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번째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서 발간한 “코로나19 이후 중국 경제의 디지털 전환과 대응 방안”이다.
코로나19가 최초로 퍼진 중국은 경제 성장의 하락을 겪었으며 이에 회복을 위한 노력을 지속 적으로 하고 있다. 그 내용은 바로 “디저털 경제” 로의 전환이 필요하는 것이었다. 디지털을 일반 5G만으로 하는 것들이 아니라 모든 디지털 경제 육성 정책 및 코로나19 대응으로 진행되는 상황이다.
일반 통신 분야 뿐만 아니라 생산, 인프라, 소비 등 모든 분야에서의 발빠른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으로 진출하는 한국 기업이 볼 수 있도록 진행한 분석 및 리스크 등의 내용을 적어놓은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많은 한국 기업이 중국에 가서 성공도 하고 실패도 맛보고 하고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대표적인 삼성도 공장을 중국으로 이전하고 있다. 보고서를 잘 참고하고 사업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중국 경제의 디지털 전환과 대응 방안”를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1. 제목: 코로나19 이후 중국 경제의 디지털 전환과 대응 방안
2. 연구기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3. 저자: 정환우 등
4. 발간일: 2020.08.14
5. 주요 내용
□ 코로나19, 중국이 추진하던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
ㅇ 코로나19 확산으로 ’20년 1/4분기 중국 전체 GDP는 사상 최대의 하락폭(△6.8%)을 기록했지만, 디지털 분야의 실적은 양호
□ 중국 정부,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 정책 강화
ㅇ 디지털 경제 육성 정책은 코로나19 대응 및 경기부양정책 추진과 함께 본격적으로 추진
□ post-코로나19, 디지털 전환 ① : 디지털 인프라 구축
ㅇ (신형 인프라) 중국 정부, 디지털 경제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디지털 인프라*를 ‘신형 인프라(新SOC)’로 지정, 적극 투자 추진
□ post-코로나19, 디지털 전환 ② : 산업과 소비의 디지털화
ㅇ (생산) 전통 산업의 생산·관리·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이 확대되는 추세로, 특히 서비스업의 전환이 가장 빠르게 나타나고 있음
ㅇ (신업태의 확산) ICT·온라인에 기반한 상품, 서비스, 혹은 상품+서비스 융합을 통해 새롭게 생성되는 사업 형태를 뜻함
ㅇ (소비) 코로나19를 계기로 중국의 디지털 소비의 3가지 변화
□ 비즈니스 기회와 대응 방안
ㅇ (비즈니스 기회) 코로나19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및 전반적인 ICT산업 및 온라인 경제 발전 촉진
ㅇ (대응방안) 산업의 디지털화·신업태 등장에 따른 비즈니스 변화에 선제 대응
ㅇ (리스크) 산업 내 구조조정, 진입 장벽, 미중갈등 등 리스크 주의
ㅇ (협력) 양국이 강점을 갖고 협력 의지가 높은 헬스케어, 스마트제조, 5G부터 협업사업을 추진, 한중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하여 우리 중소중견기업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 지원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및 업로드 해놓음)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749363
'매일 하나씩 > 확인하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 연구보고서로 본 코로나19에 따른 영향(국내 MICE 산업의 위기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제) (0) | 2020.10.14 |
---|---|
#29 연구보고서로 본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코로나19 수출기업 영향 설문조사) (0) | 2020.10.13 |
#27 보고서로 본 코로나19에 따른 영향(포스트 코로나 뉴노멀 2.0 시대의 환경변화) (0) | 2020.10.08 |
#26 보고서로 본 코로나19에 따른 영향(개발협력의 관점에서 본 코로나19의 영향과 대응방안) (0) | 2020.10.07 |
#25 연구보고서로 본 코로나19에 따른 영향(글로벌 기업의 코로나19 대응사례와 포스트 코로나 신전략) (0) | 2020.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