능 개선 방안 연구 -고용센터 상담서비스를 중심으로-) (0) | 2021.01.07 |
---|---|
[고용 공부] #14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2018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0) | 2021.01.06 |
[고용 공부] #12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해외 청년고용정책 실태 분석 연구 : 온/오프라인 연계를 중심으로) (0) | 2021.01.04 |
[고용 공부] #11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2019 청년 사회생활 실태조사) (0) | 2021.01.03 |
[고용 공부] #10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기업의 청년고용정책 인식조사 및 제언) (0) | 2021.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