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확인하자 경제

#25 연구보고서로 본 코로나19에 따른 영향(글로벌 기업의 코로나19 대응사례와 포스트 코로나 신전략)

by Kay/케이 2020. 10. 6.
728x90
반응형

  25번째는 한국수출입은행에서 발간한 글로벌 기업의 코로나19 대응사례와 포스트 코로나 전략이다.

 

  코로나19는 일상의 많은 것을 바꿔 놓았다. 일상과 정부도 바꿔 놓았으며, 특히 많은 회사들은 변화에 적응해야 살아남는 구조가 되었다. 이번 연구보고서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서 한국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10개 국가의 글로벌 기업의 대응 사례와 전략에 대해 서술해 놓았다. 아무래도 빠른 대응과 변화 없이는 그들도 회사 존치 조차 어려울지 모른다.

 

  보기 쉽도록 10개 국가의 37개 기업이지만 이런 기업을 대표적으로, 제조업, 유통·물류업, 금융업, 여행·항공업, 통신·인프라로 나누어 놓았다. 이런 내용은 일상 생활과 밀접하게 닿아있거나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산업들로 다른 회사들도 참고하여 대응하거나 사업계획을 짜는데 매우 좋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기업의 코로나19 대응사례와 포스트 코로나 신전략를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Photo by NeONBRAND on Unsplash  


1. 제목: 글로벌 기업의 코로나19 대응사례와 포스트 코로나 전략

2. 연구기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3. 저자: 김건숙 등

4. 발간일: 2020.08.10

5. 주요 내용

주요국 업계의 대응전략

ㅇ 제조업

    - 자동차·차부품 제조업

      ① 직원 안전관리 및 위기대응 시스템 정비

      ② 글로벌 공급망 정비 등 GVC 재편 움직임 강화

      ③ 온라인 마케팅 등 판매방식의 디지털 전환 추진

      ④ 미래차 시장 선점을 목표로 차세대 자동차 사업 부문 비중 확대

    - 소비재 제조업

      ① D2C 판매방식 활용 확대

      ② 고객맞춤형·동종/이종 업종간 협업 통한 판매전략 강화

      ③ CSR 활동으로 기업·제품 이미지 제고

    - 기타 제조업

      ① 생산 효율성 제고를 위한 디지털화·자동화(스마트팩토리)

      ② 안정적 부품 확보 위한 공급망 재구축

      ③ 자체 플랫폼 구축 또는 기존 온라인 유통망 활용한 온라인 판매에 집중

  ㅇ 유통·물류업

      ① 온라인 판매와 오프라인 매장을 연계한 옴니채널전략 활용

      ② 오프라인 업체는 온라인 판매를 새로 시작, 기존 온라인 업체도 온라인 마케팅 비중을 확대하는 추세

  ㅇ 금융업

    - 고객들의 디지털 뱅킹 활용 빈도 증가 등을 반영하여 인공지능 데이터 분석, 고객맞춤형 디지털 금융 서비스 확대 등 디지털 전환적극 추진

  ㅇ 여행·항공업

    - 해외여행객 감소에 대응하여 내국인 위주로 국내관광 상품 개발에 주력, 관광산업 비중이 높은 국가에서는 해외여행객 유치 위해 입국제한 조기 해제 및 관광 홍보활동 재개

  ㅇ 통신·인프라

    - 재택근무와 온라인 교육 증가로 인터넷 사용이 확대되면서 5G 인프라 구축 및 디지털 전환을 적극 추진, 온라인 교육 플랫폼이나 핀테크 앱 개발 등 새로운 사업으로 영역 확장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및 업로드 해놓음)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747293

글로벌 기업의 코로나19 대응사례와 포스트 코로나 신전략.pdf
2.73MB

728x90
반응형

댓글